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출판물 더보기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전승절에서 APEC, 북중관계의 새로운 모색과 도전

이동률 동덕여대 중어중국학과 학과 교수는 최근 중국 전승절 행사 이후 부각되는 북중러 연대에 대한 경계가 과대해석되고 있음을 경고하며, 이러한 접근에 신중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저자는 구체적으로 이 같은 진영 구도의 단순화로 인해 한국 정부가 정교하고 다양한 외교 전략 수립의 기회를 놓칠 것을 우려합니다. 이 교수는 한국 정부가 북중러 연대가능성에도 대비하는 한편, 정교하고 창의적인 외교전을 펼칠 준비 또한 병행되어야 함을 제언합니다.

이동률2025-10-27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한미동맹 현대화: 전시작전권 전환과 남북관계의 전환

신성호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급변하는 현재의 한미동맹과 동북아 안보 지형에서 한국의 전시작전권 회수는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고 진단합니다. 저자는 한국의 경제 규모, 군사력, 국방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의 측면에서 전시작전권 전환에 대한 명분이 충분함을 주장합니다. 나아가, 신 교수는 전시작전권 전환은 남북 관계와 대북 협상에서도 한국이 이점을 차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신성호2025-10-20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3단계 비핵화론과 END 구상: 한국 정부 비핵화 접근법의 쟁점과 한계

박원곤 EAI 북한연구센터 소장(이화여대 교수)은 ‘3단계 비핵화론’과 ‘END 구상’을 통해 드러나는 이재명 정부의 북한 비핵화 접근법의 쟁점과 한계를 점검합니다. 저자는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이 선언적 구조에 머물러 있으므로 개념의 명료성, 위협 인식의 초점, 실행 메커니즘에서 구조적 보완이 필요함을 지적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박 교수는 정책 어휘 표준화, 한미 간 확장억제 운용지침 제도화 등의 방안을 제언합니다.

박원곤2025-10-10

멀티미디어 더보기

[북한과 세계] 밤의 열병식, 북한 체제가 말하는 충성과 통제의 언어

2025-10-21

[북한과 세계] 중단 보다는 동결, 그리고 한미공조를 통한 비핵화 추구가 필요하다

2025-10-01

[북한과 세계] 김여정의 대남, 대미 메시지와 남북 대화 가능성

2025-09-04

[EAI-API-KEI공동기자회견]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및 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발표

2025-08-28

EAI는 독립 싱크탱크로서 국내외 핵심 이슈에 대한 연구와
정책개발을 중심으로 국제회의와 포럼, 교육, 출판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