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I는 9인의 일본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총 11년간 11회에 걸친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결과를 3개의 주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논평이슈브리핑
[EAI 이슈브리핑] 안보 위협과 일본에 대한 전략적 재발견: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로 본 한일 양자 협력 강화에 대한 국민 인식 분석

I. 서론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8월 23일 정상회담을 갖고 “흔들림 없는 한일, 한미일 협력을 추진”하는 것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이 미국이 아닌 일본에서 열렸고, 17년만에 처음으로 회담 결과가 문서로 발표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더불어 이재명 대통령과 여당이 집권 이전에 보였던 대일 정책 기조를 고려하면, 이번 행보는 예상 밖의 전환으로 비춰졌다. 이는 한국 정부가 한일협력 강화와 이를 통한 한미일 삼각 협력 강화에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 국민들은 한일 협력 강화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을까? 정부의 이러한 협력 강화 움직임을 받아들일 것인가?   한일 협력은 오랜 기간 역사 문제와 반일 정서로 인해 양자 수준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하기 어려웠고, 주로 미국을 매개로 한 삼각 협력의 틀 속에서 진행되어 왔다. 이는 냉전기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구축한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s)’ 체제의 산물이기도 하다 (Cha 2009). 이러한 구조 속에서 한일 협력은 항상 미국의 중재와 설득을 통해서 진전되어 왔고, 한일 관계는 한미일 협력의 약한 고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자국중심주의적 행보와 동맹 관여 축소는 기존의 ‘허브 앤 스포크’ 모델만으로는 지역 안보 현안을 관리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런 변화는 이재명 대통령의 방일 행보와 한일 양국이 함께 내세운 협력 강화 메시지를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그렇다면 한국 대중은 이러한 한일 협력 강화 움직임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과거에도 정부 차원에서 관계 개선을 시도할 때 국민이 그에 대한 수용을 거부하고,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나 반일 시위, 심지어 반정부 시위로까지 이어진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그렇다면 2025년 현재, 이재명 정부가 보여주는 수준의 한일 협력에 대한 인식 전환이 과연 대중들의 인식에서도 나타나고 있는가?   여론은 외교 정책을 직접적으로 결정하지는 않지만, 정책 결정자들이 선택 가능한 정책의 범위를 제한하고 정책 수행의 추진력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2025년 8월 실시된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자료(N=1,585)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한일 양자 안보 협력과 경제 협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북한과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이 한일 협력 지지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고, 일본 호감도와 미국 신뢰도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여 그 영향을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한일 양자 안보 협력과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여론의 영향 요인을 비교함으로써, 대중의 위협 인식이 두 협력 구도에 대해 어떻게 차별적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한다.   II. 한일 양자 협력에 대한 여론 분포: 긍정 여론이 지배적   [그림 1] 한일 양자 안보 협력 강화에 대한 입장 회귀분석에 앞서, 한일 양자 협력 강화에 대한 입장 분포를 먼저 검토한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일 양자 협력을 현재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은 “한일간 안보 협력을 지금 수준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보여준다. 전체 응답자의 75.5%가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으며, 부정적 응답은 14.9%에 그쳤다. 세부적으로는 21.1%가 ‘매우 긍정적’, 54.4%가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부정적 응답의 경우 12%가 ‘대체로 부정적’, 2.9%가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변하였다. 한편 9.6%는 중립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듯, 한일 경제 협력은 안보 협력보다 더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한일 양국 간 경제 교류와 협력을 지금 수준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85.6%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중 23.6%가 ‘매우 긍정적,’ 62%가 ‘대체로 긍정적’을 선택했다. 한편, 5.9%가 ‘대체로 부정적’, 0.9%가 ‘매우 부정적’을 선택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진 응답자는 6.8%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어느 쪽도 아니다’라는 중립적 견해는 7.6%를 차지했다.   [그림 2] 한일 양자 경제 협력 강화에 대한 입장   두 영역을 비교해보면, 경제 협력이 안보 협력보다 약 10%가량 높은 지지를 기록했으며, 부정적 응답과 중립 응답 모두 경제 협력 분야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한국 국민들은 안보와 경제 분야에서 일본과의 양자 협력을 현재 수준보다 강화하는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제 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II. 위협 인식에 따른 한일협력 지지 패턴: 안보 협력과 경제 협력 비교분석   한국인들은 일본을 안보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을까? 본 절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한일 양자 협력에 대한 높은 지지가 안보 위협에 대한 인식과 상관성을 갖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외교·안보 환경과 관련된 네 가지 인식을 핵심 설명변수로 포함하였다.   첫째, 북한에 대한 위협인식이다. 북한의 핵 능력 증강이 한일 양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위협인식이 일본과의 협력 강화 필요성으로 이어지는지 살펴본다. 한일 정상들의 공동 발표문에서 한반도 평화와 북한 문제 협력이 양국 협력의 중요 의제로 등장한 바 있다. 한국의 대중들이 이러한 협력방향을 수용하는지 검토한다.   둘째, 한국인들이 일본을 중국발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파트너로 인식하는지 검토하고자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을 포함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인의 73%가 중국을 군사적 위협으로지목한 바와 같이(손열·오인환·이아림 2025), 대중국 위협인식은 북한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위협 인식이 일본과의 협력 지지로 이어지는지를 검토한다.   셋째, 미국에 대한 신뢰도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한일 협력이 주로 미국의 주도와 매개로 발전해 온 만큼, 미국에 대한 인식이 일본과의 협력 태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넷째, 일본에 대한 호감도 역시 중요한 변수이다. 대일 감정이 한일협력이라는 정책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일본에 대한 호감도를 통제하였다. 이 외에도 응답자의 성별, 연령, 이념성향, 소득수준, 교육수준을 통제하였다.   1. 안보 협력: 북한과 중국에 위협을 느낄수록 일본과의 안보 협력에 긍정적   한일 양자 안보 협력 입장에 대한 분석 결과, 북한과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할수록 일본과의 양자 안보 협력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 [그림 3]은 한일 양자 안보 협력 지지에 대한 네 개 주요 변수의 한계효과를 제시한다. 첫째, 북한을 위협으로 인식할 경우, 한일 안보 협력을 지지할 확률이 16.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한일 안보 협력을 지지할 확률이 5.2%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18~2021년 인식조사 분석에서 북한 및 중국 위협 인식이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지지를 촉진한다는 기존 연구(정상미 2023)를 넘어, 한일 양자 안보 협력 지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대중의 위협 인식은 삼각 협력의 지지 기반일 뿐만 아니라 양자 협력에도 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정부의 협력 강화 움직임이 일정 부분 대중적 기반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3] 한일 양자 안보 협력: 주요 변수 한계효과   셋째, 미국에 대한 신뢰는 한일 안보 협력 지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중이 일본과의 협력을 한미동맹의 연장선상에서, 또는 한미일 삼각협력과 연관 지어 상호보완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넷째,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주요 변수 가운데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는 일본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안보 협력이라는 정책 선호에도 강하게 투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2025년 EAI 조사에 따르면 일본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진 응답자가 52.4%로 집계되어, 처음으로 비호감 여론을 앞질렀으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손열·오인환·이아림 2025). 앞으로도 양국 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지속된다면, 양자 안보 협력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도 높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 경제 협력: 중국 위협은 안보 협력보다 경제 협력에서 더 큰 효과   [그림 4] 한일 양자 경제 협력: 주요 변수 한계효과   [그림 4]는 한일 양자 경제 협력에 대한 주요 변수의 영향력을 제시한다. 북한 위협은 한일 경제 협력과도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찬성 확률 10.4% 증가), 그 영향력은 안보 협력(16.4%)에 비해 다소 약하게 나타났다. 반면, 중국 위협의 영향력은 안보 협력보다 경제 협력에서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할 경우, 한일 양자 경제 협력에 찬성할 확률이 7.2%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국에 대한 신뢰도 역시 긍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찬성 확률 3.4% 증가), 그 영향력은 안보 협력에서의 효과보다(8.1%) 감소하였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여전히 높은 설명력을 보였지만, 역시 경제 협력에서의 영향력(16.9%)의 안보 협력 경우(20.5%)보다 감소하였다.   이러한 협력 유형 별 변수의 영향력 차이는 위협의 성격에 따른 대응 논리의 차이를 시사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직접적이고 군사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안보 협력에 대한 요구를 더 크게 자극할 수 있다. 반면,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은 북한 발 안보 위협보다 덜 직접적이며, 경제적 압력과 군사적 부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경제 협력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과의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높은 현실에서, 한국 대중은 일본과의 경제 협력을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방책으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경제 협력에서 일본 호감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은, 경제 영역에서는 대일 감정에 대한 민감성이 더 낮고, 실용적 고려가 더 강하게 작용함을 보여준다.   3. 한일 양자 안보 협력 vs.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주요변수 한계효과   [그림 5]는 한일 양자 안보 협력과 (빨간색 막대)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파란색 막대) 에 대한 각 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은 중국 위협 인식의 영향력 차이이다.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할 때 양자 안보 협력 지지 확률은 5.2%p 증가하는 한편, 삼각 안보 협력 지지 확률은 8.6%p 증가하여 1.7배에 달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는 데 있어 미국을 포함한 삼각 협력 체제가 더 효과적이라는 대중의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북한 위협은 양자 협력(16.4%p)과 삼각 협력(16.3%p)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 발 위협이 한일 및 한미일 협력 모두의 공통 지지 기반으로 기능함을 보여준다. 나아가 북한 위협 대응을 목적으로 한일 안보 협력을 강화할 경우, 이에 대한 국민의 수용성도 높을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일본에 대한 호감은 양자·삼각 협력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그 효과는 한일 양자 안보 협력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이는 양자 안보 협력이 상대국에 대한 정서적 요인에 더 크게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은 한일 양자 안보 협력보다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설명력을 가진다. 양자 협력은 감정적 요인에 보다 민감한 반면, 삼각협력에서는 구조적 위협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IV. 맺음말   이상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북한과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이 한미일 안보 협력 뿐만 아니라 한일 양자 협력에 대한 지지로도 이어진다는 점은, 한국인이 일본을 안보 위협 공동 대응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로 바라보는 시각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한일 협력은 주로 미국의 중재와 설득을 통해 삼자 협력의 틀 안에서 진전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 분석에서 확인된 일본과의 협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지속된다면, 한일 양자 협력은삼각 협력의 하위 틀을 넘어서 자체적 동력을 가진 협력 축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림 5] 한일 양자 안보 협력과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간 비교 둘째, 한일 양자 안보 협력과 경제 협력 모두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매우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는 대중의 협력 인식이 안보적 계산 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에도 크게 좌우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일관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어 반일 감정이 다시 불붙지 않는다면, 협력 강화에 대한 국민적 수용성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다. 반대로 역사 문제나 기타 갈등 현안이 재차 부상할 경우, 호감도 악화가 협력 지지 약화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끝으로, 미국의 자국중심주의 행보가 이어질 경우 대중의 반감과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인의 인식에서 일본과의 협력 필요성을 추동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본 분석에서는 현재 미국에 대한 신뢰와 일본과의 협력 태도가 긴밀히 연동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 시점에서는 한미일 삼각 협력이 상호 보완적 관계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향후 미국의 동맹 관여 약화가 심화되거나, 일방적 정책 추진으로 인한 동맹국들의 부담이 가중될 경우, 일본과의 양자 협력을 삼각 협력의 틀 안에서 뿐만 아니라 보완적 축으로 인식하려는 흐름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실현 여부는 미국의 대외정책 방향, 한반도 주변 안보 환경, 그리고 한일 양국의 관계 관리 능력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손열, 오인환, 이아림 편. "2025년 EAI-API-KEI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및 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결과 분석." EAI 여론브리핑. 동아시아연구원, 2025년 8월 28일. https://www.eai.or.kr/new/ko/pub/view.asp?intSeq=23414&board=kor_issuebriefing&keyword_option=&keyword=&more=   정상미. "안보위협과 대일인식: 한일관계 개선· 한미일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여론 분석 (2018~ 2021)." 국제정치논총 63, no. 1 (2023): 177-219. https://doi.org/10.14731/kjir.2023.03.63.1.177   Cha, Victor D. "Powerplay: Origin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Asia." International Security 34, no. 3 (2010): 158-196.     [1] Richard Sobel, The Impact of Public Opinion on U.S. Foreign Policy Since Vietna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본고에 언급된 모든 결과는 95% ·99%신뢰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다.      ■ 저자: 정상미_국립외교원 지정학연구센터 연구교수.    ■ 담당 및 편집: 이상준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11) | leesj@eai.or.kr 

정상미 2025-09-03조회 : 160
논평이슈브리핑
[EAI 이슈브리핑] 20·30세대가 견인하는 한일관계의 미래: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로 본 한일관계의 새로운 여론 지형

지난 8월 28일 EAI·API·KEI 공동조사 결과로 발표된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는 한일관계를 둘러싼 여론 지형의 변화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 할 수 있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대중문화 교류의 확산, 실용적 협력에 대한 관심 증가, 그리고 미래지향적 관계 정립에 대한 의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일관계의 전환점과 앞으로의 한일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한일협력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일관계를 바라보는 여론 지형의 변화: 20∙30세대가 견인하는 대일 호감도  전통적으로 한국의 대일인식은 부정적이었다. 1990년대부터 지난 30여년간 이루어진 한국의 대일인식 조사에서 부정인식은 긍정인식보다 높게 나왔고,[1] 이러한 결과는 줄곧 당연하게 여겨져왔다. 그러나 2023년 한일관계의 대전환이 일어나며 양국의 상호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 변화의 중심에는 20·30세대가 있다.   이번 EAI에서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다음 [그림1]과[그림2]는 EAI에서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13년부터 2025년 현재까지 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한국의 일본에 대한 인상 (2013-2025)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13-2025)」 결과 참조하여 필자 작성 [그림 2] 일본의 한국에 대한 인상 (2013-2025, 2024 미시행)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13-2025)」 참조하여 필자 작성 [그림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한국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2023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다 올해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긍정인식(52.4%)이 부정인식(37.1%)을 넘어서는 ‘골든 크로스’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그림2] 일본의 한국에 대한 인상은 2023년 여론조사에 비해 오히려 긍정인식은 37.4%에서 24.8%로 하락하고, 부정인식은 32.8%에서 51.0%로 상승하였는데, 이는 지난 해 12.3 계엄사태로 인한 국내 불안정과 한국의 정권교체에 따른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조사 시기가 8.19-8.20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방일(8.23-8.24)과 이시바 총리와의 한일정상회담에 따른 효과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한국의 대일인식 변화에서 주목할 부분은 이러한 변화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세대인식에 기반한 구조적인 변화라는 점이다. 아산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여론조사 분석을 통해서도 한국인의 대일인식의 구조적 변화에 대해 밝혀진 바 있는데,[2] 이번 조사에서도 이러한 변화 양상이 재차 확인되었다.  [그림 3]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인상 (2025) (연령별)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참조하여 필자 작성 [그림3]은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인상을 연령별로 나누어 살펴본 것인데, 18-29세까지가 전체 연령대 중에서 가장 높은 호감도를(62.7%) 보였고, 30-39세가 이를 뒤따르고 있는 것을(57.9%)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호감도 측면에서 전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은 (18-29세 22.3%, 30-39세 26%) 비호감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근 상승하고 있는 한국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를 20·30세대가 견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20·30세대의 높은 대일 호감도는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젊은 세대의 ‘문화라는 앵글 속 일본’, 기성 세대의 ‘역사적 관계 속 일본’ 20·30세대는 일본을 볼 때, 무엇을 가장 먼저 떠올릴까? 다음 [그림4]는 일본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최대 3개)에 대한 응답을 연령별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전체적으로 일본문화와 과거사 갈등이 많은 응답을 기록한 가운데, 젊은 세대일수록 문화, 스포츠 등 ‘문화적 소비와 취미, 즐거움의 대상’으로서, 기성 세대일수록 독도 문제, 과거사 문제 등 ‘한일관계와 갈등의 대상’으로서 일본을 떠올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 일본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 (최대 3개 선택) (연령별)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참조하여 필자 작성 20·30세대들은 일본의 식문화(스시, 라멘, 오코노미야키 등)(70.8%)와 대중문화(J-POP, 망가, 애니메이션 등)(50.1%) 등 문화적 요소에서 기성 세대들과 현저히 높은 차이를 나타낸다.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가 연상하는 일본의 이미지 중 가장 높은 수치와 가장 낮은 수치의 차이를 알아보면, 식문화의 경우, 44.6%p, 대중문화의 경우 45.3%p까지 나타난다. 물론 20·30세대들 또한 독도 문제, 과거사문제 등 갈등 이슈 등을 떠올리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나, 문화적 요소에 따른 연령대별 차이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이는 곧 한일간의 갈등 이슈가 20·30세대들의 대일인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이를 압도할 만큼의 일본과의 인적 및 문화 교류의 영향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곧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된 문화 및 인적교류의 효과성을 입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 태어나거나, 일본 문화가 한국내 정착된 이후 유년기를 보낸 젊은 세대들이 갖는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은 일본문화를 금기의 대상으로 삼던 시기에 유년기를 보낸 기성세대의 인식과는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림5]에서처럼 일본 대중문화를 즐기는 정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 수치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일본의 대중문화를 즐기는 정도 (연령별)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참조하여 필자 작성 실제로, 이와 같은 문화적 선호는 상대국에 대한 호감으로 이어진다. 다음 [표1]을 보면, 일본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는 이유에 대해 20∙30세대는 “일본의 식문화, 쇼핑, 대중문화 등”을 가장 큰 이유로 지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문화적 요인 보다는 국민성, 자유민주주의 가치 공유 등 국가정체성 등 보편성과 당위성에 더 비중을 두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일본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는 이유 (연령별) (2개 선택)   생활수준높은 선진국 자유민주주의가치공유 친절/성실국민성 대중문화 식문화/쇼핑 전통문화 제품품질 일본인과의교류 18-29세 29.6 16.0 30.4 39.1 43.5 8.3 15.9 6.8 30-39세 28.1 24.1 30.5 28.1 41.9 5.4 19.6 8.4 40-49세 19.0 16.6 34.0 32.2 35.5 6.5 16.7 5.9 50-59세 20.5 24.6 48.7 13.7 33.5 4.9 24.7 7.2 60-69세 20.3 33.3 62.0 2.6 20.4 6.1 24.1 8.6 70세이상 16.8 38.8 72.8 5.6 15.9 4.1 21.3 16.2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중 일부 발췌 및 재구성 한편, 인적교류 활성화에 따른 상대국 방문 경험도 이와 같은 긍정적인 인식 형성에 밑거름이 된다. 다음 [표2]은 일본 방문 경험과 최근 5년간 일본 방문 횟수를 연령대별로 나타낸 것이다.  [표 2] 일본 방문 경험 및 최근 5년간 방문 횟수 (연령별)   방문경험 최근 5년간 방문 횟수 있다 없다 1회 2-4회 5회 이상 없다 18-29세 59.3 40.7 37.5 47.8 5.3 9.5 30-39세 59.4 40.6 36.7 36.0 12.8 14.5 40-49세 56.2 43.8 44.3 34.6 7.4 13.7 50-59세 55.8 44.2 34.0 40.0 11.9 14.2 60-69세 69.0 31.0 30.3 40.1 8.8 20.8 70세이상 65.3 34.7 40.1 30.9 6.7 22.3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참조하여 필자 재구성 일본 방문 경험에 유무가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재방문 수에 있어 20·30세대들이 타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점은 눈 여겨 볼 만하다. 즉, 최근 5년간 2-4회 방문경험은 18-29세가, 5회 이상은 30-39세가 타 연령대 대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젊은 세대들은 역사적 부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태에서 서로를 자유롭게 방문하고, 상대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있으며, 이는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 증진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미래 세대의 인식 변화는 미래 한일관계의 긍정적 변화를 예고하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그렇다면, 미래 세대가 바라는 한일관계는 어떤 모습일까?   ‘과거’와 ‘미래’ 사이의 균형을 찾는 20∙30세대  일본에 대한 높은 호감도를 보이는 젊은 세대가 자칫 역사 문제에 대해 소홀히 하는 것처럼 볼 수 있지만, 이 세대의 역사문제에 대한 인식은 기성 세대 못지 않다. 비록 역사 문제에 대한 민감도가 기성 세대보다 낮을 수는 있지만, 사안의 심각성과 문제 해결의 필요성 만큼은 기성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름 [그림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 한일관계가 지향해야 할 목표에 대해 20∙30세대는 ‘양국간 역사문제 해결’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제시하였다.  [그림 6] 한일관계가 지향해야 할 목표 (2개 응답) (연령별)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중 일부 발췌 및 재구성 마찬가지로 [그림7]에서 알 수 있듯, 한일교류 발전을 위해 우선 필요한 조치로 “청년세대의 교류확대”와 더불어 “역사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한일간 민간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문화 및 인적교류의 긍정적 효과를 가장 잘 알고 있는 20∙30세대가 교류의 양적 증대 뿐만 아니라, 교류의 질적 향상을 희망하고 있다는 결과가 보여주는 의미를 기성 세대들은 눈 여겨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림 7] 한일교류 발전을 위해 우선 필요한 조치 (최대 3개, 복수응답) 출처: EA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25)」 중 일부 발췌 및 재구성 이처럼 20∙30세대들이 그리는 한일관계는 과거와 미래의 균형점을 모색하는 관계이다. 청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적지 않은 교류 속에서 더 많은 교류를 희망하는 갈증을 나타내는 동시에, 단순한 양적 증가보다는 상호 이해를 위한 질적 교류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 걸음 더 들어가서 본다면, 양국간의 불편한 역사문제에 대해서도 회피하거나, 연기하지 않고, 직접 마주하겠다는 젊은 세대들의 의지라고도 볼 수 있다. 과거를 직시하면서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겠다는 1998년 김대중-오부치 한일 정상간의 약속이 미래 세대의 바램과도 이어지는 대목이다. 활발한 문화 및 인적 교류의 지속적인 확대 속에서도 역사문제에 대한 접근이 병행이 요구되는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양상이다.   앞으로의 한일관계,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방안 한국의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한 일본에 대한 호감도 증가와 문화 교류의 활성화는 한일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여론 지형의 변화 속 한일관계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첫째, 변화하는 여론 지형에 대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방향성 설정이 필요하다. 현재 20∙30세대가 보여주는 높은 대일호감도는 지난 20여년 이상 이어져 온 문화 및 인적교류의 축적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다만, 현재의 높은 호감도가 이들이 40대, 50대가 되더라도 지속될 것인지는 담보하기 어렵다. 더욱이 양국 간의 활발한 교류에도 불구하고, 현재 양국 사회의 중추가 되고 있는 40∙50세대의 인식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점 또한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달라지는 여론 지형의 변화를 추적하며, 수치 속에 담긴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또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교류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한일 간의 청년 교류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청년 교류의 확대를 희망하는 청년들의 목소리는 현재 양국 교류가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년 교류의 확대 뿐만 아니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20·30세대의 문화적 친밀감이 한일관계 개선을 견인하고 있는 만큼, 연수, 인턴십, 청소년캠프 등을 통해 청년교류를 늘리고, 양국이 함께 하는 공동 문화행사, 예술 및 스포츠 교류사업 등 제도적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일간 출입국 절차 간소화의 지속적인 시행, 항공 및 관광 인프라의 청년 지원,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유학 및 단기 방문 지원, 취업 연수 확대 등을 통해 직접 경험 기회를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젊은 세대의 교류 활성화 속 세대간 인식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한일관계에 대한 세대적 인식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류와 균형 잡힌 교육, 지속적인 대화의 장이 필요하다. 청년 세대에 치우친 한일 교류를 청년과 기성세대간 교류로 확대할 수 있는 세대 통합 교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청년과 기성 세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한일 역사 및 문화 캠프, 여행, 공동 포럼 등을 마련하고, 세대간 대화의 장을 마련해 소통을 늘려 세대간 공감을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양국의 젊은 세대가 역사 문제에 대해 상호 이해를 높이고,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청년 세대가 역사 문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만큼,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법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은 갈등과 반목이 아닌, 화합과 화해의 과정으로 승화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양국의 비통한 역사에서 시작되었으나, 일본 도자기 문화를 활성화 시키는데 기여한 조선 시대 도공들의 이야기들은 한일의 역사를 자연스럽게 알고, 체득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처럼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역사 및 문화 교육을 통해 양국간 이해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일 청년간 문화적 공감대를 기반으로 양국 청년 중심의 협력사업 발굴을 제안한다. 대중문화, 식문화, 여행 등은 젊은 세대가 서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야이다. 이를 단순히 즐기는 개인의 취미의 영역에서 벗어나 상호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음악, 드라마 등 다양한 방송 콘텐츠에서 한일 차세대간 공동 기획 및 제작 프로젝트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양국이 함께 운영하는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하여 디지털 공간에서의 문화 콘텐츠의 접근성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대중문화 콘텐츠의 무단 도용을 감시하는 방안 모색이나, 관련 분야 인재 양성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일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은 다양하고 다층적인 교류 채널의 확대와 새로운 협력 모델의 실험이 필수적이다. 한일관계의 새로운 여론 지형을 만드는 20∙30세대가 중심이 된 과거와 미래의 균형점을 찾는 열린 사회적 논의가 병행될 때 한일관계는 실질적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한일관계의 ‘뉴노멀’을 알리는 20·30세대의 구조적 인식 변화와 문화 교류의 영향이 지속 가능한 한일 협력의 기반이 될 것을 기대한다.■   [1] 최은미. 2022. 한국과 일본, 우리는 서로에게 무엇인가. ASAN Report. 아산정책연구원.  [2] 최은미·함건희. 2024. 한국인의 일본 인식(2014-2024). ASAN Report. 아산정책연구원.    ■ 저자: 최은미_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담당 및 편집: 이상준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11) | leesj@eai.or.kr 

최은미 2025-09-02조회 : 202
논평이슈브리핑
[EAI 이슈브리핑] 한미동맹 현대화와 국민 여론: 제1회 한미일 국민상호인식조사로 본 주한미군 기능 확대에 대한 한국 대중의 인식과 태도

1. 한미동맹 현대화 논쟁   21세기 들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환경은 근본적 변화를 겪고 있다.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군사력 현대화,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 그리고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는 기존의 지역 안보 질서에 구조적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안보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양자동맹 구조는 새로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적응과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동맹 현대화(alliance modernization)는 변화하는 안보 환경과 새로운 도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기존 동맹 체제를 개선하고 강화하는 것을 핵심 골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는 변화하는 지역 안보 환경에 대응하여 동맹의 작전 범위와 전략적 역할을 한반도 중심 체제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확장하는 것을 핵심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존 동맹 관계의 양적 확대가 아니라, 동맹의 전략적 지평과 작전 영역의 질적 전환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한미동맹 현대화는 다음과 같은 주요 영역을 포괄한다(민정훈 2025). 첫째, 주한미군의 규모와 역할 조정을 통한 전략적 유연성 확보이다. 둘째, 대북 방어 체계에서 한국군의 주체적 역할 확대와 이에 따른 국방비 지출 증대이다. 셋째, 한반도를 넘어 역내 군사적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체계 구축이다.   미국이 추진하는 동맹 현대화의 핵심은 대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보에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는 주한미군이 한반도 방어라는 전통적 역할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지역 차원의 안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로 전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한미동맹 현대화에 대한 한국 내 정치엘리트들의 인식과 평가는 정치적 진영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양지호 2025). 보수 진영은 한미동맹의 틀 내에서 대중 견제를 위한 전략적 유연성을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들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제3조를 근거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이 공격받을 경우 한국의 자동 참전 가능성을 제시하며,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 자체가 대북 억제뿐만 아니라 주변국 견제 기능을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진보 진영은 한미동맹이 본질적으로 한반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한다. 이들은 주한미군의 주둔 목적이 북한으로부터의 공격에 대한 전쟁 억지력과 방위력 제공에 있다고 판단하며, 북한 억지를 위해 배치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견해를 표명한다.   중국 견제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안보 전략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역할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새로운 전략 구상 하에서 주한미군은 중국 견제에 역량을 집중하고, 북한 위협에 대해서는 한국이 보다 주도적으로 대응할 것을 기대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양욱·이경석 2025). 이와 관련하여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에 순환 배치되고 있는 스트라이커 여단 4,500명의 감축 가능성을 제기하는 기사를 게재했으며(Youssef, Ward, and Martin 2025), 워싱턴 내부에서는 주한미군 규모를 약 1만명 수준으로 대폭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Kavanagh and Caldwell 2025).   한미동맹 현대화가 한국과 미국의 핵심 의제로 부상한 가운데, 이러한 변화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정책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동맹 정책의 민주적 정당성과 지속가능성은 국민적 합의와 지지에 기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민 여론의 정확한 파악과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보고서는 2025년 8월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실시한 최신 여론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인식 변화를 추동하는 주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한미동맹 현대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동맹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2. 주한미군 및 한미동맹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그림 1]: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19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한국에 주둔해 온 주한미군의 핵심 임무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대북 억제에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 역할은 70여 년간 한미동맹의 근간을 이루어왔으며, 한반도 안보 구조의 핵심 축으로 기능해왔다. 그러나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변화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환경 속에서 주한미군의 기존 임무를 대북 억제에서 중국 견제로 확대해야 한다는 동맹 현대화 논의가 워싱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변화 가능성에 대해 한국 국민들은 어떠한 인식을 보이고 있는가? 2025년 8월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는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중국 견제 강화로의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해 한국 국민의 58.5%가 찬성 의견을 표명하였다(찬성 40.5%, 매우 찬성 18%). 반면 반대 의견은 35.6%로 조사되었으며(반대 29.6%, 매우 반대 6%), 중립적 입장을 취한 응답자는 5.9%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주한미군의 역할 확대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국민들이 주한미군의 역할을 한반도 방어에 국한해야 한다는 전통적 입장에서 탈피하여, 대중국 견제라는 새로운 역할 변경에 대해 전향적 지지를 보이는 인식 전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림 2]: 한미동맹 역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이의 연장선상에서 한미동맹의 역할에 대한 국민 인식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그림 2]에 따르면, 한미동맹이 기존의 북한 군사적 위협 대응이라는 전통적 역할에 한정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40.1%였다(매우 찬성 10.3%, 대체로 찬성 29.8%). 반면, 한미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도전에 대응하는 등 보다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응답자는 55.8%로 나타났으며(매우 찬성 24.4%, 찬성 31.4%) 중립적 의견을 표명한 응답자는 4.1%에 불과했다.   [그림 1]과 [그림 2]의 분석 결과는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제시한다. 한미동맹 역할에 대한 국민 인식의 구조적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약 60%에 달하는 한국 국민이 주한미군과 한미동맹의 역할이 전통적인 한반도 방어(대북 억제)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 전체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한미동맹을 바라보는 한국인의 시각이 한반도 중심의 제한적 틀을 벗어나 지역 차원의 포괄적 안보 협력에 대한 수용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3.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인식도: 추동요인들의 이론적 논의   그렇다면 한국 대중의 주한미군 대중국 견제 역할 강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촉발시키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본 보고서는 (1) 대미 정책인식, (2) 안보 위협인식, (3) 대중 정책인식의 세가지 큰 범주에서 세부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3.1. 대미정책 인식과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견해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기능 확대는 미국의 대중국 전략 변화의 결과물이다. 중국의 국력 증강과 함께 전개되는 미중 전략경쟁에서 미국은 중국을 핵심 경쟁국으로 규정하고, 중국의 지역 내 영향력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거부전략을 추진하고 있다(전경주 2025). 이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이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려는 전략적 목적에 기반한다. 중국의 경제성장이 군사력 강화로 이어지면서 인도태평양 지역 내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A2/AD) 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중국의 군사력이 미국에 대한 실질적 도전 수준으로 발전함에 따라, 미국은 중국이 제1도련선 내부에서 군사적 지배력을 구축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역내 미군 배치를 대폭 조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적 변화 속에서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 변경은 미국의 대만 방어와 직결되며, 중국을 제1도련선 내에서 억제하려는 미국의 핵심 목표와 연결된다(전재성 2025).   대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형성에서 미국에 대한 기본적 신뢰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것이라 예측된다. 2025년 8월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6.5%가 미국을 한국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인식하는 반면, 30.2%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는 미국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대중국 견제를 위한 미국의 안보전략 변화에 대한 한국 국민의 지지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방어를 위한 미국의 확장억제 능력에 대한 신뢰도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주한미군의 전통적 역할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억제하는 인계철선 기능이었다. 만약 주한미군의 일부가 대중국 견제 임무로 전환될 경우, 대북억제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는 한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상황속에서 미국의 핵우산은 대북억제를 위한 한국의 안보 정책의 근간요소이다. 8월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6.5%가 미국의 핵우산이 북한의 안보위협으로부터 한국의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34.1%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의 확장억제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 전환에 대한 수용성이 높아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한국 국민들의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인식은 안보 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 분야를 통해서도 형성된다.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미국은 자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제 기반 재건에 집중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대 팬데믹 이후 미국 경제는 재정적자와 무역수지 적자라는 이중 부담을 지속적으로 안고 있는 상황이다(김학균 2025). 동시에 중국의 저비용 생산구조와 제조업 경쟁력은 미국 제조업의 상대적 쇠퇴를 가속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김수언 2025).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여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관세 정책을 통한 미국 경제의 재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호무역주의적 조치는 동맹국인 한국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한 고세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하였고, 2025년 8월 1일 한국의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약속을 조건으로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조정했다. 여론조사 분석 결과, 한국의 대미 수출에 대한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을 응답자의 81%가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한국국민들의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따른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전략에 대한 지지를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고세율 관세를 낮추기 위해서 한국의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5.6%가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32.8%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이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동맹국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는 미국의 정책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반감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미국은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과의 기술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한국의 대중국 과학기술 관련 무역 및 투자를 제한하고 있다. 미국 주도의 대중국 수출통제 정책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7.6%가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미국의 일방적인 경제정책과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에 대해서 한국 국민들의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세를 무기로 한 미국의 대규모 투자 압박과 미국의 패권유지를 위한 한국의 대중국 수출통제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들은 대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화에 대한 반감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3.2. 안보위협 인식과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견해   한국인들의 안보위협 인식도 대중들의 주한미군 역할 전환 견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2025년 8월 여론조사에서 한국 국민들은 군사적으로 가장 위협적인 국가로 북한을 선택했으며, 83.6%에 달하는 응답자들이 북한을 한국 안보에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한다고 응답했다. 한국은 여전히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며 한국전쟁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핵미사일 능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2022년 9월 북한이 핵무력정책 법령을 채택하면서 북한의 핵무기 선제 사용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한국 국민들의 대북 안보위협 인식은 대중국 견제 강화를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 변경에 대한 지지도를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한미군은 대북억제를 위한 핵심 임무를 지금까지 수행해왔기 때문에 대중국 견제로 역할이 변경될 경우 대북억제 태세 약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 대중들 사이에는 북한의 안보위협뿐만 아니라 중국 위협 인식도 상당히 확산되어 있음을 8월 여론조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84%에 달하는 응답자들이 중국의 군사력 팽창을 위협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최근 중국이 서해 잠정수치수역에 구조물을 일방적으로 설치하면서 서해에서 한중 간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중국이 설치한 서해 구조물에 접근하자 중국 해경 함정들이 접근을 조직적으로 방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노석조 2025). 또한 중국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은 한국방공식별구역이 국제공역이라는 논리로 일방적 진입을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다(이성훈 2024).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국민들의 중국 안보위협 인식 증가는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 강화 지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군사적 팽창과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주한미군이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기저에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3.3. 대중정책 인식과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견해   마지막 범주는 대중국 정책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인식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미국의 한국 대상 관세정책과 대미투자 압박이 강화되면서 한국과 중국 간 경제관계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중국은 한국의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서 한국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사드 사태 이후 중국의 경제보복과 중국의 부상에 따른 내부 경제체질 변화로 인해 중국이 한국의 핵심 산업 분야 주요 경쟁국으로 부상하면서 한중 간 경제협력이 과거보다 다소 소원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의 경제적 압박이 강화되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 중요성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8월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3%는 현재 한중 간 경제협력 수준이 적당하다고 응답한 반면, 33% 정도의 응답자들은 한중 간 경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중시하는 인식은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 강화에 대한 찬성도를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한중 간 경제협력과 중국의 안보위협을 별개 차원으로 국민들이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국과 경제협력은 하되 중국의 군사적 위협은 억제해야 한다는 인식을 국민들이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중국의 경제협력 강화에 대한 인식이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 강화 인식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한국 대중들의 대중국 정책 인식을 형성하는 또 다른 중요 요인은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다. 시진핑이 대만을 무력으로 통일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시진핑의 장기 집권을 위해서는 국내 정치세력들의 반발을 무마시킬 수 있는 강력한 명분이 필요하기에 대만 침공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분석이 존재한다.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은 한반도의 안보 환경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중국이 대만과 무력충돌을 할 경우 미국은 대만 방어를 위해 개입할 가능성이 높으며,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도 대만 분쟁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다. 또한 중국은 유사시 한국의 개입과 주한미군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한과의 사전 논의를 통해 대만 침공 시기에 맞춰 북한의 군사도발을 유도할 수도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중국의 대만 침공이 한국의 외교안보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운데, 한국 국민의 대다수가 가까운 미래에 대만해협에서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2%에 가까운 응답자들이 중국의 대만을 향한 군사도발이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또한 88%의 응답자들은 대만해협에서의 군사적 긴장과 갈등이 한국의 국익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국민들의 중국의 대만 무력통일 가능성 인식과 대만해협이 한국에 미치는 중요성을 고려할 때, 대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찬성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4.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인식도: 추동요인들의 실증적 분석   한국 대중들의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인식변화를 추동할 수 있는 요인들의 실증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보고서는 양적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1] 앞서 설명한 한국 국민들의 대중국 견제 강화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들은 위에서 설명한 세 가지 범주-(1) 대미 정책인식, (2) 안보 위협인식, (3) 대중 정책인식-에 속하는 요소들로 설정하였다. 대미 외교정책 인식 관련 독립변수들로는 한국의 파트너로서의 미국의 신뢰도, 한국 방어를 위한 미국의 핵우산 신뢰도, 한국에 부과된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인식도, 관세비율 삭감에 따른 미국의 대미 투자 압박에 대한 인식도, 그리고 미국의 한국 대중 수출통제에 대한 인식도를 포함했다. 안보위협 인식 관련 독립변수들로는 북한과 중국의 안보위협도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중 외교정책 인식 관련 독립변수들로는 한중 경제협력 인식도,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 대만해협 위기가 한국의 국익에 미치는 영향도로 설정하였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1]: 실증분석 변수설정종속변수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성도독립변수  대미정책 인식관련   -핵심 파트너로서 미국의 신뢰도   -미국의 핵우산의 신뢰도   -미국의 관세부과 인식도   -미국의 대미투자 압박 인식도   -미국의 대중국 수출통제 인식도  안보위협 인식관련   -북한 안보위협 인식도   -중국 안보위협 인식도  대중정책 인식관련   -한중 경제협력 중요도   -중국의 대만침공 가능성  -대만해협 위기의 영향도 통계분석 결과 [2]는 다음과 같은 주요 발견사항을 보여주고 있다([그림 3]). 첫째, 대미 외교정책 관련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관세비율 삭감에 따른 미국의 대미 투자 압박에 대한 인식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독립변수들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statistically significant)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미국 신뢰도 및 미국의 핵우산 신뢰도의 계수는 모두 양(+)인 반면, 미국의 관세정책과 대중국 수출통제에 대한 인식은 모두 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한국 대중들은 미국을 한국의 중요한 파트너로 신뢰할수록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강화를 위한 역할 변경에 찬성한다는 의미이다. 같은 맥락에서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미국의 핵우산을 신뢰할수록 주한미군의 역할 변경을 찬성한다. 이와 반대로, 한국에 부과하는 미국의 고율의 관세정책을 부정적으로 생각할수록 미국의 주한미군 역할 변경을 반대하고, 한국의 대중 무역수출 통제가 부적절하다는 인식이 강할수록 대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활용을 반대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앞서 설명한 이론적 논의를 뒷받침하는 실증적 근거이다. 하나의 예외적인 사항은 미국의 대미투자 압박에 대한 인식도가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둘째, 안보위협 인식 관련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북한 위협인식 변수와 중국 위협인식 변수의 계수들은 각각 음(-)과 양(+)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먼저 북한 위협인식도가 커질수록 대중국 견제를 위한 역할 변경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 위협인식도가 커질수록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경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결과는 앞서 논의한 이론적 설명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셋째, 대중 외교정책 관련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대만해협 군사충돌 가능성의 계수만 양(+)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중국의 무력 침공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는 국민일수록 주한미군의 역할 변경을 찬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앞선 이론적 논의와 달리 한국 국민들의 한중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과 대만해협 군사위기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주한미군 역할 변경 인식도 변화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 인식변화 결정요인 분석변수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 성별, 정당 지지도 변수들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일수록 주한미군 역할 변경을 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답자들은 초당파적으로 주한미군 역할 변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국민들의 초당파적 지지는 당파성에 따른 정치엘리트들의 명백한 입장 차이와 매우 상반되는 결과이다. [3]   지금까지 각 변수들이 주한미군 역할 변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 유의성으로만 확인하였다면, 각 변수들이 미치는 실제적인 영향은 어떠할까? 먼저 미국이 한국에게 있어 중요한 파트너라는 국민의 신뢰도가 한 단계 상승할수록(one-unit increase) 주한미군의 역할 변경 찬성도가 3.6%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방어를 위한 미국의 핵우산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높아질수록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임무 변경 찬성도가 4.8%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미국의 불공정한 관세 부과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인 인식도가 높아질수록 주한미군의 역할 변경에 대한 찬성도는 8%p 감소했으며, 미국의 대중국 압박을 위한 한국의 대중 수출통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가 강해질수록 주한미군 역할 변경의 찬성도도 4.4%p 하락하였다. 대미 외교정책과 관련해서 주한미군 역할 변경 인식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는 미국의 관세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향후 주한미군 역할 변경을 추진함에 따라서 한국 국민의 동의를 높이고자 한다면 자국의 이익을 위한 한국의 경제압박 정책들을 심각하게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안보위협 인식과 관련해서는 국민들의 중국 위협인식이 북한 위협인식보다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성도에 훨씬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위협인식도가 증가할수록 대중국 억제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성도가 8%p 증가하는 반면, 북한 위협인식도가 증가할수록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성도는 3%p 하락하였다. 중국이 한국에 미치는 안보위협뿐만 아니라, 중국의 대만 무력통일 가능성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우려가 상승할수록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강화 역할에 대한 찬성도가 5.2%p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정책적 함의 및 제언   대중국 견제 강화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변경 논의가 한국과 미국 간의 핵심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 구조 속에서 인도태평양 지역 내 중국의 군사적 부상을 억제하려는 미국의 대전략 하에 한미동맹 현대화가 논의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주한미군 임무 변경이 자리잡고 있다. 6.25전쟁 이후 주한미군은 70여 년간 한국 방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해왔다. 인계철선 병력으로서 북한의 군사도발을 억제하는 중대한 임무를 지금까지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주한미군이 대중국 견제로 임무를 변경할 경우 한국 안보정책의 전면적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미중 패권경쟁이 지속될수록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군사적 팽창이 가속화될 것이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미국이 역내 동맹국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한국의 안보정책 나아가 외교 전반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주한미군 임무 변경에 대한 국민 인식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구조적 맥락에서 본 보고서는 한국 대중들이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떠한 견해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추동하는 세부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연구원이 성인 1,5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중국 견제에 대한 주한미군의 임무 변경을 60%에 가까운 응답자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주목할 점은 한국 국민들이 초당파적으로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를 지지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는 한국 국민들이 앞서 설명한 지정학적 현실을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중국의 군사적 팽창에 따른 안보위협을 국민들이 체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안보위협 인식도와 중국의 대만 무력통일에 대한 우려가 한국 국민들의 주한미군 대중국 견제 역할 강화 지지를 이끄는 핵심 요인이다. 인도태평양 지역과 서해에서 중국의 군사적 영향력이 확장될수록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찬성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국민들이 한미동맹이 미중 전략경쟁 심화라는 지정학적 변화에 맞춰 한반도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는 데 동의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미국의 변화하는 대전략 속에서 주한미군 임무 변경이 논의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한국 대중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증대되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 속에서 보다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핵우산을 한국에게 제공해야 한다. 미국의 확장억제 신뢰도를 강화하기 위해 한미가 2023년 발표한 워싱턴 선언에도 불구하고, 미국 핵우산에 대한 신뢰도 문제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미국이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을 대중국 억제에 활용하고자 한다면, 한국 국민들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확장억제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동맹국 대상 관세정책을 심각하게 재검토해야 한다. 자국 이익만을 추구하는 미국의 관세정책은 패권국이자 동맹국으로서의 미국에 대한 신뢰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는 점을 미국이 인식해야 한다. 나아가 중국의 과학기술 굴기를 저지하기 위해 동맹국들의 대중국 수출 및 투자를 제한하는 미국의 외교정책도 주한미군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반감을 오히려 증대시킨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결국 미국이 주한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 강화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지지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보 분야에서의 신뢰성 제고와 경제 분야에서의 상호 이익을 고려한 정책 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한미동맹이 미중 전략경쟁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김수언. 2025. "[김수언 칼럼] 트럼프, 왜 美 제조업 부활에 목매나" 『한국경제』. 7월 29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2996771 (검색일: 2025.8.27.)   김학균. 2025. "약달러, 무역 불균형 해결 못하고 자산버블 만들어" 『경향신문』. 7월 17일.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172054005 (검색일: 2025.8.27.)   노석조. 2025. "[단독] 서해 구조물에 온누리호 접근하자 中 함정 등 5척이 둘러쌌다" 『조선일보』. 6월 27일. (검색일: 2025.8.27.)   민정훈. 2025., "'한미동맹 현대화'의 주요 내용및 정책적 고려사항" 『IFANS FOCUS』 외교안보연구소. 8월 11일. https://www.ifans.go.kr/knda/com/fileupload/...=1716011922677052&fileSn=1 (검색일: 2025.8.27.)   양욱·이경석. 2025. “한미동맹의 전환 요구와 한국형 핵공유의 필요성”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No. 2025-23. 8월 12일.https://asaninst.org/bbs/board.php?bo_table=s1_1&wr_id=539 (검색일: 2025.8.27.)   양지호. 2025 "'동맹 현대화' 질문에, 안규백 "주한미군 주둔, 북한 억지 목적"" 『조선일보』. 8월 26일. 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5/08/25/A2N7ZZHPOFGNVDSE7DDF3Q2CHM/ (검색일: 2025.8.27.)   이성훈. 2024. "중러 군용기의 KADIZ 진입 추세 및 대응방향" 『이슈브리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2월 13일. https://www.inss.re.kr/publication/bbs/ib_view.do?bbsId=ib&nttId=41037387&page=1&searchCnd=0 (검색일: 2025.8.27.)   전경주. 2025. "콜비가 던진 '거부 전략'…'한국을 위대하게' 전략될수도 [Focus 인사이드]" 『중앙일보』. 4월 1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055 (검색일: 2025.8.27.)   전재성. 2025. “국제질서의 변화와 미중 전략 경쟁, 신정부의 외교안보 전략 과제”. EAI 스페셜리포트. 5월 27일. https://www.eai.or.kr/new/ko/pub/view.asp?intSeq=23263&board=kor_special (검색일: 2025.8.27.)   Kavanagh, Jeniffer and Dan Caldwell. 2025 “Aligning Global Military Posture with U.S. Interests” Defense Priorities Military Analysis. Jul 9. https://www.defensepriorities.org/explainers/aligning-global-military-posture-with-us-interests/ (검색일: 2025.8.27.)   Youssef, Nancy, Alexander Ward, and Timothy Martin. 2025. "U.S. Considers Withdrawing Thousands of Troops From South Korea” Wall Street Journal. May 23. https://www.wsj.com/world/asia/u-s-considers-withdrawing-thousands-of-troops-from-south-korea-725a6514 (검색일: 2025.8.27.)   부록   [부록 표 1]: 로짓회귀분석 표모델 1모델 2모델 3모델 4종속변수: 대중국 견제강화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반대미 정책 모델안보위협 모델대중 정책 모델전체모델미국인식: 신뢰가능국가(+).16***(.05).18***(.06)미국 핵우산인식: 한국방어 충분(+).22***(.05).24***(.05)미국 동맹국의 고율관세 부과: 반대(+)-.35***(.07)-.4***(.07)미국 고율관세 삭감 대신 대미투자: 반대(+).07(.06).09(.06)미국 동맹국의 대중 무역수출 통제: 반대(+)-.3***(.06)-.22***(.06)북한 위협인식: 위협적(+)-.06(.06)-.15**(.07)중국 위협인식: 위협적(+).46***(.07).4***(.08)한중경제협력: 강화(+)-.28***(.09)-.06(.09)대만해협 군사충돌 가능성: 가능(+).35***(.06).26***(.06)대만해협 위기의 영향: 한국국익에 중요(+)0(.07)-.06(.07)성별: 여성(+)-.35***(.11)-.27**(.11)-.31***(.11)-.24**(.12)나이0(0)0(0)0(0).01*(0)학력.01(.06)-.05(.05)-.06(.05)-.01(.06)소득0(.02)-.02(.02)-.01(.02)0(.02)정치성향: 보수성향(+).11***(.03).16***(.03).15***(.03).1***(.04보수정당 지지자(국민의힘, 개혁신당).3*(.17).53***(.16).52***(.16).3*(.17)진보정당 지지자(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25*(.14).23*(.13).29**(.13).32**(.14)상수.76(.59)-1.38***(.5)-.62(.54)-1.26*(.73)N1585158515851585Log Likelihood-952.77-1003.02-1001.13-920.22괄호 안은 강건표준오차(robust standard error)를 나타냄 *** p<.01, ** p<0.05, * p<0.1   [부록 표 2]: 기술통계표NMeanSDMinMax대중국 견제강화 주한미군 역할 변경 찬반1585.590.4901미국인식15853.481.1315미국 핵우산인식15853.291.1215미국 동맹국의 고율관세 부과15853.921.0015미국 고율관세 삭감 대신 대미투자15853.31.1015미국 동맹국의 대중 무역수출 통제15853.281.1915북한 위협인식15854.050.9815중국 위협인식15854.030.9115한중경제협력15852.180.6613대만해협 군사충돌 가능성15853.721.0315대만해협 위기의 영향15854.230.8515성별15851.50.5012나이158551.316.421991학력15854.461.0716소득15854.942.60111정치성향15855.152.01010보수정당 지지자(국민의힘, 개혁신당)1585.240.4301진보정당 지지자(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1585.420.4901   [1] 종속변수는 주한미군의 역할 변경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찬성도로, 역할 변경을 찬성한다는 응답들(찬성, 매우 찬성)을 1로 코딩하였고, 반대(반대, 매우 반대) 및 중립의 응답은 0으로 코딩하였다. 본 분석의 종속변수가 더미(dummy) 변수이기 때문에, 강건표준오차(robust standard error)를 활용한 로짓회귀분석(logit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다수의 독립변수들을 동시에 통계분석에 사용할 경우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으로 인해 정확한 통계분석 결과를 도출하지 못할 수 있다. 다중공선성 문제가 통계분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계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를 계산한 결과, 모든 변수들의 평균 VIF값이 1.35로 나타났다. VIF값이 1.35인 경우 낮은 수준의 다중공선성을 의미하며, 통계모델의 추정결과를 신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2] 특정 독립변수의 90% 또는 95%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해당 변수는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특정 독립변수의 90% 또는 95% 신뢰구간이 0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할 경우,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특정 독립변수의 90% 또는 95% 신뢰구간이 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할 경우,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영향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3] 단 보수정당지지자 변수에 대한 계수는 90% 신뢰구간    ■ 저자: 이경석 _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 담당 및 편집: 이상준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11) | leesj@eai.or.kr 

이경석 2025-09-01조회 : 197
멀티미디어
[EAI-API-KEI공동기자회견]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및 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발표

◆ 제1회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및 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발표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EAI)은 일본의 아시아-태평양 이니셔티브(Asia-Pacific Initiative, API), 미국의 한국경제연구소(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KEI)와 함께 한국, 일본, 미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미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를 2025년 8월 8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시하여 해당 조사 결과를 8월 28일(목) 오전 10시 30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2013년부터 매년 실시해온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가 2024년 일본 측 조사가 미실시되면서 일시 중단되었으나, 올해 재개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미국의 KEI가 공동 조사에 참여함으로써 처음으로 한·미·일 3개국 간 상호인식조사가 실현되었습니다.   8월 28일 세 연구기관(EAI, API, KEI)은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하였으며 이번 기자회견에는 손열 원장 (EAI), Ken Jimbo 소장 (API)과 J. James Kim국장 (KEI)이 참석하여 조사의 주요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략적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한·미·일 3자 협력의 기반으로서, 3국 국민 간 상호 인식 및 주요 정책적 쟁점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진단하고, 한일 양국 간 여론의 변화 추이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본 조사의 상세 결과는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브리핑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보다 심층적인 분석은 추후 발간 예정인 이슈브리핑을 통해 제공될 예정입니다.   ◆ 내외신 기자회견 · 일시: 2025년 8월 28일 목요일, 오전 10:30~11:45 · 장소: 동아시아연구원 컨퍼런스홀(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7길 1) · 발표: 손 열 (동아시아연구원 원장), Ken Jimbo (API 소장), J. James Kim (KEI 여론 및 대외협력국장) · 대상: 한국 및 일본 포함한 국내외 방송사, 신문사, 인터넷 언론사 기자 · 언어: 한국어(韓國語)-일본어(日本語) 동시통역  

EAI-API-KEI 2025-08-28조회 : 96
단행본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한일관계 전문가 10인의 시각으로 읽는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11년의 기록 한일 국민은 상대국에 대해 어떤 인상을 갖고 어떤 평가를 하고 있는가? 여론 분석을 토대로 제시하는 한일 신시대의 길     “잃어버린 10년”을 넘어선 한일관계의 새로운 전기   2012년 이래 한일관계는 위안부 및 강제동원 문제, 반도체 수출규제와 군사정보보호협정 등을 둘러싼 복합 갈등을 겪으며 신뢰의 위기에 빠졌다. 이른바 “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던 냉각기는 2023년 3월 한국 외교부의 강제동원 문제 해법 발표를 시작으로 잇따른 정상회담 및 정부 간 교류 확대, 관광 등 민간 교류의 회복이 이어지며 완연한 해빙 무드로 변화하고 있다. 그해 여름 실시된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에서는 관계의 진전 및 중요성을 체감하는 양국 국민의 공통된 여론과, 이러한 여론이 호감으로 이어지는지 여부에 관한 상이한 인식이 함께 나타났다.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은 지난 11년 간 실시한 상호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양국 국민의 상대국 및 한일관계 인식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야별로 관찰하고 그 함의를 분석한다. 한일관계의 새로운 전기를 맞아 발간되는 이 책은, 향후 한일관계의 양상을 내다보고 한국의 대일본 외교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EAI의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변화하는 한일관계의 살아있는 기록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EAI)은 일본의 비영리 싱크탱크 겐론NPO와 2013년 파트너십을 맺고, 해마다 양국 국민 각 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EAI는 식민지 지배-피지배 관계라는 특수한 역사가 형성하는 국민 감정이 양국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주요 사안에 대한 여론을 정확히 분석하여 양국 정부의 정책 논의와 담론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상호인식조사를 기획하였다. 한일관계가 최악인 상황에서 시작된 상호인식조사는 관계 악화와 신뢰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꾸준히 이어졌고, 2023년 실시 10주년을 맞이하며 여론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로 자리매김했다.   11년 간 한일관계와 여론을 통찰하는 열 가지 시선   이 책은 한일관계의 동학(dynamics)에 대한 여론의 흐름을 문화와 정체성의 갈등, 정치 및 외교안보 관계, 경제관계 등 다면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다.   서문에서 손열 EAI 원장(연세대 교수)은 11회에 걸친 상호인식조사에서 상대국에 대한 인상과 현재 양국관계에 대한 평가의 추이가 대체로 일치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고 지적한다. 또한 역사 문제를 둘러싼 인식이 양국관계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그 중요성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양국 국민 모두 역사 갈등의 부침에도 불구하고 한일관계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높이 평가하는 배경에는 상대방이 교역 상대이자 안보 협력 파트너로서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1장에서 박승현 계명대 교수는 과거사를 둘러싼 한국의 “집착”과 일본의 “망각” 간 간극이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발전을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양국의 역사 인식이 접점에 이르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중문화 소비가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를 견인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를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을 제언한다.   2장에서 이정환 서울대 교수는 한국 경제의 성장에 따라 한일 경제관계가 대등한 양자관계로 변화하였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지만, 향후 한국의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되면 이러한 인식이 다시 축소될 여지도 있다고 전망한다. 또한 한일 경제협력이 중요하다는 당위론적 인식이 관계 전반의 개선을 추동하는 영향력을 갖지는 못하였다고 분석하며, 최근 조사에서 나타난 이념성향에 따른 경제협력의 중요성 인식 차이가 암시하는 “대일 정책의 정파성”을 넘어설 때 미래지향적 관계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3장에서 석주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한일 양국의 민족주의가 평소 내재화, 고착화되어 있다가 역사 또는 영토 문제가 부상할 때 혐오와 반발의 형태로 표출되면서 한일관계를 저해하는 사태가 반복되었다고 지적한다. 특히 일본에서 한류 열풍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생한 혐한 현상이 배외주의와 애국주의의 확산을 이끌었다고 분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공공외교 및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한편, 협력을 저해하는 혐한과 반일에 대해서도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4장에서 윤석정 국립외교원 연구교수는 역사 문제에 대한 양국 간 갈등이 경제, 안보 등 협력 분야의 영향력을 압도하면서 2010년대 한일관계가 복합 위기를 겪었다고 진단한다. 저자는 역사 문제와 한일관계의 상관성을 묻는 문항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한국 국민들은 역사 갈등을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극복해야 하는 하나의 과정으로 인지하는 경향이 뚜렷한 반면 일본 국민들은 역사 갈등을 미래지향적 협력과 동떨어진 갈등 그 자체로 인식한다고 분석한다. 나아가 일본 국민이 역사 문제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상황에서, 관계 개선의 동력은 한국 측으로부터 나와야 할 것으로 분석한다.   5장에서 박명희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위안부 및 강제동원 문제를 둘러싼 여론이 정권교체 등 정치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하며, 정책 결정자의 외교 현안에 대한 프레이밍(framing)이 자국민의 인식 틀을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양국 정부가 상대국 국민을 향해 화해의 메시지를 발신하려는 시도는 부족했다고 지적하며, 역사 여론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양국 국민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해 온 역사 교육 문제, 위안부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6장에서 이주경 부산대 교수는 한일 양국에서 역사 문제 갈등이 상대국의 정치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일본 사회에 대한 호감이 정치 불신과 공존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한국의 민족주의에 대한 위화감이 정치 불신에 더하여 나타난다는 점이 다르다고 분석한다. 또한 상대국의 전략적 가치를 놓고도 한국은 경제를, 일본은 안보를 우선시하는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한일 국민의 정책 지향과 정부의 외교 정책 사이 간극이 한일 외교의 난점이라고 지적하며, 양국 정치권의 상호 존중이 각국 내 정치 신뢰 회복과 상대국에 대한 신뢰 형성으로 이어지는 장기적 프로세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7장에서 김성조 연세대 교수는 한국과 일본이 대등한 관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문항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대적 지위에 대한 인식이 한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일본인들은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우월한 지위를 인식하고 이를 국가적 자긍심의 근원으로 삼아 왔으나, 한국인들은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상대적 지위 상승을 좀 더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 저자는 이처럼 상이한 상대국 시민의 정서를 헤아리려는 노력과 함께, 양국의 위상 인식 불일치가 국제 사회에서 자국의 상대적 지위를 둘러싼 갈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8장에서 조은일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일 양국 국민이 각각 자국에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는 국가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등 안보 인식의 차이가 있지만, 미국을 포함한 한미일 삼자 협력이 한반도의 안정에 기여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한일 안보 협력에 대한 긍정적 여론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민주 국가의 정책을 추동 또는 제약하는 여론이 안보 분야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강조하면서, 여론의 동향을 주시하는 한편 역내 안정을 위해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통의 인식을 기반으로 삼아 안보 정책을 제시하려는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9장에서 오승희 서울대 연구교수는 국제정세의 위협 요인에 대한 인식이 시민의 정체성을 구성한다고 전제하고, 한일 양국 국민의 주변국에 대한 인식과 상대국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저자는 미중 전략경쟁이 전개되며 한일 양국에서 ‘미국의 동맹국’이라는 자기 인식 및 중국 및 북한에 대한 위협 인식이 증대되었고, 이러한 인식이 한일 협력 필요성 인식 및 상대국의 호감도와 중요도 상승을 견인하였다고 설명한다.   차례   책을 펴내며 _ 6 서문 _ 10 손열 | 동아시아연구원; 연세대학교 1 한일 양국은 상대국에서 무엇을 떠올리는가 _ 22 박승현 | 계명대학교 2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 변화 _ 57 이정환 | 서울대학교 3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로 바라본 혐오 현상과 한일관계 _ 90 석주희 | 동북아역사재단 4 미래지향적 협력과 역사 문제 사이의 한일 국민 인식 _ 116 윤석정 | 국립외교원 5 한일 간 역사현안 여론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역사인식, 정치적 환경,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_ 160 박명희 | 국회입법조사처 6 한일외교와 국민의 정치적 효능감: 상대국 인식, 대응 평가, 정치 신뢰를 중심으로 _ 190 이주경 | 부산대학교 7 한일 간 상대적 지위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의 비대칭성 _ 227 김성조 | 연세대학교 8 여론조사로 읽는 한일 안보관계: 한일관계에서 안보는 중요할까? _ 259 조은일 | 한국국방연구원 9 한국과 일본의 주변국 인식과 상호 인식의 변화 _ 283 오승희 | 서울대학교 부록 1: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주요 문항 응답 추이 _ 307 부록 2: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2023년 결과 _ 315 집필진 약력 _ 346

손열ㆍ이정환 엮음 2024-03-28조회 : 13211
워킹페이퍼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시리즈] ⑨ 한국과 일본의 주변국 인식과 상호 인식의 변화(2013-2023)

I. 서론   이 글은 동아시아연구원(EAI)이 2013년부터 발표해온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일 양국 국민의 주변국에 대한 인식이 한일 상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지만, 한일 관계에 대한 인식은 양자 간의 관계에서 머무르지 않고 국제적인 맥락과 흐름과 연계되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인식에 주변국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중국과 관련된 문항들을 중심으로 한일 상대 국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양상과 어떻게 맞물려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최근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국가들은 미국과의 동맹 강화 및 뜻을 같이하는 국가들 간의 연대를 강화해가고 있다. 국제정세와 국내정치의 변화는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를 바탕으로 자아와 타자의 구분을 통해 적과 친구 등 관계를 설정한다. 이는 상대 국가와 국민에 대한 인식, 그리고 상대 국가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국제정세와 국내정세의 변수는 개개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타국에 대한 인식과 관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분명 최근의 미중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윤석열 정권의 일본정책과 기시다 정부의 한국 정책은 최근의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이다(손열 외 2023). 미중 대립과 중국 위협론은 한일관계 개선의 동력으로 작용해왔다(손열 2022). 이러한 국내외적 정세의 변화가 국민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인식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개인으로서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의 표현은 국가정체성의 영향도 받지만 개별적인 경험에 기반한 인식도 영향을 받는다. 이는 자아와 타자의 구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상대국에 대한 위협인식, 그리고 자신에 대한 정체성 확인의 과정을 통해 세계관과 주변국 인식으로 구성되고 표출된다.   위협 인식은 오랫동안 국가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갈등요인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왔다(Jervis 1976; Rouhana and Fiske 1995; Kemmelmeler and Winter 2000). 스티븐 월트(Stephen M. Walt)는 국가들 간의 동맹 형성 과정에서 단순한 경성 권력 뿐만이 아닌 위협 인식이 중요하게 작동함을 강조하고 위협의 균형(Balance of Threat) 개념을 제시하였다(Walt 1895).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대상이 적인가 친구인가에 따라 위협으로 느껴질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상대방 국가와 자국 국가의 관계의 정체성이 위협인식과 연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국제정세와 국내정세의 다양한 변화들이 한국과 일본 국민의 호감도, 위협인식 등에 대한 항목에 반영되고 있다는 전제하에, 주변국에 대한 인식과 한일 간의 인식 사이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난 10년간의 여론조사 데이터 중 주변국에 대한 인식 조사 항목에 주목하여 최근 나타나고 있는 한일 간 상호 인식의 변화 양상을 설명한다.   II. 한일 양국 국민의 주변국 인식   1. 한국과 일본 국민의 주변국 위협인식   EAI는 한국과 일본 국민의 주변국 위협인식을 조사해왔다. 우선, ‘군사적 위협이라고 느끼는 국가나 지역이 있는지’를 먼저 묻고, 그렇다고 대답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군사적 위협이라고 느끼는 나라와 지역’에 대해 물어보았다.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추세를 살펴보면, 코로나 전후로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한국의 경우 중국과 북한, 일본에 대한 위협이 높게 인식되어 왔으며, 일본의 경우 중국, 북한,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 높게 나타난다.   러시아에 대한 일본의 위협인식은 2020년 30.7%에서 2021년 62.2%로 거의 두 배로 증가했는데 이는 실제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있기 전부터 러시아에 대한 우려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러시아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매우 낮았던 한국과 극명하게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이다.   중국과 북한에 대한 위협인식은 한일 양국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2023년 기준, 한국은 북한(89.7%), 중국(57.9%)로, 일본은 북한(80%), 중국(68%)로 위협인식 1순위 2순위가 북한, 중국 순으로 나타났다. 특기할 만한 점은 한국에서는 일본에 대한 위협인식이 28.9%로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한국을 위협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낮게 나타난다. 한일관계에서 한국은 일본을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고, 일본은 그렇지 않다는 점은 중요하다. 위협인식은 자아에 대한 대응기제를 형성하며 타자화를 구축하기 때문에 자아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이 미치는 영향이 상호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연도별 위협인식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 모두 북한과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높게 나타난다. 러시아에 대한 위협인식은 일본에서 특히 높게 나타나고, 미국에 대한 위협인식은 한국과 일본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림 1> 일본과 한국의 주변국에 대한 위협인식(2014-2023, %)     한국에게 오랫동안 위협으로 인식되어 온 국가는 북한, 중국, 일본으로 타자화 대상이 되어왔다. 북한은 특히 가장 강력한 위협으로 존재했으며, 2018-2019년에는 상대적으로 한국의 북한 위협이 낮아졌다. 이는 남북 화해모드로 전환되었던 국내정세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2023년 북한에 대한 위협인식은 최고조로 달했다.   2014-2015년 기간에는 중국보다 일본이 한국에게 더 큰 위협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이후에는 일본보다 중국이 위협으로 인식되고 특히 2021년 이후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급증하고 있다. 일본에 대한 위협인식은 2015년 높게 나타났고, 2020년에도 높아졌다.   일본에게 오랫동안 위협으로 인식되어 온 국가는 북한, 중국, 러시아다.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 한국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북한은 지속적으로 가장 큰 위협으로 인식되어 왔다. 중국에 대한 위협은 2017-2019년 상당히 완화되어 나타났던 점이 주목할 만하다. 시진핑과 아베 시기 새로운 중일관계 구축을 위한 우호적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이후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급증하였고, 2022년 현재 북한과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위협인식은 낮게 나타나는데, 2017-2018년 기간 중에는 미국에 대한 위협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나, 2022년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위협 인식이 높아졌다.   2023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북한에 대한 한국 국민의 위협이 89.7%로 조사기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러시아에 대한 위협도 16.5%에서 19.9%로 증가하였다. 반면 중국과 일본에 대한 한국의 위협인식은 전년보다 감소했다. 여전히 한국에게 위협적인 국가는 북한, 중국, 일본 순으로 일본이 한국에 중요한 위협으로 자리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에 대한 위협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2023년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다소 감소하고, 북한에 대한 위협인식이 80%로 높게 나타났다. 일본에게 위협적인 국가는 북한, 중국, 러시아 순으로 나타나고 있고, 한국에 대한 위협인식은 2022년 9.4%에서 더욱 감소한 5.8%로 나타났다.   <그림 2> 한국과 일본의 주변국 위협인식(2022-2023)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한국과 일본에서 미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점이다. 한국에서는 2022년 3.3%에서 6.2%로 88% 증가하였고, 일본에서 미국에 대한 위협인식은 7.4%에서 10.8%로 46% 증가했다. 수치 자체는 낮지만, 증가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변화양상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미중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에 대한 부담이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 장에서 미중 경쟁 속 한국과 일본의 인식 변화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2. 미중 경쟁 속 한국과 일본의 주변국 인식 변화   2016년부터 2020년 조사된 ‘한국의 미래를 고려했을 때 중요한 국가나 지역’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미국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면서 중국에 대한 답변이 급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 한국에 중요한 국가/지역(2016-2023)     2016년에는 미국(40%)보다 중국(47.2%)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지만 이후에는 감소하여 30%대로 낮아졌고 미국에 대한 응답이 50%대로 나타났다. 2023년 중국에 대한 중요성 응답이 9.5%로 급감한 반면, 미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78.1%까지 높아져 어느때보다 높은 미국 중심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2-3%대로 낮게 나타났지만, 2019년 1.3%로 최저점을 찍고 2020년 4.4%로 급증한 후 2023년 3.1%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미국에 대한 친근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2022년 56.2%에서 2023년 28.9%로 감소했다. 미중 양국에 모두 친근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이 13.4%에서 18.3%로 증가했고, 모르겠다는 응답도 증가했다. 한국과 일본의 미국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림 4> 미국과 중국에 대한 친근감 비교       <그림 5> 상대국에 대한 우호국 인식       이러한 추세는 자국과 중요한 관계를 지닌 국가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나타난다. 한국에서는 미국이 74.9%에서 78.1%로 증가했으나, 일본에서는 미국에 대한 인식이 62.2%에서 53.5%로 감소했다. 대신 ASEAN과 인도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한일 모두 감소했고, 한국과 일본의 상호 중요성 인식은 2022년보다 2023년에 증가했다.   III. 한중관계와 한일관계의 비교   1. 한국: 한중에서 한일로 우호적 인식의 역전   10년 전인 2013년 동아시아연구원 설문 자료에는 일본과 중국에 대한 중요성과 호감도를 비교하는 항목이 있다. 일본과 중국 중 한국의 맹방이 될 가능성이 높은 국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 한국인의 응답 결과가 일본 25.2%, 중국 72.8%로 중국에 대해 더욱 친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6> 일본과 중국 중 한국의 맹방이 될 가능성이 높은 국가(2013, 한국)     ‘중국의 부상은 한국에게 위협이 되기보다는 기회’라는 응답도 52.6%로 그 반대 응답인 47.3%보다 높게 나타났다. 10년 전 조사에서는 일본보다는 중국에 대한 인식이 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중국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정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2021년으로 조사 전반기,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일본과 중국 중 한국의 미래를 위해 중요한 국가’를 조사했을 때 2013년 조사부터 2020년 조사까지 두 국가 모두와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나는 가운데, 한 국가만 선택한 응답으로는 한일관계보다는 한중관계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한일관계 5.7%, 한중관계 38%, 둘다 47.3%, 둘다 아님 9%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한일관계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13.6%로 급증하였고, 한중관계가 중요하다는 응답은 23.7%로 급감했다.   <그림 7> 한국: 한일관계와 중일관계의 중요성 비교)       <그림 8> 한국: 일본과 중국에 대한 친근감 비교     또한 ‘일본과 중국 중 친근감을 느끼는 국가’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면, 2020년까지는 중국에 친근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2020년 기준으로 일본에 친근감 느낀다가 14.2%, 중국에 친근감을 느낀다가 24.4%, 둘다 6.3, 둘다 아님이 34.6%로 나타났다. 그런데 2022년과 2023년 조사에서는 일본과 중국에 대한 호감도 인식의 역전이 나타났다. 일본에 친근감을 느낀다는 답변이 중국을 상회했다. 동시에 일본과 중국 둘 다 친근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도 40%대로 어느때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 다 호감도를 느끼지 못한다는 응답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해당 문항은 2021년 조사에서는 실시되지 않았는데,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2021년 중국에 대한 인상의 응답을 살펴보면, 중국에 대한 인상이 좋다(10.7%)보다 좋지 않은 인상이다가 73.8%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인상이 나쁜 이유에 대해서는 “중국의 강압적 행동 때문에(65.2%)”와 “한국을 존중하지 않는다”(43.8%)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1+2순위 복수응답 결과 기준). 국가 간의 관계는 상호적인 것으로, 중국이 한국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의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일본: 10년 전 우호적 인식 수준으로 회복중?   일본에서는 미래를 위해 한국과 중국 중 어느 국가와의 관계가 더 중요한지를 묻는 설문에 대해 둘 다 중요하다는 응답이 매번 가장 높은 가운데, 한일관계보다는 중일관계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조사기간 동안 매번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에서 역시 한일관계보다는 중일관계를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한국에서는 일본의 중요성이 최근 급증한 반면, 일본에서는 한일관계의 중요성이 2015년 이전 시기에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아직 2015년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2019년 이후 다소 중요성 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만큼, 2015년 이전 수준이상의 중요성 인식이 나타날지 그 추세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그림 9> 일본: 한일관계와 중일관계의 중요성 비교       <그림 10> 일본: 일본과 중국에 대한 친근감 비교     일본에서는 한국에 대한 친근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10년 전인 2013년에 4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4년 37.2%, 2015년 23%로 감소한 후 다시 2013년의 친근감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다만 2020년 이후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증가하고 있고 2023년 35.8%로 2015년 수준으로 회복했다. 호감도 증가의 추세 속에서 2013년 시점의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한일관계가 우호적이지 않았던 2020년 조사에서 중국에 비해 한국에 친근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최저 수준인 20.3%로 나타났고, 중국과 한국 모두에 친근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이 41.7%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일본에서 중일관계는 한일관계보다 항상 더욱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호감도는 한일관계가 중일관계보다는 항상 높았다.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는 중국과 일본 모두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일본에서는 중국에 대한 인식이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IV. 한일 상대 국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   지난 10년간 한국과 일본 국민의 상대국에 대한 인상을 살펴보면, 양국 모두 호감보다는 비호감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가운데 2020년의 최악의 관계 이후 점차 호감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23년 좋은 인상이 37.4%, 좋지 않은 인상이 32.8%로 호감도가 비호감도를 상회했다.   <그림 11> 상대국에 대한 인상(2013-2023)       <그림 12> 한일관계의 중요성(2013-2023)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한국에서 일본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일본에서는 한국에 대한 중요성을 한국에 비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다. 다만 2022년에는 이전까지의 하락 추세와 달리 한국에 대한 중요성이 46.6%에서 56.5%로 약 21% 상승하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2022년에는 한국과 일본 모두 상대국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한일관계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2023년에는 일본의 한국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61.8%로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 요인은 무엇인가? 2023년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은 상대국가를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공동의 안보이익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대중 포위망’으로 상대국가가 필요하다는 항목에 대한 응답이 증가했다. 강대국 간 갈등 속에서 한일협력은 새로운 축이 될 수 있다는 응답도 등장했다. 미중 경쟁이라는 국제정세와 주변국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의 역할과 이익에 대한 인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3> 한일관계가 중요한 이유     보다 직접적으로 한일 양국이 상대국가를 ‘우호국’으로 생각하는가에 대한 2021년과 2023년 설문 결과를 비교해보면, 한국에서 새롭게 우호국으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16.9%로 급증하였고, 우호국이 아니라고 한 답변이 17.2%p 급감하였다. 일본에서도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이 30.9%(A+B)로 우호국가로서의 인식이 양국 모두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4> 상대국에 대한 우호국 인식     또한 국제사회에서 한일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대중국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인식(한국 22.6%, 일본 20.7%)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파트너’ 관계로서 세계적 과제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인식(한국 26.4%, 일본 19.7%), 우호국으로 관계설정(한국 16.4%, 일본 19.7%)라는 응답에서 한일 간 관계의 긍정적 인식의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양국 간 관계를 ‘라이벌’로 규정하는 인식은 한국 6.9%, 일본 1.4%로 나타난다.   <그림 15> 파트너, 우호국, 라이벌         <그림 16> 한일 양국이 대등한 관계가 되어가고 있는가     이러한 한일 간의 다양한 관계 규정은 한일 양국 간의 힘과 위상의 변화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21년과 2022년 조사에서 제시된 “한일 양국이 대등한 관계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한국은 이미 그렇다, 그러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22년에는 이미 대등한 관계라고 생각하는 의견이 작년보다 4.1%p증가하였다. 일본에서는 ‘모르겠다’는 의견이 43.6%로 높게 나타나 한국과의 차이가 인식 차이가 크다. 양국 간 상대적 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는데, 향후 이에 대한 응답의 변화가 나타날지 지속 추적이 필요하다.     V. 결론   본 연구는 EAI의 지난 10년간 한일 상호인식조사 중 주변국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일 간의 상호 인식 변화를 추적하였다. 미중 경쟁이 심화되고 코로나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한일 간의 상호인식은 글로벌 맥락에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중국과 미국과의 관계 속에서 한일 간의 위치와 협력 필요성 등이 부각되며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일 양국관계는 국제적인 맥락에서 인식되고 있으며, 국제사회 속에서 한국과 일본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양국 간 관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무엇보다 미국의 동맹국으로서의 공통의 자기 인식과 중국과 북한이라는 공동의 위협에 대응하기 대한 한일 협력의 필요성 인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한일 상호 간 자유 민주주의라는 공동 가치의 추구와 한국의 위상 변화에 따른 인식 변화, 중국과 북한에 대한 위협인식 등이 공유되면서 한일 상대국에 대한 중요성 역시 변화하고 있다.   한일 국민 ‘상호’ 인식이라는 조사 제목에서도 나타나지만, 실제 설문 조사 내에서도 상대국이 자국을 어떻게 대하는가에 따라 상대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인식과 응답에서도 확인한 바 있듯이, 상대국에 대한 ‘존중’이 관계 인식에 중요한 요인이다. 중국의 위상 변화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 한국의 위상 변화에 대한 일본과 중국의 인식, 일본의 위상 변화에 대한 중국과 한국의 인식 등에 대해서도 상호 비교 검토하며 추적해 볼 필요가 있다.   지난 10년간의 흐름을 추적해보면, 한국과 일본 양국 국민의 주변국과 상대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13년 조사 초기 한국에서는 일본보다 중국에 대한 중요성과 친밀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2021년경부터는 중국보다 일본에 더욱 친밀감이 높아진 인식의 역전이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중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크지 않은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3년 조사 시작 시점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던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다시 2013년 호감도 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EAI의 한일 양국 국민 상호인식 조사 결과가 앞으로도 정례적으로 꾸준하게 지속되어 연도별 데이터의 가치를 더욱더 높여 나가고, 이를 활용한 연구와 분석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변국 인식에 대한 영향력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EAI의 공동 여론조사 실시 기관인 일본의 겐론NPO의 중일관계 및 미국 관련 연도별 데이터를 함께 비교 검토함으로써 한일 양국뿐만이 아니라, 한중일, 동아시아 지역인식에 대한 보다 입체적이고 심도 있는 비교 분석도 가능해지기를 기대한다. ■       참고 문헌   동아시아연구원(EAI). 2013-2023.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 동아시아연구원.   손열. 2022. “한일관계 개선을 촉구하는 국민 여론, 정책으로 이어질까?” 『EAI 이슈브리핑』.   ____, 김양규, 박한수. 2023. “관계 개선을 바라보는 한일 국민의 거리: 2023년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결과 분석.” 『EAI 이슈브리핑』.   Jervis, Robert. 1976.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Kemmelmeier, M., & Winter, D. G. 2000. “Putting threat into perspective: Experimental studies on perceptual distortion in international conflic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 7.   Rouhana, N. N., & Fiske, S. T. 1995. “Perception of power, threat, and conflict intensity in asymmetric intergroup conflict: Arab and Jewish citizens of Israel.”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39, 1   Rousseau, David L and Rocio Garcia-Retamero. 2007. “Identity, Power, and Threat Perception: A Cross-National Experimental Study.” 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51, 5.   Walt, Stephen. 1985. “Alliance Formation and the Balance of World Power.” International Security 9, 4: 3-43.     ■ 오승희는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이다.     ■ 담당 및 편집: 오준철_EAI 연구보조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coh@eai.or.kr  

오승희 2023-12-27조회 : 9061
워킹페이퍼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시리즈] ⑧ 여론조사로 읽는 한일 안보관계: 한일관계에서 안보는 중요할까?

I. 서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한일관계가 개선되고 있다. 2023년 3월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과 5월 기시다 총리의 방한으로 12년 만에 셔틀외교가 복원되었고, 이를 계기로 양국 정부 간 대화와 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방일을 앞두고 대국민 담화를 통해 “한일 양국은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가장 가깝게 교류해 온 숙명의 이웃 관계”라고 언급하면서, “한일관계는 함께 노력해 함께 더 많이 얻는 윈-윈 관계가 될 수 있으며, 또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1] 기시다 총리는 5월 7일 한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앞으로도 한일관계를 강화하고, 힘을 합쳐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가고 싶다”고 강조했다. 셔틀외교를 계기로 그간 경색되었던 양국 관계가 전환되면서 한일 간 미래의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뒤돌아보면 한국의 대외관계 중 한일관계는 지난 10여 년간 가장 논쟁적이었을지 모른다. 한국의 대일관계는 식민지 시기를 거친 역사적 경험을 반영해왔기 때문이다. 과거사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은 일본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기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외정책을 결정하는 데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국제정치이론에서 현실주의는 국가 간의 상대적인 힘의 배분에 따라 국가의 대외정책이 결정된다고 보고, 자유주의는 경제적 상호의존에 따라 국가 간 절대적 이익을 창출하는 대외정책을 강조한다. 한편, 구성주의는 국가가 역사적으로 경험해온 사회문화의 특징에 따라 대외정책이 변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한 점에서 역사적 경험이나 과거사에 대한 인식이 대외정책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손열(2018)은 과거를 해석하는 집단적 기억에 따라 국가의 정체성이 결정되는 한일관계의 독특한 특성이 상대국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즉, 한국의 대일관계는 과거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앞선 언급처럼 한국의 대일관계를 형성하는데 과거사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이긴 하지만 한일관계의 동학(dynamics)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유일한 요인은 아니다. 한일 양국은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갈등과 협력을 반복하는 양가적 특성을 보였다. 과거사로 인한 상대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만 존재했다면 한일관계는 갈등적 양상만 보였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갈등을 빚다가도 협력으로 돌아서거나, 협력을 하다가도 갈등으로 번지는 복잡한 진화의 경로를 지나왔다는 점이다(남기정 2015). 다만, 2011년부터 2021년까지 미중 전략경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한일관계는 협력보다 갈등이 지배적이었다. 국내적으로는 위안부 문제가 재발하면서 사회적 갈등이 재점화되었다. 그리고 한국은 일본과 다르게 대화를 통해 북한 비핵화를 견인하고, 한미동맹을 한반도 방어에 집중했다. 일본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ree and Open Indo-Pacific: FOIP)’ 전략을 제시하며 미국과의 동맹협력을 강화했지만, 경색된 한일관계로 인해 한미일 협력은 지체되었다(조은일 2021).   그렇다면 현재의 한일관계는 어떠할까. 미중 전략경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등장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전 트럼프 행정부와는 다르게 한일관계의 안정적 관리를 중요시하며 한반도 안보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안보에 있어 한미일 안보협력의 전략적 가치를 재고하고 있다. 이어 한국 윤석열 정부의 등장으로 대일정책도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다. 다시 말해 한국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에 따른 국내정치 갈등, 일본의 초계기 저공비행 사건과 한일 군사협력의 중단,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 조치와 이를 둘러싼 무역 갈등, 한국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통보와 그에 따른 안보 갈등 등 2018년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갈등을 노출해온 한일관계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양자적 관계 개선은 한미일 3자 관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2023년 8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한 한미일 정상회담은 한미일 3자 안보협력이 재가동하는 정책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러한 정부 차원의 변화는 정책 결정 차원에서 한일관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양국의 국민 여론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을까. 정부가 한일관계를 긍정적으로 다루면 여론에도 반영이 될까. 양 국민 간 중요한 사안에 대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지고 있을까. 만약 양 국민 간 일정 수준의 상대에 대한 호감도나 우호감을 가지고 있다면, 정부 차원의 관계 개선이 지속가능하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부 차원의 변화와는 다르게 양 국민 간 상대에 대한 호감도나 주요 이슈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난다면 정부 차원의 관계 개선은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양 국민 여론의 상호 인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지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보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가 될 수 있다. 한국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겐론NPO(言論NPO)가 2013년부터 실시해온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는 양국의 상호인식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한다. 한일 양국 여론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일정 문항에 대한 조사 결과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여론의 인식 변화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안보 이슈에 한정해서 한일관계의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안보 이슈에 대한 여론의 흐름이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보여주는 게 그 목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일 양국은 북한 핵문제라는 안보위협을 공유해왔지만 이를 해소하기 위한 안보협력을 추진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그 원인으로 양국 간 상호 적대적인 국가정체성이 존재하며, 이에 기반한 대외정책으로 양국관계가 갈등적 양상을 보였다는 주장도 있다(Glosserman & Snyder 2015).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일 상호인식조사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만약 국가정체성, 대외인식, 역사 문제 등에 대한 상호 인식이 안보 인식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면 안보 이슈도 한일관계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안보 이슈에 대한 인식이 다른 영역에 대한 상호 인식과 괴리가 있다면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한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II. 여론조사에 나타난 한일 안보관계   1. 한일관계에 영향을 미친 안보 이슈   외교정책에서 여론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며, 정책결정과정에 여론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2] 외교정책을 형성하는데 여론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더라도 특정 국가에 대한 정책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론이 한 국가에 대한 특정 이미지를 고정관념과 같이 구축해 놓으면 정책엘리트는 그러한 여론을 반영하지 않는 정책을 만들거나 바꾸기가 쉽지 않다. 민주국가에서 정책엘리트는 여론의 불만과 반대를 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에서 여론은 외교정책을 형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중요한 변수이며, 여론이 가진 타국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연구가 진행되는 게 필요하다.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 한국인의 대일 인식은 확인되지만, 아직 한일관계에서 여론에 대한 연구는 폭넓게 축적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여론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의 통일의식조사, 통일연구원의 통일의식조사, 아산정책연구원의 여론조사,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등에서 비정기적으로 진행된다. 일본 여론의 한국에 대한 인식은 일본 내각부에서 매년 실시하는 외교에 관한 여론조사(外交に関する世論調査)가 있다. 그리고 1995년부터 실시한 한국일보와 요미우리신문(読売新聞)에 의한 한일공동여론조사는 동아시아연구원-겐론NPO와 마찬가지로 한일 공동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여론조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국인의 대일 인식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가능해졌다.[3]   한일 양국은 안보적으로 중요한 협력파트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돌이켜보면 한일 양국 간 안보협력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한국과 일본은 군사동맹 관계도 아닐뿐더러, 함께 참여하는 다자 안보협력체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한일 안보관계는 냉전기부터 미국이 주도하는 양자 동맹체제(hub-and-spoke)의 일부로 발전해왔다. 이는 미국이 유럽 대륙 질서의 붕괴를 막기 위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라는 다자 안보동맹을 구성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Campbell 2016). 미국은 양자 동맹체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에 대한 개입과 후퇴를 반복했으며, 그 과정에서 한일 안보관계도 영향을 받았다. Cha(2000)는 한일 양국이 상호 군사동맹을 맺지는 않았지만, 미국을 공동의 동맹국으로 공유하는 유사동맹(quasi-alliance)이라고 정의하고, 냉전기 한일 안보관계를 설명했다.[4] 그리고 한일 양국은 평상시에는 미국과의 동맹 관계에 집중하지만, 미국이 지역 개입을 축소하는 위기시에는 양국 간 안보협력이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Cha의 연구가 한일 간 갈등에도 불구하고 협력이 가능한 조건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시해주기는 하지만, 미국의 아시아 정책을 독립변수로 한일 안보관계의 부침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가진다.   그렇다면 양자 관계에서 안보 이슈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손열(2018)은 안보, 경제, 정체성 변수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서로 연계되어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다고 지적한다. 하나의 변수가 개별적으로 한일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세 이슈가 상황에 따라 복합적으로 연계되면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설명이다. 즉, 경제적 상호의존이 진행되면 안보경쟁이 완화되고 유사한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경제적 경쟁이 진행되고 안보 긴장이 지속되면 국민감정이 악화하는 정체성 갈등으로 번지는 악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보-경제-정체성 넥서스(nexus)로 인해 한일관계가 규정된다.   그렇다면 한일관계에서 어떤 안보 이슈가 중요하게 제기되어 왔을까. 첫째, 미국 변수에 따른 한일 안보관계에의 영향이다. 이는 한미일 협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연결된다. 그리고 한반도 유사시에 한미동맹을 지원하는 일본 자위대의 개입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도 포함한다. 둘째, 양자 관계에서 다뤄진 안보 이슈이다. 한일 안보관계에서 독도에 대한 영토문제는 지속된 갈등 요인으로 다뤄졌다면, 초계기 문제나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문제는 일시적 갈등 요인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한일 역사 문제로 인해 보다 갈등적으로 다뤄지는 부정적 연쇄반응을 초래하기도 했는데, 이는 한일관계의 여러 이슈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2. 여론조사를 통한 실증적 분석   그렇다면 여론은 한일관계에서 안보 이슈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한일관계에는 다양한 이슈가 존재하는데 역사 인식이나 영토 문제는 장기간 상호 간 부정적 인식을 높이는 원인이 되어 왔다. 한일 여론은 상대를 부정적 이미지로 바라보는 경향을 보였는데,[5] 안보 이슈에서도 유사했는지 여론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한일 여론이 서로를 위협으로 여기는지, 한일 간 군사분쟁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 나아가 한일 간 안보협력은 어떤 수준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보는지 등 여러 질문에 대한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연구원-겐론NPO에서 2013년부터 수행한 한일 상호인식조사 결과를 활용한다. 다만,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연속적으로 조사된 항목과 비연속적으로 조사된 항목이 존재한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 개별적으로 조사된 항목도 존재하기 때문에 한일 여론을 수평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1) 한일 여론은 상대를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할까   한일관계에서 지속해서 등장하는 영토 문제는 양국에 있어 군사안보의 문제이기도 하다. 독도에 대한 영토 문제가 한일관계를 저해하는 원인이 되거나, 한일 정상 간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는 과제가 되는 상황에서 그렇다면 한일 여론은 상대를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을까. 현실주의에 따르면 국가는 상대의 군사력을 통해 위협을 판단하지만, 현실에서 군사적 위협은 상대와의 관계에 따라 주관적 인식으로 결정되기도 한다. 실제로 존재하는 외부의 위협뿐만이 아니라 상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위협인식이 생산되기도 하고 소멸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위협은 주관적 측면을 포함하는 다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가 간 관계 변화에 따라 위협 인식도 변화될 수 있다.   <표 1>은 한일 양국이 각각 군사적 위협으로 여기는 국가(혹은 지역)를 보여준다. 한국 조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결과이며, 일본 조사는 2021년을 제외한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결과이다. 한국 여론이 군사적 위협이 되는 국가를 북한, 중국, 일본 등 세 국가로 인식한다면, 일본 여론은 북한, 중국, 러시아 등 세 국가를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했다. 양국은 북한과 중국을 공통으로 위협으로 인식했으며, 한국은 일본을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 여론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북한에 이어 일본을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했고, 2017년부터는 북한에 이어 중국을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했다. 한국이 북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erminal High Altitude Air Defense Systen: THADD)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2016년 주한미군 기지에 배치를 결정했다. 중국은 사드 배치가 중국의 안전과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배치를 반대했다.[6] 이후 배치가 결정되자 중국은 2017년부터 한국 관광 금지 등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 조치를 실시했다. 즉, 사드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커지고 중국의 대한 경제 보복이 가시화되면서 한국 여론이 상대적으로 일본보다 중국을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하는 비중이 커졌다고 이해할 수 있다.   <표 1> 군사적 위협이라고 생각되는 국가나 지역   한국 조사 결과(단위: %)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1순위 북한 (70.6) 북한 (71.7) 북한 (83.4) 북한 (83.6) 북한 (67.4) 북한 (73.0) 북한 (84.0) 북한 (85.7) 북한 (80.4) 북한 (89.7) 2순위 일본 (12.6) 일본 (15.1) 일본 (37.7) 중국 (50.6) 중국 (47.2) 중국 (45.2) 중국 (44.3) 중국 (61.8) 중국 (65.0) 중국 (57.9) 3순위 중국 (11.5) 중국 (10.1) 중국 (36.2) 일본 (33.9) 일본 (36.0) 일본 (38.3) 일본 (44.1) 일본 (38.6) 일본 (33.2) 일본 (28.9)     일본 조사 결과(단위: %)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2 2023 1순위 북한 (78.9) 북한 (72.5) 북한 (71.6) 북한 (79.1) 북한 (79.5) 북한 (75.3) 북한 (76.2) 북한 (81.2) 북한 (72.9) 북한 (80.0) 2순위 중국 (60.1) 중국 (71.4) 중국 (64.3) 중국 (71.5) 중국 (46.2) 중국 (45.7) 중국 (46.1) 중국 (63.6) 중국 (72.1) 중국 (68.0) 3순위 러시아(19.0) 러시아(29.0) 러시아(36.0) 러시아(47.5) 러시아(32.8) 러시아(35.8) 러시아(35.0) 러시아(30.7) 러시아(62.2) 러시아(60.4)                         한국 (12.2) 한국 (15.1) 한국 (11.2) 한국 (14.2) 한국 (10.5) 한국 (7.0) 한국 (12.3) 한국 (13.4) 한국 (9.4) 한국 (5.8)   한편 일본 여론은 시기에 따라 북한과 중국을 유사한 수준으로 군사적 위협으로 여겼고, 2022년부터는 북한, 중국, 러시아 등 세 국가를 모두 상당한 수준의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했다. 그리고 한국을 군사적 위협으로 간주하는 응답률이 10% 전후로 존재했다. 이는 한국이 일본을 군사적 위협으로 생각하는 비율과 차이를 보인다.   실제로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간 영토문제는 지속해서 제기되는 이슈이다.[7] 그러나 영토문제가 실질적인 군사분쟁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양국 여론이 공통적으로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림 1>은 한일 군사분쟁 가능성에 대한 양국 여론의 인식을 보여준다. 한국 여론은 대체적으로 일본과의 군사분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분쟁이 일어나더라도 수년 이내가 아닌 먼 장래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일본 여론도 한국과 군사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동시에 분쟁 가능성에 대해 모르거나 무응답이 20~30%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한일 여론은 단기간에 양국이 군사분쟁을 시작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군사분쟁 가능성 자체를 배제하지는 않았다. 이를 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가 양국 여론에 복잡한 모습으로 잔존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림 1> 한일 군사분쟁 가능성에 대한 입장   한국 조사 결과(단위: %)   일본 조사 결과(단위: %)   한일 양국 모두 높은 비중으로 북한을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북한은 2013년 2월 핵실험을 실시했고, 3월 경제건설 및 핵무력건설 병진노선을 채택했다. 이후 2016년 1월과 9월, 2017년 9월 잇따라 핵실험을 실시하면서 핵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2018년 6월과 2019년 2월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지만 현재까지 실질적인 진전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북한은 2022년 9월 핵무력 정책을 법제화하였고, 국제사회로부터 핵무기 보유국의 지위를 얻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일 여론은 북한을 상당한 군사적 위협으로 여기고 있다고 응답한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위협으로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고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그림 2>는 북핵 위협이 지속될 때 자국의 핵무기 보유에 대한 찬반 입장을 보여준다. 한국 여론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북핵 위협이 지속된다면 한국도 핵무기를 보유해야한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2018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북핵 문제에 대한 일부 합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2018년 조사 결과에서는 한국의 핵무기 보유를 반대한다는 응답이 50.3%였지만, 2019년부터는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인 진전을 기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의 핵무기 보유를 찬성하는 응답이 높아졌다. 한편 일본 여론은 북핵 위협이 지속되더라도 일본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데에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60% 이상으로 다수였다.   <그림 2> 북핵 위협 지속 시 핵무기 보유에 대한 입장   한국 조사 결과(단위: %)   일본 조사 결과(단위: %)   그리고 <그림 3>은 북핵 위협이 지속될 때 상대국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데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한국 여론은 일본의 핵무기 보유에 반대하고, 마찬가지로 일본 여론은 한국의 핵무기 보유에 반대했다. 한일 여론은 자국의 핵무기 보유에 대해서는 상이한 입장을 보였지만, 상대의 핵무기 보유에는 반대하는 태도를 유지했다.>   <그림 3> 북핵 위협 지속 시 상대국의 핵무기 보유에 대한 입장     2) 한일 여론은 안보협력에 긍정적일까 부정적일까   지난 10년간 한일관계는 경색된 채 개선의 기미를 보이지 못했다. 그 결과 양국 여론은 서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2018년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계기로 한일 간 외교적 마찰이 발생했다. 2019년 7월 일본 정부가 한국에 반도체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취했고, 한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연장 중단을 검토했다. 이처럼 역사문제에 기인한 외교적 마찰은 경제 영역으로 확대되었고, 안보 문제를 정치 쟁점화시키는 등 부정적 연쇄반응이 발생했다.   한일관계의 부침은 군사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간 한일관계가 외교적 마찰로 경색되더라도 국방교류나 군사정보 공유 등은 지속해서 이루어졌다. 2018년 12월 일본 해상자위대의 초계기가 한국 해군의 광개토대왕함에 저공비행하여 위협하는 사건이 발생했다.[8] 한국은 일본 초계기가 근접 저공비행으로 한국 함정에 위협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한편, 일본은 한국 함정의 레이더 조사로 인해 일본 초계기 활동이 위험에 노출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대조되는 주장으로 한일관계는 더욱 경색되었다. 대법원 판결로 한일 간 외교적 마찰이 발생하던 시기에 한일 국방당국 간에도 초계기 저공비행을 둘러싼 갈등이 벌어진 것이다.   이러한 사건 발생과 관련해서 한국 여론은 어떤 평가를 내렸을까. <표 5>는 일본의 초계기 저공비행 사건에 대한 한국 여론의 인식을 보여준다. 응답자의 61.9%가 한국 정부의 주장이 옳다고 판단했다. 응답자의 이념분포에서도 진보(63%), 중도(62.3%), 보수(60.5%) 모두 유사한 수준의 응답률을 보였다. 안보 이슈에 대한 이념적 이질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표 2> 초계기 사건에 대한 입장(2019년 한국 조사 결과, 단위 %)     한국 정부 주장 일본 정부 주장 양쪽 다 옳지 않음 관심 없음 모름/무응답   61.9 3.1 7.8 10.1 17.1             진보 63 2.6 7.8 9.6 17.1 중도 62.3 2.1 6.9 10 18.6 보수 60.5 4.7 9.1 10.7 15     <그림 4> 갈등 상황에서 한일 안보협력에 대한 입장(2019년 한국 조사 결과)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갈등 상황에서도 한일 안보협력에 대해 한국 여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림 5>는 갈등 상황에서 한일 안보협력에 대한 입장을 묻고, 추진해야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답한 조사결과를 보여준다. 갈등이 있더라도 한일 안보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답변이 65%, 추진하면 안된다는 답변이 16%였다. 추진해야 한다는 답변 중 44.9%는 양국 간 신뢰회복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추진하면 안된다는 답변 중 6.2%는 어떠한 이유라도 한일 안보협력 추진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주었다. 위협을 공유하는 국가 간 안보협력이 추진되기 용이하기 때문에 북한 위협에 대한 공통의 인식은 한일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다.   한일 양국은 양자 협력과 동시에 미국을 포함하는 한미일 삼자 협력의 형태를 발전시켜왔다. 한일 양국은 미국과 각각 군사동맹관계이기 때문에 미국과 안보협력을 진행해왔는데, 이와 동시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일 양국이 협력하는 한미일 관계도 중요하게 다뤄졌다.    <그림 5>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대한 입장   한국 조사 결과(단위: %)   일본 조사 결과(단위: %)   <그림 5>는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대한 한일 여론의 인식을 보여준다. 한미일 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조사에서 한국 여론은 그렇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2020년을 제외하고는 60% 이상이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찬성했다. 한미일 안보협력에 부정적인 응답은 10% 내외였다. 일본 여론은 한미일 안보협력을 강화하는데 찬성하지도 반대하지도 않는다는 응답이 다수였는데, 2023년에는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찬성한다는 응답(35.3%)이 처음으로 다수가 되었다. 한일 여론 모두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부정적 인식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한미일 협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한국이 일본 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대한 한일 여론의 선호에는 차이가 있지만, 협력을 강화하는데 찬성하는 이유는 유사했다. <표 6>은 한국 조사의 결과를 보여주는데 2022년을 제외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70% 이상의 응답자가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는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마찬가지로 일본 조사의 결과도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일 여론 모두 한미일 안보협력의 역할이 한반도 평화안정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즉, 한일 여론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서 미국의 관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북한 문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한미일 협력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표 3>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대한 찬성 이유(단위 %)   연도 한국 일본 2018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필수적(79.4)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필요(60.7) 2019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필수적(71.8)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필요(60.8) 2020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필수적(73.1)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필요(65.8) 2021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필수적(71.4)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필요(62.8) 2022 북한 비핵화나 한반도 안정을 위해 불가결하므로(56.4)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필요(73.9) 2023 북한 비핵화나 한반도 안정을 위해 불가결하므로(71.7)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필요(79.8)     <그림 6> 한반도 유사시 자위대 개입(한국 조사 결과, 단위 %)     한편 한일 안보협력에서 가장 논쟁적인 부분은 한반도 유사시 자위대의 개입 여부일 것이다. 한반도에 무력 분쟁이 발발하게 되면 일본이 군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한국 여론의 입장은 <그림 6>과 같이 찬성보다는 반대가 우세했다. 2016년은 반대보다 찬성이 우세한 예외적인 응답이 나왔는데, 북한 위협이 고조되는 한편 중국과의 사드 갈등이 불거지면서 한일 협력이 상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한 배경이 작용했다고 보인다.   그러나 2016년을 제외한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50% 이상이 자위대 개입에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2016년 이후부터는 자위대 개입에 찬성하는 응답이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북한 문제에 있어 한일 및 한미일 안보협력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한반도 유사시 자위대 개입 문제는 역사 문제로 인해 한국 국내적으로 상당히 민감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III. 결론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의 결과를 활용해서 한일 여론이 안보 이슈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한일 양국은 북한 핵문제라는 안보위협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을 가장 큰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했다. 그리고 한국 여론은 중국과 일본이 군사적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지만, 일본 여론은 중국과 러시아를 군사적 위협으로 여겼다. 한국 여론이 일본을 군사적 위협으로 여긴 배경에는 독도를 둘러싼 영토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독도를 둘러싼 영토 문제는 한일관계에서 장기간 해소되지 못한 안보 이슈이기는 하지만 양국 여론은 한일 간 군사적 분쟁의 가능성은 작게 보았다. 그래도 영토 문제는 외교적으로 상호 대립하는 이슈로 남아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여론의 관심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 여론은 초계기 사건과 같이 한일 간 갈등이 발생하더라도 안보협력은 추진해야한다고 인식했다. 북한 핵문제와 같이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안보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만큼 일본과의 안보협력은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보협력의 형태는 양자 협력보다는 미국을 포함하는 한미일 협력으로 발전되기 더 쉬워 보인다. 예컨대 한국 여론은 한반도에 무력 분쟁이 발생하더라도 일본 자위대가 개입하는 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는 한일 양국이 북한으로부터의 안보 위협을 공유하면서도 이를 해소하기 위한 양자 협력에는 소극적이었던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오히려 한국 여론은 북한 비핵화나 한반도 안정을 위해서 한미일 협력이 중요하다는 견해를 보였고, 일본 여론도 한미일 협력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여론이 정책을 결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여론이 특정 이슈에 뚜렷한 선호를 가지고 있다면 정책 결정을 제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민주국가에서 정치지도자는 여론 민감도가 높고,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한 정책은 지속성을 갖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에서 한일 여론의 견해는 한일관계를 추동하기도 하고 제약하기도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일 여론은 현재 상호를 부정적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다. 부정적 이미지는 역사나 영토 문제에 기인한 고정관념과 같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변화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양국 여론이 상호를 긍정적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해 보인다. 무엇보다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안보 이슈에 있어서 새로운 협력상을 제시하는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1]  2023년 3월 21일 국무회의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관계 대국민 담화가 발표되었음.   [2]  한편에서 여론은 국제정치 이슈에 대해서 합리적으로 무지한 경향이 크다고 보며(Guisinger 2009), 다른 한편에서는 전쟁이나 위기가 발생할 때 여론이 정책 결정을 제약한다고 주장함(Fearon 1994; Gelpi 2017).   [3]  한국인의 대일 인식이 반일 정서에 기반한다고 평가하는 연구와 한국인의 대일 인식이 이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가 존재하며, 한국인의 반일 정서와 외교정책 간 상호작용을 검토하는 연구도 있음(최종호 외 2014; 최은미 2021; Deacon 2022).   [4]  최희식(2011)에 따르면 냉전기 안보협력은 한일 양자적 수준에서 결정되기 보다는 미일 동맹협력의 범위에서 한반도 유사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는 형태의 한미일 협력이 중심이 됨.   [5]  동아시아연구원-겐론NPO 조사 결과 상대국에 대한 인상에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은 일본을, 일본은 한국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023년 조사에서는 한국은 여전히 일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만, 일본은 한국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결과가 나옴.   [6]  2016년 9월 중국 항저우에서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박근혜 당시 대통령에게 사드 배치가 지역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우려를 직접적으로 표명함.   [7]  일본은 2005년부터 방위백서를 통해 다케시마(竹島,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를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주장하고,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다고 언급해옴.   [8]  2018년 12월 20일 해군 광개토대왕함은 동해상에서 조난한 북한 선박에 대한 인도적 구조작전을 진행했으며, 그 과정에서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에 저공비행으로 접근하는 사건이 발생함.   참고 문헌   남기정. 2015. “한일 국교정상화 50년: 갈등과 협력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일본비평』 12: 4-24.   손열. 2018. “위안부 합의의 국제정치: 정체성-안보-경제 넥서스와 박근혜 정부의 대일외교,” 『국제정치논총』 58, 2: 145-177.   조은일. 2021.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한일 안보관계,” 『국제지역연구』 30,2: 65-91.   최은미. 2021. “한국과 일본, 우리는 서로에게 무엇인가-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과 한일관계,” 『아산리포트』 아산정책연구원.   최종호 외. 2014. “한국인의 대일본 감정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일본의 군사대국화, 경제협력, 그리고 정체성,” 『국제관계연구』 19, 1: 41-76.   최희식. 2011. “한미일 협력체제 제도화 과정 연구: 1969년 한미일 역할분담의 명확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5, 1: 289-309.   Campbell, Kurt. 2016. The Pivot: The Future of American Statecraft in Asia. NY: Twelve.   Cha, Victor D. 2000. “Abandonment, entrapment, and neoclassical realism in Asi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4, 2: 261-291.   Deacon, Chris. 2022. “(Re) producing the ‘history problem’: memory, identity and the Japan South Korea trade dispute,” The Pacific Review 35, 5: 789-820.   Fearon, James D. 1994. “Domestic political audiences and the escalation of international disput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8: 577-592.   Gelpi, Christopher. 2017. “Democracies in conflict: The role of public opinion, political parties, and the press in shaping security policy,”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1, 9: 1925-1949.   Glosserman, Brad & Scott A. Snyder. 2015. “The Japan-South Korea Identity Clash: East Asian Security and the United States” NY: Columbia UP.   Guisinger, Alexandra. 2009. “Determining trade policy: Do voters hold politicians accountable?”. International Organization 63, 3: 533-557.       ■ 조은일은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이다.     ■ 담당 및 편집: 오준철_EAI 연구보조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coh@eai.or.kr  

조은일 2023-12-27조회 : 6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