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지속적으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9%를 상회하는 고도의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중국의 고속 성장은 국내 및 지역적 차원을 넘어 지구적 변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이는 안보와 경제 등 전통적 이슈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환경 등 신흥 이슈에도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변화가 인류의 공생과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바람직한 아태 질서 설계도를 마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EAI는 2018년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이라는 중장기 연구사업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중 간의 무역 분쟁은 무역과 기술 영역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금융과 에너지, 군사·안보 부분에는 아직 대립이 본격화되고 있지 않다. 동아시아 연구원은 아-태 지역에서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이 미·중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오히려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미완의 영역이자 가능성을 지닌 영역으로 바라보고, 중견국인 한국이 주축이 되어 미·중 간 협력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은 한샘DBEW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프로젝트(2018-2021)의 제2차년도 사업이다.

워킹페이퍼
[워킹페이퍼] US-China Competition in Cyberspace: A Perspective of Emerging Power Politics and Platform Competition

.a_wrap {font-size:14px; font-family:Nanum Gothic, Sans-serif, Arial; line-height:20px;} Editor's Note In this paper, Sangbae Kim analyzes a new trend i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cyberspace by using a framework comprising three-dimensional competition of technology, standards, and charm. Kim's paper is based on the notion that cyberspace is an emerging sphere for US-China power competition as China rises as a global leader in the digital realm with remarkable growth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new arena, a power game is underway to secure capabilities and resources in technology and data, dominate standards in related sectors, and establish universal norms.     Quotes from the paper   Introduction In exploring the current US-China competi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new issues of information technology—in a broader sense, knowledge,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se issues are recognized as the new sources of power in the information age, or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e now opening a new horizon of world politics beyond the traditional power politics based on military and economic resources (Schwab 2016). More specifically, these issues belong to a leading sector which is both growing faster than any other part of the world economy and driving the growth of other sectors. This new sector has enjoyed recent rapid expansion through the medium of cyberspace. Cyberspace has been understood intrinsically as the space of technologies and industries, but has been recently transformed into a complex space that includes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with socio-political implications. Understanding thi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US-China competition in cyberspace as an emerging leading sector. This paper comprises two main parts. In the first part, adopting network theories, it outlin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latform competition and emerging power politics between two great powers, and interprets the competition as “inter-network politics” between two network states—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e second part, applying the framework of three-dimensional platform competition, this paper analyzes U.S-China competition in cyberspace in coping with the “inter-network politics” of cyberspace. This paper concludes with a brief summary of the main argument, and presents further research concerns.   US-China Technological Competition in Cyberspace The key issue in emerging power politics is the technological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ccess or failure of each country in the sectors of semiconductors, smartphones, supercomputers, 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comput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e-commerce and FinTech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global hegemony. In these sectors, product productiv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are the keys to competition at the first threshol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uch sectors as network equipment, servers, and sensors, which are composed of infrastructure environments interconnecting individual devices, are also critical to this competition. In addition to wired and wireless internet, recent innovations in technologies related to IoT are drawing attention. In this regard, the future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might be dominated by the CEOs of the digital economy and industry rather than by political leaders.   US-China Standard Competition in Cyberspace Recent competition in IT has been different from past competition to produce cheap and high-quality semiconductors, high performance software and computers, and fast, accessible Internet. In other words, it goes beyond competition in which a company or country acquires resources and builds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innovations. Of course, there is no denying the importance of having enough capital and advanced technology in winning this competition. However, as the environment of complex networks and media converge in cyberspace compet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dominate standards in related sectors. From this point of view, standard competition is “platform competition” to create a new stage and play a new game, rather than a game to win on the established stage. Recently, based on the enormous power of Chinese consumers, Chinese companies have been challenging US companies in this field of platform competition.   US-China Charm Competition in Cyberspace In the most comprehensive sense, US-China competition in cyberspace is a competition of charm, which could also be called a competition over “soft power” (Nye 2004). This charm competition goes beyond taking control of markets and policies to establish persuasive and agreed-upon universal norms. For example, unlike hardware-based manufacturing sector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Internet businesses depends on who can produce more emotionally compelling content and desirable services. Producing attractive content and services is only half the battle- diffusion and communication are also important. The extent to which the policies, institutions and culture of a certain country are able to embrace the content and services provided also plays a critical role. In this regard, the charm competition means establishing norms that include universal values and an accessible world view. As in the case of technical standards and institutional models, the United States has thus far dominated the realm of charm diffusion and norm setting, and China’s challenge in the future will be reaching this domain.   Conclusion Indeed, the recent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cyberspace has developed into a multi-dimensional competition over industry, trade, security, military, privacy, law and i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norms. Faced with such complexity generated by the rise of the emerging power game, South Korea must take sys-tematic measures to implement necessary policies and rearrange existing institutions. South Korea must also seek out strategic roles in the US-China competition. In searching for such strategic roles, as this paper recommends, South Korea should consider its structural position and take actions for security and prosperity as a middle power. Indeed, this situation is likely to provide South Korea with a golden opportunity to engage in middle power diplomacy, especially in cyberspace. However, we also have to keep in mind that the structural conditions produced by US-China competition may pose a threatening challenge to South Korea, whose geopolitical fate is to be located between two super powers.     Author's Biography Sangbae Kim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 major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network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is publications include Virtual Spears and Network Shields: World Politics of Cyber Security and South Korea (Hanulmplus 2018, in Korean), International Relations of Arachne: Challenge of the Network Theory of World Politics (Hanul Academy 2014, in Korean), and Information Revolution and Power Transformation: A Perspective of Network Politics (Hanul Academy, 2010, in Korean). Kim has a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김상배 2019-01-08조회 : 8598
워킹페이퍼
[워킹페이퍼]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and Intervention in Chinese Foreign Policy at the UN Security Council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       Abstract  This working paper builds upon an emerging literature regarding sensitivity to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in Chinese foreign policy. I argue here that China’s misgivings about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also affect China’s response to interventions at the UN Security Council. First, the paper establishes the connection between regime change and interventions at the UN Security Council. Next, the paper categorizes why Chinese scholars and policymakers deride regime change using an analysis of Chinese-language sources. Last, the article draws on recent UN Security Council cases of intervention to reflect 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China’s sensitivity to regime change for its engagement in UN Security Council-led interventions.         Quotes from the PaperChina’s misgivings about regime change are not limited to affecting Sino-US relations, but also affect China’s response to intervention at the UN Security Council.       In the post-11 September landscape,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has re-emerged as a foreign policy tool and goal applied to target dictators in Egypt, Iraq, Libya and Sudan, for example, and as a domestic policy goal of street-led movements trying to instigate political change during the Arab Spring, for example.   Though China espouses a firm commitment to more conservative principles in regards to intervention, it is flexible in the application of these principles in practice, emphasizing its commitment to limiting intervention to conditions of UN Security Council authorization, host state consent and regional support.   Regime change can occur, at one extreme, through a direct military intervention using force to abruptly remove senior leadership of a government. Regime change can also occur as a by-product following non-militarized intervention (dispatching aid to rebels, the use of legal tools to target heads of state etc.). It is important to separate regime change as the publicized, explicit goal of intervention from when it occurs as a “side-effect of international involvement…that is structured around other objectives, such as economic liberalization or democratization…”   …Refuting attempts to subvert sovereignty remains an integral commitment due to the need to protect China’s sovereignty and political stability. With such deeply-held beliefs that the “ultimate goal of ‘Western powers’ is to overthrow [Chinese leadership’s] rule,” China remains committed to preventing initiatives via the UN Security Council that could challenge China’s security and stability. So, while China has become increasingly flexible regarding the parameters for intervention, it remains clear that China views regime change as non-permissible.   In China’s view, regime change is not an activity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should be endorsing, and as the Syria case illustrates, China has repeatedly shown its willingness to contest the definitions of an ‘appropriate’ intervention in th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order. Whether such a clear delineation of intervention from regime change is politically feasible and practical to maintain once an intervention has begun is a related matter to consider.           Author Courtney J. Fung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Department of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at the University of Hong Kong. She was recently an honorary research fellow at the Department of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University of Sydney during a semester-long research sabbatical. Before joining the faculty at the University of Hong Kong, Dr. Fung was a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with the Princeton-Harvard China and the World Program, based at the 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at Harvard University. Prior positions include research fellowships with the International Security Program at the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at Harvard University, and with the Global Peace Operations Program at the Center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New York University. Dr. Fung's book manuscript explains China’s varied response to intervention and regime change at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She conducted extensive fieldwork for this project,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at th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eacekeeping Operations. Other research projects include India and China’s responses to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and an RGC Early Career Scheme-funded project on the impact of regional organizations on China’s position on intervention at the United Nations.        

Courtney J. Fung 2017-10-19조회 : 9172
워킹페이퍼
[NSP 연구보고서]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중 통화금융 패권 경쟁과 통화전쟁: 통화금융책략의 관점

초록   미중 경쟁 관계는 통화정책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통화금융 패권은 다른 국가들에게 경제질서와 제도를 직, 간접적으로 강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막강한 권력 수단이다. 이전까지 경제성장에 비해 낙후되어 있었던 중국의 금융 시장은 2007년 금융 위기 이후 전기를 맞았고 자본 및 채권시장에서도 중국의 약진은 괄목할 만하다. 물론 여전히 절대적인 규모에서는 미국 시장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성장세는 확연하다. 제도적인 차원에서도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해 자본시장 개방과 금융자유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브레튼우즈 체제의 잠재적 대항마로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신개발은행(NDB) 등의 설립을 주도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각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을 이어가면서 양자 무역과 투자를 촉진하는 동시에 위안화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을 서서히 고조시켰고 (부분적으로는 그 결과로서) 위안화의 가치절상이 일어나면서 양국 간의 알력은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환율조작국에 대한 강경한 조치가 거론되고 환율조작 우려국가에 대한 미국 재무부의 기준이 변화하는 등 중국에 대한 압박이 다시 커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막대한 대외부채 및 안보이슈에서 중국과의 협력 필요성, 그리고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100일 행동 계획"에 대한 중국의 동의 등을 고려할 때 트럼프의 공격적 수사가 그대로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 그럼에도 물밑에서 격화되고 있는 이른바 '화폐전쟁'의 유탄이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이나 중국의 금융보복 등으로 한국을 위시한 주변국가에 떨어질 위험은 상존한다.         본문   "이런 역사적 경험을 볼 때, 앞으로 미중 통화금융 관계도 순탄하게 진행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금융통화 문제는 경제적 문제인 동시에 안보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국에서 발간된 전략보고서에서도 지경학(geoeconomics)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NSC 2010; Blackwill and Harris 2016; Shatz 2016). 이런 맥락에서 미중 패권 경쟁에서 중요한 세계 질서의 6가지 구성요소들 중 첫 번째가 ‘세계통화체제를 규제하는 UN-브레튼우즈 체제, 규칙, 제도 및 절차’라는 평가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Swaine et al 2013, 175). 중국 역시 금융통화 문제를 경제적 시각으로만 보고 있지는 않다. 중국은 경제외교를 통해 세계금융통화체제에서 ‘적응자’(適應者)로 남기 보다는 ‘구도건설자’(構建者)가 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Reilly 2013; Heath 2016; Zha 2106; Dargnat 2016). 새로운 국제금융기구들의 설립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의 궁극적인 목적이 현상유지가 아니라 ‘대항 패권’(counter hegemony)을 형성하는 데에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Ikenberry and Lim 2017)."   " 위안화 국제화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세계통화금융질서에서 중국이 가지고 있는 경제 규모에 걸맞은 위상과 영향력을 제고시키는 것이다. 둘째, 외환거래의 증가에 수반되는 환율의 변동폭을 축소함으로써 환위험을 감축하는 것이다. 셋째, 기축 통화국으로서 외환보유고를 감축하는 동시에 화폐주조차익(seiniorage)을 영유하는 것이다(Frankel 2012). "   "그런데 미국의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에 대해 중국은 1985년 일본이 당한 플라자 합의(Plaza Accord)와 같은 조치를 예방하기 위해 환율제도 및 금융제도 개혁을 통해 위안화를 점진적으로 평가절상 시켜왔다(Kuroda 2004). 그렇다고 해서 중국이 세계경제 불균형의 책임을 자인한 것은 아니다. 중국은 불균형의 책임을 전가하려는 미국을 반박하였다. 첫째, 중국은 1997년 동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위안화를 평가절하하지 않음으로써 위기 극복에 기여했다. 둘째, 위안화 절상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약화를 막기 위해 수출세 환급 조치를 취했다는 주장의 근거가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무역적자를 중국의 책임이라고 보는 것은 부당하다(Bowles and Wang 2006)."   " 미국은 중국의 반박에 대해 ‘점잖은 무시’라는 태도를 취하였다. 실제로 미국이 1980년대 중반 일본에게 플라자 합의를 강요한 것과 같은 강압적 방법을 중국에 사용하지는 않았다(McKinnon and Liu 2013; Frankel 2015; 김기수 2015).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이 무역 흑자의 1/5 정도를 미국 자본시장에 재투자함으로써 미국이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데 있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무역적자를 통한 자본 유출이 채권 구매를 통해 자본 유입으로 돌아오는 선순환 구조― 차이메리카(Chimerica)나 공동의존(codependency)―에 불만을 가질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Ferguson and Schularick 2007; Hung 2013; Roach 2014; Galantucci 2015)."   " 2015년 중반 주식시장의 폭락은 중국 금융의 발전이 단선적인 과정이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주었다. 이 사건의 후폭풍이 채 가시기도 전인 8월 중국인민은행이 도입한 시장친화적인 환율 제도는 통화전쟁의 불씨를 다시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전일 시장의 거래 종가를 매매기준율에 반영하는 이 제도는 위안화 국제화에 필수적인 금융자유화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이 제도의 도입 이후 위안화 환율이 지속적으로 평가절하되었기 때문에 미국으로부터 또 다른 형태의 통화전쟁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Morrison 2015b, 50)."          저자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영국 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연구분야는 국제정치경제와 기업•국가 관계이다. 저서로는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2014), 《국제기구와 경제협력.개발》(2015), 《국제기구와 환경.농업.식량》(2015), 《국제기구와 과학.기술 협력》(2015), 《복합세계정치론》(2012, 이상 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세계금융위기 이후 경제학의 위기 - 국제정치경제학에 주는 함의〉 (2012, 국제정치논총), 〈수렴과 다양성의 이분법을 넘어〉 (국가전략, 2012) “Pulling South Korea away from China's Obit: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2007) 등이 있다.      

이왕휘 2017-08-21조회 : 12432
워킹페이퍼
[워킹페이퍼] The Problem of Defining Success in China’s Bureaucracy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       AbstractWhy are some governments adaptable but not others? Why has China’s government, in par-ticular, displayed remarkable flexibility and adaptive capacity? While many observers acknowledge that China’s bureaucracy is adaptive, few have tried to explain the sources of its unusual adaptability. To adapt means to select strategies or to make changes that improves performance according to some measure of success. Central to adaptive capacity, hence, is the definition of success itself. Effective adaptation requires a clear definition of and attractive rewards for achieving success. The main instrument for defining success in China’s bureaucracy is the sys-tem of cadre evaluation targets. I document the evolution of evaluation targets over time, highlighting the problem of mission creep and the challenges that such a change poses to China’s governance..           Quotes from the Paper“China’s bureaucracy, on the other hand, is widely described by China experts as “entrepreneurial,” “developmental,” “nimble,” and “adaptive.” China’s national government makes ample use of policy experiments, encourages and incorporates social feedback into policy-making, coopts private entrepreneurs and new influential groups, studies and learns from the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while local officials pursue creative—even if problematic—ways of fostering growth and generating revenue.”       “My research aims precisely to fill this theoretical gap. I do so by drawing on an established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has yet been introduced to China studies and political science more broadly: complex adaptive sys-tems (also known as “complexity” for short)”   “In China’s bureaucracy, the key instrument for defining success is the sys-tem of “cadre evaluation targets.” This institution comprises a list of targets assigned by higher-level governments to lower-level governments, according to which local officials throughout the country are scored and ranked annually.”   “.....by studying the evolution of cadre evaluation targets, we gain concrete insights into the ability of China’s central authorities to effectively signal policy priorities and guide local bureaucratic behavior...... But again, if we look concretely at the targets assigned, it will be clear that adding more targets to an already exhaustive list of mandates is unlikely to modify bureaucratic incentives. These institutional changes in turn have deep economic consequences because China’s economy remains heavily dependent on local state actions. Whether and how central authorities may continue to guide local bureaucratic behavior through targets is one of the toughest political challenges in years to come.”             AuthorDr. Yuen Yuen Ang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Michigan. She studies development, complexity, and Chinese political economy. Her research seek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s a complex process, by developing new theories and tools that capture its dynamic, non-linear, and multi-dimensional reality. Focusing on developing countries and emerging markets, particularly China, she explores three interconnected themes: (1) how markets emerge in the absence of good governance and state capacity, (2) the underlying conditions that enable effective adaptation within governments, and (3)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corruption and economic prosperity. She is the author of How China Escaped the Poverty Trap (Cornell University Press, Cornell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2016). The book examines all three themes within a unified framework and lays the foundation for her research agenda. It won the 2017 Peter Katzenstein Book Prize for “outstanding first book in international relations, comparative politics, or political economy.” It has been reviewed at the World Bank, Straits Times, Foreign Affairs, Harvard’s Building State Capability Blog, and other outlets.        

Yuen Yuen Ang 2017-06-01조회 : 9343
논평이슈브리핑
[차이나 브리핑] 중국 부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

국제정치에서 중국의 부상은 다양한 예측과 논쟁을 불러오고 있다. 중국의 부상은 어디까지 일지, 중국이 과연 미국을 넘어서 명실상부한 최고 강대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 특히 중국이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에 변화를 추구하며 도전할 것인지, 관련해서 중국이 미국과는 다른 리더십을 국제정치에서 추구할 것인지 등 중국은 세계질서재편 논쟁의 한가운데에 서있다. 가령, 국제적으로 베스트셀러가 된 When China Rules the World의 저자인 Martin Jacques는 중국은 유럽, 미국의 팽창적 패권주의와는 달리 문화적 패권과 영향력을 추구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이와는 반대로, 미국 국무부 부장관을 지낸 Robert Kelly는 중국의 팽창적 패권주의에 주목하며,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일극지배(unilateral dominance)를 예견하였다.   위에 논의된 각각의 질문에 대한 견해가 무엇이든지 간에 중국의 부상은 중국을 빼고는 국제정치를 논할 수 없다고 할 만큼 전지구적 파급력이 있다. 다시 말해, 중국은 안보, 경제, 환경을 포함한 국제정치 전 영역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이 어떤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세계질서를 재편해 나갈 것인지가 중국 부상의 핵심 관심 사항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중국의 부상이 국제정치사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 국가의 강대국 부상이 그 국가의 역사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있겠으나, 국제정치사적으로 보자면 누가 패권국인가 만큼이나 권력이동이 가져오는 기존질서재편의 가능성과 내용이 중요한다. “패권국 미국”만큼이나 “미국의 패권”이 국제정치사에서 중요한 이유이다(Ruggie 1982). 따라서 중국 부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는 중국의 부상이 전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어떤 해답과 어떤 제도적인 변화를 제공하게 될 것인가와 맞닿아 있다.   그렇다면, 전지구적 차원에서 인류가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가?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세계가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공멸의 위기에 처해있다는 논점이 있다. 국가 간 사활을 건 안보딜레마,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지구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과 기후 문제가 임계점에 다다르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중동, 동유럽,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에서 강대국들이 치열한 안보경쟁을 벌이고 있고, 세계경제는 지난 20년 동안 부침을 계속하며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모델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환경과 기후문제는 지구공멸의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다.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의 급격한 성장은 이러한 현상을 확대, 재생산하는데 각 국가의 선의와 관계없이 일조하게 되었다.   지구공멸론은 근본적인 세계질서재편이 없다면 국가를 비롯한 개별정치단위들의 흥망성쇠와 무관하게 전지구적인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을 함의하고 있다. 전지구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안보, 경제, 환경, 기후 위기의 심각성은 “누가 패권국이 되느냐”라는 질문을 훨씬 뛰어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지난 400년 가까이 존속되어온 기존의 국가-주권 시스템이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 한계에 봉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국가-주권 시스템은 그동안 국가 간 양자협정과 다자주의 국제기구 등을 활용하여 상기한 안보, 경제, 환경과 기후 문제들을 다루어왔는데 이러한 문제해결방식은 더 이상 전지구적 난제에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전지구적 공멸의 위기는 단순히 특정국가의 정책적 실패를 넘어서 국가들의 이기적 국익추구를 규범화 시키는 국가-주권 시스템이 그 한계를 명확하게 보이고 있는 반증이다.   따라서, 중국 부상에 따른 세계질서재편 논의의 핵심은 국가-주권 시스템의 변화와 개혁에 있다. 세계질서재편에 있어 중국의 역할에 주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다시 말해, 중국이 이러한 시스템 변화의 요청에 대해 어떤 비전을 가지고, 어떤 리더십을 통해, 어떻게 비전을 정책적으로 연결할 것인지가 중국부상이 국제정치사에 있어 시대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내용이다.   향후 10-20년 사이에 국가-주권 시스템이 종언을 고할 가능성은 낮다. 그렇다면, 핵심 이슈는 국가-주권 시스템의 바탕 위에서 그 운영과 작동원리의 변화가 될 것이다. 세계질서 운영과 작동원리의 개혁과 관련해서 중국이 고려할 수 있는 세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미국, 유럽, 중국의 세계 분할 “삼두체제” 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세계질서 법제화 및 초국가 권위 확립”이다. EU가 이에 대한 근접한 예시가 될 수 있다. EU는 독일과 같은 핵심국가와 회원국들 간의 협의로 작동되는 초국가적 권위체제인데, 두 번째 시나리오는 이러한 EU 운영원리가 세계차원으로 확장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국가와 초국가 권위체제가 견제와 균형을 이루는 다층적 권위체제에 기반한 운영원리이다. 이슈별 초국가 권위체제 확립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정부론”을 들 수 있다. 기실 “세계정부론”은 최근 부활하였다. 세계 제2차 대전이 끝나고 활발하게 논의되었다가 냉전 직후 사라졌던(1945-1950년) “세계정부론”이 최근 15년 사이에 다각도로 검토되며 새로운 대안질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Cabrera 2010, 2015). 현재 “세계정부론”은 한 형태의 모델이 아닌 여러 층위에 걸쳐 논의되고 있다. 전세계 정치, 경제 권력을 쥔 세계정부(Wendt 2003)로부터,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관리권만을 보유한 세계정부(Campbell 2003), 미국과 같은 연합정부 성격의 세계정부(Deudney 2007; Rodrik 2000), 전세계 시민정부를 표방하며 “글로벌 의회”(Global Parliamentary Assembly)를 중심으로 통치하는 세계정부(Held 2004; Nussbaum 2006) 등 “세계정부론”에 관한 다양한 경쟁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다.   중국은 위에 제시된 세 가지 세계질서재편 시나리오 중 어떤 것을 21세기에 추구할 것인가? 어떤 시나리오가 세계의 공동번영을 지속시키면서도 국가-주권 시스템에 내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중국이 이슈별 초국가 권위체제 확립을 미국, 유럽 등과 도모한다면 중국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고 어떤 형태의 리더십을 창출하여 추구할 것인가?   중국이 현시점에서 국가-주권 시스템을 개혁해 낼 수 있는 적임자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장애요인과 가능성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잦은 영토분쟁에서 보듯이 중국은 어떤 의미에서 여전히 주권 지향적이다. 중국은 상호의존적인 글로벌리제이션의 시대에 완전한 주권(full sovereignty)이라는 신기루를 구축하려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다른 한편, 근대 국가-주권 시스템을 중국이 창안하지 않았다는 점은 이 제도에 대한 중국의 역사적 애착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유럽제국들에 의해 19세기말 국가-주권 시스템으로 편입되었다. 19세기말 유럽식 국제질서에 편입된 이래, 중국은 왕조의 붕괴, 공산주의 체제 등장 및 확립, 개방 이후 중국식 사회주의 전환 등 국내 정치질서의 변화와 함께 국가-주권 시스템에 적응, 저항과 도전, 패권 창출 시도 등 수많은 크고 작은 변화를 거쳐 왔다. 적응의 예는 “왕조붕괴-조공 시스템 붕괴-1국가 1주권 인정”으로 점철된 중국의 근대국제관계의 시작이다. 저항과 도전은 중국의 비동맹주의, 제3세계 지도국으로 활동, 자본주의에 대항한 마오식 사회주의 대안과 국제화 시도를 들 수 있다. 최근의 중국은 패권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중국의 G-2 활동, 미국과의 신형대국관계 확립, 군비확충(해군력 강화), 위안화 국제화, 신실크로드 구상,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과 신개발은행(New Development Bank) 설립 등 대안적 경제시스템의 제도화, 중국식 개발원조, 상하이협력과 중앙아시아 교두보 확보에서 등에서 확인될 수 있다(신성호 2014; Lee 2015). 이러한 활동 과정과 결과로서 중국은 전지구적 군사안보, 경제, 환경과 기후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으며 문제의 원인이자 해결의 주체이다. 따라서 중국은 근대 국가-주권 시스템과 긴장관계를 늘 유지하여 왔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중국이 역사적으로 기존 질서의 피해자와 수혜자의 경험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대로, 21세기 벽두에 일어난 중국 부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는 기존의 국가-주권 시스템을 뛰어넘는 대안적 세계질서의 운영과 작동원리를 중국이 제시하고 실행 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따라서 중국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세계질서 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세계질서의 미래를 가늠하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중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세계질서 재편 담론은 대안적 세계질서 구축과 재편을 지향하고 있는가? 아니면, 단지 기존의 국가-주권 시스템에서 중국이 어떻게 패권국이 될 수 있고 획득된 패권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머물러 있는가? ■         저자 이용욱_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캔자스 대학에서 동아시아학을 전공하고 남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연구분야는 국제정치경제, 구성주의, 동아시아 지역협력 및 금융지역주의, 그리고 다자주의 무역 질서이며 저서 및 편저로는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복합 변환과 한국의 전략》(2014, 공편),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2014, 공편), 《China’s Rise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Hegemony or Community?》(2014, 공저) 등이 있다.         <차이나 브리핑>은 중국 주요 현안에 대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브리핑 시리즈입니다.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EAI는 어떠한 정파적 이해와도 무관한 독립 연구기관입니다. EAI가 발행하는 보고서와 저널 및 단행본에 실린 주장과 의견은 EAI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저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이용욱 2017-04-18조회 : 9753
워킹페이퍼
[NSP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관계와 북한

초록   북한의 대외관계는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의 세력 경쟁 변화에 큰 영향을 받아왔다. 제2차 대전 이후 냉전초기에는 미국과 소련의 경쟁관계에 큰 영향을 받아 왔다. 냉전이 종식되고 1990년대 초반 이후 미국의 단극(unipolar) 질서가 형성되기 시작하자, 북한 지도자들은 한반도 주변의 세력구도 변화가 북한에게 불리하게 움직이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중국의 급격한 경제적, 군사적 부상으로 미국의 단극 질서가 미중간의 세력경쟁구도로 변화하자 동북아에서 북한의 안보환경도 새롭게 변하기 시작했다.   한반도의 현상유지(status quo)를 원하는 중국의 부상과 미중관계의 변화는 북한의 대외정책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미중 경쟁관계의 구도가 북한의 대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분석한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북한의 대외정책은 상당히 복잡한 모습을 보인다. 물론 미중 경쟁시대에 북한의 대외정책이 냉전시대 미소 경쟁구도 하에서 추구했던 정책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북한은 2006년 10월 핵무기 실험을 감행한 이후 공세적인 정책을 펼쳐 왔는데, 이는 북한이 인식하는 한반도 주변 대외환경이 냉전종식 직후의 미국 중심 단극질서가 더 이상 아니기 때문에 가능했다. 미중 경쟁구도에서 북한의 대외정책은 북한의 핵실험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이 글은 2010년대 들어 진행된 북한의 핵실험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과정을 통해 북한의 대외정책을 살펴본다.         본문 중에서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북중관계의 변화 가능성이 언급되었지만 중국의 대북정책이 크게 바뀌지는 않았다. 중국이 북한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북제재를 일부 이행하였지만 중국은 북한 정권의 붕괴라는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은 대북원조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원유와 식량 원조를 중단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지는 않았다. 2013년 중순에도 중국이 대규모의 대북 식량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시 중국은 북한문제의 연착륙(soft landing)을 바라고 있었으며, 북중관계의 안정을 중요시하고 있었다고 평가된다. 중국은 북한으로부터 비롯되는 불안정 요인이 중국의 경제성장과 대외전략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경계하였다.   북한의 3차 핵실험 후 북한의 대중정책에는 중국에 연루(entrapment)되지 않고 버림(abandonment)받지 않으려는 동맹의 딜레마(alliance dilemma)가 일정부분 작동하고 있었다(Snyder 1984). 중국은 북한 때문에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훼손시키지 않으려 노력해 왔다. 반면, 북한은 중국의 영향력에 압도당하지도 버림받지도 않으려고 노력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은 미중 경쟁구도를 활용하여 북한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체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할 기회로 이용하려 했다. 북한 역시 미중 경쟁관계를 활용하여 대중정책과 남북관계에서 중국을 지렛대로 이용하면서도 일정한 견제장치를 만들려고 노력해 왔다.   결국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유엔 안보리의 제재결의 2321호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한미일의 독자제재를 반대하고 있으며, 북핵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은 “중국은 북한 및 관련 각 측이 냉정하고 자제하는 자세로 긴장 국면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추가적 행동도 하지 않기를 촉구하고,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준수 및 이행하여 대화 복원 및 재개를 위해 노력함으로써 현재 한반도 정세를 관리․통제할 것을 촉구”하였다. 중국 언론들 역시 북한의 핵실험은 비난하면서도, 북핵문제가 북한과 한미 사이의 문제라고 강조하고, 북핵문제보다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더 비난해 왔다. 이는 북한의 핵경제 병진노선을 수용할 수는 없지만 평화협상 요구는 받아들인 것으로 중국의 전략이 비핵화-평화협상 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북한 체제의 성격 변화를 외부에서 강제하는 것이 단기간 내에 북한을 변화시키는 방법일 것 같지만, 실제로 외부적 강제는 외부 환경에서도 큰 반발을 가져오기 때문에 현실성이 떨어진다. 특히 미중관계가 경쟁구도로 지속될 경우 이러한 정책은 실제 현실화되기는 어렵다. 북한의 내부 변화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 시장화에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의 시장화가 더욱 활성화되도록 하는 정책이 장기적으로는 북한 비핵화에 더 효율적인 정책이 될 수도 있다. 더불어 북한의 대외 개방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화 노력도 필요하다. 결국 단기적으로는 현 상황을 관리하면서 장기적으로 변화의 체제 성격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미중경쟁 구도하에서 북한의 변화를 꾀하는 전략이 될 것이다.         저자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연구분야는 북핵 문제를 비롯한 동북아 국제관계 및 안보문제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Offensive Realism, Weaker States, and Windows of Opportunity: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e Second Nuclear Crisis and U.S. Foreign Policy,” and “Rethinking the East Asian Balance of Power,” 그리고 “전망이론을 통해 본 북한의 핵정책”(2006) 등이 있다.        

황지환 2017-04-10조회 : 10638
워킹페이퍼
[NSP 연구보고서] 미국의 국방예산 추이와 미국의 안보전략

초록   오바마 행정부의 임기가 종료되고 트럼프 정부가 등장하면서 향후 미국의 군사력 정도와 군사전략, 더 나아가 미국의 세계전략을 알기 위해서는 미국의 군사비 지출의 추세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의 군사비는 동아시아의 군사질서에 핵심적 요소이며,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했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의 재정적 뒷받침 여부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기간부터 “힘을 통한 평화” 전략을 주장하며 국방비 삭감에 반대하고, 병력 수와 무기 현대화 등 전력 강화를 강하게 주장하여 왔으나 전반적으로 미국의 지구적 개입전략은 유지될 전망이다. 자동예산삭감조치 등 예산안 통과 과정의 난관과 우여곡절 속에 결정된 5,850억 달러의 국방예산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활동, 이슬람국가의 증강, 에볼라에 대처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고 점증하는 사이버 안보 위협, 중국의 부상, 그리고 우주 영역에서의 군사적 도전에 대응하는 것 또한 주요 과제로 삼아 전력누수 최소화 및 우위 유지를 위해 고심한 결과물이었다. 6,187억 달러 규모의 2017년 예산 역시 러시아와 중국, 북한, 이란, 이슬람국가를 미국의 5대 위협으로 상정하고 큰 틀에서 전년도 예산과 비슷하되 이들 위협에 대한 대응 및 기수 개발 예산을 증액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해, 공군력의 기술적, 수적 우위 유지, 육군의 기동성 극대화, 우주 및 미사일 전력 강화, 지구적 정보전 및 정찰전 역량 강화, 반테러 전쟁 수행 역량 강화 등으로 세분해볼 수 있다. 아시아-태평양에서는 재균형전략 기조를 유지하면서 지리적 배분, 작전 능력, 정치적 지속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괌을 전략적 허브로 삼아,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북한의 위협, 남중국해 우발사태 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것이다. 중요성도 밝히고 있다. 남중국해 관련해서는 동남아 국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해양 안보 이니셔티브(Maritime Security Initiative)를 향후 5년 간에 걸쳐 시행하며, 4억 2,500만 달러 규모의 예산을 할당한다고 계획하고 있다.   트럼프의 동아시아 안보전략과 대중 전략을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취임 이후 현재까지는 그 골자에는 변함이 없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은 지속되고 있고, 미국은 한편으로는 경제회복 전략을 수행하겠지만 아시아에 대한 군사적 개입도 줄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지구적, 지역적 차원의 미국의 군사력 투사는 비단 안보의 측면에서뿐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미국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 주는 측면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당장은 트럼프 정부가 경제적 이익을 위해 안보전략에서 소극성을 띨 수도 있지만 향후 경제회복 추세에 따라 다시 적극적인 대외개입에 나설 수도 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힘을 통한 평화전략을 논하고 있고, 이슬람국가나 북한, 그리고 중국 등 주요 위협과 경쟁 상대에 대해 적극적 대책을 주문하고 있다. 한국의 안보전략에 중요한 변수는 미중 간의 군사력 균형이고, 미중 양국의 군사비 지출과 주요 예산 활용 방향은 미중 전략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양국의 군사비 추세와 전략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양국의 군사경쟁에서 한국의 국익을 극대화할 전략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문 중에서   미국의 국방비는 2015년 기준 전 세계 국방비의 36%를 차지할 만큼 여전히 압도적이다. 미국에 이어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영국, 인도, 프랑스, 일본이 따라오는데 2위부터 9위까지의 국방비를 다 합쳐도 미국보다 여전히 작은 액수이다. 이 가운데 한국은 10위의 국방비를 지출하는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방비의 증가율로 보면 중국이 가장 빠른 국방비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미국에서는 재정적자로 인해 지속적으로 국방비를 감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져왔다. 그러나 액수로 보면 여전히 미국이 중국의 두 배 이상의 국방비를 지출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군사비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미국의 국방비는 중동에서 전쟁 수행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고, 기본 예산 역시 전 세계에 걸쳐 있어 동아시아만 놓고 보면 미중 군사비 격차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것만큼 크지 않을 수도 있다.   9.11 테러 이후에는 국방예산 중 기본 예산은 레이건 시대의 최대 지출 수준으로 상승하는데 반해 전력규모는 그만큼 증가하지는 않는다. 육군과 해병대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전 전투를 위해 2000년대 말 증가하기는 하지만 해공군이 축소되면서 전체 전력규모에 큰 변화는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전력규모는 유지된 채, 2010년도부터는 예산은 점차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소규모 군대의 효율적 군비 마련에 치중하는 기술집약적 군대를 위한 예산지출의 형태를 띠게 된다. 현재 미국 국방비 지출의 중요한 원칙은 최대한 예산 증가세를 완화시키되 소규모 전력의 효율적 전투력 확보 및 장비 개발에 치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2016년 국방예산을 편성하면서 지정학적 도전을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활동, 이슬람국가의 증강, 에볼라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점증하는 사이버 안보 위협, 중국의 부상, 그리고 우주 영역에서의 군사적 도전도 함께 적시하고 있다. 반면 미국 국방태세의 문제점을 들고 있는데, 1) 미국이 다른 국가에 비해 유지하고 있는 기술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 2) 과거와 같이 모든 영역에 걸친 군사대비태세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 3) 국방부 개혁에 대해 의회의 반대가 증가했다는 점, 4) 미래 자원 동원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는 점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기간부터 미국의 국방력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해왔고 미국의 군대를 다시 강한 군대로 만들겠다고 선언해온 만큼 국방비 증가 노력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함, 군대규모, 핵무기 등 다양한 부분에서 국방비 증가를 주장해왔고 오바마 대통령이 시작한 1조 달러 규모의 군 현대화 계획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277척인 해군 함정 수도 350척으로 증강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공군 전투기도 현재보다 100대 증가한 1천200대로 증가시키는 한편, 50년 이상 배치 기간이 초과한 노후기를 현대화하겠다고 계획하고 있다. 병력 규모 역시 현재의 47만 5천명에서 54만 명 수준으로 증대하겠다고 밝혔고, 해병대 역시 1만 명을 늘려 36개의 대대로 확대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국의 안보전략에 중요한 변수는 미중 간의 군사력 균형이고, 미중 양국의 군사비 지출과 주요 예산 활용 방향은 미중 전략을 반영할 것이다. 미국의 행정부는 국방비 감축 압박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병력 감축 경향을 상쇄하기 위해 무기와 장비 현대화, 최첨단 기술 확보를 추구했다. 이 가운데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 전략에 맞서기 위해 다양한 무기를 개발하고 있고, 해공군 전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향후에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이고, 이 가운데 미중 간의 군사기술 격차는 상당 기간 유지될 전망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제 발전에 따라 중국의 군사비 증가 추세가 지속될 수 있고, 중국의 군사전략이 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만큼 지구적 안정을 유지하려고 하는 미국과의 경쟁 결과는 여전히 지켜보아야 할 바이다.         저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동아시아연구원(EAI)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한미동맹 및 한반도 연구이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는 《남북간 전쟁 위협과 평화》(2006, 공저), 《정치는 도덕적인가》(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역사에서 이론으로》(2011) 등이 있다.       

전재성 2017-04-10조회 : 9929
워킹페이퍼
[NSP 연구보고서] 위안화 국제화와 한국의 금융외교: 삼립불가능성과 전략적 선택

초록   본고는 기존의 국제금융통화질서에 가장 큰 도전이 되고 있는 중국 위안화 국제화와 이에 대한 한국금융외교의 정책방향을 논한다. 한국에 있어 위안화 국제화 문제는 단순히 무역과 투자의 안정성 확보와 관련한 환율정책에 국한되지 않는다. 위안화 국제화와 달러 대체가능성은 한국외교의 최대 함수인 미중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폭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금융외교전략(financial statecraft) 이론을 활용하여 위안화 국제화에 대응하는 한국금융외교의 정책선택지들을 분석하고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각 국가가 처한 금융외교의 정책목표 사이의 양립불가능성을 논의한 Cohen(1993)의 연구를 기초로 삼고 강대국이 아닌 한국과 같은 신흥국/중견국의 금융외교전략을 이론화한 아미조와 카타다(Armijo and Katada 2014)의 연구를 보충하여 대위안화 한국금융외교의 정책선택지를 제시한다. 기실,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한국금융외교정책은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미 적지 않게 제시되었다. 기존의 정책제안들은 ‘위안화 국제화의 활용’에 방점을 두며 경제적 비용과 편익에 치우쳐진 경향이 있다. 금융외교의 정책목표가 경제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통화정책 자율성(monetary policy autonomy) 확보, 글로벌 거버넌스 외교 등도 포함한다고 볼 때 다차원적 분석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고의 분석은 금융외교전략 이론을 적용하여 기존에 제시된 정책제안들의 타당성을 정치/경제/외교측면에서 접근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시 말해, 본고는 특정정책의 우월성을 선택적으로 제시하지 않으며, 타당성에 대한 평가도 특정정책에 대한 타당도가 아니라 그 정책이 선택되었을 때 수반될 수 있는 정책 간의 상충점(trade-off)을 논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정책리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 중에서   한국에 있어 위안화 국제화 문제는 단순히 무역과 투자의 안정성 확보와 관련된 환율정책에 국한되지 않는다. 위안화 국제화와 달러 대체가능성은 한국외교의 최대 함수인 미중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폭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세계적으로 투사되고 있는 미국의 정치, 군사, 경제적 영향력과 리더십은 국제통화시스템에서 달러의 우월적 지위와 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다. 가령 국제통화시스템이 달러 일극체제가 아닌 위안화, 유로 등이 달러와 경쟁하는 복수통화체제로 이행한다면 미국은 선진 7개국 정상회담(G7),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등 정책공조의 장에서 기존의 일방주의 정책에 제동이 걸리며 정치적 리더십 약화를 경험할 수 있다. 복수통화체제는 미국의 거시경제 자율권이 행사되는 폭이 감소하는 결과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미국이 복수통화체제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환율 걱정 없는 통화발권을 더 이상 고려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통화체제는 미국의 군사력도 약화시킬 수 있다. 복수통화체제는 미국의 차입능력 감소를 가져오게 되어 미국의 군사비 지출을 제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앞으로도 더욱 강력하게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여 국제통화체제의 패권을 놓고 달러체제에 도전할 것인가? 앞서 논의한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한 배경을 고려한다면, 중국의 목표는 적어도 달러와 경쟁하는 위안화가 될 수 있겠다. 그러나 중국과 중국의 위안화가 국제기축통화 요건을 다 맞출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차치하고서라도, 중국 내부에서도 성급한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이는 위안화 국제화, 혹은 기축통화화가 중국에 혜택만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앞으로 향후 10-15년간 위안화와 달러의 기축통화 전쟁은 국제정치의 장에서 최대, 최고의 이슈가 될 전망이다. 본고의 서론에서 논의하였듯, 기축통화의 경쟁결과는 미중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그 연장선상에서 정치, 경제, 군사, 안보를 포함하는 국제질서가 재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 국제정치의 역사에서 국제기축통화를 보유하지 않았던(혹은 국제통화질서를 지배하지 않았던) 패권국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초강대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중국몽’을 접지 않는 한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정책은 다양한 형태로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은 어떤 정책조합을 선택할 것인가? 정책조합 선택의 가장 중요한 대외적 조건은 위안화 국제화의 전개가 삼립불가능성의 요소인 환율안정화, 통화정책 자율성, 자본자유화에 각 요소 별 혹은 전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다. 대내적 조건은 한국의 거시경제흐름, 금융산업과 국내 금융인프라의 국제경쟁력, 정부 금융통화정책의 전반적인 기조 등으로 볼 수 있다. 삼립불가능성에 따라 상기한 세 가지 정책목표 모두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조합이 부재하기 때문에 이들 간의 우선순위 설정이 위안화 국제화에 대응하는 한국금융외교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세 정책 간의 순차성(sequence)을 고려한 미시적인 정책연계 전략도 미래지향적으로 설계해 볼 수 있겠다.         저자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캔자스 대학에서 동아시아학을 전공하고 남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연구분야는 국제정치경제, 구성주의, 동아시아 지역협력 및 금융지역주의, 그리고 다자주의 무역 질서이며 저서 및 편저로는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복합 변환과 한국의 전략》(2014, 공편),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2014, 공편), 《China’s Rise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Hegemony or Community?》(2014, 공저) 등이 있다.            

이용욱 2017-03-29조회 : 9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