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지식계가 대북 전략 및 북한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보다 균형 있는 북한과 한반도 문제 연구 및 통일전략과 동아시아전략을 복원하고자 EAI는 2018년 대북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구축을 기획하여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대북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Global North Korea (Global NK)는 아카이브 성격의 웹사이트로써, 제재(Sanctions), 관여(Engagement), 자구(Internal Transformation), 억지(Deterrence)로 구성된 4대 대북복합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주요 4개국인 한국, 미국, 중국, 일본에서 발간한 자료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접근법을 통해 분류한다. 또한, Global NK에서 제공하는 통계치를 통해 웹사이트 이용자는 주요 4개국의 북한에 대한 인식 차이 및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웹사이트는 외부 기관의 북한 관련 발간 자료를 한 곳에 수집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전문가 코멘타리(Commentary)를 발간함으로써 보다 분석적이며 전략적인 방식으로 북한 문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www.globalnk.org

멀티미디어
[Global NK 국제회의] 세션 1. 핵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위기

지난 5월 10일(수)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손열 연세대 교수)은 <글로벌NK (Global NK: Zoom & Connect)>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동아시아 핵 경쟁과 확전 가능성 대응: 미래 한반도 질서 구축을 위한 한미중 협력방안” 국제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한미중 안보 전문가들은 지속되는 북한의 핵 위협과 억지체제의 미래 및 미중 관계 현황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참석자들은 양국 간 “전략적 경쟁”의 정의에 대해 열띤 논쟁을 벌이면서도, 미국과 중국 정부 모두 양국의 관계 악화에 책임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나아가 한미중뿐만 아니라 모든 관여 국가들이 한반도 평화에 대한 공동의 이익을 모색하여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일시: 2023년 5월 10일(수), 09:30-11:10 ■ 장소: 웨스틴조선 서울호텔 오키드룸 ■ 참석자(가나다순): 김인한(이화여대 교수), 박원곤(EAI 북한연구센터 소장; 이화여대 교수), 존 박(하버드대 벨퍼센터 국장), 매튜 번(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 자칭궈(북경대 교수), 장투어셩(궈관 싱크탱크 주임), 하영선(EAI 이사장; 서울대 명예교수)     ■ 발제: 매튜 번 교수(하버드대 케네디스쿨) “Deterring Without Provoking” • Whenever a state makes its key decision, its security implication to the adversary and the adversary’s potential response must be considered. In this context, in order to maximize security, the state must assess both the defense-deterrent value and provocation risks. • What the ROK and U.S. see as deterrent and defensive may be seen as an offensive threat to the DPRK. In crisis, therefore, North Korean misperceptions of ROK-US actions could provoke unwanted escalation. • Escalation risks link deterrence of large-scale war and smaller provocations. “Core” deterrence, or stopping a full-scale war “out of the blue” is likely to be strong, but deterrence of smaller-scale provocations may fail. Big concern on deterrence lies on the inadvertent steps that could lead to war when small conflicts get out of control. • In planning responses to provocations, combined ROK-U.S. forces need to consider both the effect on deterring further outrages and the risk of provoking DPRK. • “Deterring Without Provoking” Policy Dilemma #1: ROK-U.S. want conventional superiority for defense and deterrence, but history suggests that side facing conventional inferiority is more likely to use nuclear weapons. • “Deterring Without Provoking” Policy Dilemma #2: ROK and U.S. want to improve their ability to target DPRK nuclear forces, thereby exacerbating DPRK fear of such targeting. This increases incentive to build more weapons or even pre-delegate nuclear use authority. • So how do we mitigate these dilemmas? Reduce the temperature, strategically include provocation risk in planning, apply confidence-building measures, and employ nuclear restraints.   ■ 발제: 자칭궈 교수(북경대) “The Imposed Strategic Competition: China’s Response and Its Position on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 The term “strategic competition” is “imposed” on China by the U.S., and China has never accepted this term. China believes that this term does not adequately capture the complicated bilateral relationship. Outright “public” competition is untraditional for Chinese—instead, Chinese tend to compete under the table. • United States’ determination to engage in a “strategic competition” has resulted in a distinct pattern of behavior that makes the relationship more difficult and confrontational. Trump and Biden have both been pursuing high-tech decoupling, supply chain redirection, and military preparation in places of China’s interest. • Of all U.S. actions, China is most concerned about U.S. challenge against the territorial sovereignty and integrity over Taiwan. Under this circumstance, China is rethinking its national strategy. • Since Biden came into office, U.S. policy toward China has become less volatile and outright provocative. Yet Congress poses the problem—it has become increasingly proactive over Taiwan, passing bills and resolutions unfavorable to China. • While U.S. “containment” policy against China aims to take away China’s stake in the international order, China must be stronger and more capable to “wreck the [U.S.-led] order” if it finds interest in doing so. Against this background, China rethinks its nuclear policy. • China’s nuclear policy has been based on three pillars: (1) minimum in number, (2) no first use, and (3) nonproliferation. With growing U.S. threat, there is growing voices in China calling for a stronger stance. • In short, U.S. should stop meddling with Taiwan and engage with China. It is never too late to stop confrontation and seek cooperation.   ■ 발제: 박원곤 소장(EAI 북한연구센터; 이화여대 교수) “North Korea’s Nuclear Maneuverings: Signaling the Demise of Longstanding Pursuit for Complete Denuclearization?” • Since 2019 until today, DPRK continues provoking,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pursuing its “Frontal Breakthrough” policy. “Frontal Breakthrough” constitutes four principles: (1) self-reliance, (2) ideological indoctrination, (3) confrontational policy toward ROK and U.S., and (4) nuclear development “in the most sophisticated way.” • Clearly, DPRK’s ultimate goal is to be recognized by the world, U.S. in particular, as a de facto nuclear state. In this context,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CVID) and complete denuclearization are rather unrealistic. • While North Korea continues provocations,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its behavior that have serious implications. Pyongyang explicitly states that the provocations target ROK and U.S., conducts tests during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s, deploys missiles for tangible warfare, diversifies platforms to launch the missiles, and broadcasts its provocations to its own people. •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not holistically disregard the possibility of a seventh nuclear test, DPRK is facing some critical difficulties. Strengthening ROK-U.S.-Japan ties and advancement of the high-tech sector are burdensome to the DPRK. While Kim Jong Un declared that DPRK will achieve 1.4-fold increase in GDP by 2026, this is virtually impossible partially due to its self-imposed border closure. • For effective economic development, North Korea must inevitably come to the negotiating table and take meaningful steps for denuclearization. Without such actions, there remains no chance for sanctions relief. • Partial denuclearization without a clear and comprehensive goal of complete denuclearization could provide space for DPRK to find ways to retain its nuclear arsenal indefinitely.   ■ 토론1: 존 박 국장(하버드대 벨퍼센터) • In a perception vs. reality perspective, we are currently seeing an important dynamic of perception being greater than reality. In fact, contrary to this perspective, historical reality shows that the U.S. is resilient and adaptive to changing order. It also suggests that the U.S. is not in an irreversible decline. • If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is “imposed” by the U.S., as Professor Jia Qingguo suggests, this perception reflects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how the two countries are defining or the term.   ■ 토론2: 장투어셩 주임(궈관 싱크탱크) • Kim Jong Un’s claim that North Korea made a “significant nuclear achievement” is “not totally groundless, but overstat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ncerned about DPRK’s potential nuclear test, but it seems unnecessary for them to conduct it. DPRK already has sufficient capability to deter U.S., ROK, and Japan. • Yet nuclear conflict due to miscalculation could be possible. In an event of a serious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ROK-U.S. and DPRK, North Korea may strike first or the U.S. may strike preemptively. • Some Chinese experts believe that DPRK’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reduced the possibility of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however, increased the risk of nuclear proliferation, potentially creating a domino effect in the region. North Korea’s development of weapons could provide U.S. an excuse to deploy strategic asset to ROK or Japan, thereby posing immense security threat to China.   ■ 토론3: 김인한 교수(이화여대) • Professor Bunn mentioned that ROK-U.S. should avoid provocation and provide reassurance to secure deterrence. Yet this begs an important question about South Korea’s security concerns from the lack of its capability to deter DPRK’s “nuclear” attack. ROK-U.S. must find a balance between keeping a strong alliance and alleviating DPRK’s security concern. • Regarding Professor Bunn’s call for the need to “reduce the temperatu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keep in mind that various approaches like the Sunshine Policy and Six-Party Talks have been taken, but were ineffective. • On Professor Jia Qingguo’s presentation on the “imposed” competition, one should remember that ROK and U.S. never shut China out of the table. China should fulfill its duty by raising its voice against DPRK provocation because this is also a China problem.   ■ 토론4: 매튜 번 교수 • One important aspect in deterring Kim Jong Un from using nuclear weapons is convincing him that the U.S. will not threaten regime survival as long as he doesn’t attack (the U.S. or its allies in the region). • China has done just as much as the U.S. to “impose” the strategic competition. • Given that Secretary Blinken officially said that he hopes to schedule his trip to China, hopefully U.S. and China will get back to conversation. There are many world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future pandemic, and nuclear war, for which U.S.-China cooperation is required.   ■ 토론5: 자칭궈 교수 • China has its own share of responsibility for deteriorating bilateral relationship. China could have handled better in some respect. • At the moment, U.S. and China both face opportunities and shared interest in stabilization and even improvement of bilateral relationship. Biden has flexibility to handle the relationship with China, and China needs to restore economic growth.   ■ 토론6: 박원곤 소장 • DPRK emphasizes its right to survival, which includes permanently halting joint military exercises and deployment of strategic assets, and withdrawal of the USFK. At the same time, DPRK knows that ROK and the U.S. will not attack them first. • Nevertheless, both the ROK and U.S. governments need to work on signaling the possibility of dialogue with North Korea. Biden administration’s “calibrated and practical approach” still remains elusive. • Meanwhile, it is critical for ROK to enhance its own deterrence capability with the help of the U.S. and Japan. As South Korea needs to pursue integrated deterrence with the U.S., it has no choice but to further strengthen the ROK-U.S.-Japan trilateral cooperation.     ■ 김인한_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박원곤_동아시아연구원(EAI) 북한연구센터 소장;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 존 박_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 한국프로젝트 국장. ■ 매튜 번_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제임스 R. 슐레진저 교수. ■ 자칭궈_북경대학교 교수. ■ 장투어셩_궈관 싱크탱크 주임 ■ 하영선_동아시아연구원(EAI)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www.youtube.com/embed/GcJbyNtnNNU

동아시아연구원(EAI) 2023-05-17조회 : 8533
멀티미디어
[Global NK 국제회의] 세션 2. 한반도 미래 질서 구축과 대타협의 길

동아시아연구원(EAI)이 5월 10일 개최한 Global NK 국제회의의 두 번째 세션에서, 한미중 안보 전문가들은 한반도 미래 질서 구축을 위해 핵 비확산과 원자력 안전 등 3국이 협력해야 할 분야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전문가들은 역내 군비경쟁의 책임 소재를 놓고 입장 차이를 보이면서도, 이러한 이견을 좁히고 상호 협력을 강화하여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함께 도모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 일시: 2023년 5월 10일(수), 11:10-12:20 ■ 장소: 웨스틴조선 서울호텔 오키드룸 ■ 참석자(가나다순): 김태형(숭실대 교수), 손열(EAI 원장; 연세대 교수) 오우양웨이(궈관 싱크탱크 부주임), 자칭궈(북경대 교수), 전재성(EAI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 서울대 교수), 프란체스카 지오바니니(하버드대 벨퍼센터 국장), 윌리엄 토비(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장)     ■ 발제: 윌리엄 토비 소장(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 “A Path Forward on Nuclear Nonproliferation” •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has been a stable regime and a solid asset for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While the death of NPT has been predicted many times, these predictions have been proven wrong. Yet this time may be different. • Attack on the NPT regime will have a far-reaching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2000s, diplomacy to reverse the DPRK nuclear threat has stalled. • The world changed in February 2022 when Russia violated and vandalized the international order. Russia and China, both members of the NPT and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are evidently rethinking or already directly attacking the NPT. • In response, however, further proliferation cannot be the answer. Like-minded countries supporting the NPT and shared values must act together. They must prepare an active defense of norms, values, and laws, and achieve more tangible defense. • Extended deterrence has been the most successful nonproliferation policy in the course of history. The best evidence is shown by the difference between Poland and Ukraine. Fortunately, ROK is part of the U.S. treaty alliance and a beneficiary of U.S. extended deterrence. More work is needed bilaterally and multilaterally to fight against the threat to nonproliferation.   ■ 발제: 오우양웨이 부주임(궈관 싱크탱크) “Seeking Cooperation Amid Strategic Dilemma” • China-U.S. competition is intensifying while DPRK continues its weapon development, and ROK’s DPRK policy is becoming more hardline under the Yoon administration. However, basis and principles for cooperation among the relevant countries in the Korean Peninsula still exist. • Regional 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is less likely to turn into a “new Cold War,” since relevant countries still share the common interest of nuclear safety, security, and stability. • Countries, therefore, still have a space to seek cooperation. Great power competition does not mean confrontation in all fields. Nuclear safety, security, avoiding nuclear war, regional stability, and nuclear-related environmental issues are some shared interests and potential areas of China-U.S.-ROK cooperation. • Multilateral approaches like the Six-Party Talks have often been suspended, but the basic rules and principles are not outdated. Any possible bilateral or multilateral dialogues to promote denuclearization, security, and stability can be meaningful.   ■ 발제: 전재성 소장(EAI 국가안보연구센터; 서울대 교수) “Navigating Future Security Challenges in the Korean Peninsula: Nuclear Deterrence and Strategic Engagement” • U.S.-China relations may be adversarial on the surface, but this is based on strategic mistrust and misperception that can be resolved. U.S. thinks that China’s drive for economic development is revisionist in nature, and China believes that the U.S. is containing China unjustly by challenging its territorial sovereignty and integrity over Taiwan. • After the Bali Summit in November 2022, there have been some signs of positive changes. Cautious optimism was observed from the Chinese side, and the U.S. tried to present a vision for ultimate goal of its China strategy. • Yet to improve its position and enhance the credibility of such commitment, the U.S. should present a more explicit strategic framework implying that it wishes to manage the competition in a reasonable manner. In order to achieve mature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engage in continuous dialogue, diplomacy, and rules-based competition. • For Korea, the U.S.-China arms race is increasingly more threatening. ROK should try to find a “strategic space” to enhance cooperation with the two countries. • Washington Declaration was more focused on confirming reassurance for ROK. But this has provoked DPRK in some sense. We need communication with the adversary counterpart and send a signal to the DPRK that extended deterrence is inherently defensive, not offensive.   ■ 토론1: 자칭궈 교수(북경대) • As Professor William Tobey mentioned, the fact that the NPT is under threat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The NPT faces numerous challenges. The U.S. itself challenges the regime by deploying nuclear submarines to Australia, and Washington actively discusses deploying tactical nuclear weapons to South Korea and Japan. • Nuclear safety is a shared interest in the region, and pragmatic steps are required to ensure this. In this front, both the U.S. and China want stability and have in fact voiced strong commitment. However, the reality is much more complicated. Nevertheless, U.S. and China should have benign competition and compete to be better.   ■ 토론2: 프란체스카 지오바니니 국장(하버드대 벨퍼센터) • It is true that future East Asian order will be predominantly shaped by competition and cooperation between U.S. and China. This order will further shape the general international order as well. • U.S. and China relations can be defined as “complex interdependence.” The competition cannot be understood in a merely “security dynamic” perspective. While the two states are engaged in competition, there exists a need for cooperation. • DPRK can offer a valuable opportunity for U.S. and China to show the world that great power cooperation can work. China is a major player, a responsible actor in dealing with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China should recognize and come to the table as it did during the Six-Party Talks. • China and ROK-U.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oward the DPRK, but this is due to a “sequencing dilemma.” China argues that economic cooperation must be realized first in order to reduce the DPRK insecurity, while ROK-U.S. believes that security guarantee must be achieved before any economic cooperation is realized. So in the long term, all parties must commit to dialogue to close this gap.   ■ 토론3: 김태형 교수(숭실대) • Future of NPT is grim. U.S. already faces critical challenges, such as providing reassurance and efficient arms control to its allies. In current international politics, NPT is being increasingly threatened and the U.S., Russia, and China are all modernizing their nuclear forces. • If ominous forecasts realize, great powers (especially the U.S.) will face immense pressure in terms of preserving the NPT and providing effective extended deterrence to allies. Therefore, it is urgent and imperative for concerned parties to proceed with nuclear arms control talks, which have been proven useful for quite some time. • Today, significant level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helping some countries build better counterforce capability to nuclear powers. Consequently, some nuclear powers will have less confidence in their survival, which could lead to an arms race to develop more weapons. This trend is happening globally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arms control as well as the NPT. • Extended deterrence is important because it alleviates ROK’s threat perception toward DPRK. However, too much emphasis is given to nuclear weapons. This could give a wrong impression that maintenance of the ROK-U.S. alliance and deterrence against the DPRK nuclear threat is only achieved with nuclear weapons. • It is true that common interests exist among relevant stakeholders in the Peninsula, but each country prefers to prioritize its own national interest. Every country is blaming each other for the DPRK stalemate.   ■ 토론4: 윌리엄 토비 소장 • Two clarifications must be highlighted: Australia firmly agreed to the legal and physical steps ensuring that fuels for the nuclear submarines will not be used for weapons, and no U.S. executive officials are considering the deploy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in Japan and ROK. • Reemergence of great power competition is a great challenge, and this issue is larger than nonproliferation. EU, Japan, ROK, U.S., and other like-minded countries should bond not just for nuclear weapons, but for global security. These countries, when working together, will be extremely powerful.   ■ 토론5: 오우양웨이 부주임 •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nuclear safety” and “nuclear security” are two different concepts. The former also applies to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 Since China and ROK are neighbors, they already have channels for dialogue. The U.S. does as well, since there are hotlines. So opportunities for restarting bilateral dialogues exist, perhaps through means like a 1.5 track.   ■ 토론6: 전재성 소장 • To address Chinese concern toward ROK’s potential change in its Taiwan policy, ROK’s official policy on Taiwan remains the same—it supports peace, prosperity, and stability in the Taiwan Strait. While ROK respects the One China Policy, Taiwan Strait is considered important since it is directly related to ROK’s trade and military stability. • However, Chinese question about ROK’s potential change in policy is understandable, because ROK President and Foreign Minister recently have been echoing U.S. rhetoric of opposing a unilateral change to the status quo. Seoul needs to do more work to clarify what opposing change to the status quo means for ROK. • ROK is critically affected by and vulnerable to the growing U.S.-China competition. In this context, ROK hopes it can participate in a multilateral conversation to figure out where and how ROK can raise its voice.     ■ 김태형_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손열_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오우양웨이_궈관 싱크탱크 부주임. ■ 자칭궈_북경대학교 교수. ■ 전재성_동아시아연구원(EAI)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 프란체스카 지오바니니_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 핵관리 프로젝트 국장. ■ 윌리엄 토비 _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 국가안보국제문제연구실 소장;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 선임연구원.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동아시아연구원(EAI) 2023-05-17조회 : 7695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한미 정상회담과 북한 문제를 둘러싼 한미협력 방안

■ You can visit our Global North Korea site to view the original text or download the pdf. 윤석열 대통령은 4월 26일 미국을 국빈(state visit) 방문한 후 귀국했다. 한국 대통령으로는 12년 만의 국빈 방문이었다. 2021년 1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후 여태껏 미국을 국빈 방문한 타국의 정상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유일하다. 타국의 정상이 국빈 방문하면 초청 국가는 최고의 손님으로 예우한다. 으레 초청 국가의 원수가 직접 공항에 나가 영접하고, 의전도 매우 화려해 국빈만찬을 포함해 다양한 공식 행사가 펼쳐진다. 국빈 방문 및 행사에 수반하는 비용 역시 대부분 초청 국가가 부담한다. 이러한 번거로움과 거창함 때문에 타국의 정상들은 대부분 “공식 방문(official visit)”의 형식을 빌려 미국을 방문한다. 의전도 상대적으로 간소하고 비용도 적게 들기 때문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윤 대통령을 국빈으로 초청해 극진한 예우를 갖춰가며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데에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동맹 파트너로서 한국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다시 도래한 강대국 경쟁의 시대에 한국은 미국에 중요한 전통 안보 파트너(traditional security partner)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경제 안보 파트너(economic security partner)이기도 하다.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에서 한국은 미국의 핵심 파트너다. 한국과 미국은 2021년 5월 문-바이든 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을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킬 것을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에 합의했지만, 정상회담 후 이렇다 할 후속 조치가 나오지 않았다. 이에 비해 2022년 5월 윤-바이든 정상회담 후에는 포괄적 전략동맹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나오고 있다. 2022년 4월 정상회담에서도 양 정상은 더 진화된 포괄적 전략동맹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줬다.   윤 대통령이 받은 환대에는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용단을 내린 윤 대통령에 대한 고마움도 반영됐을 것이다. 원만한 한일관계는 원활한 한미일 공조의 선결 조건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일관계가 악화하는 상황을 방관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일관계 개선을 종용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본적으로 한국이 더 전향적인 조처를 취해 한일관계 복원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가뜩이나 어려운 한일관계를 오바마 행정부가 어렵사리 중재해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로 봉합했는데, 2018년 문재인 정부가 이를 실질적으로 무력화했고 징용공 관련 대법원 판결에 수수방관하면서 한일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고 판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일관계 개선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윤 대통령의 “통 큰” 결단을 쌍수를 들고 환영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결단을 내린 다음 날 당시 안보실장이 방미해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과 4.26 정상회담을 확정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12월 윤 정부가 선보인 한국의 인도-태평양(이하 인태) 전략 역시 크게 반색하고 있다. 한국의 인태 전략은 역내 모든 국가가 수용할 수 있는 자유, 평화, 번영의 목표와 포용, 신뢰, 호혜라는 원칙을 표방하고 특정 국가를 배척하지 않는다. 하지만 윤 정부가 인태 전략을 갖추면서 전략적으로 미국에 한층 더 가까워졌다는 사실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한일관계는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고 한국의 인태 전략도 이제 막 걸음마를 내걸었다. 그래도 12년 만에 일본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인태 전략을 장착한 윤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에서 큰 짐을 덜어냈다. 이를 미국에 대한 발언권 강화의 기회로 삼아 한미 정상회담에 임한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을 목전에 두고 이뤄진 안보실 인사 파동과 대통령실 도감청 문제로 매우 어수선한 분위였지만, 윤 정부는 4.26 정상회담에서 대북 확장억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워싱턴 선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북핵 억제 외에도 북핵 문제 해결과 나아가서는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요성을 더 부각할 수 있어야 한다.   2015년 10월 16일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와 한반도 통일에 특화된 “2015년 북한에 관한 한미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양국 정상이 역사상 처음으로 북한과 한반도 통일 문제만을 따로 다룬 공동성명을 채택한 것이다. 이러한 공동성명이 나온 배경을 살펴보면 2023년 현재 상황과 상당한 유사점이 발견된다.   “전략적 인내”로 불리던 당시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정책은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한국에서는 북한 문제가 미국 외교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었다. 역사문제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 임기 내내 한일관계가 껄끄러운 상황이었다. 아베 총리에게 눈길 한번 제대로 주지 않았던 박근혜 대통령이었지만 오바마 행정부는 끈질기게 설득했고, 2015년 한일위안부 합의를 도출하면서 한일관계는 복원의 추동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순서상으로는 박-오바마 정상회담 이후에 한일위안부 합의가 나왔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별도의 “2015 북한에 관한 한미 공동성명”을 채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박근혜 정부의 조치가 어느 정도 지렛대로 작용했을 것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급증하고 있지만, 미중 경쟁과 타이완 이슈, 그리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북한 문제가 바이든 행정부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상당한 정치적 손실을 감수하며 한일관계 개선의 물꼬를 튼 윤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핵 억제를 보다 명확히 한 워싱턴 선언을 발표했고, 워싱턴 선언의 내용을 구체화할 한미 핵협의그룹(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을 발족하기로 했다. 다음 정상회담에서는 바이든 대통령과 포괄적 차원의 “북한에 관한 한미 공동성명”을 별도로 채택해야 한다. 2015년 공동성명에 나온 내용을 상당 부분 반복해도 무방하다. 다음 공동성명에서도 북핵 문제의 “최고 시급성(utmost urgency)”과 해결을 위한 양국의 “의지(determination)”를 표명해야 한다.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의 협조를 요청해야 할 것이고, 이는 중국과 러시아에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최근 미국의 조야에서는 북한 비핵화는 물 건너갔다는 자조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음 공동성명에도 2015년의 성명과 같이 한미는 북한에 대한 적대 정책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북한을 절대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고 북한 핵에 대한 최종 목표는 여전히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비가역적인 비핵화)의 평화적 달성이라고 강조해야 한다.   2015년 성명이 대화를 위해 북한의 선제적 조치를 요구했지만, 다음 공동성명은 아무런 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할 수 있음을 표명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윤 정부의 대북 정책인 “담대한 구상”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지지 표명을 성명에 담아내야 한다. 담대한 구상은 이전의 대북 구상과 달리 북한의 선제적 조치를 요구하지 않고 일단 북한이 비핵화 대화에 나오기를 권고하고 있다. 아울러 윤 정부는 기존의 담대한 구상에 정치군사적 보상안 및 북미 사이 한국의 가교역할 등을 보완하여 중장기적인 “한반도 평화 구축방안”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2015년 북한에 관한 성명에는 북핵 문제 외에도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지지”가 명시되어 있다. 양국은 “한반도 평화통일의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고위급 협의를 강화할 것”이라고도 되어있다. 지금 한반도 통일 담론이 국내외적으로 동력을 상실한 상황인데, 통일 담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한미 정상회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2015년 성명과 같이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지지 의사를 도출해 다음 공동성명에도 명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2013년 한미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비핵화, 민주주의, 자유시장경제 원칙에 기반한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는 데 합의했었다. 다음 정상 선언문에는 한반도 통일이 핵확산·핵안전, 인권유린, 환경파괴, 사이버 범죄 등의 문제를 해결해 인류에 기여하는 글로벌 공공재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는 것은 어떨까? 윤 대통령의 방미가 상당히 많은 성과를 거뒀지만 가장 괄목할 만한 성과는 역시 “워싱턴 선언”이다. 윤 대통령이 언급한 바와 같이 1953년 체결된 한미 상호방위조약은 재래식 무기에 기반하고 있다. 급증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감안하면 재래식 무기뿐 아니라 핵무기도 포함한 새로운 한미 방위조약으로의 업데이트는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다음번 한미 정상회담 선언문에는 조금 더 포괄적인 수준에서 북한 핵 문제의 시급성과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담아내야 한다. 한국의 대북 정책인 담대한 구상과 한반도 통일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지지 역시 명시할 수 있어야 한다.■ ※ 본 논평은 "The South Korea-U.S. Summit and Measures to Enhance Bilateral Cooperation on North Korea" 의 국문 번역본입니다.   ■ 김재천_서강대학교 교수. 예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고, 2003년부터 서강대 국제대학원에서 국제정치를 가르치고 있다. 현재 서강대 국제대학원 원장을 맡고 있다. 아울러 국가안보실과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고 있고, 통일준비위원회와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위원,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서강대 국제지역연구소장과 조지워싱턴대 시거(Sigur) 아시아 연구소의 폴브라이트 방문학자, 덴버대학교 국제대학원 방문교수를 지내기도 했다. 미국외교정책, 미중관계, 동북아국제질서, 남북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 담당 및 편집;박정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hpark@eai.or.kr  

김재천 2023-05-02조회 : 9337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글로벌 중추국가’ 한국의 역할: 북한인권, 가치외교, 인도적 지원

동아시아연구원(EAI)은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를 초청하여 북한의 인권 실태와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한 견해를 들었습니다. 이신화 대사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도약하기 위해서는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 실태에 대한 책임 규명 노력과 국제공조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아울러 북한인권 개선에 관한 여러 문제 가운데 특히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도적 지원에 대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합니다.   I. Call for protec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defectors, and South Korean detainees   • Ambassador Lee categorizes the victims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problem into three groups: North Korean residents,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POW.   • Right to food and right to information must be secured for those residing in North Korea. Defectors who face risk of forced repatriation must be protected.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also prioritize the repatriation of ROK nationals abducted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 Ambassador Lee highlights that compared to countries like Japan, which prioritizes repatriation of unreturned abductees as the core of its DPRK policy, “there has been a lack of government-level efforts in South Korea to address these issues.”   II. Media is uninterested and people of tired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 “Unless something very big happens in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is still sidelined,” says Ambassador Lee. The media is currently preoccupied with what is going on in Ukraine.   •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as well as missile issues have been there for two to three decades, and yet nothing has changed.” This has brought about a “fatigue phenomenon.” Revitalizing interest and awareness toward this problem is a key task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II. South Korea’s quest to strengthen its position as a “Global Pivotal State”   • Ambassador Lee suggests the following actions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in order to pursue its goal of establishing itself as a “Global Pivotal State”: (1) conduct value diplomacy, (2)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like-minded countries, and (3) engage with neutral states or non-democratic countries.   • Addressing the DPRK human rights issues could be a “stepping stone to show the world that South Korea is committed to values, norms, freedom, and human rights.” Also, Ambassador Lee is working har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articularly the United Nations, to galvanize international awareness and attention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IV. The role of humanitarian aid in conducting a constructive inter-Korean engagement   • “While previous progressive government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humanitarian and economic assistance in order to improve their chance of engaging with the DPRK regime,” Ambassador Lee disagrees with this point of view.   • Ambassador Lee highlights that “humanitarian and economic assistance toward North Korea is important because those are the crucial means to improve the daily living conditions of the ordinary North Korean people.” In such context, she claims that finding ways to “improve transparency and engage directly with the ordinary North Koreans” is a key task for her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   ※ Please cite accordingly when referencing this source.       ■ Lee Shin-wha_is a Professor of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Korea University; Ambassador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Member of Trilateral Commission. Her previous positions include Special Advisor to UN Secretary-General Kofi Annan’s Rwandan Independent Inquiry; Chair’s advisor of East Asian Vision Group (EAVG), Full-time visiting professor at Columbia University, Visiting scholar at MIT’s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UN Secretary General’s Advisory Group Member of Peacebuilding Fund. Her numerous publications, including an edited volume UN, Indo-Pacific and Korean Peninsula (Routledge 2023), cover East Asian multilateral security and foreign policies, UN security roles, and human security.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이신화 2023-04-20조회 : 7272
멀티미디어
[Global NK 인터뷰] 개선되지 않는 북한 인권문제: 북한 정권과 한국 정부의 책임

동아시아연구원(EAI)은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초청하여 북한 인권문제 개선과 남북 경제협력 전망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태영호 의원은 2016년에 통과된 북한인권법 등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변화가 생기지 못한 이유로 김정은 위원장의 공포통치와 한국의 정치적 양극화 문제를 꼽습니다. 아울러 북한 정권이 무기 역량 고도화에 매달리는 한, 개성공단을 통한 남북한 경제협력이 재개되기는 어렵다고 강조합니다.   I. Human rights violations under merciless Kim Jong Un   • In communist states, “as the living standards and income level of people improve, the level of human rights violations also generally decreases.” However,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North Korea.   • During the past ten years, the North Korean regime’s human rights violations have been committed “at a level unimaginable even to the elites.” In the course of the power struggle, Kim Jong Un went as far as killing his own family members, and shut down the entire borders during the COVID pandemic.   II. Polarization and inconsistency forestall progress in addressing DPRK human rights   • South Korea “cannot reach a single compromise on the issu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because “the whole country is so polarized.”   • On March 30, 2023,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ublished its first human rights report on North Korea. South Korea is the “last country among free democracies to release such report at the government-level.”   • The policy inconsistency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under different administrations also affect the inter-Korean relations. The North Korean regime assesses wheth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willing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by watching whether the government brings up human rights issues.   • Rep. Tae “always strongly urg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gardless of its political stance, to maintain consistency in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III. Grim future ahead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 The two reasons why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as been closed are as follows: (1) international pressure to stop South Korean government from delivering cash notes to pay the North Korean workers, and (2) the risk of letting North Korea justify its weapons development.   • If North Korea does not stop its weapons testing and development, there is no hope of resuming the Industrial Complex. ■   ※ Please cite accordingly when referencing this source.       ■ Tae Yong-ho_is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Gangnam Gab district. He is the first Korean from North Korea to be elected by constituent a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ppointed as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s International Relations Committee Chairman, selected as the Vice Chair of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and unific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elected as the member of the Supreme Council of the ruling party.     ■ 담당 및 편집: 박지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8) | jspark@eai.or.kr  

태영호 2023-04-20조회 : 7264
논평이슈브리핑
[북한 신냉전 담론 시리즈] ⑥ 북한의 신냉전 인식과 한국의 대외전략

■ You can visit our Global North Korea site to view the original text or download the pdf.   1980년대 말, 미국과 소련 간의 냉전은 종식되었지만, 한반도는 지금까지도 냉전 질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한반도에 이제 신냉전 구도가 도래하고 있는가? 북한은 최근 국제관계에서 신냉전 질서가 도래하고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021년 시정연설에서 “미국의 일방적이며 불공정한 편 가르기식 대외정책으로 인해 국제관계 구도가 ‘신냉전’ 구도로 변화되면서 한층 복잡다단해진 것이 현 국제정세 변화의 주요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2022년 12월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보고를 통해 “국제관계 구도가 ‘신냉전’ 체제로 명백히 전환되고 다극화의 흐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정은의 새로운 세계질서에 대한 인식은 미·중 전략경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달라진 국제정세를 반영한다. 그는 변화된 세계질서가 한반도 안보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이는 북한에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갈 개연성이 높다고 믿는 것처럼 보인다.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다극체제로 전환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권력구조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북한은 변화된 국제질서에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외교 분야에서 현재 미국의 대북정책과 국내정치, 변화하는 글로벌 세력균형을 연구하고 전략적인 대미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전술적 조치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그간 북한은 미중 갈등 속에서 중국을 적극 지원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히 옹호하며 우크라이나 사태의 근본 원인이 미국과 서방의 패권 전략에 있다고 주장해왔다.   물론, 신냉전 질서가 고착화될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다만 변화하는 세계 질서는 한국에 더 큰 도전을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에서 양극체제나 다극체제로의 세력 균형 전환을 고려했을 때, 변화하는 역내 안보 환경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은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하여 신냉전이 한반도에 주는 함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실, 미국과 중국의 반복되는 갈등은 중국과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려는 한국에 복잡하고 어려운 도전을 안겨주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 대북 접근 방식은 미국 주도의 단극 체계를 기반으로 한 탈냉전 지역 안보 체제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북한이 1990년대 초 냉전기 후원국이었던 소련과 중국을 잃고 고립되어 있던 동안, 한국은 우호적인 안보 환경을 활용하여 강력하고 단호한 대북정책을 추구해왔다.   1990년대 초 냉전이 끝난 이래 모든 한국 정부는 북한을 포용하든 압박하든 북한이 체제 성격을 바꾸도록 설득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노태우 정부 시절의 북방정책은 한반도에 남아있던 냉전 질서를 붕괴시키고 분단된 한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김영삼 정부는 특히 1994년 김일성의 사망 이후 북한 체제의 붕괴와 남한 주도 하에서의 통일을 기대하며 북한을 궁지로 몰아넣었다.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는 북한을 포용했고 남한 주도로 체제 개혁을 이루어 내려고 하였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또한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한 강경하고 단호한 대북정책을 추구하며 북한이 국제규범을 수용하고 기존의 행동 방침을 바꾸도록 강제하려고 하였다. 반면, 북한의 지도자들은 1980년대 후반 이후 글로벌 냉전의 종식과 함께 한반도에서의 세력 균형이 북한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왔다. 김일성은 소련의 붕괴와 중국의 변화 과정에서 북한의 안보 환경을 재평가했다. 북한은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불리한 안보 환경을 타개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해왔다.   그 이후로 북한은 6번의 핵실험을 감행했고, 스스로를 핵무기 보유국이라고 선언했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 미국과 긴밀한 안보 협력을 약속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연합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미국의 확장 억제력을 강화하는 등 한미동맹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근 한국 정부는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미국이 주도하는 규칙 중심의 국제질서를 강력히 지지하고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통해 자유와 평화, 번영을 앞당기는 등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신냉전 상황에서 이러한 정책이 성과를 거두기는 쉽지 않다.    미중간 우호적, 협력적 외교 관계의 조성이 한국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일 것이다. 하지만 김정은이 예상하는 대로 국제관계에 냉전 질서가 다시 도래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가? 신냉전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군사 도발에 대해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불법이며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최근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2017년까지 북한의 핵, 미사일 실험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대북 제재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진 것과는 상반되는 행보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강력한 제재가 오히려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며 이미 시행 중인 제재를 해제하거나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러시아, 중국은 지금까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의 군사 도발과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놓고 논쟁을 벌여왔으며, 이러한 논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은 북한의 도발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킨 한미동맹과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정당한 대응이라는 입장을 반복하며 대립각을 세워왔다. 이러한 분열은 국제사회가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해 실제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막는다는 점에서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문제는 신냉전 긴장이 고조되면서 더 이상 북한 문제를 탈냉전의 틀 내에서 다룰 수 없다는 점이다. 한반도 주변 지역 질서가 다시 미국·일본·한국 대 중국·러시아·북한의 냉전 구도에 놓이게 된다면 북한은 더 이상 고립국가가 아니게 된다. 북한은 러시아와 중국에 강하게 의존하면서 그들에게 지지를 받는 국가가 될 것이다. 물론, 러시아와 중국은 북한을 예전처럼 인식하지도 않고, 북한 또한 두 국가를 무조건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후원국으로 보지 않는다. 하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미국을 상대하는 데 있어 북한 문제를 지속적이고 전략적으로 이용할 것이다. 북한은 러시아와 중국의 이러한 입장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북한의 전략적 이점을 위해 이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을 가장 난처하게 하는 것은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킬 영향력 및 효과적인 레버리지가 없다는 점이다. 한미동맹은 북한이 군사적으로 도발하는 것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북한의 행동을 바꾸는 데는 한계가 있다. 신냉전 상황이 심화될 경우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북한의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특히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한반도 전체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또한 자연히 커질 것이다. 국제정세가 결코 유리하지 않게 흘러가는 신냉전 상황에서 한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본 논평은 "Pyongyang in Search of a New Cold War Strategy" 의 국문 번역본입니다.   ■ 황지환_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콜로라도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가톨릭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에서 1년간 방문학자를 역임했으며 조지워싱턴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남북한 관계를 가르쳤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 한국 정부에서 여러 자문직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North Korea Problem from South Korea’s Perspective,” “The Paradox of South Korea’s Unification Diplomacy”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박정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hpark@eai.or.kr  

황지환 2023-04-05조회 : 11762
논평이슈브리핑
[북한 신냉전 담론 시리즈] 북한의 신냉전론에 대한 각국의 입장

  김정은 위원장은 제8기 6차 전원회의를 통해 “국제관계 구도가 '신냉전' 구도로 변화했다”고 천명하며 북중러의 전략적 연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북한과 달리 중국은 명확한 대러 지지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대신 우크라이나 전쟁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중재안을 제시하는 등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입니다. 동아시아연구원(EAI)은 외형상 긴밀해지는 북중러 관계 이면에 복잡하고 상이한 전략적 계산이 자리하고 있다는 문제인식 하에, 북한이 그리는 신냉전 질서에 대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논평을 시리즈로 발표합니다. 6인의 각 지역 전문가들은 북한 신냉전 담론에 대한 주변국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진행될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질서의 향방에 대한 전망을 제시합니다.   보고서 발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 박원곤, "북한이 그리는 신냉전의 세계" [논평 읽기] 2부: 이동률, "북한의 신냉전론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셈법" [논평 읽기] 3부: 김현욱, "북한의 신냉전 인식에 대한 미국의 입장" [논평 읽기] 4부: 장세호, "북한의 신냉전 인식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 [논평 읽기] 5부: 오승희, "북한의 신냉전론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전략" [논평 읽기] 6부: 황지환, "북한의 신냉전 인식과 한국의 대외전략" [논평 읽기]  

2023-04-04조회 : 7719
논평이슈브리핑
[북한 신냉전 담론 시리즈] ⑤ 북한의 신냉전론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전략: 일본의 방위력과 글로벌 규범력 강화

■ You can visit our Global North Korea site to view the original text or download the pdf.   한중일 3국 협력에 대한 북한의 적대감   2022년 12월 개최된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북한이 당면한 현재의 대외환경을 ‘신냉전(New Cold War)’으로 규정하고 한미일 3국 협력을 적대적으로 인식했다. 한미일 3각 공조 실현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아시아판 나토’와 같은 새로운 군사 블록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북한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핵무력과 국방력 강화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올해 4월 13일 기준, 9차례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으며, 최근의 미사일 발사는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 FS) 훈련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다. 북한은 “미국과 그 추종자들의 가장 악랄한 음모에 대한 가장 강경한 대응”을 예고한 바 있으며(Bae 2023) 최근 한국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위해 일본에 방문하기 전에도 미사일을 발사했다. 일본에서는 특히 북한 미사일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 낙하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 글은 북한에 대한 일본의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 위협에 대한 일본의 대응 전략을 살펴본다.     북한에 대한 일본의 인식: 북한을 ‘관심사항’으로 고려   일본 정부는 “여러 현안을 종합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라는 근본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해왔다(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2).” 일본 내각부는 2002년부터 <외교에 관한 여론조사>(外交に関する世論調査)를 실시하고 있는데, 다른 나라에 대한 인식으로 선호도나 호감도를 묻는 것과 달리, 북한에 대해서는 ‘관심 사항’을 질문해오고 있다. 주요 항목으로는 일본인 납치문제, 핵문제, 미사일 문제, 북일국교정상화가 있으며, 이 네 가지 문제가 북한과 관련된 주요 관심사항으로 확인되어오고 있다.   <그림 1> 북한에 대한 관심사항(2002-2022)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일본인 납치문제를 상회했고, 북일 관계정상화 논의는 관심사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다(그림 1). 북한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로서의 일본이라는 인식이 계속해서 심화되며 북한에 대한 일본의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미사일 발사가 잦아지면서 경보가 울리면 주민들이 대피하는 훈련을 하는 등 북한에 의해 제기되는 위협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북한의 안보 위협: 일본의 안보 및 다자적 이니셔티브 강화   “북한의 군사 활동은 그 어느 때보다 일본의 국가 안보에 중대하고 임박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북한의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는 일본은 물론 국제사회에 심각한 도전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은 G7을 포함한 다양한 다자적 이니셔티브를 통해 강력하게 항의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북한의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모든 범위의 탄도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를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집행을 위해 국제사회가 협력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호소한다. 일본은 외국 지도자들과 장관들과의 회담에서 이러한 점들을 거듭 강조하며 북한발 안보 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Cabinet Secretariat 2022).   일본은 북한이 제기하는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다자간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우선시하면서 동시에 자국의 안보를 강화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 77년간 일본은 평화헌법 9조에 따라 전수 방위에 기초한 제한적 방위 원칙을 고수했다. 그러나 북한의 안보 위협, 미중 경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안보 위협은 일본의 방위력 강화를 위한 근거를 강화시켰다. 일본은 2027년까지 국방예산을 현재 GDP의 2% 수준으로 늘리기 위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Cabinet Secretariat 2022).   일본은 현재 전후레짐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글로벌 강대국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일본은 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에 대해 G7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G7은 일본과 한국과의 완전한 연대를 표명했고 북한이 불안정한 활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으며,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의미 있는 대화에 참여하고, 미국, 일본, 한국이 거듭 제안한 대화를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3).   일본은 G7을 통한 다자협력은 물론 미일 3자간 협력을 통해 북한의 지속적인 안보위협을 규탄하고, 이러한 위협에 대한 다자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리더십을 발휘하고자 한다. 일본은 올해 G7 의장국으로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히로시마에서 비핵화를 향한 세계적 협력을 촉진하고 북한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일본인 납치 문제: 세계 규범 강국으로서의 일본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는 일본의 주권과 일본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관한 중대한 문제이며 정부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다. 국제사회가 기본 인권 침해로 떠안아야 할 보편적인 문제이기도 하다(Cabinet Secretariat 2022).” 납치 문제에 대한 일본의 공식적인 입장은 총 17명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와 관련된 12건의 개별 사건을 확인했으며, 그 중 12명은 아직 귀국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북한은 12명의 납북자 중 8명이 사망했고 나머지 4명이 자국 영토에 들어갔는지 확인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은 행방이 묘연한 납북자들이 모두 생존해 있다는 가정하에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2). 일본은 북한을 인권침해국, 비민주국가, 납치문제에 관한 국제규범의 파괴자라고 비난해왔다. 일본은 이 문제에 대해 국제 규범과 인권 증진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으며, 스스로를 세계적 규범 강국으로 인식한다.   과거 일본이 한반도 식민 지배의 가해자였던 것과 달리, 납치 문제의 맥락에서 일본은 스스로를 피해자로 자리매김하고 북한 정부에 사과와 구체적인 행동을 요구해왔다. 일본은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가 이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의 해결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Cabinet Secretariat 2022). 이를 위해 일본은 납치 문제를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권과 규범적 가치에 입각한 문제로 규정하면서 규범적 틀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왔다.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각국의 이해와 공감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확보함으로써 일본은 국제규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가고 있다.     안보화와 대항-안보화   일본은 세계 유일의 원폭 피해국으로서 비핵 3원칙을 고수해 왔다. 히로시마현 출신인 기시다 총리도 저서 『핵무기 없는 세상으로』를 통해 비핵화 신조를 선언하기도 했다 (岸田文雄, 2020). 핵위협이 지속되고 있는 국제정세 속에서, 국제사회가 핵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이 문제에 대해 일본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과 일본은 모두 자국의 군사력 강화를 위협에 대한 대응책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북한은 한·미·일 3국의 군사봉쇄로 국가안보를 위한 핵·방위력 강화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일본은 북한을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방위력 강화에 상당한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은 G7의 지원을 받아 미일동맹 강화, 국제협력 강화, 유엔에서의 규범적 영향력 강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법의 지배에 기반을 둔 국제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뜻을 같이하는 동지국가들(like-minded countries)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북한이 국제정세를 ‘신냉전’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일본은 북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세계적 규범력을 공고히 하며 점차 과거 침략의 역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일본은 2023년 G7 의장국이자 2023~202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북한의 국제규범 위반 사항을 강력히 규탄하며 일본의 글로벌 리더십을 제고할 것이다.     미중 경쟁과 러-우 전쟁 이후의 국제질서 속 일본   국제 사회는 역사적 전환기에 놓여있다(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侵略)’은 일본에 지워졌던 ‘전후’를 벗어날 수 있는 전환점을 가져왔다. 일본을 규범적으로 옭아맸던 전쟁 침략자로서의 이미지는 이제 러시아에 전가되었다. 아직은 평화헌법의 제약하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 지원은 어렵지만, 인도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가해국, 전범국 러시아를 비난하고 있다. 그동안 일본을 억눌러왔던 가해자, 전범국 이미지로부터의 탈각을 가능하게 하는 시대적 전환이다. 이에 대해 일본은 자유롭고 열린 안정적인 국제질서를 수호하는 평화 국가로서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전방위에 걸친 전략 경쟁에서 일본은 미국과 협력하는 동시에 자국의 방위력 강화를 실현하고 있다. ‘북한에 의한 핵, 미사일 개발의 급속한 진전’과 ‘중국에 의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은 일본의 안보 강화를 위한 군사력 강화의 불가피한 근거로 제시되어 왔다. 일본은 FOIP와 CPTPP, QUAD, TICAD 등 다자안보 및 경제 네트워크 구상 및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일본 중심의 다자 이니셔티브를 발휘해나가고 있다. 여기에 자유, 민주주의, 인권, 법의 지배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내세우는 가치 외교를 적극적으로 표방하며 동맹국 및 동지국과의 연대를 강조한다. 일본은 지정학에 가치를 접목한 ‘자유와 번영의 호(Arc of Freedom and Prosperity)’에 이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이라는 지역 개념을 실체화시켰다. 중일 관계에 있어서는 대만과의 기술협력 및 대만 해협을 둘러싼 안보 인식을 함께해나가면서 중국에 대해 할 말은 하면서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로 관리해나가겠다는 방침을 견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침략자 러시아를 비판하고, 실질적 위협인 북한에 대비하며,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중국의 시도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면서, 일본은 가치와 이익을 결합한 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글로벌 리더로서의 부상을 도모하고 있다.■     ※ 본 논평은 "Japan's Stance on North Korea's New Cold War Narrative: Strengthening Japan's Defense and Global Normative Power" 의 국문 번역본입니다.   참고 문헌 CNN. 2023. “North Korea fires submarine missiles ahead of largest US-South Korea military drills in years.” March 13. https://edition.cnn.com/2023/03/12/world/north-korea-submarine-missile-launch/index.ht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2. “Diplomatic Bluebook 2022.” https://www.mofa.go.jp/policy/other/bluebook/2022/en_html/chapter2/c020203.html   Cabinet Secretariat. 2022.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Japan.” December. https://www.cas.go.jp/jp/siryou/221216anzenhoshou/nss-e.pd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3.“The G7 Foreign Ministers’ Meeting.” February 18. https://www.mofa.go.jp/page1e_000572.html   岸田文雄. 2020. 『核兵器のない世界へ-勇気ある平和国家の志』. 東京: 日経BP.   MOFA. 2023. “Diplomatic Bluebook 2023.” https://www.mofa.go.jp/mofaj/files/100488910.pdf   ■ 오승희_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연구원(EAI)의 수석연구원 및 사무국장을 역임하고, 일본 게이오대학과 대만 국립정치대학에서 방문연구를 수행하였고, 가톨릭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대에서 강의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동아시아 인정투쟁』(2023년), 『전후 중일 관계(1949~2019년)』(공저, 2019), “초불확실성 시대 일본의 게임체인저 전략: 아베 독트린, 안보 넥서스, 가치 네트워크”(2023), “일본의 가치지향 외교 네트워크: 인정투쟁, 가치 네트워크, 외교적 위선”(2022), “일본의 주변국 네트워크 외교: 미중 전략경쟁 속 대만과 북한문제에 대한 딜레마”(2021)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박정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hpark@eai.or.kr  

오승희 2023-03-30조회 : 8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