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지식계가 대북 전략 및 북한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보다 균형 있는 북한과 한반도 문제 연구 및 통일전략과 동아시아전략을 복원하고자 EAI는 2018년 대북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구축을 기획하여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대북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Global North Korea (Global NK)는 아카이브 성격의 웹사이트로써, 제재(Sanctions), 관여(Engagement), 자구(Internal Transformation), 억지(Deterrence)로 구성된 4대 대북복합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주요 4개국인 한국, 미국, 중국, 일본에서 발간한 자료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접근법을 통해 분류한다. 또한, Global NK에서 제공하는 통계치를 통해 웹사이트 이용자는 주요 4개국의 북한에 대한 인식 차이 및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웹사이트는 외부 기관의 북한 관련 발간 자료를 한 곳에 수집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전문가 코멘타리(Commentary)를 발간함으로써 보다 분석적이며 전략적인 방식으로 북한 문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www.globalnk.org

논평이슈브리핑
[EAI 논평] 대북 복합전략의 현재와 향후 과제

.a_wrap {font-size:16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6px;} [편집자주] 북한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5차 전원회의 보고를 통해 마주한 난관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선언한 가운데, 미국은 여전히 핵 비확산이라는 세계질서 운영의 기본 원칙을 고수하며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북한 비핵화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는 여전히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북핵문제는 단순한 북미 양자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 주요 이해당사국들 간의 다자 문제입니다. 이러한 다자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국이 역할을 확립하고 전략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균형잡힌 제재, 억지, 포용과 내부 변환의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고 EAI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이번 논평은 EAI가 2020년 1월 21일 개최한 [Global NK 핵inSIDE 토크] 2020 동아시아연구원 대북 통일전략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백진경 EAI 연구원과 전재성 EAI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서울대 교수)이 대표집필한 것입니다.     2020년 초 김정은 위원장은 신년사를 대체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5차 전원회의 보고를 통해 국내경제와 국제안보정세의 2중 난관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선언했다. 비핵화에 대해서는 ‘선(先) 적대정책 철회, 후(後) 대화재개’를 주장하며 양보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핵 비확산이라는 세계질서 운영의 기본 원칙 고수의 의지를 강화하면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서는 깊은 불신을 여전히 버리지 못하고 있다. 북한이 내심 원하는 바 최소한의 핵 억지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북한의 전략적 태도를 인정할 가능성은 미미하다. 김정은 위원장은 미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핵 미사일을 완성한 후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체제보장과 제재 해제, 미군의 축소 등의 대가를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 이후 단계적 비핵화 실행으로 대외관계 개선을 통한 개혁개방을 추진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빅딜(Big deal)을 통한 비핵화 실현과 더불어 다가오는 대선에서 외교적 성과를 과시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전략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변수인 상황에서 북한은 2019년 연말까지 미국에 셈법 변화를 요구하였으나 시한을 넘겼으며, 여전히 북핵문제의 해결을 위한 양국 간 합의점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북한 비핵화 문제는 단순한 북미 양자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 주요 이해당사국들 간의 다자 이슈이다. 북미 협상의 교착상태는 남북 관계 개선에도 정체를 가져와 남북 교류협력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병행적이고 단계적인 실현을 목표로 전쟁을 회피하고 남북대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한편, 북미 교섭을 중재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북핵 문제는 중국에게 한반도를 넘어 대미정책 차원에서 대처해야 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시진핑 주석에게 비핵화 진전과 평화체제 구축은 미군 감축의 호재이다. 시진핑 주석은 유엔 제재결의를 준수하지만, 동시에 김정은 위원장의 후견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의 대북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미 모두 선제적 양보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새로운 ‘정면돌파 노선’을 내세운 북한에 대해 경제 제재를 완화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북한에 가해진 경제제재는 수 년 동안 북한 경제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무역의존도가 높은 북한에 대규모 무역적자와 치명적인 수출 약화라는 타격을 입혔다. 북한의 자력갱생 노력으로 중국과 무역, 인프라 구축, 관광 및 서비스 산업 분야 등에서 상승세를 나타내고는 있지만 경제제재가 완화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고도의 성장을 요구하는 북한 경제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대북 경제제재가 지속된다면 내부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외화보유액이 급감해 외환위기가 닥칠 수 있으며, 수출량의 감소가 지속될 경우 북한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거 헝가리,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들의 전철을 볼 때, 북한이 법적 제도와 틀을 그대로 유지한 채 정책만으로는 개혁개방의 효과를 누릴 수 없다는 점은 명백하다. 북한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핵 억지력과 자력갱생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북한이 얻을 수 있는 경제제재 완화와 개혁개방이 필수적이다. 비핵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 북한 자구의 노력을 지원하는 것과 함께 국제사회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북 관여정책을 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현재 중재자 혹은 촉진자 역할을 담당하고자 하는 한국을 협상테이블로부터 배제하려는 북한의 지속적인 움직임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의 대남 선전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2019년 7월 “(북미) 두 나라가 마주 앉아 양국 사이의 현안 문제를 논의하는 마당에 남조선이 굳이 끼어들 필요는 없으며 또 여기에 끼어들었댔자 할 일도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고 강조하였으며, 북한은 지난 1월 11일 북미 정상 간 ‘특별한 연락 통로’를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북한 비핵화 게임의 성공적인 플레이어(player)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역할을 확립하고 전략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한미간 철저한 대북 공조가 필요하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대선뿐만 아니라 이란 문제를 비롯한 불안정한 중동 정세로 인해 북한문제에 보다 소극적으로 대응하거나 단기적 이해에 치중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 정부는 여전히 남북관계 개선을 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미간의 인식 차이는 향후 북한의 움직임에 비효과적인 대응을 낳을 수 있다. 한미 정부는 대북정책의 목표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보다 넓은 외교문제 전선에서 다면적, 포괄적 공조를 위해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북미 협상의 구조적 취약성이 분명한 만큼 이를 고려하여 주요 이해당사국 간 다자 협상 등의 노력을 통해 공동의 목표로 북핵 문제를 해결해 나갈 방법을 구상해야 하며, 북미 협상의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 적극적인 북미 대화 추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은 단기적 이해에 치중할 가능성이 크고,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 역시 북한의 입장과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해야 할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은 출범 당시부터 현재까지 변경되어 왔다. 대선 공약 시 제시된 ‘핵동결 입구, 비핵화 출구’, 2018년 4월-6월 제시된 ‘포괄적 합의 후 단계적 이행’과 2019년 10월 이후 새롭게 제시된 ‘대북 선제 상응조치’ 등의 변화이다. 앞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 꾸준하고 체계적인 대북전략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전략 없이는 북한 비핵화 게임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없다. 현 시점에서 한국과 미국은 비핵화의 정의, 목표, 최종 상태 및 상응조치 등을 포함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협조해야 한다. 체계적인 대북 전략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하며 제재, 억지, 포용과 내부 변환의 전략이 복합적이며 균형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먼저 효율적이면서도 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대북 경제제재를 지속적으로 이행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를 위해 중장기 제재 로드맵을 마련하여 국내외로 공감대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한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한 대응 안보태세를 구축해야 하며, 미국전략자산 순환 배치를 통한 억지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한국형 3축 체제(선제타격체제, 미사일방어체제, 대량응징보복체제)를 조기 구축해야 한다. 제재, 억지와 더불어 관여도 핵심적인 전략인데 현실적 복합평화체제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북한 비핵화, 경제발전 및 신병진노선의 경제적 지원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북한의 자발적인 내부 변환과 발전을 위한 노력 역시 빠져서는 안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국제사회와 함께 연대하여 북한이 주장해온 정면돌파전 대신 새로운 정면돌파전으로 현재의 난관을 돌파하는 길을 마련하여 북한이 자체적인 역량으로 일어서서 스스로 새 길을 달리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 저자: 백진경_ EAI 연구원. 영국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EAI에서 북한•안보 연구 담당 연구원으로서 대북 복합전략 영문 종합 웹사이트 ‘Global North Korea’를 구축 및 운영하는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북한 연구, 국제관계, 국제안보 등이다. 최근 저서로는 북한의 생화학무기와 완전한 비핵화의 길 (2019, EAI 논평/ Global NK 논평),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실현을 위한 대북정책 추진 방향 (2019, EAI 이슈브리핑/Global NK 논평)이 있다. ■ 저자: 전재성_ EAI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교수.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외교부 및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한미동맹 및 한반도 연구 등이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는 《남북간 전쟁 위협과 평화》(공저), 《정치는 도덕적인가》,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j.baek@eai.or.kr     [EAI논평]은 국내외 주요 사안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고 정책적 제언을 발표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된 논평 시리즈입니다.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EAI는 어떠한 정파적 이해와도 무관한 독립 연구기관입니다. EAI가 발행하는 보고서와 저널 및 단행본에 실린 주장과 의견은 EAI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저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백진경, 전재성 2020-06-05조회 : 8508
논평이슈브리핑
[신년기획 특별논평 시리즈 - EAI 2020 전망과 전략] ① 북한의 2020년: 2대 난관의 정면돌파전

.a_wrap {font-size:16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6px;} 편집자 주 EAI는 2020년을 맞이하여 신년기획 특별논평 “EAI 2020 전망과 전략” 시리즈 총 6편을 아래와 같이 게재합니다. 1. 하영선: 북한의 2020년: 2대 난관의 정면돌파전  (2020년 1월 6일 발간) 2. 전재성: 2020년 한국의 미중관계 전략과 대미전략 (2020년 1월 8일 발간 예정) 3. 이동률: 한중관계와 한국의 대중 외교전략 (2020년 1월 13일 발간 예정) 4. 손  열: 2020년 한일관계와 대일정책: 시야를 넓혀야 보이는 갈등 해법 (2020년 1월 15일 발간 예정) 5. 이승주: 미중 무역분쟁과 한국의 통상정책: 다자주의의 회복과 지역 경제 질서의 재편을 위한 중견국 외교 (2020년 1월 20일 발간 예정) 6. 최태욱: 2019년의 선거제도 개혁과 2020년의 총선: 전망과 과제 (2020년 1월 22일 발간 예정)   신년기획 특별논평 "EAI 2020 전망과 전략" 시리즈의 첫 번째 보고서로, 북한의 2020년 전망과 전략을 제시한 하영선 EAI 이사장의 논평이 발간되었습니다. 기존의 시정연설과 비교해 2019년 12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5차 전원회의에서 발표된 ‘조성된 대내외 형세하에서 우리의 당면한 투쟁방향에 대하여’ 보고는 북한이 직면한 대내외 난관을 특별히 강조하였는데, 대외적으로는 제재와 압박, 대내적으로는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지목하여 이에 대한 극복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북한은 난관 돌파를 위해 새로운 전략무기 도입과 제2의 병진노선을 선언하였으며 자강력을 통한 경제투쟁 의지를 확인하며 대내외 도전에 대한 정면돌파전을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북한의 이러한 구식 정면돌파전으로는 북한이 직면한 난관을 극복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북한의 지속적인 핵 개발로 미국의 안보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것은 북한의 체제를 보장하기 보다 역설적으로 체제를 위협할 것이며, 비핵화 없는 제재 해제는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이러한 난관에 봉착한 북한에 대한 한국의 진정한 역할은 국제역량과 연대하여 북한의 국내역량이 스스로 달릴 수 있는 길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2019년 연말에 열렸던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5차 전원회의에서 발표한 ‘조성된 대내외 형세하에서 우리의 당면한 투쟁 방향에 대하여’라는 보고로 2020년 신년사를 대신했다. 지난 해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현단계에서의 사회주의 건설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정책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기본 전략구상을 밝힌 시정연설을 한 이후 8개월 만에 다시 보고를 발표한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 그동안 진행된 대내외 형세를 주관적으로 어떻게 파악하고 있으며, 어떠한 새로운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4월의 시정연설에 비해 12월 보고는 대내외 형세의 난관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그동안 진행된 대내외 형세에 대해 “지난 몇 개월 동안 우리 앞에 봉착한 도전은 남들 같으면 하루도 지탱하지 못하고 물러앉을 혹독하고 위험천만한 격난이었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금년의 투쟁 구호를  “우리의 전진을 저애하는 모든 난관을 정면돌파전으로 뚫고 나가자!” 로 삼고 있다.  보고는 대내외 형세를 분석하면서 제재와 압박의 대외적 난관과 사회주의 강국 건설의 대내적 난관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우선, 김정은 위원장은 북한형 3단계 비핵화론의 이행 과정에서 부딪치는 난관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2018년 4월 신전략노선의 채택과 최근 10월 초 스톡홀름 실무회담 실패 이후 김명길 대사의 기자회견까지 반복되고 있다. 첫 단계에서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 로켓 시험발사를 중지하고 핵 시험장을 폐기하는 선제 신뢰 구축 조치로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지를 유도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영변 핵시설을 폐쇄하는 대신,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따라 체제보장을 위한 대북 적대시 정책의 종식과 경제 제재 완화를 요구하며, 세 번째 단계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서 ‘조선반도 비핵화’의 시각에서 한반도와 주변지역의 핵군축회담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우리의 외부환경이 병진의 길을 걸을 때에나 경제건설에 총력을 집중하기 위한 투쟁을 벌리고 있는 지금이나 전혀 달라진 것이 없고 여전히 적대적 행위와 핵위협 공갈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가시적 경제성과와 복락만을 보고 미래의 안전을 포기할 수 없다”라고 단언하면서 “세상은 곧 멀지 않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하게 될 새로운 전략무기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확인했다. 북한은 2013년 3월 핵경제 병진노선에서 2018년 4월 핵 기반 경제건설 집중 노선을 거쳐 다시 한번 제2의 병진노선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 핵무기 개발로 미국의 안보를 직접 위협하여 실질적인 억제력을 확보하려는 정면돌파전은 북한이 직면한 대외적 난관을 돌파하기보다는 심화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것은 북한의 핵 억제력이 강화되면 될수록 제제는 심화되어 체제를 보장하기보다는 역설적으로 체제를 위협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핵 비확산을 세계질서 운영의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는 미국 또한 완전 비핵화 대신 최소 억제력을 유지하는 핵동결을 시도하는 북한의 노력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보고는 두 번째로 사회주의 강국 건설의 난관을 해결하기 위한 정면돌파전에서 기본 전선은 경제전선이라고 지적하면서, 경제의 토대를 재정비하고 가능한 생산장비력을 총 발동하여 경제발전과 인민생활에 필요한 수요를 충분히 보장하는 것을 현시기 경제부문의 우선 당면과업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적대세력들의 악착같은 제재’에도 불구하고 2019년의 인민경제 거의 모든 부문이 현저한 성장 추세를 보였다고 언급하면서도, 당면한 경제 실태에 대해  “국가경제의 발전 동력이 회복되지 못하여 나라의 형편이 눈에 띄게 좋아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요한 경제과업들을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집행력, 통제력이 미약”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보고는 북한 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 문제를 자력갱생과 제재의 대결로 압축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건설에 유리한 대외적 환경이 절실히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결코 화려한 변신을 바라며 지금껏 목숨처럼 지켜 온 존엄을 팔 수는 없다”라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제재 해제를 기다리며 자강력을 키우기 위한 투쟁에 박차를 가하지 않으면 제재 세력들의 공세는 더욱 거세질 것이므로, 자력갱생의 위력으로 제재 봉쇄 책동을 총파탄시키기 위한 정면돌파전에 매진할 각오를 다지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당면한 경제 전선은 자력갱생만으로 정면돌파할 수는 없다. 오늘의 중국 경제가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 규모의 국민총생산 14조 달러를 달성하고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수준에 이르기 까지는 1978년이래 지난 40여 년 동안 개혁개방 노선에 따라 고도성장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1인당 국민소득 1천 달러 수준의 북한경제가 21세기 세계 경제 무대에서 살아 남기 위해서는 중국을 넘어선 장기간의 고도성장을 필요로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비핵화를 통한 제재 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김정은 위원장은 보고를 끝내면서 혁명의 참모부인 당을 중심으로 일치단결해서 “우리는 오늘의 투쟁에서 객관적 요인의 지배를 받으며 그에 순응하는 길을 찾을 것이 아니라 정면돌파전으로 뚫고 나가 객관적 요인이 우리에게 지배되게 하여야 합니다”라고 마무리하고 있다. 그러나 핵 억제력과 자력갱생으로 현재의 난관을 성공적으로 돌파하기는 불가능하다. 북한의 진정한 정면돌파전은 비핵화와 개방경제의 길을 질주하면서도 목숨처럼 소중한 안전과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체제를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북한은 이번 보고에서 지난 시정연설과는 달리 남북관계를 전혀 다루지 않고 국제역량과 국내역량만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것은 국제역량과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한국역량이 북한의 오래된 정면돌파전에 큰 도움을 주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국의 진정한 역할은 국제역량과 연대하여 북한의 국내역량이 스스로 달릴 수 있는 길을 마련하는 것이다. 북한이 오래된 정면돌파전 대신 새로운 정면돌파전을 선택할 때, 현재의 난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하영선_ EAI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장, 미국학연구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는 《복합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 《한일 신시대와 공생복합 네트워크》, 《변환의 세계정치》,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윤준일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3) I junilyoon@eai.or.kr     [EAI논평]은 국내외 주요 사안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고 정책적 제언을 발표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된 논평 시리즈입니다.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EAI는 어떠한 정파적 이해와도 무관한 독립 연구기관입니다. EAI가 발행하는 보고서와 저널 및 단행본에 실린 주장과 의견은 EAI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저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하영선 2020-06-05조회 : 8454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Clarifying Challenges and Maintaining Trust in the Seoul-Washington Alliance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 본 Global NK 논평의 원문 보기 및 PDF 다운로드는 Global North Korea 웹사이트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Editor's Note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maintained a stable and long-enduring alliance. However, a recent chain of events inv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and deteriorating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present challenges for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In this Global NK commentary, Professor Leif-Eric Easley of Ewha University discusses the ROK-US alliance by responding to concerns recently outlined by Richard Armitage and Victor Cha. Professor Easley points out that South Korea’s willingness for defense exchanges with China and for joining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does not imply that Seoul is "leaning towards Beijing." He concludes that it is important to avoid overinterpreting facts on the ground because doing so "can damage the very trust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that alliance managers work tirelessly to defend."     When two top alliance managers coauthor a Washington Post op-ed entitled “The 66-year alliance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is in deep trouble,” policymakers and analysts should pay attention.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aces a complicated landscape including North Korea’s continued provocations and diplomatic recalcitrance, China’s growing regional assertiveness and military cooperation with Russia, a severe downturn in relations between Seoul and Tokyo, and uncertainty surrounding the US-China trade war. But there are several empirical cases in the recent op-ed that require an on-the-ground perspective in Seoul to understand challenges for maintaining trust in the alliance. Richard Armitage and Victor Cha write that Seoul’s aborted threat to cancel its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with Japan was “an act of alliance abuse” toward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Moon administration’s misfire on the intelligence-sharing pact can be better described as an emergency flare calling for US attention, prompted by Japan’s new export restrictions applied against South Korea this summer. The Moon government should be commended for pulling back from killing GSOMIA, while Japan should be encouraged to engage in talks toward lifting its export restrictions. The US was insufficiently engaged in alliance management at critical moments over the past year as Korea-Japan historical disputes escalated and a radar-lock incident at sea went unresolved. As a consequence, Washington had to overcompensate with heavy pressure to save GSOMIA. Quiet diplomacy is now needed to uphold trilateral cooperation and forge compromise during ongoing negotiations. Defense cost-sharing talks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are especially challenging this year because the initial US request was unprecedentedly high. But the Korean public largely associates this with Trump’s particular bargaining style. Korean public opinion is not represented by a handful of students climbing a wall with placards to make a political stunt, so it may overstate national sentiment to say that “the Korean people’s anger at perceived Washington greed was evident in demonstrations this month when protesters broke the perimeter of the US ambassador’s residence.” The general reaction to that incident was that the young people involved will learn their lesson after facing the rule of law (which they are), and South Korean police need to increase security around the compound (which they have). Mentioning demonstrations in Seoul conjures up recent images of dueling mass protests over prosecutorial reform and a failed justice minister—contentious issues in South Korea’s polarized domestic politics. But there are no such mass protests against the US at this time, and no angry mobs storming the embassy or ambassador’s residence. On foreign policy, some Americans lament that Seoul “will not support Washington’s Free and Open Indo-Pacific concept” for fear of offending China. In fact, South Korea has spelled out in detail the positive overlap between its “New Southern Policy” an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including in a fact sheet jointly released in November 2019. Washington can call for greater coordination and more vocal support from Seoul on regional cooperation, but US foreign policy also needs to consider allies’ circumstances and national interests. On South Korea’s end, some diplomatic finesse is required as Seoul’s top security and diplomatic partner appears to be entering a protracted rivalry with Seoul’s top trade partner and immediate neighbor. Nonetheless, South Korea is actively courting new partners in India an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largely to hedge against China’s economic coercion.  Still, Armitage and Cha are concerned that the Moon government is “leaning toward Beijing.” As evidence, they point to how South Korea “wants to join China’s proposed multilateral trade arrangement.” However,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is not China’s but a process initiated by ASEAN seven years ago. It is unusual to single out South Korea’s participation with China when RCEP includes all ten ASEAN countries plus Japan, Australia, and New Zealand. Moreover, it was Washington that ceded agenda-setting on trade in Asia by pulling out of the higher-quality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nd pursuing a trade war against China not coordinated with US allies. South Korea has an important middle power role to play in Asia by upholding international norms and developing regional networks that involve common interests with the United States. Yet Armitage and Cha write, “in another ominous sign of the US-South Korea alliance weakening, the South Korean and Chinese defense ministers on the sidelines of a multilateral gathering in Southeast Asia inked an agreement to increase defense exchanges.” Seoul pursuing reciprocal visits with Chinese defense officials and trying to get hotlines to actually work with Beijing are efforts at confidence building and crisis prevention. A more proximate sign of trouble for American leadership at Asian regional meetings is the non-attendance of the US president, which leaves a perceived vacuum for China to fill.  Throughout their distinguished careers, Armitage and Cha have ably and effectively argued in favor of the extensive mutual benefits of US alliances. They now worry that a perfect storm of the challenges above could result in a “prematur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the [Korean] Peninsula.” Among policymakers and analysts, it is an honorable charge to sound the alarm to prevent worst-case scenarios and guard against poor judgement by unpredictable leaders. Yet while reading signals from current events, it is important not to be alarmist—because overinterpreting facts on the ground can damage the very trust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that alliance managers work tirelessly to defend.     ■ Leif-Eric Easley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international studies at Ewha University in Seoul. His research focuses on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n engaging China, Myanmar and North Korea.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I j.baek@eai.or.kr  

Leif-Eric Easley 2020-06-05조회 : 8358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North Korea: Outcomes and Implications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 본 Global NK 논평의 원문 보기 및 PDF 다운로드는 Global North Korea 웹사이트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Editor's Note Despite the continuing effort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problem, with the second US-North Korea summit and the working-level meeting in Stockholm, there have been no signs that a resolution is near, and North Korea remains a threat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sistant professor Tom Le of Pomona College goes beyond the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discussing other dangers such as the potential for horizontal proliferation, cyberattacks, and the imminent humanitarian crisis which will occur when the state ultimately fails. Professor Le explores the possible outcomes of the North Korean situation, however it ends up. He places a strong focus on the inevitable consequences of state failure, explaining “North Korea has acquired nuclear weapons. The next great threat will be mass migration.” He discusses the impact that such migration would have on East Asia as a whole, stating “North Koreans are less likely to find a state willing to take them in by the hundreds of thousands because decades of condemnation have sowed distrust at best and apathy at worst among the region’s stakeholders.” Finally, Professor Le talks about North Korea as a unifying factor in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predicting what implications the disappearance of the regime as a common enemy will have for East Asian relations going forward.     Despite limited progress since the June 30, 2019 meeting between Donald Trump and Kim Jong-un at the DMZ, the opportunity to re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problem without the use of force has not been this great in decades. It is easy to forget that Trump may have brought “fire and fury” to the Korean Peninsula a little more than two years ago. Moreover, bombastic North Korean rhetoric and weapons tests without summits involving heads of state have been the norm. The most recent working-level talks held on October 5 in Stockholm may not have yielded an agreement, but limited progress is still progress. Optimism can also be found in the favorable context in which none of the relevant regional stakeholders are spoilers to a denuclearization agreement. Trump may be the most eager to strike a deal because it would be his most significant foreign policy win. Not only would a deal fulfill his desire to eclipse Barack Obama’s North Korea legacy, it would also provide a useful talking point in the 2020 elections. At the very least, it would distract from the current impeachment proceedings. Moon Jae-in has also pegged his legacy on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North and has sacrificed much public support for his dovish policies. Forward momentum of any kind would also draw attention from his ineffective domestic economic and anti-corruption efforts. In addition, poor relations with Japan have led Moon to double down on a future tied to North Korea, where he even claimed that a united “peace economy” would replace Japan’s economic superiority in “one burst.” China, Japan, and Russia are mostly concerned with American trade wars and have not slowed down the negotiation process. Lastly, as a nuclear power, North Korea is in its strongest bargaining position ever, which may allow it to extract enough concessions to be satisfied with a deal. Yet, denuclearization has always been in the interest of these stakeholders to some degree. The North Korea nuclear puzzle has been tough to solve because over the years, rhetorical obstacles have been placed that make all possible outcomes prohibitively costly. In his 2002 State of the Union Address, George W. Bush placed North Korea in the trio of states that constituted an “axis of evil” due to it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negotiators have often treated denuclearization and upholding human rights as mutually exclusive, with the former taking priority. As a result, the paths forward require a tolera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will ultimately lead to regional instability. East Asia cannot afford to keep kicking the can down the road, yet continues to do so because North Korea has served as a unifier for the region.   Possible Outcomes North Korea poses three problem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irst, its nuclear program is an immediate threat to Japan, South Korea, and the US. Relatedly, horizontal proliferation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prevent if North Korea can acquire nuclear weapons without consequence. Second, the North Korean humanitarian crises caused by poor governance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are an affront to international law and the morality of people throughout the world. Third, its non-nuclear threats such as illicit cyber activity are increasing in frequency and impact. A grand bargain would address not only the nuclear problem, but also the other issues that originate from the authoritarian Kim regime. Reunification would be that grand bargain. This most ambitious—and implausible—scenario would come with enormous costs. If the Moon administration could overcome the growing sentiment against reunification, especially among South Korea’s youth, it would still have to pay for the reconstruction of a failed state. Bearish analysts estimate a 3 trillion dollar and multi-decade price tag. If the Moon government insists that South Korea remain in the driver’s seat during the reunification process, it will be unlikely to draw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upport necessary for the endeavor, particularly from Japan. The more difficult problem is what to do with the Kim family. The pragmatic approach would be to allow them to remain in government. To do so, however, would require hawkish politicians, human rights-focused NGOs, and the public to ignore the Kim family’s human rights record, one rightly earned from assassinations, prison camps, and a complete dereliction of duty to the North Korean people. The Kim family is also unlikely to believe that it would receive the Napoleon treatment in a free and democratic society. Thus, if the Kim family cannot be removed, then complete nuclearization without regime change is the more likely scenario. Whether this occurs through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ismantlement (CVID) or Final Fully Verifiable Denuclearization (FFVD), this scenario requires unprecedented cooperation from North Korea. Moreover, the closer to denuclearization one gets, the less likely human rights issue will be raised because it would be seen as a violation of good faith negotiations by Kim. Trump and Moon seem aware of this as they have framed the North Korean humanitarian crisis in terms of economics rather than human rights. What Kim desires is an India and Pakistan model, where North Korea can keep its nuclear weapons and the US ends its economic sanctions. Variants of this outcome are a freeze or a complete breakdown of talks while North Korea continues to develop its nuclear program. The latter two scenarios would have the highest chance of American military intervention. Such an intervention remains unlikely as the US public has little appetite for a major war after Afghanistan and Iraq, nor would China sit idly by. Hence, the most likely scenario is the eventual collapse of the Kim regime and the North Korean state. The long history of tabling human rights issues for immediate security needs while simultaneously isolating North Korea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has created the perfect storm for a humanitarian catastrophe that will spread throughout Asia. According to the Global Hunger Index, malnourishment has increased 6% over the last decade and now sits at 47.8%.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shown abysmal or negative growth and falls further behind in global competitiveness each year. These poor conditions have led to over a quarter million defectors since 1953. These figures will pale in comparison to the millions of refugees that will pour out of North Korea when the state collapses. Even with China’s support and nuclear blackmail, the current North Korean economy is not sustainable. This should be obvious as many states fail even without being completely removed from the global economy.   East Asia’s Punching Bag East Asia is not prepared for a humanitarian crisis that extends beyond North Korean borders. That is to say, it has tolerated a crisis that has remained within North Korea to preserve the status quo. As a result, the region lacks the institutional resources necessary to address the instability to come. There is a robust scholarship that explains why East Asia does not have a NATO-like institution, and instead, prefers a “complex patchwork” of institutions or a US-led hub-and-spoke model. A common thread among the various theories is that the institutions that bind East Asia are built on common threat rather than common cause. The arrangement of states is more akin to a bracelet made up of interlocking bilateral relations that surround North Korea. The US has strong ties with Japan and South Korea, but under Abe Shinzo, Japan has better relations with Russia than South Korea. Similarly, South Korea is tied more closely to China and the US than Japan. China’s positive relations with Russia and South Korea complete the bracelet. Any semblance of greater cooperation has related to managing the North Korea puzzle, which is defined by efforts to limit its nuclear program while allowing the Kim regime to exist. When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deteriorate, most recently in the “white list” trade war and the Moon administration’s decision to withdraw from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the US uses the North Korean threat as a reason to cooperate. Without North Korea as the problem, other issues that cause insecurity come to the forefront, such as South Korea-Japan history disputes, US-China great power competition, and US bases and alliance burden sharing, to name a few.   Conclusion The post-Cold War model is unsustainable because it requires North Korea to remain a threat, but not to the degree that would cause significant harm beyond its domestic population. This balancing act has been sustained more by luck and a disheartening indifference to human suffering than by sound regional security management. It is also a model that has failed in all regards because North Korea has acquired nuclear weapons. The next great threat will be mass migration. It may have taken 116 years for the Hundred Years’ War to end, but like all conflicts, its resolution was inevitable. Failed states rarely last a century. North Korea’s isolation, failing economy, and human rights violations will eventually lead to its collapse, and as it stands, East Asia is not prepared to deal with the consequences. One need look no further than the failure to handle the Rohingya refugee crisis, or the region’s reluctance to take in Syrian and Yemini refugees. North Koreans are less likely to find a state willing to take them in by the hundreds of thousands because decades of condemnation have sowed distrust at best and apathy at worst among the region’s stakeholders. The stability of East Asia has been built on the ability of North Koreans to endure the Kim family. When one looks into a mirror, there are two people. The person you see, and the person you don’t want to.     ■ Tom Phuong Le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politics at Pomona Colleg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litarism norms, Japanese security policy, and war memory and reconciliation. Le’s work has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Asian Security and International Affairs and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as well as in popular outlets such as Foreign Affairs, The Washington Post, The Hill and The Diplomat. Le received a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and BAs in history and politic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He is a research associate at the PRIME Institute (Meiji Gakuin University), a CSIS US-Korea NextGen Fellow, and an AFIHJ Next Generation Fellow.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I j.baek@eai.or.kr

Tom Phuong Le 2020-06-05조회 : 8330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Trump’s America or America’s Trump, and the Korean Peninsula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 본 Global NK 논평의 원문 보기 및 PDF 다운로드는 Global North Korea 웹사이트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Editor's Note The intensification of US-China competition is heavily affecting the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competition i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analyzing Trump’s America First policy. In this Global NK commentary, Professor Won Gon Park of Handong Global University states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pursues ‘selective engagement’ by “seeking to revise alliances so that allies shoulder their fair share of responsibilities and costs to provide public goods for the security of the world.” He adds that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achieve due to the US-China competition. In particular, South Korea will likely be pressured by the US to balance China while China continues to shield North Korea from UN sanctions. Professor Park argues that 2020 will be an especially challenging year for the Korean Peninsula. If no progress is made in the denuclearization progress within this year, which is the self-imposed deadline set by North Korea, North Korea may act in a ‘new way’ that resembles its provocative behavior throughout 2017.       Nobody dares to deny that Donald J. Trump is an unconventional American president. He did not have a political career before coming to the White House. Since he was elected, he has blatantly denied the role of the US as a leading promoter of international norms and principles, instead pursuing narrowly defined tangible material interests with the slogan “America First.” As the president, Trump has executed some of his campaign pledges such as issuing anti-immigration executive orders, building a wall along the US-Mexico border, pulling out from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nd withdrawing from the Paris climate accords. The fulfillment of these promises has run counter to the internationalism established and continually promoted by the US since 1945, with a few exceptions such as the Nixon period. President Trump has also harshly criticized America’s traditional allies—mainly South Korea, Japan, Germany, Saudi Arabia, and NATO—for not shouldering enough of the costs of the alliances, while seemingly advocating in favor of some authoritarian regimes by boasting of his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leaders of North Korea and Russia. The most appalling action of late in which President Trump engaged was the abrupt decision to pull US troops out of Syria. After his phone call with Turkish President Erdoğan, Trump unilaterally announced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Syria without prior consultation with his top officials. The Kurds, who have fought with the US against ISIS for years, have suddenly found themselves outnumbered and outgunned against Turkish troops, who consider them terrorists. Even though the Kurds are stateless, meaning that they do not have a formal treaty with the US as a coherent and legal ent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y expected the US to help them gain certain territories to govern autonomously as more than 11,000 Kurds shed their blood fighting together with American troops. After three years at the helm, it is time to answer the essential questions, namely of how Trump’s policies should be defined and whether his leadership is a one-time phenomenon of an “unconventional” president or whether it is indicative of a deeper change within the US. Such questions have already sparked many arguments in the fields of American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hile the issue remains controversial, after three years of the Trump presidency, many scholars have agreed that we will see more Trumps in the future. The Washington Post columnist Fareed Zakaria recently wrote an article titled “Trump’s misbehavior fits a global trend,” arguing that because “we are living in times of great change” people feel insecure and anxious. According to Zakaria, 21 out of 27 democratic countries no longer believe that elections can bring about change. This has led people to support “populist leaders who play on their fears, seize on scapegoats and promise to take decisive action on their behalf.” It is well known that Zakaria is one of the most vocal critics of Trump. Just a week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he called Trump an “American cancer,” yet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other prominent scholars all over the world come to a similar conclusion. If Trump is a phenomenon, then the consequences of Trump’s foreign policy are far more serious. Trump is not an isolationist, but rather pursues ‘selective engagement’ in world affairs. Essentially, President Obama shared the same approach by pulling US troops from Iraq and not becoming heavily involved in Syria. Because the Obama administration felt that the US had overreached through George W. Bush’s “war on terror,” Obama calculated that it was time to retrench and focus on domestic reform. In a sense, Trump has had a similar approach of retrenchment as he has frequently said things like, for example, “bring our boys back home,” and actually implemented that in Syria, yet there are very important differences. Obam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RBIO) as the main principl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while Trump has more brusquely put US interests first and expressed his contempt for the existing order, calling it “wildly unfair.” The most obvious trend that can be easily seen is the US’s bashing of China. Vice President Mike Pence reiterated the US commitment to balancing China in his speech at the Wilson Center in October 2019, which followed his previous year’s speech expressing the same at the Hudson Institute.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and Department of State released the reports Indo-Pacific Strategy Report: Preparedness, Partnerships, and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and A Free and Open Indo-Pacific: Advancing a Shared Vision respectively in 2019. These reports clearly defined China as a “revisionist state” who “seeks to reorder the region to its advantage by leveraging military modernization, influence operations, and predatory economics to coerce other nation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not alone, as the American foreign policy community in general shares the view that the US should contain the “rise of China” even though it would cost the US to decouple the economies of the two countries. A majority of scholars have expressed their expectations that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will continue for a while, with some even saying it could last a generation. Trump’s America will continue to pursue selective engagement, seek to revise alliances so that allies shoulder their fair share of responsibilities and costs to provide public goods for the security of the world, short-term economic interests, and balancing against China.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influenced more heavily by this “new normal” started by Trump than any other place in the world. First, South Korea is facing daunting challenges vis-à-vis its alliance with the US in terms of cost and responsibility sha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conducted a “global review”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to find new ways to demand that allies shoulder a larger share of the cost burden. The details of the new framework are not yet publicly known, but it seems that the demands of the US are not limited to increasing the cost of stationed US forces and include an “alliance contribution” that goes beyond the Korean peninsula. As of the end of November 2019, there are no signs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will back off its initial demand that South Korea fork over an extra $5 billion USD, five times what South Korea paid in 2019. Second, as shown by South Korea’s attempt to pull out of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with Japan, the US emphasizes ally contributions and the building of a network for a new architec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South Korea’s announcement that it would halt GSOMIA in August and intended to terminate the agreement completely within three months of November 23 encountered fierce opposition from the US. Nearly all relevant US high officials except for the president and the vice president delivered clear messages to South Korea not to withdraw from GSOMIA because doing so would only help North Korea and China. Chairman of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General Mark Milley defined GSOMIA as “the key to security and stability in the region” on his way to visit South Korea. The US has seen GSOMIA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sms in implementing its Indo-Pacific strategy and worries that South Korea’s pull out will undermine its network building. At this moment, although there is still room to improve the US execution of the Indo-Pacific strategy, it is apparent that South Korea can expect to face more serious pressure from the US to side with its efforts to balance China. Third,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s growing more difficult to achieve due to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 supports North Korea within the boundary of UN sanctions. While there is speculation that China has opened its backdoor to help North Korea economically, at least on the surface, China has tried to cooperate with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hieve complete denuclearization. However, the Chinese definition of denuclearization is more similar to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ncludes the requirement for the US to abandon the extended deterrence of South Korea. I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evolves further, China’s position will deviate further from the US and it will step up its shameless support of the North. North Korea will in turn be less willing to give up its nuclear capabilities and it will lead to the final collapse of diplomatic efforts to denuclearize the North. The year 2020 will be a huge challenge for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self-imposed deadline at the end of 2019 is rapidly approaching. The burden sharing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re supposed to conclude by the end of this year. If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the DPRK fail to achieve any progress this year, 2020 could begin with North Korea’s ‘new way,’ which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ensions similar to those which plague the Korean Peninsula throughout 2017. If the ROK and the US burden-sharing negotiations fail, the US will likely come up with some new corresponding measur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guess what nature of such measures will be because of Trump’s unpredictability. Finally, in November 2020,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will see whether the unprecedented changes of the past four years will continue at the same rate for another four years. Four more years of Trump will cement the changes he has made and decrease any chance that the US will reverse its course.     ■ Won Gon Park (wonpark@handong.edu) is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Handong Global University. He is also a member of the Policy Advisory Board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for the Republic of Korea.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I j.baek@eai.or.kr

박원곤 2020-06-05조회 : 11739
논평이슈브리핑
[EAI 논평] 유엔사의 기능강화 추세와 전작권 전환 이후 역할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편집자 주 최근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방위비 분담 등 일련의 사건으로 한미관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전시작전권(전작권) 전환을 두고 한미 양국간의 갈등과 유엔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경영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는 “유엔사 문제는 전작권 전환 이후 역할 뿐만 아니라, 정전시 유엔사의 역할, 평화협정 시 유엔사의 미래 등을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향후 유엔사의 역할과 기능은 한국과 유엔사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립되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 “DMZ를 평화지대화하여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 남북한, 유엔사 참전국을 회원국으로 재편하여 유엔사가 평화협정 감시 기능을 수행할 때 출혈을 하지 않고 통일로 가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2019년 후반기 한미연합 지휘소 연습 시 전작권 전환 초기운용능력 평가과정에서 전작권 전환 이후 유엔사의 권한 관련 한미간 갈등이 있었다는 보도가 나오고 유엔사의 역할에 대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유엔사 문제는 전작권 전환 이후 역할 뿐만 아니라, 정전시 유엔사의 역할, 평화협정 시 유엔사의 미래 등을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유엔사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기능 강화 추세를 고찰하고 함의를 도출한 후, 전작권 전환 추진 배경과 의의와 전작권 전환 이후 정전시 및 전시 유엔사와 미래연합사 간의 지휘 관계와 역할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어서 남북군사합의 및 향후 군비통제 추진 시 유엔사의 역할과 평화협정 체결 시 유엔사의 미래를 논의한 후 마지막으로 정책제안을 하고자 한다.   유엔사의 기능강화 추세와 함의 1950년 북한이 6·25전쟁을 감행하자 유엔 안보리는 6월 26일 적대행위의 즉각 중지를 요구하고 38선 이북으로 철수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북한 당국이 전투를 중지하지 않자 유엔 안보리는 6월 27일 국제평화와 안전을 회복하기 위해 유엔 회원국의 원조 제공을 결의하는 83호를 채택하였고, 이어서 7월 6일에는 미국의 책임 하에 통합군사령부를 창설하여 사령관을 미국정부가 임명하고 작전상황을 유엔안보리에 주기적으로 보고토록 하는 결의 84호를 채택하였다. 이에 트루만 정부는 극동군사령관인 Douglas MacArthur 원수를 유엔군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은 1950년 7월 14일 “현재의 위기가 지속되는 동안, 대한민국 육·해·공군의 일체의 지휘권(Command Authority)을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한다”는 공한(公翰)을 맥아더 사령관에게 발송하였고, 유엔사는 국군과 미 8군, 미 극동공군 및 7함대, 유엔 참전군을 단일 지휘하는 체제 하에 6·25전쟁을 수행하였다. 유엔총회는 1950년 10월 7일 “통일된 독립 민주 한국 정부 수립(Establishment of A Unified Independent, and Democratic Government of Korea)”을 권고하는 결의문 376(Ⅴ)을 통과하였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 당시, 유엔 참전국은 정전협정을 파기하고 전쟁 재발 시 유엔군의 재참전을 선언한 “한국에 관한 참전 16개국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1954년 2월 19일 유엔사와 일본정부 간 SOFA를 체결하여 주일본 미해·공군기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1954년 11월 17일 “유엔사가 한반도에서 방어임무를 수행하는 한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유엔군사령관에 둔다”는 합의의사록(Agreed Minutes)을 체결함에 따라 유엔사가 계속해서 한국군에 작전통제권을 행사하였다. 또한, 1957년 7월 1일 유엔사를 도쿄에서 서울로 이전하고, 유엔군사령관이 주한미군사령관을 겸직하게 되었다.  1978년 11월 7일 한미 전략지시 제1호에 의거해 한미연합군사령부를 창설하여 유엔군사령관이 행사해 오던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연합사령관에게 이양하였고 유엔사는 유엔안보리와 미합참의 지시 하에 지속적으로 정전협정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한미연합사는 한미안보협의회의(SCM,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와 군사위원회회의(MCM, Military Committee Meeting)의 전략지시와 작전지침하에 전쟁을 억제하고 억제 실패 시 전쟁에서 승리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94년 12월 1일 한미 전략지시 제2호에 따라 연합사로부터 한국 합참으로 평시 작전통제권이 전환되었으며, 연합사령관은 평시 위기관리, 정보감시, 전시 작계발전 및 연합연습, 상호운용성 등 연합권한위임사항(CODA, Combined Delegated Authority)을 행사하였다. 한편, 유엔사 기능 강화 관련 미 합참은 ‘1983년 한반도 전쟁 재발 시 유엔사와 연합사는 별개의 법적·군사적 체제를 유지하며 유엔사 부대를 운용한다’는 유엔군사령관을 위한 관련약정(TOR, Terms of Reference)을 지시하였고, 이를 1998년 유엔사 일반명령 제1호로 하달하였다. 또한, 2003년 1월 Donald Rumsfeld 미 국방부 장관은 Leon J. Laporte 유엔군사령관에게 유엔사를 회원국뿐만 아니라 더 많은 국가가 참여하는 병력제공(Force Provider) 기능 보강을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유엔사는 2008년 미 중부사의 다국적협조본부(MNCC, Multi-nations Coordination Center)를 참조하여 유엔사 MNCC를 편성하게 되었고, 2009년 을지프리덤가디안 연습 시 유엔사 다국적협조본부의 일원으로 호주, 프랑스 등이 참여하게 된다. 2014년 Curtis M. Scaparrotti 유엔군사령관은 유엔사 재활성화(Revitalization)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유엔사 역할 확대를 추진하게 되었다. 2016년 취임한 Vincent K. Brooks 유엔군사령관은 2018년 5월 14일 최초로 미군이 아닌 유엔사 회원국인 캐나다의 Wayne D. Eyre 육군 중장을 부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유엔사는 정전협정 이행 감독과 북한과의 대화를 추진하며 한미연합사 및 주한미군으로부터 독립된 유엔사 운영을 위해 연합사와 유엔사의 보직 겸직을 줄이는 조치를 단행하였고, 제3국 장교의 유엔사 보직을 확대하였다. 한국에게도 유엔사 참모부요원으로 참여를 요청하였으나 한국은 현재 파견하지 않고 있다. 또한 유엔사의 독자적 역할 강화 추세로 유엔사 참여국들의 키리졸브 등 한미 연합훈련 참가가 증가되었고, 유엔군사령관은 매달 전력 제공국 대사단을 초청해 회의를 하여 각종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있다. 호주, 프랑스 등 8개국이 유엔사 참모 요원을 파견하는 등의 30~40명 수준이던 유엔사 근무 요원이 2~3배 증원되었으며 유엔사 기능을 보강, 확대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던 2018년 1월 16일 미국과 유엔참전국 16개국을 포함한 밴쿠버 20개국 외교장관회의는 남북대화를 지지하며 한반도 유사시 대비책을 강구하는 회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2018년 제50차 SCM에서 한미 국방장관은 전작권 전환 시 한국군 4성 장군을 사령관, 미군 4성 장군을 부사령관으로 하는 미래 연합사의 새로운 지휘구조에 합의하였고,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유엔사와 주한미군이 지속 주둔할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2019년 7월 27일 호주 Stuart Mayer 해군중장이 Wayne Eyre 부사령관에 이어 두 번째 유엔사 부사령관으로 부임하였다. 이와 같이 유엔사 측이 유엔사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유엔안보리 결의 없이 이라크 전쟁을 감행하여 제한된 동맹군의 참전으로 어려운 전쟁을 수행했던 교훈을 고려하여 한반도 전쟁 시 한미연합사 보다 이미 유엔 안보리 결의에 의해 창설, 운용되고 있는 유엔사 주도 다국적군 작전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유엔사 역할을 확대 추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엔사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은 한반도 정전시 유엔사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유사시 유엔사의 역할에 대비하며, 평화협정 체결 시 감시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평화유지군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중국 견제 등 인도-태평양전략의 일환으로, 동북아판 NATO형 집단안보체제로 발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미 측이 미래연합사령부의 부사령관으로 미군 4성 장군을 합의한 배경과 의도는 무엇일까. 한국군의 한반도 전구작전 수행 능력에 대한 전향적인 평가와 함께 연합사부사령관이자 주한미군사령관으로서 미 증원전력 요청 등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3성 장군으로서 연합사 부사령관 임무를 수행할 때 유엔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에게 매번 지침을 주고 보고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군조직의 특성상 지휘관과 부지휘관의 권한이 심대하여 동일계급으로 지휘구조를 편성할 경우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 유엔군사령관이 미래연합사의 지휘구조 속에 들어가 정전시 연합연습을 통해 유사시 임무에 대비할 수 있다는 측면 등이 작용하였을 것이다. 유엔사 이름으로 전쟁 수행을 할 경우, 북한 점령 통치 대비 측면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판단이 현실화 될 경우 전시 미래연합군사령부와 유엔사 간 이원화된 전쟁수행을 하거나 전시 연합사로부터 유엔사로 전작권 재전환을 통해 유엔사의 단일지휘체제로 전쟁을 수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 전작권 전환은 명분에 불과할 것이며 우리군의 전반적인 아키택처가 도전받게 될 것이다,   전작권 전환 배경과 의의 여기에 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그 목적과 의미가 무엇인가를 음미할 필요가 있다. 전작권 전환 추진은 1970년대 초부터 자주국방이 주창되고 한국 방위의 한국화가 진화하고 발전되어 온 상징이다. 1994년 평시작전통제권이 이양되고 21세기에 진입하면서 북한 대비 압도적 우위의 국력, 격상된 국제적 위상, 드높은 국민적 자존감, 국제적 수준의 한국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이 한미연합방위를 주도할 수 있게 되었고, 미국은 중국의 잠재적 위협과 테러에 대처하기 위해 글로벌방위태세검토(GPR, Global Posture Review)에 따라 해외주둔재배치가 추진되었으며, 북한위협은 물론 인도-태평양지역의 위협에 동시 대처한다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따라 한국 주도 미국 지원의 신연합방위체제를 추진하게 된 것이며 이는 전작권 전환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6월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조건에 기초한 한국군으로의 전작권 전환이 조속히 가능하도록 동맹 차원의 협력을 지속”하기로 합의하였고, 7월 9일 발표한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로 “굳건한 한미동맹 기반 위에 전작권 조기 전환”을 추진해왔다. 또한 2018년 국군의 날 기념사를 통해 “우리 군은 어떤 위협으로부터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 낼 것이며, 우리의 땅, 하늘, 바다에서 우리의 주도하에 작전 통제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낼 것”임을 강조하였다. 전작권 전환은 자주국방의 상징으로 독립된 국가라면 마땅히 이뤄야 할 목표이다. 또한 이 전환은 이 땅의 주인인 대한민국이 동맹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의 의지와 능력, 전략으로 민족혼과 얼, 조국 강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겠다는 결기이다. 국군에 대한 전작권 행사는 국방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군사력 운용의 자율권을 복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력적화통일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서 북한의 핵 무력완성에 집착하는 것을 직시할 때, 재앙적 핵전쟁 대비, 전작권 전환을 통해서 유사시 전쟁을 주도할 수 있는 나라를 건설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작권 전환은 우리 군의 기를 세워주고 국민의 자존감을 드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며, 국민의 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게 할 것이다. 전작권 행사는 전·평시 통일전략을 추진하는 데 필수적인 바, 전작권 전환이 이루어질 때 제대로 된 평화창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한반도 유사시 한국 주도의 군사작전은 중국의 개입 명분을 차단시켜 통일의 성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작권의 전환은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이 추구해왔던 한국 방위의 한국화가 이루어진다는 역사적 의미와 함께 북한군은 전작권 전환을 행사하는 한국군을 두려워할 것이다. 북한군은 우리 군으로 전평시 지휘체제가 일원화되어 응징 보복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하는 한국군을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북한군 도발 시 즉각적으로 대응해 올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감히 도전을 못할 것이다. 북한이 무력 도발을 한다 하더라도 우리 군은 즉각적이고 과감하게 도발원점은 물론 지휘 및 지원세력까지 응징 보복으로 맞설 것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을 통해 대한민국은 한미동맹에 힘입어 경제성장과 정치발전에 이어 자립안보까지 이루어 내게 됨으로써 동맹의 모델로 평가되고 칭송받게 될 것이다. 또한 전작권 전환은 외교의 자율성을 행사함으로써 국제무대에서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작권 전환은 한반도의 작전지역과 군사전략에 부합하는 교리를 발전시키고, 무기를 개발하여 싸워 이기는 군대 육성은 물론, 방위산업을 진흥시켜 수많은 일자리 창출과 방산수출에 활력이 넘쳐 국익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전작권 전환 이후 유엔사의 역할 전작권 전환 이후 정전시와 유사시 유엔사와 합참, 미래 연합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정전시 유엔사는 정전협정 제17조 “정전협정의 조항과 규정을 준수하여 집행하는 책임은 본 협정을 조인한 자와 그의 후임 사령관에게 속한다”에 따라 유엔군사령관이 정전협정 준수와 집행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정전시 교전규칙에 의거 유엔사가 정전관리의 주체로서의 역할은을 계속 될 것이다. 합참은 전작권 전환 이후에 평시 국지도발에 대한 대응권한을 행사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추정된다. 유엔사는 한반도 전쟁억제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으나 국지도발 억제에는 실패했다고 평가된다. 한국군의 군사력 운용권한이 제약을 받아 우리 군이 주권수호, 영토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본연의 임무수행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군이 되었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스러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동안 한국군이 북한군의 도발 억제에 실패한 이유 중의 하나는 북한군의 무력 도발 시 한국군은 정전시 유엔사 교전규칙인 비례성의 원칙과 치사율이 높은 무기체계로 도발시 승인권자가 상향됨에 따라 대응사격 지연으로 실기하게 되었으며, 북한군은 이러한 취약성을 간파하여 끊임없이 도발과 테러를 자행해 왔던 데 연유한다. Robert M. Gates 미 국방부 장관은 회고록 Duty: Memoirs of a Secretary at War에서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도발 시 과도하게(Disproportionally) 전투기와 포병으로 응징하려는 한국에 대해 대통령, 국무장관, 본인, Michael G. Mullen 합참의장까지 비례성의 원칙에 의거 포로만 대응을 하고 일체 전투기로 보복, 폭격하지 못하도록 한국의 카운트파트에게 전화하였다”고 증언하고 있다. 전쟁으로 비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하나 백주에 대한민국 영토를 유린한 북한군에 대해 출격했던 우리의 전투기는 단호하면서도 과감한 응징을 했어야 했다. 2013년 3월 정승조 합참의장과 James D. Thurman 유엔군사령관이 서명한 한미 국지도발 공동대비계획에 따라 전시 교전규칙이 보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군이 국지도발 시 한국군은 도발 원점은 물론 지휘 및 지원세력까지 즉각적이고 과감하게 응징 자위권을 행사하고, 유엔사는 미측으로 하여금 추가 전력을 신속 전개하는 등 확전 방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 전쟁 재발 시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유엔사 및 연합사는 별개의 법적·군사적 체제를 유지하며 미 증원전력을 포함하여 유엔사 부대를 운용한다’는 유엔군사령관을 위한 관련 약정과 유엔사 일반명령에 의거하여 유엔사가 전투작전을 지휘하는 사령부 임무를 수행할 때, 우리 측은 미래 연합사가 한반도 전구작전의 전쟁지휘사령부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대립하게 된다. 만에 하나 이러한 기우가 현실로 나타날 때 감당할 수 없는 전쟁수행에 혼란이 예상된다. 6·25전쟁 중 지상작전 지휘체제의 이원화 교훈은 엄중하다. 반격작전 시 지상작전은 서부지역을 담당했던 미8군과 인천상륙작전에 투입된 미군 전력의 주력부대를 전환, 해상으로 이동시켜 원산으로 투입, 동부지역 작전을 실시했던 미 제10군단을 맥아더 사령관이 직접 지휘하는 지상군의 분리된 지휘체제였다. 양개 부대의 전투지경선으로 중국군이 개입하는 등 협조된 작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얼마나 어려운 군사작전을 치렀는가를 보면 이원화된 지휘체제는 결코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한반도 유사시 미래연합사령관이 유일한 한반도전구사령관이며, 유엔사는 전력제공의 역할을 수행하고, 유엔사의 일원으로 참전하는 전투부대는 연합사 전술통제(Tactical Control)로 전환하여 지휘체제를 일원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백두산 화산폭발 포함 재해 재난 발생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 또는 북한당국의 요청에 의거 북한지역에서 인도적 지원/재난구조작전(HA/DR, Humanitarian Assistance & Disaster Relief)을 수행할 경우, 미래연합사령관이 작전통제권을 행사해야 할 것이다. 북한 지역이 외국이 아니며, 민족자결주의 원칙과 남북관계가 통상적인 나라와 나라의 관계가 아닌 통일로 가는 특수한 관계라는 남북기본합의서와 “대한민국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헌법 제3조, 북한군, 작전지역, 언어 등에 앞서 있는 미래연합사령관의 단일지휘체제에 의해 HA/DR작전이나 평화강제작전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남북평화협정 체결시 유엔사의 역할 9·19 남북군사 합의는 유엔사측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DMZ 비무장화 등 정전협정의 기본정신에 충실한 합의였다. 특히 남·북·유엔사 3자협의체를 운용하여 판문점 비무장화 합의 이행 관련 협의를 통해 비무장화를 실현한 것은 유엔사의 역할에 유의미하다. 유엔사와 폴란드·체코 요원도 공산측 중립국감시위원회로 복귀하여 스위스·스웨덴 중감위 위원과 함께 남북군사합의서 이행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도 유엔사와 긴밀한 협조 하에 남북군비통제를 추진하고 군비통제 이행을 감시하는 기능을 유엔사가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협력사업에 대한 유엔사의 역할은 2010년 10월 3일 유엔사와 한국 국방부 간 체결한 “DMZ 통과 남북철도·도로 연결관련 대한민국 국방부와 유엔사 간 합의각서”에서 ‘유엔사는 관할권(Jurisdiction Authority)을 지속 행사하고 한국군이 행정권(Administrative Authority)을 행사한다’는 합의에 따라, 향후 남북협력사업을 군사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평화협정 체결 시 유엔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평화협정은 북한을 더 이상 적대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위협이 소멸되어 유엔사의 존립근거가 상실된다는 해체론과 유엔 안보리 결의 83, 84호 근거에 의거 창설된 유엔사는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대체 되었다고 해서 하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존속론이 대립하고 있다. 심지어 1950년 10월 7일 유엔 총회의 ‘통일된 독립 민주 한국 정부의 수립” 결의는 유엔사에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유엔사의 미래와 관련된 유관국의 입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미국의 입장은 한반도 평화 관리 및 동북아 안정 유지를 위해 존속되어야 한다는 것인 반면, 북한측은 통일의 걸림돌로 유엔사 해체를 집요하게 주장해 왔으며 평화협정 체결 시 유엔사는 당연히 해체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은 서방세력이 주력인 유엔사를 통해 중국을 견제한다고 인식하는 피포위의식으로 유엔사 해체를 주장할 것이고, 일본은 유엔사가 존속되어야 하며 만약 한국 정부가 유엔사의 존속을 반대하여 유엔사가 도쿄로 재이전할 경우 자국 안보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평화협정을 체결할 경우, 유엔사 해체 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유엔사 후방기지 사용권한 소멸은 물론 6·25전쟁 참전국의 한반도 분쟁 재발 시 재참전하겠다는 결의가 소멸되며, 한반도 유사시 중·러의 비토로 유엔 안보리 참전결의안 채택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 평화협정 이행을 감독할 구속력이 있는 기구가 부재하여 북베트남에 의한 무력공격을 허용한 베트남전 파리평화협정의 교훈 등은 평화협정 체결시 유엔사 해체에 신중해야 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결론 및 정책 제안 최근 유엔사가 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정전체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비핵화 진전시 평화협정을 체결할 경우 평화유지군으로의 발전할 가능성에 대비하는 측면도 있다. 또한 한반도 유사시 전쟁수행사령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 중국 등 수정주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전략의 일환으로 동북아판 NATO형 집단안보체제로 발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어떠한 경우든 대한민국과 유엔사가 윈윈할 수 있는 모습으로 유엔사의 역할과 기능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은 국가안보의 기본 틀이 바뀌는 것으로 정전시 유엔사의 정전협정 관리의 역할을 존중하면서 우리군이 군사력 운용 권한을 회복하여 북한의 어떠한 도전에도 즉각 응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엔사 정전시 교전규칙이 보완되어야 한다. 미래 연합사와 유엔사와의 지휘관계는 예속관계가 아닌 지원협조관계로서 유사시 미래연합사령부가 한반도 전구작전의 유일한 전쟁지휘사령부이고 유엔사는 전력제공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유엔사의 일원으로 참전하는 전투부대는 미래연합사령부에 전술통제로 전환시켜 지휘체제를 일원화해야 할 것이다.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 유엔사의 미래 문제에 대해 한미간 심층적인 협의가 요구된다. 평화협정 감시기구로서 남북공동군사위원회, 유엔사, 유엔사 재편, 평화유지기구(PMO) 등의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국제적 지지, 채택 가능성, 감시 기능의 실효성, 국익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DMZ를 평화지대화하여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 남북한, 유엔사 참전국을 회원국으로 재편하여 유엔사가 평화협정 감시 기능을 수행할 때 출혈을 하지 않고 통일로 가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정경영_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육군사관학교와 미 육군지휘참모대를 졸업하였으며, 메릴랜드대학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합참·연합사·육본에서 전략수립과 정책개발에 참여하였으며, NSC와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국방대, 가톨릭대에서 안보학 강의를 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미군사관계, 북한군사, 다자안보협력, 분쟁관리 등이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는 《통일한국을 향한 안보의 도전과 결기》, 《한국의 구심력 외교안보정책》,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국제협력》(편저),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London: Ashgate)(공저)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I j.baek@eai.or.kr     [EAI논평]은 국내외 주요 사안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고 정책적 제언을 발표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된 논평 시리즈입니다.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EAI는 어떠한 정파적 이해와도 무관한 독립 연구기관입니다. EAI가 발행하는 보고서와 저널 및 단행본에 실린 주장과 의견은 EAI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저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정경영 2020-06-05조회 : 8983
논평이슈브리핑
[EAI 논평] 아베 내각의 새로운 한반도 정책: 추진의 배경과 한국의 위치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편집자 주 한국 반도체 소재 세 개의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조치, 강제징용피해자 대법원 판결, 무역 전쟁과 같은 일련의 한일 양국 간 사건들을 통해 양국의 관계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습니다. 박정진 쓰다주쿠 대학 교수는 “한국이 화이트국가 리스트에서 배제됨으로써 겪게 될 경제적 여파는 미지수이지만, 안보환경에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말하며, 한국에 대한 강경자세를 고수하는 반면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수 차례 밝힌 일본 아베 내각의 신 한반도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더 이상 “남북관계의 진전을 전제로 한 북일 관계의 전개”는 존재하지 않는 가운데 필요하다면 새로운 한일 관계와 남북한 평화체제를 고려한 한국의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저자는 제언합니다.     한국과 일본의 ‘무역전쟁’? 한일 관계의 악화가 장기화될 조짐이다. 향후 전망에 대한 예단은 아직 이르지만, 중간 평가는 필요한 시점이다. 먼저 한국의 대응을 되돌아 보자. 2019년 7월 1일자 일본 경제산업성의 ‘한국 반도체 소재 3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조치’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이를 강제징용피해자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이하 징용피해자 문제)에 대한 보복조치로 받아들였고, 한국의 미래산업을 공격목표로 하는 선전포고로 간주했다. 그리고 그 뒤 촉발된 ‘무역전쟁’을 일본정부가 안보문제로까지 확전 시키려 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GSOMIA 종료를 선언한 것은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당연한 조치가 된다. 과연 그런가?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조치가 역사문제에 대한 보복조치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러나 역사문제가 통상문제, 그리고 안보문제로 단계적 확대가 이루어졌다는 해석은 사실과 다르다. 문제의 발단인 일본 경제산업성 발표의 첫 번째 항목에는 이미 한국을 화이트국가 리스트에서 제외할 것을 공지하고 있었다. 이는 처음부터 경제 및 통상 논리에 근거한 조치가 아니었음을 의미한다. 특정국가를 화이트국가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조치는 안전보장 정책에서 해당 국가의 위상을 재정의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역사 의제를 둘러싼 오랜 갈등에도 불구하고, 한일 관계를 지탱해 온 것은 안보협력이었다. 따라서 안전보장을 둘러싼 이해관계의 재고는 양국 관계의 근본적인 재편을 초래한다. 일본 정부는 바로 그 시작을 공표한 것이다. 한국을 화이트국가 리스트에서 제외하면서, 일본정부는 그 근거로 북한으로의 전략물자 이전 ‘의혹’을 제기했었다. 이 ‘의혹’에 대해 한국은 무역에 대한 ‘규제’를 정당화하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반론했다. 이 또한 일본의 보복조치의 본질이 ‘경제침략’, 즉 통상관계에 있다는 판단에 근거한다. 하지만 한일 통상관계는 상호적이다. 일본은 통상수지에서 우위에 있지만 이를 무기로 한국에 제재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일본정부는 이 점을 인지하고 있고, 따라서 자국의 기업이나 산업에 대한 피해를 감수하면서 금수조치를 강행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실제로 일본정부가 의도 했던 것은 ‘규제’가 아니라 ‘의혹’그 자체에 있다. 그리고 그 목적은 일종의 ‘코리아 리스크’만들기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 대한 일방적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적이지 않다. 자국의 국내법을 근거로, 상대국의 안보 신뢰도를 격하시킴으로써 압력을 행사하는 방식은 2005년 북한을 둘러싼 방코델타아시아 사건(BDA 문제)을 연상시킨다. 당시 미국이 애국법(Patriot Act)에 근거해 북한에 안보관련 의혹을 제기하고 북한이 이에 반론을 제기하는 과정을 보면, 과정 그 자체가 쟁점을 형성시키고 쟁점이 확대될수록 진위와는 무관하게 리스크가 커지는 양상이 확인된다. 국가의 안보와 관련된 의혹은 그 성격상 완전한 해소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의혹은 북한의 외환 자금 전체를 동결시키는 효력을 발휘했다. 물론 한국에 대한 실질적인 여파가 북한과 같을 것이라고 과대평가할 필요는 없다.‘코리아 리스크’라는 조어 또한 일본 정부의 공식 용어가 아니다. 다만 일본의 보수 오피니언 리더 사이에서 ‘코리아 리스크’라는 표현은 새삼스럽지 않다. 이들은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 정부가 입게 될 경제적 피해로서 외환과 금융위기를 거론한다. 글로벌 투자는 의혹의 진위보다 리스크의 발생 장소에 주목한다는 논리이다.   한일 관계의 재편과 그 추진력 한국이 화이트국가 리스트에서 배제됨으로써 겪게 될 경제적 영향은 미지수이지만, 안보환경에 변화가 초래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중국과 러시아 군에 의한 한국 영토 침범이라는 초유의 도발 사태는 이와 무관하지 않다. 다만 안보환경의 변화는 아베 내각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외형상 무역전쟁이었지만, 초기 국면부터 미국의 역할이 결정적인 의미로 부각된 이유이다. 과거 수 차례 있었던 한일 관계에 대한 미국의 개입과 중재는 모두 전통적인 한일 안보협력의 필요성에 기인한다. 앞으로도 종래의 협력방식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라면, 미국은 한국의 화이트국가 리스트 제외가 처음 공지된 단계에서 부터 이미 중재나 개입을 했어야 했다. 한국에서는 미국의 반응과 중재 여부가 뉴스의 헤드라인으로 부상했지만 뒤 늦은 감이 있었다. 반면, 사태 직후부터 일본의 미디어들은 미국의 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었다. 실제로 미국은 한일 간의 이 전례 없는 대립에 대해, 의미 있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 아베 내각은 트럼프 행정부가 동의 또는 지지하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새로운 국제질서와 이에 대한 대응전략에 있어 미일 간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일치한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제2차 냉전(第二次冷戦)’이라는 표현이 상용되고 있고, 그 도래는 다가올 가능성의 영역이 아니라 이미 현재 진행형이다. ‘일대일로’로 대변되는 중국의 굴기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후 봉쇄 정책으로 회귀하고 있고, 이는 인도 태평양 전략으로 구체화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 전략이 아직 구상단계에 있던 2017년 11월, 한국 정부는 명백한 참여 거부의사를 밝힌바 있다.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였다. 반면, 일본은 인도와 호주를 잊는 새 방어 라인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자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왔고, 올해 공식화된 인도 태평양 전략 구상에서 스스로를 ‘초석(cornerstone)’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군사적 위상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전통적인 한미일 안보협력방식에 기인하는 한일관계의 ‘특별함’은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자민당 내에서 비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 대한 아베 내각의 자신감은 일단 여기서 비롯된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보복조치는 아베 신조 개인의 우익적 성향에 의한 즉흥적 반응이 아니었다. 위안부 합의 사항인 화해와 치유 재단의 해산, 후쿠시마 수산물 WTO제소, 레이더 및 초계기 사건 등 그 동안 한일 양국은 역사문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대립해왔다. 이 일련의 대립과정에서 한국의 반응은 상대적으로 둔감했던 반면, 일본은 필요 이상으로 민감했다. 그리고 이 대립의 사례는 한일 관계 재편의 명분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징용 피해자 문제는 아베 내각이 상정한 마지막 라인이었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법원 판결 이후 일본정부는 행동하기 시작했고, 이 즈음 부터 관계 회복의 복안으로써 다양한 타협안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과거와는 다른 한일 관계를 구상하는 아베 내각에게 역사문제에 대한 양보를 더 이상 기대하기는 어렵다. 한국 정부의 GSOMIA 종료 선언 또한 화이트국가 리스트 복귀를 위한 협상 카드가 될 수 없다. 오히려 한국 정부의 강경한 대응은 아베 내각에게 한일 관계 새 판짜기의 재료가 되고 있다. 아베 내각의 한국에 대한 이러한 낯선 접근방식에 다수의 일본 국민들은 지지를 보내고 있다. 이를 일본 사회의 우경화 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아베 내각이 일본 국민들에게 호소하는 내용은‘한국은 신뢰할 수 없는 나라’라는 것이며, 대북 전략물자 이전 의혹, 즉 대북 정책에 대한 불신이 중요한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일본의 역대 내각은 햇볕 정책(太陽政策), 포용 정책, 화해와 평화 정책 등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 용어를 차용했었다. 노무현 정부 시절 6자회담이 전개된 이후에는 유화 정책(宥和政策)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용어는 ‘appeasement policy’로 번역된다. 개입 정책(engagement policy)으로 이해되기를 바라는 한국 정부의 공식입장을 애써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 일본의 모든 미디어는 한국의 대북 정책을 예외 없이 융화 정책(融和政策)이라고 표현한다. 한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오해가 이미 진전된 조건에서 ‘유화’라는 표현이 ‘융화’로 진화하는 현상은 자연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융화는 외교적 용어가 아니라 일상에서 쓰이는 통상적 언어이며 무엇보다 유화와 일본어 발음이 ‘ゆうわ’로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융화의 사전적인 의미를 정리하면 ‘melting and integration’이 된다. 즉, 현재의 일본 사회는 한국의 대북 정책을 남북 간의 통합, 다시 말해 통일 정책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대북 정책의 목표가‘남북 융화’라는 일본사회의 ‘자연스러운 오해’의 이면에는 ‘반일 한국’이라는 정치프레임이 동전의 양면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이 주도하는 남북한 화해는 비핵화를 위한 한반도 평화 구축이 아니라, 반일적인 ‘한반도 내셔널리즘’의 확대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통일이 실현될 경우 북한의 핵은 곧 한국의 핵이 될 것이라는 황당한 논리로 자가발전하기도 한다. 일본(인)에게 한반도가 통일을 향해 급진전하는 정세 변동은 자신을 둘러싼 국제관계의 현상타파, 경우에 따라서는 한반도의 유사사태 즉, ‘조선 유사 (朝鮮有事)’로도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의 부상’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아베 수상의 개헌 필요성 주장의 중요한 논리적 근거가 되고 있기도 하다.   북일 관계의 부상과 한국의 딜레마 한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일본사회의 오해는 아베 내각의 ‘의도적인 이해’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기에는 독자적인 대북접근이 병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제1차 남북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이 발표될 당시, 아베 내각은 한국 주도의 북한 비핵화 프로세스에 합류하기 보다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일체화된 대응을 어필하는 한편,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수석과의 정상회담을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갔다. 이러한 대북접근방식을 당시 일본의 외교 당국자는 ‘대국 외교’라고 표현했다. 9월에는 아베 수상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의사를 밝히고 납치문제 해결의 결의를 표명했다. 이 발언은 그 직전에 있었던 제3차 남북정상회담 보다, 그 직후에 예정된 자민당 총재 선거라는 국내 정치일정과 인과관계를 가진다. 본격적인 대북 정책의 전환은 아베 수상의 장기집권 플랜과 연동되어 가시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자민당 선거 이후 이루어진 개각에서 주목할 인사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의 재임이다. 그에게는 ‘납치문제 담당대신’의 임무가 주어졌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 관방장관에게 ‘특명’이 주어진 것은 전례가 없다. 이는 내각을 넘어 수상 관저가 대북 정책을 주도하겠다는 의도를 내비친 표현이다. 관저 주도의 대북 정책 추진 움직임은 이미 예정된 것이었다. 북미정상회담 직후인 2018년 7월 1일, 외무성에서 한반도를 담당했던 아시아 대양주국 북동아시아과(アジア大洋州北東アジア課)가 두 개의 부서(1과와 2과)로 확대 재편되었다. 북한을 전담하는 부서(제2과)를 신설한다는 취지였다. 이 조치는 외무성 자체의 대응이 아니라 관저에 의한 톱 다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 중심에 이마이 다카야(今井尚哉) 정무비서관이 있다. 그리고 그의 주변에는 고이즈미 수상의 정무비서관였던 이지마 아사오(飯島勲) 내각참여(内閣参与: 청와대 외교안보 특보에 해당)와 기타무라 시게루(北村滋) 내각정보관이 대북 정책을 주도하고, 북일 접촉을 직접 관할해 왔다. 그리고 2019년 8월, 기타무라는 국가안전보장국(NSC) 의 수장으로 격상되었다. 전임자인 야치 쇼타로(谷内正太郎)는 한일 위안부 합의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반면, 북한 전문가인 기타무라는 한국과 큰 인연이 없다. 아베 내각의 안보 정책과 한반도 정책의 방향을 상징하는 인사라고 할 수 있다. 뒤이어 9월에 신임 외상이 된 시게키 도시미츠(茂木敏充)는 한국에 대한에 종래의 강경자세를 견지하는 한편, 향후 정상회담을 포함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수 차례에 걸쳐 공언하고 있다. 이와 보조를 맞추듯이, 현재 일본의 경제단체와 정치인들의 방북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한일 관계의 재편과 북일 관계의 모색이 동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을 경유하지 않고 북한 위협을 직접 대면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한 아베 내각의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 안보 정책 총론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접근방식이 아닐 수 없다. 그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한국 정부가 주목해야 할 변화이다. 북한 비핵화 정책을 추진하는 동안, 한국정부는 일본 요인을 과소평가하는 분위기였고, 그 분위기를 반영해 한국 미디어에서는 종종 ‘재팬 패싱’이라는 말이 회자되었다. 여기에는 과거의 사례에 근거한 경험적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 남북 관계가 진전될 경우 북일 관계는 자동적으로 동반될 것이라는 믿음이 그 것이다. 하지만, 북일 관계의 진전은 북한 비핵화의 필수적인 프로세스이며, 촉진요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2002년 평양선언 이후, 북일 관계는 남북 관계와는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를 상징하는 것이, 북일 간 쌍무적 의제인 이른바 납치문제이다. 북일 양국은 납치문제를 계기로 다양한 형태의 회담을 전개해 왔고 납치문제 이상의 논의들을 전개해왔다. 더 이상 남북 관계의 진전을 전제로 한 북일 관계의 전개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베 내각은 앞으로도 대북접근을 적극 추진할 것이며, 현재의 추세라면 그 과정에 한일 대립이 동반될 것이다. 물론 한일 간 안보협력의 갑작스러운 무효화나 북일 간의 극적인 국교정상화는 없을 것이다. 미국이 용인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의 대응 또한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일 관계가 급진전될 가능성은 열려 있다. 이 경우 한국 정부는 지지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지만, 북한 비핵화에 대한 주도적 역할은 큰 폭으로 손상될 것이다. 딜레마이다. 여기에 남북 관계의 경색이 더해질 경우, 이 딜레마는 커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은 충분한가? 그 동안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의 ‘경제침략’에 대해 남북한 평화경제 체제의 구축을 대안으로 제시했고, 8.15 기념행사에서는 남북한 통일의 미래비전을 언급했다. 그 후 일본은 미동 조차 하지 않았으며, 북한은 연이은 미사일 발사로 회답했다. 필요하다면 ‘반일’과 ‘통일’을 말해야 한다. 그리고 그 말 속에는 새로운 한일 관계와 남북한 평화체제를 고려한 전략이 스며 있어야 한다. ■   ■저자: 박정진_ 쓰다주쿠 대학(津田塾大学) 국제관계학과 교수. 도쿄대학교에서 국제관계 및 지역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 일본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직. 주요연구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 및 한일 및 북일 관계 연구이다. 주요 저서로는 《日朝冷戦構造の誕生 1945-65》, 편저 《帰国運動とは何だったのか》, 공저 《The Dismantling of Ja-pan’s Empire in East Asia》, 《日本の安全保障6 朝鮮半島と東アジア》, 《한일 관계사 1965−2015》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I j.baek@eai.or.kr     [EAI논평]은 국내외 주요 사안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고 정책적 제언을 발표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된 논평 시리즈입니다.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EAI는 어떠한 정파적 이해와도 무관한 독립 연구기관입니다. EAI가 발행하는 보고서와 저널 및 단행본에 실린 주장과 의견은 EAI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저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박정진 2020-06-05조회 : 8499
논평이슈브리핑
[Global NK 논평] No Way Out?: US-North Korea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 본 Global NK 논평의 원문 보기 및 PDF 다운로드는 Global North Korea 웹사이트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Editor's Note After the Panmunjom meeting between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Jong Un, there has been a downturn in the North Korea-US talks on denuclearization. North Korea resumed military provocations, denouncing the ROK-US joint military drill. Instead of progress in North Korea-US peace talks, there have been continued refusals to engage, and an atmosphere of blame has arisen between the two. Professor Won Gon Park of Handong Global University’s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rgues, "If the US does not change its policy by the end of this year, North Korea will take a new way." As the negotiations have several variables, there is also a potential for President Trump to use South Korean security matters as corresponding denuclearization measures. Thus, the author add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aware of this and exercise caution so as not to place the country in a fragile security situation."     Since the surprise meeting between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Jong Un in Panmunjom on June 30, US-DPRK talks have halted. Immediately after the meeting, President Trump proudly stated that working-level talks between the US and DPRK would take place "within two to three weeks." However, North Korea has chosen not to engage in further talks, and instead has resumed military provocations by launching ballistic missiles and rockets. North Korea denounced the ROK-US joint military drill in August and used it as an excuse to continue testing new weapons. President Trump, meanwhile, continues to insist that those tests by the North are "not a violation of promises" and showed off a letter from Chairman Kim that included a "small apology" for the testing and a promise to re-open talks after the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is finished. However, as of early September, North Korea has refused to hold any kind of talks with the US. Using state media, North Korea keeps blaming the US for this refusal. On August 31, North Korea’s Vice Foreign Minister Choe Son Hui railed against US Secretary of State Michael Pompeo’s remark that Pyongyang was guilty of "rogue behavior" as "just improper language, which the US administration will surely regret." She also warned that "hopes for talks with Washington are fading and the US should not put (North Korea’s) patience to the test any longer." A week before Choe made this statement, DPRK Foreign Minister Ri Yong-ho released a similar statement calling Secretary Pompeo a "diehard toxin" who only complicates denuclearization talks and insisting that the North is "ready for both dialogue and a standoff." It is also known that Ri will not attend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n New York this September. If he were to attend, it could lead to a meeting with Pompeo. However, North Korea has deliberately refused any kind of meeting with the US so far. North Korea’s intentions for denuclearization talks are becoming clear— they do not want to have the promised working-level talks unless the US changes its "grand bargain" to a "total solution" and accepts North Korea’s synchronized and phased approach. It is a well-known fact that North Korea would prefer a summit over working-level talks. After the failed Hanoi summit, several American participants expressed frustration over the difficulties in proceeding in negotiations with their North Korean counterparts at the working level because, simply, they kept saying "they do not have any authority to negotiate about denuclearization issues. Only their supreme leader can decide." As the US has maintained a consistent policy since Hanoi, North Korea knows that it cannot get what it wants in working-level talks. North Korea has actually denied high-level dialogue as well. The aforementioned Ri and Choe are two possible counterparts for Pompeo, yet they are clearly showing that they have no intention of talking with him. This means that the only remaining option for the North vis-à-vis dialogue with the US is another summit. Because President Trump is an unconventional leader whose style is without precedent in the US, it seems that the North is betting on him alone. North Korea has not retreated from the position that it took in Hanoi. North Korea wants to have corresponding measures to accompany the dismantlement of the Yongbyon nuclear facilities. There is just one difference that can be noticed after Hanoi in terms of compensation, which is an emphasis on security guarantees. Following Chairman Kim’s statement in his state address on April 12 that "we will no longer obsess over lifting sanctions imposed by the hostile forces," in his meetings with Russian and Chinese counterparts, he has continued to call for security guarantees in return for denuclearization. North Korea’s recent criticisms of the ROK-US joint exercises and deployment of strategic assets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can be understood in light of its demands for security guarantees. So far, President Trump has delivered at least two failed messages to the world about the US dialogue with North Korea. He announced that the North would come to the working-level negotiation table after the Panmunjom meeting in June, and stated the same once more after the ROK-US joint military drill finished in August. President Trump also echoed Chairman Kim’s argument about the joint drill, saying that it’s "a total waste of money." The US Congress and diplomatic and security communities, as well as US media, have criticized Trump’s attitude and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North may have expectations that if it continues to refuse talks with the US and conducts limited provocations, President Trump will change his policy and come up with a more flexible approach to denuclearization because of domestic pressures, which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his re-election.  However, there are no signs that the US will change its policy on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National Security Advisor John Bolton said on August 14, "what President Trump called the big deal...is to make that strategic decision to give up nuclear weapons, and then implement it and then all kinds of things are possible after that." The US still wants North Korea to make a strategic decision to give up nuclear weapons by agreeing to the US definition of denuclearization; freezing all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and agreeing to a roadmap including reporting, inspections, and dismantlement. The US also demands that the North dismantle not only the Yongbyon nuclear site, but also other facilities that produce highly enriched uranium. Sanction lifts will follow after North Korea has implemented meaningful denuclearization measures. Chairman Kim said on April 12, "if the United States proposed holding a third round of summit talks after finding out with a proper attitude a methodology that can be shared with us, we would be willing to try one more time." He also stated that "we will be patient and wait till the end of this year to see whether the United States makes a courageous decision or not." These statements imply that he "may be compelled to find a new way of defending the sovereignty of the country and the supreme interests of the state and for achiev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oblem is that if the US does not change its policy by the end of this year, North Korea will take "a new way," yet there is no real alternative for the North.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been deteriorating since 2016. The North had -3.5% economic growth in 2017, and -4.1% in 2018,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 The current economic sanctions promise to deplete North Korea's foreign currency reserves in the not-so-distant future. Another challenge that the Pyongyang leadership faces is rising expectations. Because North Koreans have witnessed a series of summits, it is not unlikely that they may have higher expectations of getting out from under the economic sanctions and enjoying a better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expectations, the greater the frustration when such hopes are not fulfilled. If North Korea chooses to resume its nuclear and ICBM tests as its "new way," the Trump administration will once again return to the strategy of maximum pressure, including military options. China and Russia will not be able to actively protect and support North Korea if this occurs as both have their own issues with the US. On top of that, although President Trump will face serious criticisms if the North resumes its tests, it has been shown already in numerous cases that Trump does not mind blaming others and rapidly changing his policies. As a result, time is not on North Korea’s side. If the US continues to impose sanctions, North Korea’s new way could lead to meaningful denuclearization steps. Yet one important variable that we should be cautious about in this process is Trump’s tendency towards unilateral decision-making when it comes to security matters. As mentioned previously, North Korea wants the US to provide security guarantees in the form of the permanent suspension of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s and the end to the deployment of strategic assets in South Korea. Trump has expressed very negative views on this issue several times. It is expected that the ROK and the US will have very tough negotiations on burden sharing in the coming months. The termination of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lso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ROK-US alliance. Under the circumstances, the possibility that Trump will use important security matters for South Korea as corresponding measures to denuclearize North Korea should not be exclud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aware of this and exercise caution so as not to place the country in a fragile security situation.      ■ Won Gon Park is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Handong Global University. He is also a member of the Policy Advisory Board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Unification for the Republic of Korea.   ■ 담당 및 편집: 백진경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9) I j.baek@eai.or.kr

박원곤 2020-06-05조회 : 8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