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지식계가 대북 전략 및 북한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보다 균형 있는 북한과 한반도 문제 연구 및 통일전략과 동아시아전략을 복원하고자 EAI는 2018년 대북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구축을 기획하여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대북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Global North Korea (Global NK)는 아카이브 성격의 웹사이트로써, 제재(Sanctions), 관여(Engagement), 자구(Internal Transformation), 억지(Deterrence)로 구성된 4대 대북복합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주요 4개국인 한국, 미국, 중국, 일본에서 발간한 자료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접근법을 통해 분류한다. 또한, Global NK에서 제공하는 통계치를 통해 웹사이트 이용자는 주요 4개국의 북한에 대한 인식 차이 및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웹사이트는 외부 기관의 북한 관련 발간 자료를 한 곳에 수집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전문가 코멘타리(Commentary)를 발간함으로써 보다 분석적이며 전략적인 방식으로 북한 문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www.globalnk.org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향후 미중 협력 가능성과 한반도

Dr. Douglas H. Paal, a Distinguished Fellow at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shares his assessments of the outcom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14th National Committee of the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CPPCC) and the 14th National People’s Congress (NPC). In this second part of the Global NK Interview, Dr. Paal argues that Xi Jinping and Biden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enhanced domestic positions to seek for cooperation. While Dr. Paal expresses concern about the lack of personalities to take the lead in the U.S. and the lack of knowledge about newly appointed officials in China, he emphasizes that cooperative measures must be implemented to avoid international conflicts.   U.S. and China Ought to Seek Cooperation “This Year”   • U.S. and China should have engaged in a more “constructive approach to many areas of conflict after November 2022 [after the October Party Congress].” They seemed to do so at first when Xi and Biden agreed to hold a meeting between the Foreign Minister and the Secretary of State. In this context, the balloon incident, which “was not particularly significant in itself, was symbolically a huge negative” for the bilateral relations.   • Having appointed his close aides to all major positions in the CCP, Xi is “in a position to start a diplomatic outreach.” China’s role in Iran-Saudi Arabia Deal and Xi’s plan to speak with President Zelenskyy as well as Putin show the “potential for China to pose as a peacemaker or try to improve its position in the diplomacy surrounding hot issues.”   • Having enjoyed considerably successful two years of presidency, Biden is currently in a “structurally better position” like Xi. Therefore, Xi and Biden “need to reengage and use this year ahead until November.” Unfortunately, “personalities are not there to take the lead on the American side,” and “we do not know the new people on the Chinese side,” so the prospect is grim.   • U.S. and China should meet and talk now to explore ways to cooperate or “at least demark areas where they won’t do damage to each other.” The imminent Taiwan presidential election will potentially make the Beijing-Washington-Taipei triangle more unstable, so “preparatory measures” must be implemented “to make sure domestic political eruptions do not lead to international conflicts.”       ■ Douglas H. Paal_is a Distinguished Fellow at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He previously served as vice chairman of JP Morgan Chase International (2006-2008) and was an unofficial U.S. representative to Taiwan as director of the American Institute in Taiwan (2002-2006). He was on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staffs of Presidents Reagan and George H. W. Bush between 1986 and 1993 as director of Asian Affairs and then as senior director and special assistant to the president. Paal held positions in the policy planning staff at the State Department, as a senior analyst for the CIA, and at U.S. embassies in Singapore and Beijing. He has spoken and published frequently on Asia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ssues.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For inquiries: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Douglas H. Paal 2023-06-21조회 : 5852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2023 양회와 시진핑 1인 통치 체제의 미래

Dr. Douglas H. Paal, a Distinguished Fellow at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shares his assessments of the outcom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14th National Committee of the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CPPCC) and the 14th National People’s Congress (NPC). In this first part of the Global NK interview, Dr. Paal argues that while the internal discipline within the party enhances the power of Xi Jinping, his one-man rule is a step backward for China and is bound to face troubles due to its innate inefficiency.   Xi Jinping’s One-Man Rule Bound to Bring Trouble   • The “internal discipline” withi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hich include meritocratic promotions, enables Xi Jinping to “lean on the party.” “97 million out of 1.4 billion Chinese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advancement” brings “quality and discipline” to the party rule. This is the main source of Xi’s strength.   • However, one-man rule is “not efficient enough to deliver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esults that Chinese people will want.” Xi’s “personal control” over what had once been “technocratic institutions” is a “step backward” for China.   • The recent spy balloon incident is an exemplary case proving that “while the leader can give general instructions, the institution is so huge that he cannot possibly orchestrate the moves.” Xi is “trying to do too much [on his own], and he’s likely to make more mistakes like the balloon incident.”       ■ Douglas H. Paal_is a Distinguished Fellow at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He previously served as vice chairman of JP Morgan Chase International (2006-2008) and was an unofficial U.S. representative to Taiwan as director of the American Institute in Taiwan (2002-2006). He was on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staffs of Presidents Reagan and George H. W. Bush between 1986 and 1993 as director of Asian Affairs and then as senior director and special assistant to the president. Paal held positions in the policy planning staff at the State Department, as a senior analyst for the CIA, and at U.S. embassies in Singapore and Beijing. He has spoken and published frequently on Asia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ssues.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Douglas H. Paal 2023-06-21조회 : 5844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한반도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한미가 해야 할 일

매튜 번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는 한국과 미국이 한반도 내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취해야 할 자세를 논의합니다. 상대방의 의도에 대한 불확실성은 한미동맹과 북한이 군사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을 높이므로, 한국과 미국은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한 군사적 조치에 나설 때 북한의 반응과 대응방향을 예측하고 이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나아가 번 교수는 한반도 안보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북한 비핵화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인 상호 신뢰 구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본 인터뷰 내용은 “핵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위기: 한미중 대북정책과 군사충돌 시나리오”를 주제로 한 Global NK 국제회의 첫번째 세션에서 발표되었습니다.   I. What should the U.S. and ROK consider to avoid escal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 Whenever a state makes its key decision, its security implication to the adversary and the adversary’s potential response must be considered. In this context, in order to maximize security, the state must assess both the defense-deterrent value and provocation risks.   • What the ROK and U.S. see as deterrent and defensive may be seen as an offensive threat to the DPRK. In crisis, therefore, North Korean misperceptions of ROK-US actions could provoke unwanted escalation.   • Escalation risks link deterrence of large-scale war and smaller provocations. “Core” deterrence, or stopping a full-scale war “out of the blue” is likely to be strong, but deterrence of smaller-scale provocations may fail. Big concern on deterrence lies on the inadvertent steps that could lead to war when small conflicts get out of control.   • In planning responses to provocations, combined ROK-U.S. forces need to consider both the effect on deterring further outrages and the risk of provoking DPRK.   II. Why is crisis manag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o difficult?   • “Deterring Without Provoking” Policy Dilemma #1: ROK-U.S. want conventional superiority for defense and deterrence, but history suggests that side facing conventional inferiority is more likely to use nuclear weapons.   • “Deterring Without Provoking” Policy Dilemma #2: ROK and U.S. want to improve their ability to target DPRK nuclear forces, thereby exacerbating DPRK fear of such targeting. This increases incentive to build more weapons or even pre-delegate nuclear use authority.   III. How can the U.S. and ROK provide reassurance to North Korea?   • Reduce the temperature, strategically include provocation risk in planning, apply confidence-building measures, and employ nuclear restraints.     ■ Matthew Bunn is the James R. Schlesinger Professor of the Practice of Energy,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at the Harvard Kennedy School.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Matthew Bunn 2023-06-08조회 : 7036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한반도 안보 딜레마 극복을 위한 역내 국가 협력 방안

오우양웨이 궈관 싱크탱크 학술위원회 부주임은 한반도의 주변국들이 북한의 비핵화를 지지하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기에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고 평가하고, 동북아 국가들 간의 건설적인 관계 개선을 통해 안보 딜레마를 극복하고 역내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아울러, 한미중은 핵 안전 및 관련 환경 오염 문제, 대북 인도적 지원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공통된 이익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6자 회담과 같은 다자 협력체를 재가동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본 인터뷰는 “한반도 미래 질서 구축과 대타협의 길: 전략소통, 확장억제, 핵 비확산 분야 협력”을 주제로 한 Global NK 국제회의 두번째 세션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I. Does common interest among stakeholders still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 China-U.S. competition is intensifying while DPRK continues its weapon development, and ROK’s DPRK policy is becoming more hardline under the Yoon administration. However, basis and principles for cooperation among the relevant countries in the Korean Peninsula still exist.   • Regional 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is less likely to turn into a “new Cold War,” since relevant countries still share the common interest of nuclear safety, security, and stability.   II. How can Northeast Asia enhance regional stability and prosperity?   • Stakeholders of the Peninsula still have a space to seek cooperation. Great power competition does not mean confrontation in all fields.   • Nuclear safety, security, avoiding nuclear war, regional stability, and nuclear-related environmental issues are some shared interests and potential areas of China-U.S.-ROK cooperation.   III. What are some areas of cooperation between China, U.S., and ROK?   • Multilateral approaches like the Six-Party Talks have often been suspended, but the basic rules and principles are not outdated. Any possible bilateral or multilateral dialogues to promote denuclearization, security, and stability can be meaningful.       ■ OUYANG Wei is a Senior Research Fellow, Vice-Director of Academic Committee at Grandview Institution, and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Chinese Borderland Securities.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OUYANG Wei 2023-06-08조회 : 6718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워싱턴선언 이후의 대북정책 과제

■ You can visit our Global North Korea site to view the original text or download the pdf.   워싱턴선언과 확장억제력 실행력 강화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4월에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확장억제력을 강화하는 ‘워싱턴선언’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핵능력 고도화에 따른 한국 국민의 불안감이 다소 진정되는 듯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상대의 선의에 기댄 평화는 가짜라며 ‘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하고 한국의 독자 핵개발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워싱턴선언은 윤 대통령의 이러한 인식과 입장을 반영한 확장억제력의 실행력 강화로 볼 수 있다. 이는 그동안의 북한 비핵화 노력이 실패했다는 것과 북한이 당분간 비핵화 대화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한미정상회담에서 차관보급 ‘핵협의그룹(NCG)’을 설치하고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를 확대하기로 합의함으로써 북핵 고도화에 상응하는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을 이뤘다. 미국이 전시작전통제권을 한국과 공동으로 행사하는 가운데 핵협의그룹을 신설함으로써 1953년 10월 1일에 맺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은 워싱턴선언을 통해서 한국의 독자 핵개발 의지를 누르고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를 유지하는 성과를 거두었고, 한국은 북한의 핵 위협을 억지할 수 있는 확장억제 실행력을 높이는 성과를 얻었다. 그러나 공포의 균형을 넘어 북한 핵능력 고도화를 막기 위한 근원적인 해법을 마련한 것은 아니다.   북한은 핵개발의 동기를 북미 적대관계에서 찾고 ‘전쟁억제력’ 차원에서 핵무기를 개발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한미는 ‘확장억제력’으로 북한의 핵사용을 억지하겠다는 공포의 균형전략으로 맞서고 있다. 한국은 ‘힘에 의한 평화’를 내세웠고,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할 경우 ‘김정은 정권은 종말을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북한은 ‘워싱턴선언’을 “극악한 대조선적대시정책의 집약적 산물”이라고 주장하고 “위험천만한 핵전쟁책동은 절대로 용서할 수 없으며 반드시 비싼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조선중앙통신> 2023/4/30).   확장억제력과 전쟁억제력 사이의 공포의 균형   워싱턴선언으로 공포의 균형을 이룬 한반도 정세가 소강국면에 진입했지만 언제 어떤 돌발변수가 나타날지 예측하기 어렵다. 강 대 강 대응 원칙을 세워놓은 북한은 한미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 수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김일성 시대부터 줄곧 ‘쌀은 곧 사회주의’라고 했다. 쌀독만 채워놓으면 북미 장기전을 견뎌낼 수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북한은 농번기를 맞아 당의 전략방침에 따라 식량 증산에 주력하며 도발을 자제하고 있다.   북한이 주장하는 ‘핵에 의한 전쟁억제력’ 확대와 한미가 주장하는 ‘확장억제력 실행력 강화를 통한 공포의 균형’이 평행선을 그릴 경우 북미 정면대결과 남북관계 단절은 장기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북미, 남북 사이에 대화와 접촉이 단절된 가운데 북한의 의도된 도발이든 우발적 사건이든 돌발사태가 일어날 경우 확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조율된 실용적 접근(calibrated, practical approach)’을 내세우고 북한이 호응하길 기다렸지만, 북한은 미국이 적대관계 해소 등 ‘근본문제’ 해결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고 핵무력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확장억제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할 뿐 대화를 복원할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미중 전략경쟁이 본격화하고, 우크라이나전쟁이 수렁에 빠져 한반도 문제가 미국 우선순위에서 밀린 것도 사실이다.   하노이 노딜 이후 남북관계도 서먹해졌다. 지난해 남북 사이의 인적·물적 교류가 한 건도 없을 정도로 남북관계는 완전히 단절됐다. 2020년 6월 16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됐고, 지금은 군통신선과 남북통신연락선도 두절됐다. 김여정 부부장이 “제발 좀 서로 의식하지 말며 살았으면 하는 것이 간절한 소원이다”(<조선중앙통신> 2022/8/18)라고 말할 정도로 남북관계는 멀어졌다.   하노이 노딜 이후 북한은 자본주의 세계경제로의 편입을 거부하고 “지구가 조선을 축으로 도는 새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로동신문> 2022/12/21)고 하면서 ‘북한 중심주의’에 따른 자력갱생에 주력하고 있다. 북한은 지금의 세계정세가 ‘신냉전 체계로 전환되고 다극화 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이에 맞게 국력을 키워나갈 것을 강조하고 있다(<로동신문> 2023/1/1).   ‘담대한 구상’과 북핵해법의 모색   북핵 고도화를 막지 못한 것은 단순화해서 말하면 북한의 핵보유 의지가 국제사회의 핵보유 저지 노력보다 강했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 30여년 동안 북핵해결을 위해 나올 수 있는 해법은 거의 다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전략적 우선 순위와 교환수순에 따라 해법이 달라질뿐이다.   정전체제의 평화체제로의 전환, 북미 적대관계 해소와 관계정상화와 같은 ‘근본문제’를 뒤로하고 경제협력과 인도적 지원을 유인으로 한 한국과 미국의 대북 접근은 정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가다서다를 반복했다. 평화체제와 관련한 협상을 뒤로 미루고 ‘동결 대 보상’ 방식인 ‘안보-경제 교환’으로 북한 비핵화를 추동하려는 북핵해법은 북한의 핵개발 고도화로 실패했다.   북한의 핵위협은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이며 대외정책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근원이다. 한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 부상한 것은 지정학을 유리하게 활용하고 편승했기 때문일 것이다. 냉전구조의 지정학에서는 미국이 선도하고 북한이 채찍질했으며, 탈냉전의 지정학에서는 중국과의 노동분업을 심화하여 고도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우리의 발전을 촉진했던 요소들이 신지정학의 도전으로 작용할 것이다.   미중 전략경쟁이 본격화하고 북한 핵능력이 고도화함에 따라 한국의 정책적 자율성이 제한받을 수밖에 없다. 윤석열 정부는 세계 질서 재편이라는 대전환의 시기에 미국과 ‘글로벌 협력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고, 미국 주도의 규칙기반질서(Rules-Based Order: RBO)와 인도-태평양 중시에 편승하고 있다. 한일정상회담을 통해서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복원하고, 워싱턴선언을 통해서 한미동맹을 강화함으로써 ‘가치외교’에 기반한 한미일 협력관계는 돈독해진 반면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는 공급망의 재편 등으로 조정국면에 접어들었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문제와 관련한 유엔안보리 논의과정에서도 중국과 러시아는 미온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북한이 남한을 ‘명백한 적’이라고 하면서 대남관계를 ‘대적관계’로 전환하고 전술핵 사용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어, 한국 사회 내부에서는 독자 핵개발, 전술핵 재배치, 핵공유 등과 관련한 목소리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북핵해법으로 ‘담대한 구상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제시했다.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 협상에 복귀한다면”(외교부 2022) 비핵화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경제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윤석열 정부의 ‘안보-경제 교환 접근법’에 대해 북한은 이명박 정부의 ‘비핵, 개방, 3000’의 복사판으로 인식하고 곧바로 거부했다(<조선중앙통신> 2022/8/18).   그러나 한국 정부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하고(Deterrence), 제재와 압박을 통해서 핵개발을 단념시키며(Dissuasion), 외교·대화를 통해 비핵화를 추진하는(Diplomacy) 총체적 접근을 통해 북한 스스로 비핵화 협상에 복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통일부 2023, 8).   북한은 ‘유핵 공존’을 고집하고 있고 우리 정부는 ‘비핵 평화 번영’을 추구하고 있어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의 경험에 비춰보더라도 경제지원을 유인으로 한 비핵화를 다시 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북한이 ‘근본문제’라고 생각하는 체제안전보장과 관련한 문제들(한미연합군사연습문제,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전환, 북미관계정상화 등)을 포함하여 비핵-평화 교환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북한을 설득해야 할 것이다.   담대한 구상의 추진을 위한 관건은 핵을 가진 북한과 미국이 어떻게 관계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느냐의 문제를 해결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미국은 북한 비핵화를 전제로 관계정상화를 추진해 왔다. 미국이 핵을 가진 북한과 관계정상화를 추진할 경우 핵을 인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미국이 북한 핵을 인정할 경우 비핵화정책의 실패를 자인하고 핵확산을 막을 수 없는 한계를 노출하게 된다. 그래서 비핵화를 목표로 한 북미관계정상화 수순(sequence)을 마련하고 북한을 설득해 나가야 할 것이다. 윤석열 정부가 북미관계정상화를 위한 외교적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고, 일본도 북일국교정상화에 부정적이지 않아 북미, 북일 관계정상화를 매개로 한 북핵해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북한이 더 이상 비핵화 대화에 나오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3축체계(Kill Chain, KAMD, KMPR) 강화와 북한 핵무력을 무력화할 수 있는 신무기체계(극초음속 미사일, 핵무기를 무력화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 AI 기술을 적용한 무기 등) 개발을 위한 한미협력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로동신문>. 2022. “위대한 김정은 조선은 끝없이 승승장구할 것이다-공화국의 력사에 특기할 2022년의 빛나는 승리에 대하여: 제1편 우리 국가의 70여년 발전행로에서 분수령을 이룬 해.” 12월 21일.   ________. 2023. “당 중앙위 제8기 6차 전원회의.” 1월 1일.   외교부. 2022. “담대한 구상.” 11월 21일.   <조선중앙통신>. 2022. “허망한 꿈을 꾸지 말라.” 8월 18일.   ____________. 2023. “위험천만한 핵전쟁행각의 진상을 해부한다.” 4월 30일.   통일부. 2023. 『비핵 평화 번영의 한반도: 윤석열 정부 통일·대북정책』: 8.   ※ 본 논평은 “Tasks for North Korea Policy After the Washington Declaration” 의 국문 번역본입니다.     ■ 고유환_통일연구원 원장.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명예교수.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고유환 2023-06-08조회 : 7614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핵비확산체제 현황과 전망

윌리엄 토비(William Tobey) 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 소장은 핵비확산체제(nonproliferation regime)의 현황을 평가하고 그에 대한 전망을 제시합니다. 토비 소장은 최근까지 핵확산금지조약(Non-Proliferation Treaty: NPT)이 대체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지만, 러시아가 NPT 조약을 위반하고 다른 나라들의 도전 행위를 비호하는 방식으로 국제질서에 도전하는 가운데 중국과 이란 등 국가들도 이에 동조하고 있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민주주의와 인권 등의 가치를 공유하는 동류(like-minded)국가들이 핵비확산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본 인터뷰 내용은 “한반도 미래 질서 구축과 대타협의 길: 전략소통, 확장억제, 핵 비확산 분야 협력”을 주제로 한 Global NK 국제회의 두번째 세션에서 발표되었습니다.   I. Is the Non-Proliferation Treaty (NPT) still viable?   •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has been a stable regime and a solid asset for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While the death of NPT has been predicted many times, these predictions have been proven wrong. Yet this time may be different.   • Attack on the NPT regime will have a far-reaching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2000s, diplomacy to reverse the DPRK nuclear threat has stalled.   II. Who is threatening the future of nonproliferation?   • The world changed in February 2022 when Russia violated and vandalized the international order. Russia and China, both members of the NPT and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are evidently rethinking or already directly attacking the NPT.   • In response, however, further proliferation cannot be the answer. Like-minded countries supporting the NPT and shared values must act together. They must prepare an active defense of norms, values, and laws, and achieve more tangible defense.   III. How do we rebuild a stable nonproliferation regime?   • Extended deterrence has been the most successful nonproliferation policy in the course of history. The best evidence is shown by the difference between Poland and Ukraine. Fortunately, ROK is part of the U.S. treaty alliance and a beneficiary of U.S. extended deterrence. More work is needed bilaterally and multilaterally to fight against the threat to nonproliferation.   ※ Please cite accordingly when referencing this source.     ■ William Tobey is 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National Security and International Studies at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William Tobey 2023-05-31조회 : 6893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북한의 우주개발: 이상과 현실의 괴리

■ You can visit our Global North Korea site to view the original text or download the pdf.   북한은 김정은 시대 들어 이른바 ‘우주개발’, 특히 ‘우주군사화’에 박차를 가하는 것처럼 보인다. 김정은 위원장은 2021년 1월 개최된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군사정찰위성 설계를 완성”했다며 “가까운 기간 내에 군사정찰위성을 운용해 정찰정보수집능력을 확보”하겠다고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2022년 3월 9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 지도하며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제시된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 기간 내에 다량의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그는 2022년 3월 10일 서해위성발사장을 현지 지도하며 군사정찰위성을 비롯한 다목적 위성을 발사할 수 있도록 위성발사장을 확장·현대화해야 한다고도 지시했다.   북한의 국가우주개발국은 2022년 12월 18일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 시험’을 진행한 뒤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발표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2023년 4월 18일 딸을 대동한 채 국가우주개발국을 다시 현지 지도하며 “4월 현재 제작 완성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러한 최근 동향을 감안해 이 글에서는 북한의 우주개발을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북한의 우주개발 목표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북한이 인공위성을 처음 발사한 시기는 1998년 8월 31일이다. 북한은 당시 ‘광명성-1호’라는 인공위성을 탑재한 ‘백두산-1호’ 장거리 로켓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북한 외부에서는 ‘백두산-1호’ 장거리 로켓을 ‘대포동-1호’ 장거리 탄도 미사일이라고 평가했다. 이를 포함해 북한은 2016년 2월까지 인공위성 발사를 명분으로 내세우며 총 6차례에 걸쳐 장거리 로켓을 쏘아 올렸다. 그렇지만 북한이 발사한 대부분의 장거리 로켓을 한국과 미국 등 북한 외부에서는 장거리 탄도 미사일로 평가했다.   특히, 앞서 언급한 것처럼, 북한은 제8차 노동당 대회 이후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가시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 때문에 북한 외부에서는 대체로 북한이 ‘우주군사화’에 초점을 맞춰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북한이 우주개발을 통해 추구하는 기본목표 중에서 군사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북한이 우주를 개발하는 기본목표에는 군사적 측면뿐 아니라 경제적 측면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는 우주개발에 필요한 과학기술이 갖는 이중용도(dual-use)적 특성, 즉 경제적 측면과 군사적 측면에서 모두 이용될 수 있는 과학기술의 성격에 기인한다. 다시 말하면, 북한이 추진하는 우주개발의 기본목표는 다른 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 특히 김정은 정권이 추구하는 우주개발의 기본적인 목표는 2023년 4월 18일 딸과 함께 국가우주개발국을 방문했던 김정은 위원장의 언급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우주개발이 경제와 안보 모든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우주분야 과학기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경제 발전을 위해 기상관측위성, 지구관측위성, 통신위성 등을, 안보를 위해 군사정찰위성 등을 독자적으로 보유·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은 다양한 위성을 원하는 궤도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운반 로켓과 이를 발사할 수 있는 발사장도 건설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북한의 우주개발 현실과 우주군사화 가능성   북한 외부에서 군사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춰서 북한의 우주개발 목표를 평가하는 이유는 북한이 우주개발을 명분으로 내세우며 보여온 행동, 즉 현실에서 찾을 수 있다. 우주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과학 기술적 역량이 필요한데, 발사체와 인공위성 관련 과학 기술적 역량이 가장 핵심적인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북한은 장거리 탄도 미사일과 기술적 측면에서 대동소이한 발사체 부문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거뒀지만, 인공위성 부문에서는 아직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체적으로 인공위성 부문에서 북한이 그동안 거둔 성과를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북한이 지금까지 시도한 6차례의 인공위성 발사 중에서 4차례는 궤도 진입에 실패했고, 궤도 진입에 나름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는 2기의 인공위성 역시 제대로 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북한의 국가우주개발국과 국방과학원이 2022년 2월 27일과 동년 3월 5일 함께 실시했다고 밝힌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 시험’에서는 군사정찰위성에 탑재될 촬영장치 등이 시험된 것으로 보이는데, 북한이 시험 직후 공개한 사진 등을 봤을 때 군사정찰위성으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반면 북한은 발사체와 관련해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이 실패한 4기의 발사체 중에서 2기는 발사된 이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공중에서 폭발했고, 2기는 3단 분리에 실패했다. 그렇지만 이는 모두 2012년 12월 이전의 일이다. 북한은 2012년 12월 12일 은하-3호 2호기 로켓 발사에, 2016년 2월 7일에는 광명성 로켓 발사에 각각 성공했다. 급기야 김정은 정권은 2013~2017년 ‘경제건설 및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을 국가전략노선으로 추진하고, 2019년 2월 이후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 노선을 다시 추진하며 광명성 로켓보다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는 여러 종류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에서 성과를 거뒀다.   북한은 지금까지 주요한 우주개발 선진국과 교류·협력을 거의 하지 않아 왔다. 우주개발 관련 과학기술의 민감성 등을 고려했을 때, 향후 북한이 주요한 우주개발 선진국과 교류·협력할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만약 북한이 지금까지처럼 향후에도 독자적으로 우주개발을 추진한다면 인공위성 부문에서 단기간 내에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주요한 우주개발 선진국은 군사정찰위성 운용을 넘어 인공위성 무기화 및 우주선(spacecraft)을 이용한 공격 등 이른바 ‘우주전(space warfare)’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한의 우주군사화가 단기간 내에 실현되거나 주요한 우주개발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 본 논평은 "North Korea's Space Development: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의 국문 번역본입니다.   ■ 장철운_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한양대 원자력공학과에서 2004년 학사학위를, 경남대 북한대학원에서 2006년 ‘남북한 핵정책 비교 연구’로 석사학위를,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2014년 ‘남북한 미사일 경쟁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남북관계, 핵・미사일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안보 문제이며, 통일부와 연합뉴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등에서 근무했다.     ■ 담당 및 편집;박정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205)| jhpark@eai.or.kr

장철운 2023-05-22조회 : 9990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악화일로 걷는 미중 “전략적 경쟁”에 대한 중국의 입장

자칭궈 북경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미국이 대만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침해함으로써 미중 양국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국은 기존에 유지해 온 ‘최소억지(minimum deterrence)’와 ‘핵 선제 불사용(no first use)’ 등의 핵 전략을 재고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아울러 자칭궈 교수는 바이든 정부와 의회가 중국에 대한 내정 간섭과 핵 비확산 원칙을 져버리는 행보를 멈추고 미중의 공동 이익 영역을 중심으로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본 인터뷰 내용은 “핵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위기: 한미중 대북정책과 군사충돌 시나리오”를 주제로 한 Global NK 국제회의 첫번째 세션에서 발표되었습니다.   I. The term "strategic competition" is "untraditional, misleading, and U.S.-imposed."   • The term “strategic competition” is “imposed” on China by the U.S., and China has never accepted this term. China believes that this term does not adequately capture the complicated bilateral relationship. Outright “public” competition is untraditional for Chinese—instead, Chinese tend to compete under the table.   II. U.S. attempts to revise the commitments established during China-U.S. normalization.   • United States’ determination to engage in a “strategic competition” has resulted in a distinct pattern of behavior that makes the relationship more difficult and confrontational. Trump and Biden have both been pursuing high-tech decoupling, supply chain redirection, and military preparation in places of China’s interest.   • Of all U.S. actions, China is most concerned about U.S. challenge against the territorial sovereignty and integrity over Taiwan. Under this circumstance, China is rethinking its national strategy.   • Since Biden came into office, U.S. policy toward China has become less volatile and outright provocative. Yet Congress poses the problem—it has become increasingly proactive over Taiwan, passing bills and resolutions unfavorable to China.   • While U.S. “containment” policy against China aims to take away China’s stake in the international order, China must be stronger and more capable to “wreck the [U.S.-led] order” if it finds interest in doing so.   III. If U.S. continues pressuring China on Taiwan problem, China must reconsider.   • China’s nuclear policy has been based on three pillars: (1) minimum in number, (2) no first use, and (3) nonproliferation. With growing U.S. threat, there is growing voices in China calling for a stronger stance.   • In short, U.S. should stop meddling with Taiwan and engage with China. It is never too late to stop confrontation and seek cooperation. ■   ※ Please cite accordingly when referencing this source.     ■ JIA, Qingguo is a Professor of th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Peking University.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JIA Qingguo 2023-05-19조회 : 7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