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지속적으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9%를 상회하는 고도의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중국의 고속 성장은 국내 및 지역적 차원을 넘어 지구적 변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이는 안보와 경제 등 전통적 이슈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환경 등 신흥 이슈에도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변화가 인류의 공생과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바람직한 아태 질서 설계도를 마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EAI는 2018년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이라는 중장기 연구사업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중 간의 무역 분쟁은 무역과 기술 영역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금융과 에너지, 군사·안보 부분에는 아직 대립이 본격화되고 있지 않다. 동아시아 연구원은 아-태 지역에서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이 미·중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오히려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미완의 영역이자 가능성을 지닌 영역으로 바라보고, 중견국인 한국이 주축이 되어 미·중 간 협력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은 한샘DBEW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프로젝트(2018-2021)의 제2차년도 사업이다.

워킹페이퍼
Veterans and the Failure of Martial Citizenship in China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2 요약문 This paper examines how veterans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were treated in their communities and workplaces after their demobilization in the 1950s and 1960s. It argues that evidence of widespread discrimination against veterans, who were lauded by the state for their heroism and sacrifice, challenges one of the more common "tropes" of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that patriotism and nationalism are rising among wide swathes of the population. Using new archival sources, the paper focuses on the challenges veterans faced in the post-war era, among them chronic pain, poverty, job discrimination, and marriage difficulties. as well as how they responded to them. To be sure, these problems were not unique to China; many veterans around the world experienced them. The paper concludes by exploring the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reasons why veterans in China appear to have fared particularly poorly when compared with many of their counterparts elsewhere in the world. 저자 Neil J. Diamant is Assistant Professor at Dickinson College. He is specializing in East Asian politics with an emphasis on state-society relations, policy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 analysis. He is author of Revolutionizing the Family: Politics, Love and Divorce in Urban and Rural China, 1950-1968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n press), which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laws liberalizing divorce in Chinese cities, suburbs and among ethnic minorities in frontier regions.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The Chinese state, like many modern ones, has two calendars. The first, shaped by culture and history, is the more familiar one: all students in courses in East Asian Studies departments learn about Chinese New Year, the Moon and Dragon Boat Festivals, Qingming (Tomb-Sweeping) and others. The other, less familiar to foreigners, is the political calendar. Its features, however, are readily recognizable: a day celebrating a political founding (Oct. 1, 1949 in the PRC; Jan. 1, 1912 in Taiwan), critical junctures in history, or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social groups to national development (for example, May 1st for labor, March 8 for women). Sometimes cultural and political holidays overlap—the ROC government notes that,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it is “customary to visit the tombs of the martyrs or the revolution”—but usually the calendars remain separate, and change little or only incrementally, usually accompanied by controversy. Governments, like leaders of organized religion, understand the need to maintain ritual and routine to sustain legitimacy, and attempt to create rituals that speak to the heart of their citizens.i Despite the plethora of political events and the variety of groups they commemorate, two days are conspicuously missing from the PRC’s political calendar: a “Veterans Day” and “Memorial Day.”ii Even though the CCP emerged victorious from its decades-long rivalry with the Nationalist Party, awarded veterans high class status, claims victory in the war against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Sino-Japanese and Korean Wars respectively, defeated the Indian Army in the border wars of the early 1960s, there is not a single holiday devoted to the people responsible for these accomplishments.iii Nor, for that matter, are there any stadiums, bridges, parks, or road commemorating veterans, although “Workers Stadiums” abound. Even current-day bellicosity among some “nationalists” (who threaten to use military force against Taiwan and the US should Taiwan declare independence) has not translated into a commemorative holiday for veterans, even as they were called the “flesh and blood” of the revolution and were the primary force behind the CCP victory.iv Nor has political activism made much difference: veterans have staged uprisings, strikes, work slow-downs, sit-ins and petitioning, but these have not resulted in their “elevation” to holiday status, unlike workers, women and children, who each have their days.v Groups of organized veterans are swatted away much like any other group that “threatens social stability.” In April 2005, just to give one recent example, 1,000-2,000 veterans, including divisional commanders, many wearing their old uniforms, gathered in front of the General Political Department of the PLA to protest their post-discharge treatment, but the police quickly arrested the leaders and the rest were dispersed.vi When considering the comparative record of modern states that have fought and won large scale wars in the 20th century, the missing commemorative day for PRC veterans is somewhat of an anomaly.vii The United States, which has lost far fewer soldiers than the PRC, has a Veterans Day and a Memorial Day; the Mall in Washington is festooned with public memorials for three wars, including one that was lost (Vietnam) and one that ended in a stalemate (Korea). Israel’s Memorial Day comes the day before Independence Day, cementing the link between sacrifice and nation-building. In the post WWII period in the Soviet Union, perhaps the country most comparable to China in terms of its political sys-tem, veterans “carve[d] their own space” within the “highly styled parameters of the Soviet polity.” As noted by Amir Weiner, Red Army veterans dominated the post-war scene politically and culturally: war novels, memoirs, and parades and honors galore were bestowed upon the victors in the “Great Patriotic War.” There was no status higher than a decorated and wounded combat veteran; those not serving in combat were marginalized in the Communist Party.viii China’s missing days, I argue, are not happenstance; they reflect the failure of the modern Chinese state (Republican and Communist) to successfully cultivate an appreciation of “martial citizenship” among its own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as well as the resistance of business and cultural elites to see much of value in military service, no matter what the cause. Chinese citizens, this article will show, frequently failed to provide veterans (of the anti-Japanese, Civil and Korean Wars) with a sense that their service was honored, valued, or appreciated.ix Hundreds of reports from those years when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patriotism supposedly peaked—the tension-filled 1950s and 1960sx—document a widespread pattern of overt and covert discrimination, limited access to medical care and land, and politically motivated bullying and retribution by other officials.xi By the mid-1950s, veterans in the provinces wrote letters to the Chair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Liu Shaoqi, complaining that they were being treated like “donkeys slaughtered after having ground the wheat” (momian shalu), disposed of after having served their purpose. Others warned that they would not serve in the reserves if a war broke out because of the lack of state and public support for them.xii In a single factory in Shandong, eighty veterans, angry at the CCP, refused to register for the reserves,xiii and suicides among them were serious concerns. Given that politics in the PRC during these years have been described as militarized (there were “campaigns,” “production brigades,” “advances” and “fronts”), China fought several wars and the most iconic figure from the Maoist years—Lei Feng—was a soldier, the seething discontent among veterans is clearly something that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and explanation...(Continued)

Neil J. Diamant 2007-01-24조회 : 19687
워킹페이퍼
Getting the Triangle Right: South Korean Adjustment of the Sino-Japanese Rivalry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3   요약문 South Korea lacks a clear strategy for adjusting triangular ties with China and Japan in the shadow of strained relations with its ally, the United States. While taking into account U.S. scepticism toward China’s push for regionalism and its own autonomous inclinations, it has yet to adjust to deteriorating Sino-Japanese relations. Bandwagoning with China or strong balancing with the U.S. and Japan are unlikely choices, leaving as the optimal option the role of a patient facilitator concentrating on linkages with both close neighbors. Recently Seoul overreached in a desperate response to a difficult environment. This paper tra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triangle and the recent U.S. impact on it. It evaluates ties with Japan, putting in a triangular context the sharp slide in cooperation. Next it assesses relations with China and how hard the challenge is of synchronizing them to other ties. As a middle power facing both North Korean threats and the goal of reunification, Seoul has reason to tread cautiously as it tries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wo assertive, nearby competitors. 저자 Gilbert Rozman is Musgrave Professor of Sociology at Princeton University. He specializes on comparisons and relation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Russia. In the year 2000-2001, he began to add Korea to this mix. He compa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countries, their recent-day societies, their search for national identities, and their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His recent published works include ed., Japan and Russia: The Tortuous Path to Normalization 1949-1999, "Sino-Russian Cross-Border Relations: Turning Fortresses into Free Trade Zones," "Flawed Regionalism: Reconceptualizing Northeast Asia in the 1990s," "Backdoor Japan: The Search for a Way Out via Regionalism and Decentralization."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As a middle power (economically and militarily ranked about tenth in the world), South Korea is situated at the crossroads of four great powers, each of which considers itself in the tops ranks and entitled to an assertive regional policy. This is a unique environment, strikingly different from that of a European middle power such as Italy without assertive neighbors or some scattered middle powers such as Brazil far from great power competition. South Korea also has the unparalleled challenge of seeking reunification with a state that is militarily and economically beyond the normal means of control of the global community and even poses an enormous threat to it. Thus, it has an abiding need for support from other states to meet this threat, to persuade North Korea, and eventually to embrace reunification and its enormous costs. In these enduring circumstances, a new phenomenon has arisen: the South’s two closest neighbors have, on fairly equal terms, begun an intense rivalry. How it responds is likely to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its relations with its lone ally, the U.S., its ties to North Korea, and its ability to convert its middle power status into a meaningful asset in the world’s most ascendant region.       After successfully following the policy of nordpolitik to entice Moscow and then Beijing into normalized relations and then launching the Sunshine Policy by rallying support from these two capitals as well as Washington and Tokyo, Seoul has since 2001 and especially in 2005-06 lost ground in working with the great powers. It is not easy to be buffeted by four states whose foreign policy, arguably, does not measure up to the standards needed for our times, each reacting to recent international events by accentuating worrisome trends. George W. Bush has steered the U.S. toward an inconsistent regional strategy in which Richard Armitage’s Japan first approach followed by Robert Zoellick’s encouragement of China to become a “stakeholder” has been interspersed with Dick Cheney’s neo-conservative quasi-containment of China and ideological rejection of diplomacy with North Korea.1 Simultaneously, Koizumi Junichiro’s obsession with visiting the Yasukuni Shrine overwhelms traditional diplomacy, denying efforts to staunch an upsurge of ultra-nationalist claims in Japan or to try to contain the damage across the region. Hu Jintao’s transgressions are less flagrant, but some would argue that he has betrayed early expectations that China was ready to find common language to reassure the U.S. and Japan by exploring shared values with increasing transparency. Finally, Vladimir Putin resuscitated the image of an authoritarian leader in Moscow narrowly concerned with supporting dictators in order to expand his state’s influence regardless of the impact on regional stability and human rights. In the shadow of the urgent U.S. drive to sustain its influence and Russia’s struggle to reassert its, South Korea is challenged to adjust to a new Sino-Japanese rivalry that looms as the most destabilizing consequence in Northeast Asia of altered great power ties. The intensified rivalry between China and Japan poses new challenges for many countries. The U.S. faced unprecedented concern that this rivalry was spoiling the atmosphere for strategic cooperation in East Asia, leading officials to debate quiet intervention to find a way to ameliorate damage from Koizumi’s visits to the Yasukuni Shrine while still giving priority to boosting Japan versus China. ASEAN states struggled with the impact of the rivalry on plans for regionalism, agreeing with Japan’s desire to expand the new East Asian Summit with three additional members that had the effect of diluting China’s potential dominance but then welcoming China’s call to confine discussion on forging an East Asian Community to the more compact ASEAN + 3 setting. Russia and India debated counteroffers by these two other claimants to Asian great power status, without making abrupt changes. Yet, the most important battleground for China and Japan once again became the Korean peninsula, which faces the most urgent decisions on how to manage this rivalry and a fraying U.S. alliance...(Continued)

Gilbert Rozman 2006-12-19조회 : 27539
워킹페이퍼
Getting the Triangle Right: South Korean Management of the Sino-Japanese Rivalry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 3   요약문   South Korea needs a new strategy for managing triangular ties with China and Japan. It. must address the deteriorating state of Sino-Japanese relations as well as U.S. scepticism about China’s push for regionalism and the South’s autonomous inclinations through a patient role as a facilitator, not a balancer. In 2005 it overreached in a desperate response to a difficult environment. Tracing the dilemma the South faces, this paper focuses first on the U.S. factor and the frustrating impact on Roh Moo-hyun’s plans to engage North Korea. Then it evaluates ties with Japan, delineating causes and effects of the sharp slide in bilateral cooperation with restoration difficult. Next it assesses relations with China and how hard it is to synchronize them to other ties. The conclusion stresses the value to South Korea of a balance of power. As a middle power between assertive competitors, it must tread cautiously with special attention to shaping the triangle with China and Japan.   저자 Gilbert Rozman is Musgrave Professor of Sociology at Princeton University. He specializes on comparisons and relation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Russia. In the year 2000-2001, he began to add Korea to this mix. He compa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countries, their recent-day societies, their search for national identities, and their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His recent published works include ed., Japan and Russia: The Tortuous Path to Normalization 1949-1999, "Sino-Russian Cross-Border Relations: Turning Fortresses into Free Trade Zones," "Flawed Regionalism: Reconceptualizing Northeast Asia in the 1990s," "Backdoor Japan: The Search for a Way Out via Regionalism and Decentralization."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South Korea is buffeted by four countries whose foreign policy does not measure up to the standards needed for our times. All have reacted to recent international events by accentuating worrisome trends seen in earlier policies and show no inclination of changing direction. George W. Bush has steered the US not only away from Clinton’s engagement policy toward China but also toward an inconsistent regional strategy in which Richard Armitage’s Japan first approach coupled with Robert Zoellick’s follow-up to encourage China to become a “stakeholder” has been interspersed with Dick Cheney’s neo-conservative quasi-containment of China combined with an ideological rejection of diplomacy with North Korea.1 Koizumi Junichiro has let his obsession with visiting the Yasukuni Shrine overwhelm traditional diplomatic professionalism, making no effort to staunch an upsurge of ultra-nationalist claims in Japan or to try to contain the damage across the region. Hu Jintao has been less flagrant about his transgressions of cautious diplomacy, but some would argue that he has betrayed early expectations that China was ready to find common language to reassure the US and Japan by exploring shared values with increasing transparency. Finally, Vladimir Putin has resuscitated the image of an authoritarian leader in Moscow narrowly concerned with supporting dictators in order to expand his state’s influence regardless of the impact on regional stability and human rights. In the shadow of the powerful US influence and a marginal Russian one, South Korea faces the challenge of managing the deepening rivalry between China and Japan.   Among three choices for South Korean diplomacy in the coming years, only one is bound to serve the national interest best. Yet, given the policy choices favored in the four competing powers and North Korea’s inclination to seek advantage from hyperbolic rhetoric and purposeful threats, the path forward is not easy. One choice is to accept the vision of US neoconservatives and Japanese ultranationalists and draw a taut line against North Korea in the Six-Party Talks while recognizing that a three-way alliance must stand firm against China’s drive for regionalism. Taking this approach would be an admission that the Sunshine Policy was wrong and that the cold war continues in Asia, reviving the logic of the 1950s to 1980s. A second choice is to accede to the rise of China as the center of regionalism, essentially reverting to the sinocentric order during the millennium before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Given the rapid Gilbert Rozman 4 economic integration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preeminent influence of China in dealing with North Korea, this might seem to be a realistic adjustment to ongoing trends if it were not obvious that it would be a betrayal of aspirations for autonomy and leverage in foreign policy that have escaped Koreans since the seventh century and only from 1990 became a serious possibility. Finally, South Korea could strive for a region in equilibrium where the weight of China would be balanced by the weight of nearby Japan coupled with that of distant US, and its own flexibility would be maximized. This is a worthy goal not contradictory to certain views advocated by US and Japanese diplomats as well as experts in China, but the way Sino-Japanese relations are evolving may now be the foremost barrier to its realization...(Continued)

Gilbert Rozman 2006-04-29조회 : 12313
워킹페이퍼
The Stubborn Myth of Rising Patriotism in Modern China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 2     요약문     This paper examines how veterans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were treated in their communities and workplaces after their demobilization in the 1950s and 1960s.  It argues that evidence of widespread discrimination against veterans, who were lauded by the state for their heroism and sacrifice, challenges one of the more common "tropes" of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that patriotism and nationalism are rising among wide swathes of the population.  Using new archival sources, the paper focuses on the challenges veterans faced in the post-war era, among them chronic pain, poverty, job discrimination, and marriage difficulties. as well as how they responded to them. To be sure, these problems were not unique to China; many veterans around the world experienced them. The paper concludes by exploring the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reasons why veterans in China appear to have fared particularly poorly when compared with many of their counterparts elsewhere in the world.     저자 Neil J. Diamant is Assistant Professor at Dickinson College. He is specializing in East Asian politics with an emphasis on state-society relations, policy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 analysis. He is author of Revolutionizing the Family: Politics, Love and Divorce in Urban and Rural China, 1950-1968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n press), which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laws liberalizing divorce in Chinese cities, suburbs and among ethnic minorities in frontier regions.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The Chinese state, like many modern ones, has two calendars. The first, shaped by culture and history, is the more familiar one: all students in courses in East Asian Studies departments learn about Chinese New Year, the Moon and Dragon Boat Festivals, Qingming (Tomb-Sweeping) and others. The other, less familiar to foreigners, is the political calendar. Its features, however, are readily recognizable: a day celebrating a political founding (Oct. 1, 1949 in the PRC; Jan. 1, 1912 in Taiwan), critical junctures in history, or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social groups to national development (for example, May 1st for labor, March 8 for women).Sometimes cultural and political holidays overlap—the ROC government notes that,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it’s “customary to visit the tombs of the martyrs or the revolution”—but usually the calendars remain separate, and change little or only incrementally, usually accompanied by controversy. Governments, like leaders of organized religion, understand the need to maintain ritual and routine to sustain legitimacy, and attempt to create rituals that speak to the heart of their citizens.1 Despite the plethora of political events and the variety of groups they commemorate, two days are conspicuously missing from the PRC’s political calendar: a “Veterans Day” and “Memorial Day.” Despite the fact that the CCP emerged victorious from its decades-long rivalry with the Nationalist Party, awarded veterans high class status (they belonged to the “red” category), claims victory in the war against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Sino-Japanese and Korean Wars respectively, defeated the Indian Army in the border wars of the early 1960s, there is not a single holiday devoted to the people responsible for these accomplishments. Nor has current-day bellicosity among “nationalists” (who threaten to use military force against Taiwan and the US should Taiwan declare independence) translated into a commemorative holiday for veterans, even as they were called the “flesh and blood” of the revolution.2 Years of veteran political activism, which include uprisings, strikes, slow-downs, sit-ins and petitioning Beijing, has not resulted in their “elevation” to holiday status (unlike women and children, who both have their days).3 On the contrary: groups of organized veterans are swatted away much like any other group that “threatens social stability.” In April 2005, just to give one recent example, 1,000-2,000 veterans (including divisional commanders), many wearing their old uniforms, gathered in front of the General Political Department of the PLA to protest their treatment after their discharge,4 and on August 1 2005 (Army Day), hundreds of veterans protested in Beijing but were quickly dragged away by the police. The missing commemorative day for PRC veterans is somewhat of an anomaly when considering the comparative record of modern states that have fought large scale wars in the 20th century.5 The United States, which has lost far fewer soldiers than the PRC, has a Veterans Day and a Memorial Day; the Mall in Washington has public memorials for three wars, including one that was lost. Israel’s Memorial Day comes the day before Independence Day, cementing the link between sacrifice and nation-building. In the post WWII period in the Soviet Union, perhaps the country most comparable to China in terms of its political sys-tem, veterans managed to “carve[d] their own space” within the “highly styled parameters of the Soviet polity.” There, veterans came to dominate the post-war scene politically and culturally: war novels, memoirs, and parades and honors galore were bestowed upon the victors in the “Great Patriotic War.” There was no status higher than a decorated and wounded combat veteran; those not serving in combat were marginalized in the Communist Party.6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China’s missing days are not happenstance: they speak to the highly problematic position veterans occupy in the Chinese state and society. I will also suggest that a deeper understanding of veterans’ experiences places us in a unique vantage point to reassess many of the key components of Chinese patriotism after the 1949 revolution. Let’s think about it: Why would officials and citizens of a country that asserts its patriotic pride by pointing to the positive outcome of military successes (such as a strong state that can no longer be “bullied”) discriminate against or ignore the veterans who fought those wars, to the point where veteran suicides prompted numerous state investigations? What does it say about the nature of patriotism when urban youth who protest against Japanese textbooks and casually assert a military response to Taiwanese independence, pay no heed to their own veterans’ predicament, or when the only Letter to the Editor concerning veterans that was written by a student in People’s Daily between 1949-1978 registers complaints about them? What does it say about the Chinese state when those who sacrificed so much for it—one of the 2005 protesters was the son of a Korean War veteran who was denied medical insurance and petitioned the state for a decade—are carted off by the police and have their leaders arrested? These events (from the 1950s, 1990s and after the turn of the century) surely complicate the notion of Chinese patriotism as an ascending ideological force legitimating the regime, as well as a “bonding force” between people. They demand that we revisit a question that preoccupied state-builders from Liang Qichao, Kang Youwei, Sun Yatsen and Mao Zedong: do Chinese citizens appreciate martial qualities? Most citizens do not join the military, but are they willing to give a “fair shake,” in the sense of fair and equitable treatment, to those who are rhetorically and legislatively praised (in the form of beneficial policies) for having risked their lives and devoted time, resources, and families for the sake of the nation?7 While the narrative of “ascendant patriotism” would suggest an answer in the affirmative, the evidence suggests a far more complicated picture...(Continued)      

Neil J. Diamant 2006-04-29조회 : 11454
논평이슈브리핑
[CSR 여론브리핑 1호] 글로벌 기업되려면 사회책임 경영은 필수 1

[CSR 여론브리핑 1호] 1. 글로벌 기업의 경영자는 CSR에 관심 가져야 / 글로벌 기업되려면 사회책임 경영은 필수 / 한국 CSR 잠재적 압력 높다 2. 중국 국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인식       글로벌 기업의 경영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6개국 여론조사 비교   연세대 경영학과_ 장진호   글로벌 기업의 경영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사회적 불안, 빈부격차, 대기업에 대한 불신이 증가함에 따라, 주주가치 극대화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에 대한 기업의 책임이 어느 때 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최근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논의되었듯이, 기업경쟁력강화나 기업지배구조개선 문제와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달성하는가는 경영자에게 중요한 임무로 대두되었다. 사회책임경영이란 구체적으로 고객, 종업원, 사회공동체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에 대한 의무를 수행하는 경영활동을 말한다. 물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인식이 존재하며, 국가별로도 차이가 있다.   글로브스캔의 21개국 대상 조사 결과를 보면, 고객에게 품질과 안정성이 높은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점에 동의한 비율은 미국(77%), 영국(72%), 인도네시아(70%), 멕시코(50%), 중국(47%), 한국(36%) 순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에게 성, 인종, 종교 등에 상관없이 공평한 대우를 하는 것에서는 미국과 영국(84%), 인도네시아(76%)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한국(21%), 중국(45%), 멕시코(57%)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였다.   빈부격차 축소 및 인권보호 증진과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영국(48%), 미국(41%), 인도네시아(40%), 멕시코(34%), 중국(16%), 한국(15%) 순이었다.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입장에 전적으로 동의한 비율은 한국(36%)과 중국(48%)이 영국(75%), 인도네시아(72%), 미국(69%), 멕시코(59%)보다 낮았다. 지역공동체를 위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이 기업의 전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보는 응답 비율은 인도네시아(39%), 미국(31%), 영국(25%), 한국과 중국(17%), 그리고 멕시코(2%) 순으로 나타났다.   글로브스캔의 조사결과를 보면,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이 높다. 결국 미국과 유럽 시장을 배제할 수 없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기업의 신뢰도와 평판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림1] 사회문제 해결                                                 [그림2] 환경보호      [그림3] 직원에 대한 공정한 대우                                  [그림4] 상품의 질과 안정성      [그림5] 종업원의 자원봉사   주 1. 그림 1~5 는 각 항목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 0 점에서 부분적으로 그렇다 3 점, 전적으로 그렇다 5 점으로 측정한 응답 중 5 점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으로 산정   주 2. ‘사회문제 해결’은‘빈부격차 해소’,‘범죄 및 문맹문제 해결’,‘인권침해 완화’응답비율의 평균. ‘환경보호’는 ‘환경 피해 방지하는 제품생산/ 회사 운영’ 및‘사회/환경적 책임 다한 부품/재료 사용’에 대한 응답의 평균. ‘상품의 질과 안정성’ 항목은‘값싼 양질 제품 제공’과‘상품의 안정성’에 대한 평균   변화하는 사회공헌활동의 패러다임   기업이 부담해야 할 사회적 책임들 중에서 특히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즉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시혜적 차원의 자원봉사 활동이라는 개념에서 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전략적인 개념(Strategic Philanthropy)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사실 기업은 단기적 이익목표의 달성이라는 압력과 증가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요구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지기 쉽다. 이러한 딜레마로 인하여 기업들은 사회공헌활동의 전략적 선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하버드 경영대학의 마이클 포터교수는 전략적 사회공헌이란 기업이 사회적 목표와 경제적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기업의 이미지 제고 및 종업원 사기진작을 목표로 한 기부활동이 대체로 산발적이고 비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몇몇 기업들은 기업의 사업과 연관된 분야에 집중적으로 기부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큰 실효를 거두고 있다.   인적자원개발 투자 통한 사회적 책임 활동 : 시스코와 애플컴퓨터 사례   미국의 경우 시스코 사와 애플컴퓨터사가 전략적 사회공헌을 실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된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와 라우터를 만드는 시스코는 인터넷 사용자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원할 네트워크 관리자가 부족함을 알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역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관리자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설립하여 무료 교육을 시작하였다. 현재 미국 전역과 147개국에서 만 개가 넘는 교육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을 졸업한 학생의 50% 이상은 IT관련 산업에 취직하였다. 즉 사회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IT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여 산업의 성장을 꾀하였고, 이는 장기적으로 시스코의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애플컴퓨터는 오랫동안 각급 학교에 애플컴퓨터를 기부해 왔으며, 이는 학교를 도와주는 사회적 목적뿐만 아니라 애플컴퓨터의 잠재적 시장과 고객을 교육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시스코와 애플컴퓨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선진기업들은 기업의 가치, 사업 및 역량에 맞는 분야에 기부활동을 집중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환경경영 기업 : ㈜태평양 사례   환경경영에 앞장서고 있는 대표적 기업으로 ㈜태평양이 있다. ㈜태평양은 아무리 기발한 아이디어와 제품이 있더라도 환경에 역행한다면 생산하지 않는다는 경영철학 하에 제품개발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서 친환경적인 경영을 하고 있다. 설계단계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고려하며, 제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플라스틱과 종이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다. 태평양은 폐수 수질관리에도 엄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품생산 시 발생하는 폐수의 평균 수질농도를 법정 배출허용 기준의 1/10수준으로 유지한 결과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에서도 물고기가 살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낭비를 막는 역할 뿐 아니라 제조원가 절감 효과도 가져옴으로써 전략적 사회공헌 활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런 업종 사회책임경영에 더 신경 써야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 가장 책임감을 느껴야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종류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한국인은 1순위로 담배(21%), 가공식품(11%), 가솔린/기름/석유(10.6%) 순으로 응답하였다. 동일한 질문에 대하여 미국인은 자동차(11%), 가솔린/기름/석유(10.7%)를 들었으며, 중국인은 각종 전자제품(19.6%), 가공식품(13.2%)을 언급하였다. 한국, 미국, 중국, 영국,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 6개국의 응답 결과를 종합하여 순위를 보면, 사회책임경영에 신경 써야 하는 산업으로 가솔린/기름/석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담배, 약, 가공식품, 자동차, 패스트푸드, 전자제품 (PC와 휴대전화 포함), 화장품, 주류, 전기/에너지 순이었다■.    [표1]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 가장 책임감을 느껴야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글로벌 기업 되려면 사회책임경영은 필수   서울대 사회학과_이재열   들어가며   사회책임경영이란 기업의 행위가 전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경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는 네 가지 수준이 있다고 한다. 첫 번째는 경제적인 책임으로서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윤을 극대화하는 일이다. 이는 남들이 강조하지 않아도 기업이 알아서 노력하는 부분이다. 두 번째는 법적인 책임으로서 관련 법규와 규칙을 지키는 일이다. 세 번째는 윤리적 책임으로서 정당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돈을 버는 것이다. 네 번째는 박애적 책임으로서 사회에 대한 적극적 기여를 통해 훌륭한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이 되는 것이다. 경제적 책임은 기업 본연의 것이며 외부의 강요가 필요 없다. 법적 책임은 필수적인 것으로서 강제성을 갖는다. 그러나 윤리적, 박애적 책임은 필수는 아니지만 기업에게 바람직한 일로 기대하는 것이며 기업의 평판이나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부여하는 기업 책임의 우선순위가 다르다는 점이다. 기업주는 경제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치지만, 고객들은 기업의 윤리적 책임을 더 중시하며, 종업원들은 법적 책임을 우선시하고, 지역사회는 박애적 책임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다양한 사회구성원 간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둘러싼 이해관계의 상충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사회책임경영과 관련해 다양한 이슈들이 부각되어 왔다. (고객을 위해) 싼 가격에 질 좋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에서부터 상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원을 위해) 작업장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성, 인종, 종교 등에 상관없이 모든 종업원과 취업지원자를 공평히 대하는 일, (지역사회를 위해) 제품생산과 기업운영에서 환경피해를 방지하는 일, 기업이 위치한 지역을 위해 기여하는 일 (일반인을 위해) 세계 어디서나 똑같이 엄격한 윤리적 기준을 가지고 행동하는 일,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자세로 만든 재료나 부품만을 가지고 제품을 생산하는 일 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책임경영에 관해 보인 우리 기업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자신의 실수나 사고로 인한 부정적 여론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회책임경영을 강조하는 경향이다. 둘째는 이보다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기업들은 마지못해 수용하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 필요한 이슈들을 미리 파악하고 실천하는데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이다. 이번 여론조사결과는 전자의 소극적 태도로는 기업생존의 차원에서도 적절치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업은 전체 사회 속에 위치해 있고,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 조직 내부와 외부에 걸쳐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인식이 국내외적으로 확산되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실천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당위의 문제가 되었다.   21개국 여론조사 결과   선진국일수록 대기업의 활동에 비판적, 개도국일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와 기대 높아: “대기업이 모두에게 더 좋은 사회 만들고 있다”   [그림1] 기업평가와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관심에 따른 국제여론분포   [주] 가로축은 대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비율이며 세로축은 사회적 책임경영에 대해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임   글로브스캔의 21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보면 “사회책임 경영”개념과 관련하여 개발도상국일수록 대기업을 신뢰하고 우호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 국민들일수록 보다 엄격한 윤리적 기준과 높은 도덕성을 기업들에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도국은 주로 기업의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을 강조하는 반면, 선진국의 경우 엄격한 윤리적, 박애적 책임을 강조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우선, ‘대기업이 모두에게 더 좋은 사회를 만들고 있느냐’에 대해서 개발도상국 국민들이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반면, 선진국 국민들은 낮은 수준을 보여준다.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의 선진국은 각각 33%, 38%, 41%, 42%만이 대기업의 사회적 기여에 긍정적으로 답한 반면, 인도네시아(84%), 중국(82%), 인도(63%)등의 개도국에서는 높은 지지를 보였다. 한국인이 이 질문에 대해 적극 동의하는 비율은 3%에 불과(20개국 중 20위, 스위스 제외)하고, 소극적인 긍정비율까지 합치면 48%로서 8위에 해당한다.   [그림2] 대기업 사회책임 활동 평가     한편 ‘범죄, 빈곤, 그리고 문맹과 같은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돕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국가들에서 50%를 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이 빈곤과 연관된 사회문제의 경우 유럽이나 OECD국가들 보다는 빈부차이가 큰 개발도상국 국민들일수록 대기업 책임론을 거론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대기업의 전적인 책임을 강조하는 비율이 17%로서 21개국 중 20위에 불과하며, 부분적 책임까지 고려해도 모두 55%로서 11위에 그쳤다.   이와 함께‘기업들이 자신의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얼마나 다했는지 숨김없이 알리고 있는지’ 물은 결과 한국인의 5%만이 적극 긍정했으며(조사대상 18개국 중 16위), 소극적 긍정을 한 27%를 합치면 11위로 올라선다.‘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들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알고 싶으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한국인의 21%만이 적극 긍정하여 조사대상 18개국 중 15위에 불과했으며, 소극 긍정 47%를 합쳐도 13위에 머물렀다.   [그림3]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 사회문제 해결     [그림4] 기업 투명성 평가     반면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법으로 강제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독일(34%), 프랑스(34%), 미국(41%)같은 선진국의 경우 과반수에 훨씬 못 미치는 응답자만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반면 중국(70%), 러시아(61%), 인도네시아(58%)같은 개도국의 경우 사회적 책임에 대한 법률적 강제에 높은 지지를 보냈다. 한국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47%만이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며, 그 중 8%는 강한 동의를 표시하여 선진국형에 가깝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한국에서 대기업의 사회책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전형적인 개발도상국 모델에서 선진국 형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놓여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대기업에 대한 높은 기대와 우호적 평가가 이루어지는 개발도상국 형 모델에서, 기업에 대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엄격한 윤리적 기준과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속성을 바꾸어가고자 하는 선진국 형 모델로 가고 있다.   외국의 유수 대기업들이 대부분 사회책임경영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하며 전체사회와 폭넓게 소통하는 이유도 그것이 기업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사회적 정당성을 높여준다는 경험적 터득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사회책임경영은 궁극적으로 높은 수익과 효율성을 달성하는 고차원 경영의 지름길이 된다는 것이다■.   [그림5] 기업에 대한 CSR 규제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드러난 압력은 낮으나, 잠재적 압력은 높다.   연세대 사회학과_한 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책임경영의 필요성을 깨닫는 것은 기업 스스로 보다는 기업의 둘러싼 환경으로부터의 압력이 계기가 되는 경우가 많다. 글로브스캔은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21개국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압력의 정도를 조사하였다.“지난 1년 동안, 귀하께서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되는 기업에 대해 그 회사의 제품을 사지 않거나 다른 사람에게 그 기업을 비판하는 것 등을 고려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국가 간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선진국들의 경우 기업에 대한 불매 혹은 비판을 실행한 비율이 응답자의 40%를 넘는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응답자의 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3%), 인도(6%), 러시아(7%), 나이지리아(14%), 칠레(14%) 등이 한국보다 낮은 비율을 보인 반면, 중국(18%)과 필리핀(18%), 브라질(15%) 등은 한국보다 행동에 옮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행동으로 묻는 비율이 낮다고 해서,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낮다고 보기는 어렵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들에 대해 적극적 행동을 고려 본 적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한국의 경우 36%로, 호주(31%), 캐나다(35%), 미국(35%)에 이어 낮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제재 행동에 대해 한국 국민들은 고려해 보았으나 아직 행동으로 표출하지 않은 경우가 4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지 못한 기업에 대해 직접 행동으로 제재해 본 경우와 고려해 보았지만 행동에 옮기지 못한 경우를 합하면, 한국은 전체 22개국 중에서 호주, 미국, 캐나다에 이어 4번째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압력이 높은 국가이다.   결국 한국 사회에는 아직 사회적 책임 경영에 대한 드러난 사회적 압력은 높지 않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잠재적인 압력이 광범하게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한국의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사회적 책임 경영에 힘써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민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적극적인 행동적 요구로 표출하게 된다면,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압력은 선진국 중에서도 높은 수준으로 급격히 높아질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사회적 책임경영을 앞서 실행하는 기업들이 미래의 경쟁에서도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림1] CSR 못하는 기업 제재 경험 : 불매  

장진호 외 2005-04-29조회 : 14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