공지사항

2019-09-17
2004-08-11
2004-06-22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출판물 더보기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3단계 비핵화론과 END 구상: 한국 정부 비핵화 접근법의 쟁점과 한계

박원곤 EAI 북한연구센터 소장(이화여대 교수)은 ‘3단계 비핵화론’과 ‘END 구상’을 통해 드러나는 이재명 정부의 북한 비핵화 접근법의 쟁점과 한계를 점검합니다. 저자는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이 선언적 구조에 머물러 있으므로 개념의 명료성, 위협 인식의 초점, 실행 메커니즘에서 구조적 보완이 필요함을 지적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박 교수는 정책 어휘 표준화, 한미 간 확장억제 운용지침 제도화 등의 방안을 제언합니다.

박원곤2025-10-10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미국 해양패권의 미래와 한국의 전략: 한미 조선협력과 대북 정책을 둘러싼 미국 의회의 역할

오인환 EAI 수석연구원은 미국 의회의 역할이 한미 조선협력과 대북 정책, 나아가 미국 해양패권의 미래에 미치는 함의를 논의합니다. 오 연구원은 한미조선협력이 언론에서 보도된 만큼의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여기에는 미국 내 조선 관련 보호주의 법안과 로비라는 장애물이 있음을 지적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해양력 복원을 위한 행정조치의 동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속에서 저자는 미국 의회에 대한 한국의 다각적인 관여를 통해, 한미조선협력의 법적장애물들을 극복하는 동시에 대북정책과 주한미군의 규모, 역할 등에 관한 양국간의 건설적 공조를 다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합니다.

오인환2025-09-29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최근 북한경제의 플러스 성장 지속은 북한주민의 민생회복을 의미하는가?

정승호 인천대학교 교수는 최근 북한의 경제성장 추세에도 불구하고, 북한주민의 민생은 오히려 악화되었을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정 교수는 북한의 시장물가 급등세와 경제에 대한 중앙집권적 통제 강화에 주목하고, 북한 주민의 민생경제는 여전히 코로나 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북한의 민생경제가 어렵더라도 이를 고리로 한 남북 협력이 단기간에 추진될 가능성은 높지 않기 때문에 한국 정부가 북한과의 직접 협력보다는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을 고려할 것을 제안합니다.

정승호2025-09-25

행사 더보기

마감
"신흥기술로 재편되는 세계 안보 지형 속 청년과 군축" 군축·비확산 청년 사절단

2025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 "다가오는 세계 안보 지형 속 청년과 군축" 동아시아연구원(EAI)은 2024년에 이어, 군축·비확산에 대한 청년 세대의 관심을 고취하고 관련 분야의 차세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신흥기술로 재편되는 세계 안보 지형 속 청년과 군축”이라는 주제로 아카데미 및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개최하였습니다. 외교부가 주최하고 EAI가 주관하는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 아카데미에서는 21세기 복합 군사질서와 군비 축소, 미사일과 핵무기 비확산, 우주공간의 군사화, AI 및 첨단기술의 안보적 활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전문가 강연과 청년들의 정책제안서 작성을 돕는 방법론 워크숍을 제공하였습니다. 총 21명의 수강생들은 `군축·비확산 청년 사절단`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고, 전문가 강연과 글쓰기 방법론을 토대로 정책제안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심사위원단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 선정된 정책제안서 최우수 수상자(이주호, 에딘버러대)에게는 유엔총회 1위원회 및 동계기 UNODA 주관 청년군축포럼(Youth4Disarmament Forum, 10/16-17)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EAI는 한국의 외교안보 차세대 리더 발굴 및 교육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 개요ㆍ 프로그램 기간 : 2025년 6월 26일(목) - 9월 10일(수)ㆍ 참가 자격: 만 34세 이하 국내 대학(원)생ㆍ 청년 사절단: 총 21인 ◆ 특전ㆍ 참가자: 임명장, 수료증, 기념품, 외교부 주관 행사 참관 기회 등ㆍ 우수팀: 우수정책보고서 3개팀(1팀, 2인 이내)에게는 외교부 장관상 및 국내외 국제회의 참관 기회 지원 등 부  상 지급 ◆ 주요일정ㆍ 발대식: 6월 26일(월) 오전 10시(장소: 외교부 청사 내 모파마루)ㆍ 현장학습(1) : 6월 26일(월) 원자력통제기술원 견학ㆍ 현장학습(2) : 6월 27일(화) DMZ 파주ㆍ 아카데미: 7월 2일(수) - 7월 30일(수) 오후 4시 30분 - 8시 (중간 휴식시간 30분, 간단한 저녁 식사 제공)ㆍ 정책제안서 제출: 8월 29일(금) 23:59까지ㆍ 정책제안서 발표회 및 수료·해단식: 9월 10일(수)(장소: EAI 컨퍼런스 홀 및 외교부 청사 내 모파마루)

2025-09-30

멀티미디어 더보기

[북한과 세계] 중단 보다는 동결, 그리고 한미공조를 통한 비핵화 추구가 필요하다

2025-10-01

[북한과 세계] 김여정의 대남, 대미 메시지와 남북 대화 가능성

2025-09-04

[EAI-API-KEI공동기자회견]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및 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발표

2025-08-28

[제9기 EAI Academy] ⑧ 트럼프 2.0 시대 경제 안보와 한국

2025-08-28

EAI는 독립 싱크탱크로서 국내외 핵심 이슈에 대한 연구와
정책개발을 중심으로 국제회의와 포럼, 교육, 출판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