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지속적으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9%를 상회하는 고도의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중국의 고속 성장은 국내 및 지역적 차원을 넘어 지구적 변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이는 안보와 경제 등 전통적 이슈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환경 등 신흥 이슈에도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변화가 인류의 공생과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바람직한 아태 질서 설계도를 마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EAI는 2018년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이라는 중장기 연구사업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중 간의 무역 분쟁은 무역과 기술 영역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금융과 에너지, 군사·안보 부분에는 아직 대립이 본격화되고 있지 않다. 동아시아 연구원은 아-태 지역에서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이 미·중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오히려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미완의 영역이자 가능성을 지닌 영역으로 바라보고, 중견국인 한국이 주축이 되어 미·중 간 협력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은 한샘DBEW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프로젝트(2018-2021)의 제2차년도 사업이다.

논평이슈브리핑
[여론브리핑 25-3호] 국제사회의 대중국 인식

[여론브리핑 25호] 세계인의 세계화와 경제인식 [1] 한국인의 주변강대국 인식 - 서상민 [2] 냉담한 세계, 외로운 미국 : 미국의 영향력에 대한 세계의 평가 [3] 2008 국제사회의 대중국 인식 - 곽소희         "중국의 국제 영향력"에 한ㆍ미ㆍ일 국민 과반수가 부정적 평가   곽소희(EAI 여론분석센터 연구원) □ 중국의 국제 영향력"에 한ㆍ미ㆍ일 국민 과반수가 부정적 평가 중국은 2008 베이징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국가의 대외 이미지 쇄신에 성공했을까? BBCㆍEAIㆍ한국리서치가 전체 34개국의 17,5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이 세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설문조사에서, 절반에 가까운 49%가 긍정적으로, 30%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지난해 실시한 동일한 설문조사결과(긍정적 영향 42%, 부정적 영향 32%)보다 다소 우호적인 평가이다. 그러나 이 설문조사는 현재 국제사회의 심각한 인권문제로 대두된 티벳유혈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의 조사임을 감안하면 이 시점에서 다시 동일한 조사를 실시할 경우 그 결과에 변동이 예상된다.   2003년부터 대외정책의 기조로서 중국이 표방한 화평굴기(和平崛起)는 국제사회의 중국위협론을 잠재우기에는 부족했다. 지속적으로 평화적인 다자외교를 통한 부드러운 힘을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EU(45%), 북미(47%) 등지에서 거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의 부정적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한국ㆍ미국ㆍ일본은 국민의 과반수(한국 50%, 미국 54%, 일본 59%)가 중국의 영향력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중국 외교부에 적지 않은 당혹감을 안겨줄 것 같다. 왜냐하면 중국이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가장 주력하는 대외정책 중 하나가 아시아 지역 내 중국의 지도력을 강화하는 것이고 이와 관련해 밀접한 이해관계를 맺고 있는 주요국들이 바로 한 ㆍ미ㆍ일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국의 미국에 대한 반미여론은 2006년 이후 점차 완화되어 절반보다 적은 46%로 나타난 반면, 미국은 여전히 과반수이상의 반중여론이 우세하다. 일본과도 역사 인식의 갈등, 영유권 및 에너지 분쟁 등으로 인해 일본 내 중국에 대한 반중 여론이 조사국가들 중 독일(대중국 부정적 평가 59%)과 함께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아프리카ㆍ호주ㆍ중동은 우호적 여론이 우세 그러나 중국의 ‘화평굴기’ 대한 국제여론이 비관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아프리카(65%)와 아랍에미리트(66%)를 비롯한 중동, 그리고 호주(60%)에서 중국의 국제영향력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함으로써 중국의 자원외교가 성공적인 실효를 거두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중국정부가 2006년을 아프리카의 해로 선정할 만큼 적극적인 외교 공세를 펼쳐 온 아프리카는 대중국 긍정 평가에서 2006년보다 12% 상승한 65%를 나타냈다. 이는 중국이 아프리카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2000년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발족 이후 채무탕감, 차관제공, 인프라구축 등의 지속적인 경제지원을 함으로써 아프리카에서의 이미지를 제고시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석유와 천연가스가 풍부한 중동, 그리고 철광석, 아연, 니켈 등이 풍부한 호주도 중국에 대해 경제적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한 우호적 여론을 보여주었다. 작년에 비해 호주의 대중국 긍정적 평가는 17%나 높아진 수치를 보여줘 중국이 호주의 자원수출 상대 교역국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얼마 남지 않은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은 현재 국제사회의 모든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2008년을 정점으로 ‘진정한’ 선진국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중국으로서는 티벳사태 해결과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여부가 중국에 대한 세계인의 인식을 제고시키는 또 하나의 중요한 잣대가 될 것이다. 그렇기에 어느 때보다 중국의 대내외적 정치 수완이 요구되는 때이기도 하다.

곽소희 2008-04-01조회 : 13773
논평이슈브리핑
[여론브리핑 22호] 중국의 對티벳정책

티벳 독립에 대한 대한 6개국 조사 한국인이 중국의 대(對)티벳 정책에 가장 비판적(84%)   □ “티벳 독립 허용해야 한다”  프랑스(75%), 미국(74%), 영국(63%) 순 □ 아시아 3개국은 인식 엇갈려 한국(84%), 인도네시아(54%), 인도인만 37%로 과반수에 못 미쳐   중국 대외정책의 기본은 화평굴기 즉, 주변국들에게 위협감을 주지 않으면서 조용히 세계 강대국으로 성장해가는 전략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구상은 나름대로 성공적이어서 작년 2007년 동아시아연구원이 참여한 BBC 국제현안 27개국 조사결과 중국의 국제사회에서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보는 비율(42%)이 일본(54%) 다음으로 높게 나온 바 있다. 현 세계질서를 주도하는 미국(30%)이나 동반 부상하고 있는 인도(37%)에 비해 국제사회의 따뜻한 시선을 받고 있는 것이다[그림1].   이러한 중국에게 있어 티벳 문제는 뜨거운 감자가 아닐 수 없다. 최근 티벳 독립 요구에 강압적으로 대처하는 중국의 대티벳 정책은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판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국제여론조사 기관인 월드퍼블릭오피니언(WPO)이 주관하고 동아시아연구원(원장: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과 경향신문이 함께 참여한 2008년 22개국 국제인권의식 여론조사에서도 쉽게 확인된다. 티벳 자치권을 허용하지 않고 달라이라마의 귀국을 막는 중국의 대(對)티벳 정책에 대해 평가에 참여한 6개 나라 조사결과 인도를 제외한 나머지 5개 나라에서 모두 중국에 비판적이었다.   서방 국가로서 조사에 참여한 미국 국민의 74%, 프랑스 국민의 75%가 중국이 티벳 독립을 허용하고 달라이라마의 귀굴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영국 국민들은 65%가 이에 동조했다. 반면 조사에 응한 아시아 3개국 조사에선 나라마다 입장차이가 확인된다.   한국이 84%가 중국이 티벳 자치권과 달라이라마의 귀국을 허용해야 한다고 응답하여 조사국들 중 중국정부 입장에 가장 비판적 여론이 많았다. 반면 인도네시아 국민은 54%로 과반수를 살짝 넘는 수준이었다. 인도 국민은 37%는 중국이 티벳자치권과 달라이라마의 귀국을을 허용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33%는 티벳 독립을 반대하는 중국정부의 입장을 지지해 팽행하게 맞섰다. 나머지 30%는 입장을 유보했다.   각 국에서 공통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지식인 계층일수록 중국의 티벳 정책에 비판적이라는 점도 주목할 점이다. 한국만 보더라도 중졸이하 계층에서는 66%만이 중국정책에 비판적인 반면 고졸 계층에서는 78%가, 대재이상 층에서는 88%가 중국의 현 티벳정책에 비판적이다. 각국의 여론주도층이 중국의 티벳정책에 비판적이라는 점이 중국으로서는 더욱 당혹스러울 수 있다.   본 조사는 2008년 1월 18일부터 2월 29일까지 6개국 47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로서 현재 티벳에 대한 강경진압으로 일관하고 있는 중국정부의 대응이 외신으로 보도되면서 중국에 대한 비판여론이 더욱 악화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사를 주관한 월드퍼블릭오피니언의 스티븐 컬 박사는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폭력으로 인해 중국은 더 큰 국제사회의 비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림1] 2007년 세계 주요 국가의 국제적 역할에 대한 27개국 평가   [그림2] “중국이 티벳 자치권과 달라이라마 귀국 허용해야 한다”    

정한울 2008-03-18조회 : 12738
워킹페이퍼
EARS 5호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EARS 5호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요약문 EARS Series5 발간 EAIㆍ시카고국제문제협회ㆍ중앙일보 대외인식조사II 2006 BBCㆍ글로브스캔ㆍEAIㆍ매일경제 국제현안조사 2005 BBCㆍ글로브스캔ㆍEAIㆍ매일경제ㆍ한국리서치 국제현안조사 2006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 세계여론을 통해 본 중국의 현재와 미래 최근 세계 무대에 새로운 군사ㆍ경제 강국으로 중국이 급격히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주변 이해당사국들은 중국의 부상이 위협이 될 것인지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인지를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EAI 여론분석 워킹페이퍼 시리즈인 EARS 제5호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 세계여론을 통해 본 중국의 현재와 미래”(이내영ㆍ정한울 저)는 2005년과 2006년에 실시한 국제여론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이해당사국들의 인식을 경험적으로 분석합니다. EAI는 2006년 미국 시카고국제문제협회와 동아태 주요국가 "대외인식 여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BBCㆍ글로브스캔ㆍ매일경제ㆍ한국리서치와 "국제현안 여론조사를 2005년과 2006년에 실시한 바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위협 혹은 기회라는 이분법적 관점 보다는 절충적이고 복합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부상을 진단하고 미래 중국의 진로에 대한 세계여론의 전망을 보여줍니다.  

이내영ㆍ정한울 2007-08-05조회 : 13227
워킹페이퍼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al Risk in China’s Relations with Japan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9 요약문 The April 2007 visit by Chinese Prime Minister Wen Jiabao to Japan highlights new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Japan to address challenges of globalization, such as pollution and rising demand for energy, yet progress in their relations has been uneven. Their economic ties have flourished despite deep-rooted political tensions, significant security concerns, maritime boundary disputes, conflicting nationalisms and historical narratives. Since the mid-1990s China and Japan have steadily cooperated to reduce air pollution, but energy has proven to be a source of competition and tension, though there have been some recent cooperative impulses. 저자 Elizabeth Wishnick is Assistant Professor of Department of Politcal Science at Government at Montclair State University. Professor Wishnick is the author of Mending Fences: The Evolution of Moscow’s China Policy from Brezhnev to Yeltsin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1) and of numerous articles on great power relation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published in Asian Survey, NBR Analysis, SAIS Review,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Issues and Studies, and Perspectives Chinoises, as well as in several edited volumes. Her current research focuses o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Russian-Chinese relations; and Post-Soviet foreign policy.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The April 2007 visit by Chinese Prime Minister Wen Jiabao to Japan highlights new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Japan to address challenges of globalization, such as pollution and rising demand for energy, yet progress in their relations has been uneven. Their economic ties have flourished despite deep-rooted political tensions, significant security concerns, maritime boundary disputes, conflicting nationalisms and historical narratives. Since the mid-1990s China and Japan have steadily cooperated to reduce air pollution, but energy has proven to be a source of competition and tension, though there have been some recent cooperative impulses.       Until recently China’s approach to globalization largely focused on its economic benefits and assumed that the Chinese state would be able to manage the process. Increasingly Chinese leaders and scholars are calling attention to the numerous non-traditional security challenges facing their country. The problems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non-traditional security are linked, however, as China’s dramatic growth creates unintended non-traditional security consequences for its neighbors, as well as its own citizens. Even if its rise is peaceful, China’s development creates unintended environmental consequences such as trans-boundary air pollution and rising demand for energy, which create risk for its neighbors. This article will look at China’s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and its impact on Sino-Japanese relations. The article will show a pattern of cooperation in addressing air pollution, but greater competition over energy. Why is there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al area? Why has competition been more prevalent over energy? Typically realist theories are employed to explain Sino-Japanese competition over energy and liberal theories are used to account for their environmental cooperation. This piecemeal approach misses the broader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focuses on the policy choices of political leaders in both countries, when the issues at play may not be intentional. It is argued here that rising demand for energy and air pollution in China are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development choices, which create risk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China’s neighbors. The paper explains how several factors shap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risk in China’s relations with Japan, including the urgency of the risk involved, the nature of risk management, statesociety relations, and the securitization of risk. Finally, the paper calls attention to the dynamic between risk management in China and Japanese policy responses. All countries produce risk and this article is not intended to single out China. However, the Chinese case is unique: as a developing country with an extremely dynamic economy but increasingly uneven distribution of wealth, it presents both environmental risks associated with poverty and prosperity. Because of China’s growing global and regional role and expanding environmental footprint, how the country addresses environmental risk has great significance globally, regionally, and domestically. This article is a component of a larger research project addressing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in China’s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in East Asia. The article also represents a first draft of research in progress and some sections (particularly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risk management and Japanese securitization of environmental risk) are incomplete at this writing...(Continued)

Elizabeth Wishnick 2007-05-20조회 : 12609
워킹페이퍼
Dilemma of Openness: Societal Pressure in China’s Japan Policy Making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1 요약문 This paper examines the increasing influence of various domestic factors such as academics, media, and public opinion on the China’s Japan policy in the last decade within the context of newly developed internet technology. The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are: has there been an emergence of societal forces, independent of the Communist Party that have begun to exert influence over the foreign policy making process? If so, how are they affecting the ability of Chinese government to frame and implement foreign policy? It argues that due to the opening up policy and the fas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hina"s hierarchical, elite-driven foreign policy making structure has experienced profound changes which are characterized as pluralization, profession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These changes have created opportunities for societal forces to influenc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is best reflected in China’s recent policy toward Japan. 저자 Yufan Hao is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s at Colgate University. He obtained his MA and PhD from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in 1984 and 1989 respectively and was a McArthur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1988-1989. He was a visiting professor to Peking University, Tsinghua University, and Renmin University of China. His latest books include Chinese Foreign Policy Making: Societal Forces in Chinese American Policy Making, (Ashgate, London, co-edited, 2005); Bush’s Dilemma: Experts on the Possible Trend of American Foreign Policy (Shishi, Beijing, co-edited, 2005); Power of the Moment: American and the World after 9/11 (Xinhua, Beijing, co-authored, 2002), White House China Decision (Renmin Press, Beijing, 2002). Currently he serves as the Dean of Facul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t University of Macau.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The spring of 2005 witnessed quite turbulent in China-Japan relations. Along with the issues of Security Council bid, the history textbook, and the gas exploration in disputed waters, Japan claimed on the Chinese Lunar New Year that the Senkaku Islands were officially Japanese. In February, Japan and the US declared a closer military bond. After another visit by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to the Yasukuni Shrine in Tokyo, where convicted Class-A war criminals are honored along with other Japanese war dead, the bilateral relations plunged to their lowest point since 1972, with a nationwide anti-Japanese riots erupting in China. Angry Chinese protesters marched on the Japanese Embassy in Beijing, throwing eggs and rocks to protest against school textbooks they say whitewash Japanese wartime atrocities in China, against Tokyo’s bid for a permanent seat on the UN Security Council, and against Koizumi’s visit to Yasukuni Shrine. After a week of violent protests against Japan in Beijing, thousands of protesters marched on the Japanese consulate in Shanghai, smashing its windows with rocks, pelting it with paint bombs and attacking Japanese restaurants along the way. Protest spread to several large cities in the south, as Chinese massed outside Japanese stores and consulates, calling for a boycott of Japanese products and demanding that Japan own up to war crimes of 60 years ago. The rising anti-Japanese sentiments within Chinese society have made it difficult for Beijing leadership when making their policy towards Tokyo. Chinese government became increasingly tough towards Tokyo and publicly registered its objection to Japan’s bid to UN Security Council. Meanwhile, Chinese government began to clamp down harder to keep the capital peaceful before Japanese Foreign Minister Nobutaka Machimura’s visit. University students were warned by email not to protest. Top anti-Japanese activists in Beijing were rounded up to prevent further protests. China even began to control media coverage of Sino-Japanese relations and had cancelled a few academic conferences and workshops related to Japan.   Why did the Chinese leadership decide to take a tough stand toward Japan at the time China is trying to show to the world its intention of “peaceful rising”? At the same time, what had made the Chinese leaders continuously try to maintain relations with Tokyo, not hurting 178 billion dollars in annual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it that the Chinese government manipulating the public so as to promote nationalism at home and to gain leverage over Japan as some international observers believed? Or when the Chinese leaders hope to engage Japan, only to find their hands tied due to powerful public sentiments nourished unintentionally by their early policy?   What happened in the spring of 2005 seems to illustrate a long overlooked element affecting Chinese foreign policy making: the influence of social forces. Since 1949, Chinese foreign policy has been traditionally viewed as highly centralized, dominated by a few powerful, personalized seniors acting free from domestic public pressure. Never before has Chinese leadership considered the interests and opinions of various domestic political constituencies. What happened in 2005 in China’s policy towards Japan seems to illustrate an interesting change. Beijing leadership had to accommodate domestic outcry in the wake of the certain external events, even though they wished to maintain and continue to improve Sino-Japanese relations. The moment may have arrived in China when policy makers cannot make policy initiatives without a serious consideration of public opinion, and without the support within the bureaucratic apparatus. This may represent a gradual but significant shift from the Communist Party’s centralized control over China’s foreign policy making, relatively free of social pressure, to a new pattern characterized by increasing domestic restraints...(Continued)

Yufan Hao 2007-04-04조회 : 14414
워킹페이퍼
War and Historical China: Problematizing Unification and Division in Chinese History, War and Historical China: Problematizing Unification and Division in Chinese History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7 요약문 This paper examines the unity paradigm which holds that unification has been the normal and natural course of Chinese history, and that unification has nurtured stability and prosperity while division has generated chaos and sufferings. I highlight that the Chinese term for China, “zhongguo,” originally meant “central states” in plurality. I develop a rigorous definition of unification and show that zhongguo was more often divided than unified. I also demonstrate that unification was not a natural development but a contingent outcome of war. Because unification had to be achieved by conquest, eras of division tended to be marked by conflicts and sufferings. Before Qin’s wars of unification, however, the classical era witnessed stability, liberty, and prosperity. In the post-Qin era, division remained favorable to liberty and prosperity while unification stifled both. This contrast is more pronounced if we extend the analysis from the Chinese heartland to the periphery. 저자 Victoria Tin-bor Hui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Politic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Her research examines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origins of constitutional democracy, and the development of trade and capitalism in the broad sweeps of history, with a special focus on historical China and historical Europe. She is the author of War and State Formation in Ancient China and Early Mod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본 working paper는 미국 헨리루스재단의 지원을 받은 "EAI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에 제출된 논문이며, 온라인 버전으로만 배포됩니다.   Chinese take for granted China’s “historical oneness.”1 They hold the belief that China or zhongguo refers to a natural territorial and cultural polity with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Chinese leaders and intellectuals often insist that unification is a sacrosanct value and assert that “prosperity and development are associated with unity, while war and conflict come with separation.”2 Beijing’s “One China” policy is a modern variant of the classical da yitong or “great unity” paradigm.3 As the Lushi chunqiu, a Warring States text, puts it, “There is no turmoil greater than the absence of the Son of Heaven; without the Son of Heaven, the strong overcome the weak, the many lord it over the few, they incessantly use arms to harm each other.”4 The modern argument refers to the interlocking claims that, although there were eras of division in Chinese history, unification has been the norm, unification after division has been the natural course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unification has nurtured stability and prosperity while division has generated chaos and sufferings.   As the unity paradigm seeks authority in history, this paper examines its historical foundation. In tracing Chinese history in the longue duree, I follow the prospective approach and avoid the retrospective perspective.5 That is, I proceed from China’s formative era and search forward for alternative paths and outcomes, instead of viewing the past through the prism of the present. In addition, I follow R. Bin Wong’s “symmetrical perspectives”6 and juxtapose Sinocentric perspectives against Eurocentric perspectives. This does not mean that I naively apply Eurocentric theories to judge (or misjudge) Chinese history. Rather, I analyze if insights from comparative and world history shed light on actual developments in historical China.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main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I address the claim that unification has been the normal and natural course of Chinese history. I problematiz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hina and develop a precise definition of unification. It is too often overlooked that the very term “China” or “zhongguo” has significantly evolved in Chinese history. Just as the term “Germany” (or any other country) involves a “troubled, contingent history” rather than a polity with “distinctive, enduring characteristics,”7 zhongguo does not entail an unchanging territorial space or a single culture. This term acquired the modern meaning of nation-state only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8 Zhongguo originally referred to “central states” -- in plural form -- in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656-221 BC). Although Qin unified this international sys-tem in 221 BC, the Qin empire and subsequent dynasties invariably broke down. In the post-Qin era, zhongguo referred to dynasties that controlled the central plain in northern China...(Continued)

Victoria Tin-bor Hui 2007-04-03조회 : 12591
논평이슈브리핑
[여론브리핑 7-1호] 세계가 본 친디아ㆍ한국 ①

[여론브리핑 7호] 세계가 본 친디아ㆍ한국 [1] 이렇게 조사했다 - EAI 여론분석센터 [2] 미국인이 보는 테러, 이라크 전쟁 그리고 부시 외교 - 남궁곤 [3] 미국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각 - 민병원 [4] 미 국민들이 보는 중국 - 크리스토퍼 휘트니ㆍ정한울 [5] 친디아가 본 세계 : 중국과 인도는 자신들과 세계를 어떻게 보고 있나? - 이태환 [6]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한ㆍ중ㆍ일 국민들의 인식 - 이내영 [7] 세계가 보는 한국 - 이숙종 [8] '세계의 문제아' 북한과 한국의 동반피해(Collateral Damage) - 김태현 [9] UN을 바라보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시각 - 이내영           1. 이렇게 조사했다.   EAI 여론분석센터   동아시아연구원(EAI)은 2004년에 이어 시카고국제문제협회(Chicago Councils on Global Affairs, 전신은 시카고외교협회인 CCFR)과 함께 대외인식 관련 7개국 국제여론조사를 실시했다. 2004년에 이어 올해에도 중앙일보가 후원을 했다.    조사는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 중국 · 일본 · 인도 · 인도네시아 ․ 호주 등 7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 이번 조사는 한반도를 넘어 세계적 차원에서 긴장상태를 유발하고 있는 북핵문제나 전시작전통제권 이양문제, FTA 문제와 같은 한반도 이슈에 대한 한국 및 아시아 주요국가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세계 초강대국 미국은 물론 북핵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는 국제사회의 반응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2) 세계의 초관심사인 친디아의 부상에 대한 아시안의 인식을 심층분석함과 동시에 자료접근이 쉽지 않은 중국과 인도의 세계관과 대외정책 선호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이 국제무대의 주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위기 뿐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장기적 도전요인에 대한 대비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북핵문제가 우리에게는 사활적 문제이며 국제적 관심사임에는 분명하지만 세계인의 시각에서 보면 여러 국제문제 중의 하나일 뿐이라는 점도 냉정히 인정해야 한다. 세계적 차원의 관심사인 친디아의 부상은 21세기 경제 질서를 좌우할 최대변수이다.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에너지 ․ 환경 문제 역시 세계가 주목하고 대비하고 있는 국제현안이다. 국제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으려면 우리의 문제 뿐 아니라 세계의 문제에도 뒤쳐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지난 3월 국제여론연구팀(위원장,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을 구성하여 시카고국제문제협회와 긴밀한 협의 하에 연구 및 조사계획을 확정지었다. 6월부터 7월 사이에 7개국 여론조사를 진행한 후 조사결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일부 원고는 직접 미국 측에서 직접 작성하여 발표하기로 했다. 조사결과는 12월 13일 중앙일보 지면을 통해 소개한다.     ○ 기    획 : 동아시아연구원(EAI) ․ 시카고국제문제협회(CCGA) ○ 후    원 : 중앙일보 ○ 실    사 : 한국리서치 ○ 조사대상 : 전국(제주 제외)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 표    본 : 1024명 ○ 표본추출 : 층화 무작위 추출 ○ 조사방법 : 개별 면접조사 ○ 표집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 ±3.1% ○ 조사기간 : 2006. 6. 19-7. 7     2. 미국인이 보는 테러, 이라크 전쟁 그리고 부시 외교     남궁 곤(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조사대상국 중 미군 장기주둔시킬 나라 2004년에 이어 한국이 1위 62% □ 미국인, 미국의 세계경찰의 자격 없다 65% □ 미국인, 미국 헤게모니 유지(10%)보다 다른 나라와 협력(75%) 우선해야   이번 국제비교 조사에서 미국 측 조사를 맡은 시카고국제문제협회는 동일한 조사항목을 사용해 1974년부터 4년 주기로 미국민을 대상으로 대외인식 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해왔다.   이번 2006년 조사결과만을 보면 9.11 이후 미국인들이 테러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적극 지지하는 점이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9.11이 발생하기 이전에도 테러문제를 자국 이익에 관련된 중요한 외교 현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9.11 테러를 통해 테러 문제의 심각성과 현실성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는 해석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90%에 가까운 미국인들은 테러문제를 중국의 부상, 이슬람 근본주의, 핵 확산, 대량 이민, 지구 온난화, 에이즈, 에너지 공급 문제 등과 함께 미국이 당면한 중요 외교적 현안으로 꼽았다. 이들 현안들은 1990년 이후 실시된 모든 조사에서도 국익에 중요한 미국 외교현안으로 지적되어 왔다.   미국인들은 미국의 국제역할이 갖는 당위성에 대해서도 일관된 지지를 보내고 있다. 미국이 국제적 사건에 대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미국인들은 1974년 이후 줄곧 70% 내외를 유지해 왔다. 이번 조사에서도 69%의 미국인들이 미국의 국제적 역할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9.11 이전 조사결과의 평균 수치와 거의 같은 수준이다. 9.11이나 테러전쟁으로 인해 미국인이 미국의 국제역할이 갖는 당위성에 대한 평가가 갑자기 높아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미국인이 미국이 담당하는 국제역할을 지지한다고 해서 그 역할의 범위를 무한정 용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미국은 세계경찰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책임이 있는가를 묻은 항목에서 미국인 75%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미국이 세계경찰 역할 책임이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22%에 그쳤다.   미국인들은 미국이 국제적 역할을 수행하되 다른 국가들과의 협력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국제문제를 해결하는 데 미국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10%의 미국인들만이 지지를 보냈다. 이에 비해 다른 국가와의 역할과 임무 분담을 원하는 미국인들은 75%에 달했다. 대다수의 미국인은 국제문제 처리에서 일방적 방식보다는 동맹국과의 국제공조를 더 지지하고 있는 셈이다.   이번 2006년 조사에서 흥미로운 점은 미국인 스스로 이라크 전쟁의 정당성에 대해 비판적이라는 점이다. 이라크 전쟁이 테러의 위협을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견해에 대해서 35%의 미국인들만이 동의한 반면, 별로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미국인들은 61%에 달했다. 이라크 전쟁 승리가 중동 지역에서 민주주의 확산을 가져올 것이라는 항목에 대해서도 미국인의 32%만이 동의했지만 64%가 동의하지 않았다.   미국여론은 테러에 대한 보복과 방지를 명분으로 미국의 일방적 패권유지를 도모하는 외교정책에는 부정적이다. 따라서 부시 행정부가 일방적 방식으로 민주가치를 이식하고 민주정권 수립을 목표로 외국국가에 개입하는 것은 미국 여론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 미국인이 인정하는 미국의 국제역할 범위와 미국 부시 행정부가 수행하는 외교정책 사이에 분명한 간극과 부조화가 있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 정책에 대한 미국인들의 비판은 이러한 간극과 부조화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인들은 이번 조사에서 첫째, 미국 외교목표가 미국 국가이익에만 국한하지 않고 국제 보편이익을 지향할 것, 둘째, 미국이 국제사건을 외면하지 않고 일정한 역할을 맡을 것, 셋째, 미국이 일방적 수단보다는 국제공조를 통해 국제문제를 해결하고 필요한 국가에게 국제원조를 지원할 것, 넷째, 미국이 다른 국가들과 서로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통상정책을 시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부시 행정부가 이들 요구를 얼마나 실제 정책에 반영될 지 여부가 미국 국민들이 부시 행정부를 평가하는데 하나의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그림1] 미국외교정책 목표에 대한 미국민 인식       [그림2] 미국이 추진해야 할 대외정책의 방향에 대한 각국의 태도 [그림3] 해외미군의 장기주둔 국가 선호             3. 미국 헤게모니에 대한 국내외 비판여론 :    미국의 아시아에서의 군사적 역할 축소 요구, 대북 강경책 제약   민병원(서울 산업대 IT정책대학원)   □ 미국의 세계 및 아시아 영향력에 대해서는 인정 □ 세계경찰로서의 자격과 역할에 대해서는 극도로 부정적, 미국 국민들조차 인정 안 해 □ 장기적으로는 미국 헤게모니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 의견 □ 미국인, 북한의 한국 공격 시 미국의 군사적 개입지지 45%   세계가 바라보는 미국 헤게모니의 모습은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축소되어가고 있다. 북한의 핵실험 예고선언에 대해 미국 내 강경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미국 일방주의에 대한 국제적 비판여론은 이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탈냉전 시대 이후 특히 9 ․ 11 테러 사건 이후 크게 부각된 미국의 일방주의와 세계 경찰로서의 역할에 대한 세계인들의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계정치에서 미국이 지닌 영향력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국 모두 인정하고 있다. 미국이 10점만점을 기준으로 미국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얼마나 영향력을 행사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대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체로 8점 전후의 평균치를 보였다. 이보다는 약간 낮지만 아시아에서 미국이 행사하는 영향력에 대한 질문에서도 7~8점의 평균치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지난 10년 간 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의 수준이 증가해왔다는 견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미국의 일방주의가 탈냉전 시대에 아시아에서도 꾸준히 확대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이 책임 있게 행동하는 국가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나라별로 30~60%의 응답자들이 긍정적으로 답을 하여 큰 편차를 보였다. 그러나 호주 국민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반수이상이 미국의 책임감 부재를 질타하고 있다. 미국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세계의 경찰로서 미국이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해 부정적 응답이 높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심지어 미국 국민들 사이에서는 더 높게(75%) 나타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실제 미국이 수행하고 있는 세계 경찰로서의 역할에 대한 평가는 더욱 가혹하다. 미국 국내와 주요 우방국에서도 70% 이상이 미국의 국제적 역할에 비판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라크 전쟁에 대한 평가에서도 부시 행정부가 주장하는 정당성에 대해 세계는 더욱 냉소적이다. ‘이라크 전쟁으로 테러의 위협이 감소했다’는 주장에 대하여 동의하는 비율을 보면 파병국인 한국(17%), 호주(14%)에서 조차 매우 낮았으며, 심지어 미국인 조차 35%에 불과했다. 또 다른 전쟁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중동 민주화 정책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여론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비판적 인식이 장기적으로 미국의 헤게모니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해 응답자들의 고개를 젓게 만들고 있다. 지금부터 50년 후에도 미국이 세계의 지도국가로 남을 것인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사람들은 40% 미만에 불과하다. 특히 미국의 잠재적 도전국가로 인식되고 있는 중국 국민들의 23%만이 미국의 헤게모니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 버금가는 국가가 등장할 것이라는 견해(30~50%)와 미국의 몰락을 점치는 견해(20~30%)도 만만찮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북핵문제나 미중갈등, 중미갈등 등 잠재적 갈등 요인이 뇌관으로 묻혀있는 동아시아에서 미군 주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다. 7개 국가에 걸쳐 미군의 동아시아 주둔 병력이 증가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미국 국내를 포함하여 대부분 10% 미만이었다. 한미동맹 및 주한미군의 필요성에 대해 높은 지지를 보이고 있는 한국에서도 동아시아주둔 미군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8%에 불과했다. 중국 국민들 역시 9%만이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나머지는 줄이거나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의 헤게모니에 대한 세계인들의 입장은 여전히 곱지 않을뿐더러 시간이 흐를수록 악화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세계의 경찰 역할에 대한 어느 정도의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미국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과도하며 지금까지 일방적으로 확대해온 미국의 해외 주둔이나 동아시아에서의 개입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세계여론은 북한 및 이란 핵문제에 대해 강경대응을 주장하는 미국 내 보수파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북한 핵문제에 대한 미국의 일방주의적 대응을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서서히 기울어져가는 미국의 헤게모니가 이러한 시각에 대해 어떤 대응을 보일지 앞으로 두고 볼 일이다.   [그림1] 세계경찰로서의 미국의 자격과 역할에 대한 평가   [그림2] 미국의 세계적 영향력에 대한 평가 (10점에 가까울수록 영향력 크고 5점은 보통, 0은 영향력 없음을 의미)     [그림3] 이라크 전쟁에 대한 평가 [그림4] 향후 50년 후 미국 헤게모니 전망   [그림5] 사안별 미군의 군사적 개입의 정당성             4. 미 국민들이 보는 중국 : 기대와 우려 (월간 넥스트 11월호 게재논문 축약본)   크리스토퍼 휘트니 (시카고협회 연구디렉터) 정한울 (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   □ “미국과 중국은 경쟁관계” 52% □ 미국인이 본 미국의 국익에 사활적인 국가: 중국 49% > 일본 44% □ 미국민 58%, 중국은 불공적 무역국가: 경제성장 인정하지만 좋은 교역 파트너는 아니다 □ 중국성장 막기 보다는 협력과 관여를 우선해야   미국이 직면한 장기적인 도전 중의 하나는 중국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것이다. 중국은 세계적인 제조업 국가로 성장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미국을 제치고 주요 무역 상대국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의 급격한 군사적 팽창 또한 미국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미국에서 실시한 여론조사는 전략적으로 중국이 위협이 실재하는가, 그리고 대중관계를 장기적으로 협력으로 끌고 갈 것인가 봉쇄로 끌고 갈 것인가에 대해 미국국민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미국국민들이 중국을 바라보는 시선은 복합적이다.   미국 국민들은 중국의 부상이 장기적으로 볼 때 미국 헤게모니 체제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한다. 미국인들은 향후 10년 이내 미국의 영향력은 줄어드는 반면, 중국의 영향력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과반수의 미국민들은 대략 20년쯤이면 중국경제가 미국을 따라잡을 것으로 믿고 있다. 미국이 앞으로 50년 후에도 초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응답자가 40%에 불과한 것도 아마도 중국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인 듯 하다. 따라서 미국 국민의 52%는 미국과 중국이 협력관계보다는 경쟁관계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미국인의 평가는 분야별로 크게 엇갈린다. 미국 국민들은 중국이 군사적 ․ 지정학적인 차원에서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75%)인 반면 경제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교역 파트너로서 중국에 대해 우호적인 인식이 지배적인 것은 아니다. 응답자 중 58%(공화당 지지자61%, 민주당 지지자 59%)는 중국이 불공정한 교역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응답자 중 56%(공화당 지지자 중 60%, 민주당 지지자 중 56%)는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반대했다.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심각한 위협인식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미국 국민들 중 중국의 부상을 심각한 위협으로 보고 있는 응답자는 36%에 불과하다. 이는 한반도의 위협요인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수치이며, "저임금"국가와의 경제적 경쟁으로 인한 위협 (32%, 심각한 위협)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수치이다. 미국민들이 보다 심각한 위협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국제 테러리즘 (74%, 심각한 위협)이나 적대국의 핵무장 (69%, 심각한 위협)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미국 국민들이 중국을 심각한 위협으로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첫째, 중국이 미국의 국익실현에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일본 중 어느 나라가 미국의 국익에 사활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중국을 꼽은 응답자가 49%, 일본을 꼽은 응답자가 44%였다. 중국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오랜기간 동맹관계를 유지해온 일본과 대등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둘째, 세계 주요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국과의 협력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것도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인들은 에너지 자원을 둘러싼 경쟁을 완화시키고, 아시아에서 핵무기 확산을 막는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신흥강국과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국민들의 대다수(65%)는 미국 정부가 중국의 부상을 적극적으로 저지하기보다는 우호적인 협력과 관여(engagement)정책을 우선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적 협력을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미국 국민들은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이 세계와 아시아가 직면한 문제를 다루는 한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1] 미국인이 본 미국과 중국의 영향력 비교   [그림2] 중국의 부상에 대한 미국인의 태도     [그림3] 미국인의 중국의 역할에 대한 평가     [그림4] 중국의 경제적 성장과 군사적 성장에 대한 미국인의 평가     [그림5] 미국 국익에 중국과 일본 중 어느 국가가 더 중요한가?    

정한울외 2007-02-06조회 : 12456
논평이슈브리핑
[여론브리핑 7-2호] 세계가 본 친디아ㆍ한국 ②

[여론브리핑 7호] 세계가 본 친디아ㆍ한국 [1] 이렇게 조사했다 - EAI 여론분석센터 [2] 미국인이 보는 테러, 이라크 전쟁 그리고 부시 외교 - 남궁곤 [3] 미국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각 - 민병원 [4] 미 국민들이 보는 중국 - 크리스토퍼 휘트니ㆍ정한울 [5] 친디아가 본 세계 : 중국과 인도는 자신들과 세계를 어떻게 보고 있나? - 이태환 [6]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한ㆍ중ㆍ일 국민들의 인식 - 이내영 [7] 세계가 보는 한국 - 이숙종 [8] '세계의 문제아' 북한과 한국의 동반피해(Collateral Damage) - 김태현 [9] UN을 바라보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시각 - 이내영          5. 친디아가 본 세계 (월간 넥스트 2007년 11월호 게재 논문 축약본)    - 중국과 인도는 자신들과 세계를 어떻게 보고 있나?    이태환(세종연구소)   □ 인도보다 강한 중국의 대미 경쟁의식: 중국은 미국과 비슷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아시아 주둔 미군에 대한 인식은 중국이 인도보다 더 부정적 □ 핵보유나 핵시설에 대한 군사적 제재에 중국, 인도 모두 긍정적 □ 중국은 세계화에 적극적, 인도는 미온적   세계 경제에서 '친디아(Chindia·중국과 인도)'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이면서  친디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 분석에 의하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020년경 일본을 앞서기 시작해 2040년에는 미국을 추월하고  인도의 경제규모도 2030년께 일본을 앞서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제력의 증대와 더불어 두 국가가 국제질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그만큼 커질 것이기 때문에 중국과 인도의 엘리트와 국민들이 자기 스스로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이해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첫째, 자신과 상대방에 대한 상호인식이다. 각 국가별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보면 중국은 아시아에서는 미국과 대등하며 세계적으로도 미국 다음의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10년 후 세계적 영향력도 비슷할 것으로 보며 중국이 원하는 영향력 순위로 중국(8.9)이 가장 크고 다음에 EU(7.2), 미국(7.1) 인도(6.5), 일본(5.6)을 꼽고 있어 미국과 일본의 영향력이 줄어들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인도는 자신의 영향력을 아시아와 세계적 영향력에 있어 모두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보고 있다.  아시아나 세계적 영향력에서 인도가 중국보다 영향력이 있다고 보며 일본과 중국이 비슷하지만 일본이 조금 앞서는 것으로 보고 있다. 10년 후의 세계적 영향력에 있어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인도가 선호하는 영향력 순위를 볼 때 인도(7.0) 미국(6.7) 일본(6.2) 중국(6.2) EU(5.7)순이어서 중.러보다 미일의 영향력이 커지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 인도 상호 인식의 차원에서 보면 중국은 인도를(6.3) 여전히 영향력이 가장 작은 국가로 보는 반면 인도는 중국을 일본과 공동 3위(6.2)로 잡고 있다.  중국-인도의 관계는 중국, 인도 모두 동반자 관계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둘째, 친디아 양국의 세계, 특히 미국에 대한 인식을 보면  중국의 대미 호감도(51도)보다 인도의 대미 호감도(56.9도)가 높다. 그러나 호감도와 관계 없이 양국 모두 미국을 중요한 대상으로 보고 있으며 대미관계에 있어 중국은 동반자관계(39%)보다는 경쟁관계(52%) 로 보는 견해가 우세한 반면 인도에서는 미국-인도관계를 동반자관계(43%)와 경쟁관계(42%)로 보는 견해가 비슷하다. 그러나 미국문화 확산에 대해서 인도는 좋다고 보는 견해(39%)보다 좋지 않다고 본 견해(48%)가 많은 반면, 중국은 대체로 미국문화 확산이 좋은 것으로 인식하고(59%)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점이 흥미롭다.    셋째, 유엔 안보리가 핵무기 보유 방지와 핵연료 생산을 방지 하기 위한 목적으로 군사력을 사용하도록 허용할 권리를 가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중국(47%, 47%) 인도(53%, 50%) 모두  가져야 된다는 견해가 가지면 안된다는 견해보다 우세했다. 이란의 핵시설에 대한 군사공격에 대해 UN의 허가 하에 연합국과 같이 하든 미국의 일방적 군사행동이든 반대보다 찬성이 많았고 중국(51%)보다 인도(57%)가 좀 더 지지율이 높았다. 동아시아 주둔 미군의 지역 안정 효과에 대해 중국은 동아시아 주둔 미군이 지역안정을 감소시킨다(56%)가 증대시킨다(18%)로 보는 견해보다 압도적으로 우세한 반면 인도는 안정 감소(33%)와 안정증대(31%)로 보는 견해가 비슷하여 미군 주둔에 대해 중인 양국의 인식 차이를 드러냈다. 주한 미군의 기지의  장기적 존속에 대해  중국과 인도 모두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하다.    넷째,  세계화에 대한 인식도 중국은 세계화를 좋다고 보는 견해가 압도적(87%)인데 반해 인도는 좋다는 견해(54%)가 우세하기는 하나 나쁘다는 견해(30%)가 혼재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FTA에 대해서는 양국 보두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대상국으로 중국은 미국, 한국, 인도 ,일본 순으로 선호한 반면 인도는 미, 일, 중, 한국의 순으로 선호했다.   다섯째,  양국 모두 비전통적인 AIDs 나 테러등을 가장 큰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고 주요 외교목표에서 경제성장과 국내 일자리 보호, 에너지등 경제문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아시아에서 잠재적 갈등요인의 우선순위로 중국은 에너지 자원 확보(84%) 경쟁, 아시아 국가들간의 경제적인 경쟁(78%), 중-대만관계(74%)를  인도는 에너지 경쟁(79%), 경제적 경쟁(78%), 아시아 핵확산(76%) 인도-파키스탄 관계(76%)를 꼽았다. 양국 모두 한반도 상황은 그보다 덜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65%, 62%).   요약하면 중국은 자신의 영향력이 미국과 비슷하거나 그렇게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중국이 인도보다는 미국에 대해  더 강한 경쟁의식을 갖고 있다 할 것이다. 중국과 인도의 대외정책은  양국 모두 미국과 관계 안정화를 통한 경제 성장이라는 점에서 현실주의적 균형 외교라 할 수 있다. [그림1-1] 중국 ․ 인도 국민의 주요국가의 세계 영향력 평가 (0-10점척도: 0점은 영향력 전혀없음, 10점은 매우 영향력 있음)   [그림1-2] 중국 ․ 인도국민이 바라는 세계 영향력 국가     [그림1-3] 중국 ․ 인도국민이 본 10년 후 세계 영향력 국가   [그림2] 중국 ․ 인도 국민의 주요국가의 아시아 영향력 평가 (0-10점척도: 0점은 영향력 전혀없음, 10점은 매우 영향력 있음)   [그림3] 중국 ․ 인도 국민이 본 미국 ․ 중국 ․ 인도의 상호관계   [그림4] 사안별 UN 안보리의 군사력 사용 정당성지지 “찬성” 비율   [그림5] 세계화에 대한 중국 ․ 인도 ․ 한국의 평가   [그림6] 중국인이 느끼는 위협요인 “매우 위협”   [그림7] 인도인이 느끼는 위협요인 “매우 위협”               6.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한ㆍ중ㆍ일 국민들의 인식   이내영 EAI 여론분석센터 소장(고려대, 정치학)   □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free trade area)에 대해 한  중  일 국민들은 긍정적 □ 3개국 국민의 상호신뢰도와 호감도는 낮아   유럽통합의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 지역 국가들이 국경을 허물고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통합에 대한 기능적 필요성과 더불어 지역 국가의 국민들 사이에 상호신뢰가 높아지고 지역적 정체성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동안 동아시아 지역은 국가들 사이의 경제적 상호의존은 매우 높아졌지만, 각국 정부들 사이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입장의 차이와 정치군사적 갈등이 첨예하게 유지되면서 동아시아 공동체를 건설할 수 있는 정치적 환경은 마련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동아시아의 한중일 3국 국민들은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3국 국민들이 서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뢰와 호감도는 동아시아 공동체를 추진할 만한 수준인가?    먼저 중국, 일본, 한국을 포괄하는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free trade area)”에 대해 한중일 국민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80%, 중국인의 69%, 그리고 일본인의 67%가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가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하였다. 그러나  한중일 3국이  한발 더 나아가 유럽연합처럼 국경을 허물고 지역공동체 건설을 추진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국가별로 뚜렷한 의견의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인의 67%가 찬성하고 30%가 반대했지만, 중국인은 45% 찬성, 38% 반대로 의견이 양분되었다. 일본의 경우는 35%만이 찬성하고 64%가 반대를 하였다.  일본인들의 상당수가 지역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유럽의 경험에서처럼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복지의 하향평준화가 나타날 것을 우려하는 것처럼 보인다.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을 비관적으로 보게 하는 요인들은 동아시아 국가들 정부 차원에서 협력보다는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 이외에도, 일반 국민들 차원에서도 상대 국가에 대한 신뢰의 수준이 매우 낮고 서로에 대한 호감도가 높지 않다는 점이다. 우선 국제관계에서 얼마나 책임 있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평가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서로에 대한 신뢰의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38%가 중국이 책임있게 행동할 것이라고 평가했지만 일본인은 16%만이 중국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일본인들이 중국에 대한  깊은 불신을 나타냈다.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중국인의 14%만이 일본이 책임있게 행동할 것이라고 평가하였고, 한국인의 19%가 일본에 대한 신뢰를 표시하였다. 한국인들이 중국보다 일본에 대해 더욱 깊은 불신감을 나타내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한데,  이 결과는 최근 고이즈미 정권하에서 독도문제와 야스크니 참배문제 등으로 한일관계가 냉각되고 있는 현실과 우경화되는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인의 86%가 중국과 일본을 경쟁 관계로 보고 있으며, 14%만이 동반자로 보고 있으며,  중국인들의 65%가 중국과 일본을 경쟁국으로 보고 있고 18%만이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도 중국과 일본 국민들의 서로에 대한 깊은 불신과 우려를 잘 보여주고 있다.     상대국가와 국민들에 대한 호오도에서도 동아시아 3국은 다른 국가들보다 상대국가에 대해 나쁜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에 대한 중국인과 한국인의 평균 호오도는 각각 36˚와 39˚인데, 미국,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호오도가 각각 58˚, 54˚, 64˚인 점과 비교하면 매우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중국에 대한 일본인의 호오도는 30˚로 가장 나쁜 반면 한국인들은 중국에 대해 57˚라는 비교적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에 대해서는 일본인들이 41˚, 중국인들이 73˚의 호감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3국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조사결과들을 요약하면 한  중  일 삼국이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이라는 비전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협력과 대화의 노력 이외에도 국민들 차원에서 상호 신뢰의 수준을 높이고 서로에 대해 좋은 감정을 만드는 쉽지 않은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과거사문제와 영토 문제 등으로 인한 외교적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현재의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현실을 감안하면 동아시아 공동체의 건설은 아직은 요원한 꿈이라는 것이 현실적 진단일 것이다.            7. 세계가 보는 한국 : 중국인의 친한 감정 두드러지고, 미국인은 다소 냉담     이숙종 EAI국제여론연구팀장(성균관대 행정학과)   □ 한국에 대한 호감도: 중국과 호주 국민은 한국에 우호적, 미국 ․ 인도 ․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다소 냉담  □ 한국과의 관계 : 미국인은 “한미관계 좋아지고 있다” 15%, 중국인은 “한중관계 좋아지고 있다” 56% □ 한국의 기술경쟁력 “한국, 중국 ․ 인도에 뒤쳐진다” :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 한국 기술개발력 중국과 인도에 추월당했다고 평가 □ 주변국, 한반도 문제를 아시아 갈등요인으로 보지 않아, 미국민 41%, 중국인 23% 동의 □ 한미 FTA 반대 : 미국이 한국보다 반대여론 커, 중국은 “한중 FTA” 찬성   조사된 나라들 중 중국-호주-인도-미국-인도네시아 순서로 한국에 대해 우호적이었다. 0-100도 사이의 체감도에 있어서 중국의 한국 호감도가 뚜렷하다. 중국인의 한국 체감도는 73도로 미국(51도), 일본(36도), 인도(62도)에 비교하여 한국에 대해 월등하게 우호적이다. 한국 체감도는 중국 다음으로는 호주에서 56도, 인도에서 48도로 높았으나, 이들 나라 국민들이 미국, 중국, 일본 등에 대해 느끼는 호감보다 모두 낮았다. 미국인의 한국 체감도는 44도로 중국(40도) 보다 한국에 다소 우호적이지만 일본(58도) 보다는 한국에 덜 우호적이다.   체감도를 반영하는 듯 한국과의 관계가 나빠지고 있다는 견해는 미국에서, 좋아지고 있다는 견해는 중국에서 상대적으로 컸다. 미국인의 53%가 한국과의 관계가 이전과 비슷하다고 답했지만, 관계가 나빠지고 있다는 답이 25%로 좋아지고 있다는 15%보다 많았다. 반면에 중국인들의 56%는 한국과의 관계가 좋아지고 있다고 답했고, 나빠지고 있다는 답은 5%에 불과했다.   세계는 한국의 상품 및 기술 개발력에 대해 미래에 더 향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새로운 상품과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한국을 리더로 인정하는 0-10점 척도에서 기술력이 뛰어난 미국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3.8점과 3.7점을 준 반면에, 인도인은 5.5점, 중국인은 7.1점이란 후한 점수를 주었다. 10년 후 한국의 신상품 및 기술 개발력에 대해서는 이들 나라 모두 현재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해, 미국인은 4.5점, 인도인은 5.8점, 중국인은 7.4점을 주었다.   한국의 무역관행에 대해서는 나라별로 상당한 차이를 드러냈다. 미국의 여론은 한국의 무역관행을 공정하다와 불공정하다로 양분되어 보고 있다(44%와 43%로 비슷). 미국인은 유럽연합이나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은 대체로 공정한 무역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는 반면에 중국이나 인도에 대해서는 불공정한 무역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 대해서는 중간쯤으로 인식하는 셈이다. 인도인의 40%는 한국이 공정한 무역을 하고 있다고 답해, 한국이 불공정 무역을 하고 있다는 17%보다 많았다. 중국인은 한국의 무역관행을 우호적으로 인식해, 64%가 한국이 공정무역을 하고 있다고 답한 반면에 불공정 무역을 한다는 답은 17%에 불과했다. 중국인은 교역량이 많은 일본과 미국에 대해서는 불공정 무역을 하고 있다고 답하고 있다.   한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것에 대해서 중국이 긍정적이었다. 중국인의 66%가 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찬성하고 있었다. 반면에 미국인 한국과의 FTA에 50%가 반대하고 39%만이 찬성해, 교섭중인 한미FTA에 대해 한국내 반대여론보다 미국 내 반대가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된 나라 국민들의 6할에서 9할 가량은 한반도 상황이 아시아 주요 국가들 간의 갈등의 원천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어느 정도 그렇다’를 제외한 그런 가능성이 ‘매우 그렇다’와 ‘그렇지 않다’라는 보다 명확한 답의 비율을 보면, 나라별 차이가 크게 드러난다. 한반도 상황이 갈등을 분명히 일으킬 것이라고 보는 견해는 미국(41%)에서 강력하여, ‘그렇지 않다’는 견해(5%) 보다 월등히 높다. 반면에 중국인은 23%만이 ‘매우 그렇다’고 생각하고, 19%나 ‘그렇지 않다’고 부정한다. 이는 한국인의 30%가 ‘매우 그렇다,’ 12%가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보다도 더 한반도 상황을 낙관한 것이다.    아시아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국의 역할을 평가함에 있어서도 미국보다 중국이나 인도가 보다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미국에서는 51% 대 40%, 중국에서는 59% 대 20%, 인도에서는 50% 대 13%로, 중국의 순긍정(긍정-부정 차이) 비율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미일과 다른 목소리를 낼 한국에 대한 기대가 묻어나는 대목이다.   [그림1] 한국과 관계에 대한 각 국 국민들의 평가   [그림2] 한국의 상품 및 기술경쟁력에 대한 평가(현재와 10년 후) (0점은 전혀 선도적이지않다 ~10점 매우 선도적이다에 대하 응답의 평균점수)   [그림3] 한국과의 FTA 체결 필요성에 대한 주변국의 인식             8. ‘세계의 문제아’ 북한과 한국의 동반피해(Collateral Damage)   김태현 EAI 외교안보센터 소장(중앙대 교수)   □ 미국, 호주 국민: 이란과 북한 호감도 서로 영향 미쳐 □ 호주와 인도네시아 국민들 : 북한과 한국 구분 못해, 한국의 동반피해 심각  □ 미국과 중국 국민 : 북한과 한국 구분하고 있어 동반피해 크지 않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차기 유엔사무총장으로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이는 월드컵 4강에 못지않은 쾌거로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큰 흐름과 88올림픽, 2002월드컵, 아시아를 휩쓴 한류 등의 가시적 성취를 통해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강화된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   과연 세계인들의 마음속에 한국은 어떻게 평가받고 있을까? 이번 국제인식조사에서는 세계 주요 나라에 대한 호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100점을 만점으로 한 호감도 조사에서 한국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균점수는 미국과 인도네시아에서 40점대, 호주에서 50점대, 중국에서는 70점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아 중국을 제외한 경우 평균점수 이하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15개국 중 8위, 인도네시아에서는 공동 8위, 호주에서는 9위에 불과했고 중국의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이 실망스러운 결과다.   북한의 경우는 어떤가? 부시 대통령이 한때 이란, 이라크와 더불어 ‘악의 축’의 하나로 거론한 북한에 대해 미국 응답자들은 과연 북한을 이란, 이라크와 더불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란(21.1)에 이어 꼴찌에서 두 번째로 나타난 것이다. 두 국가에 대한 호감도 평가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계수를 통해 살펴보자.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1에 가까울수록 한 나라의 호감도가 다른 한 나라의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0에 가까울수록 두 나라에 대한 호감도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국민들의 경우 이란에 대한 인식과 북한에 대한 인식은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0.65). 즉 이란에 대해 낮은 호감도를 보인 사람들은 북한에 대해서도 낮은 호감도를 보이는 것이다. 호주에서 북한은 이란보다 낮은 꼴찌를 기록했다. 호주의 응답자들은 북한을 이란(r=0.70), 이라크(r=0.62), 인도네시아(r=0.62)와 같은 맥락에서 인식하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슬람국가답게 이스라엘에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인 인도네시아에서 북한은 꼴찌를 면했다.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이스라엘 외에도 동티모르, 파푸아 뉴기니, 호주 등 주변의 국가들에 소국에 대해서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같은 이슬람국가라고 해도 이란과 이라크는 좋게 보지 않고 있고 같은 이웃국가라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게는 호감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 북한은 공히 호주, 이란, 이라크와 같은 급에서 평가받고 있다.   북한이 세계적 문제국가의 하나라고 평가받고 있다면, 한국은 그로 인한 동반피해(collateral damage)를 입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의 응답자들은 북한과 남한을 거의 구별하지 못하는 것 같다 (r=0.82). 호주에서도 동반피해는 두드러진다 (r=0.58). 인도네시아에서 북한은 한국과의 동시효과 덕분에 꼴찌를 면한 것은 아닐까?   미국에서 그와 같은 동반피해가 크지 않은 것은 (r=0.23) 다행이다. 미국인들은 제법 남북한을 구별하여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우는 독특하다. 한국을 가장 호감 가는 나라로 꼽고 있으면서 북한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어느 정도의 동반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r=0.44), 북한이 한국의 덕을 본 것인지 그 반대인지는 확실치 않다.   사실 북한은 형제국인 남한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지 못하다. 일본, 이라크, 이란에 이어 꼴찌로부터 4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우리에게 워낙 두드러진 존재이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호감도와 두드러지게 함께 움직이는 나라는 없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 대한 호감도와 상관관계를 따져봤을 때 이란(r=0.29), 이라크(r=0.29)의 경우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즉 우리나라 사람들도 북한을 인식할 때 강하지는 않을지라도 이란, 이라크와 같은 “문제국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통일의 길은 이렇게 멀다. 그리고 북핵문제가 지속될수록, 북한이 돌발행동을 할수록 더욱 멀어질 따름이다.              <표1> 각국 조사에서 주요 국가에 대한 호감도 평균       한국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한국 - 45.7 73.0 48.8 56.1 북한 48.6 22.9 72.6 47.6 42.8 독일 61.0 57.5 67.9 - - 멕시코 54.3 47.5 62.4 - - 이스라엘 51.1 55.0 54.7 34.3 55.0 영국 63.2 72.9 64.7 52.1 74.1 중국 56.9 40.6   57.0 61.0 사우디 아라비아 54.1 34.4 59.8 - - 프랑스 60.3 46.0 68.1 - - 인도 56.3 46.0 61.6 55.2 62.1 일본 38.9 58.6 36.0 63.2 64.1 미국 58.0   50.5 50.9 62.3 호주 65.1 70.0 65.1 48.1   이란 47.0 21.1 58.2 48.8 43.4 인도네시아 52.2 41.8 57.4   49.6 이라크 42.5 27.3 55.9 47.3 43.9 러시아 50.2 - -     동티모르 - - - 38.8 57.4 파푸아뉴기니 - - - 42.9 63.4 싱가포르 - - - 58.7 64.6 말레이시아 - - - 65.3 58.1 평균 53.7 45.8 60.5 50.6 57.2 이란* 0.289 0.653 0.394 0.366 0.697 이라크* 0.285 0.431 0.380 0.358 0.622 한국* - 0.236 0.441 0.815 0.580       * 북한에 대한 호감도와 해당국가에 대한 호감도 사이의 상관계수           9. UN을 바라보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시각   이내영(고려대 교수) ․ 정한울 (EAI)   □ 유엔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 매우 우호적, 제반 개혁방안에 지지 높아 □ 한국의 이익과 상충 시 유엔의 틀 내에서 의사 결정해야 한다 44%, 미국 60%, 중국 78% □ 새로운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후보국 : 독일(54%), 인도(46%), 브라질(41%), 남아공(38%), 일본(18%)의 순서로 지지   반기문 장관의 유엔 사무차장 당선이 유력시 되는 가운데 한국인들의 유엔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계기로 한국인과 세계여론이 UN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주요 현안에 대한 쟁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 호감도 여러 국제기구에 대한 호감도를 100점 만점으로 묻는 문항에서 유엔(70도)은 12개의 조사 대상 중 세계 보건기구(74도)와 함께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국제기구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 국민들과 비교해보더라도 중국(75도)에 이어 유엔에 높은 친근감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 63도, 미국 55도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과거의 피해의식과 보호주의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이 급속도로 강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 유엔개혁방안에 대한 지지 한국인의 국제사회에 대한 참여 의식과 국제기구에 대한 높은 기대는 유엔을 강화하기 위해 제기되는 여러 가지 개혁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유엔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인권침해 조사 권한(77%)’, ‘국제무기거래 규제권한(75%)’, ‘유엔 평화유지군 보유(68%)’, ‘국제경찰제도 도입(77%)’, ‘국제거래 세금 부과(53%)’ 방안들에 대해 한국인의 지지는 매우 높은 편이다.    □ 유엔 결정에 대한 존중 문제는 한국 국민들의 경우 유엔의 여러 개혁방안에 대해서는 찬성여론이 높지만, 정작 한국의 입장과 유엔의 입장이 상충할 경우 유엔의 틀에 연연해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유엔의 입장과 배치되더라도 UN과 공동결정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중국은 무려 78%, 미국은 60%에 달했지만 한국인들 과반수에 못 미치는 48%에 불과했다. 이러한 이중잣대를 고수할 경우 한국이 유엔이라는 국제무대에 주역으로서 인정받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 유엔의 군사력 사용 정당성 한편 북핵문제, 이란 핵문제 등에 대한 유엔의 대응노력이 가시화되면서 유엔의 활동범위와 책임소재에 대한 논의 역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유엔 안보리의 군사력 사용의 정당성 문제와 새로 안보리 상임 이사국이 되려는 후보 국가들에 대해서는 조사 국가별로 다양한 의견이 엇갈렸다. 한국국민들은 유엔안보리의 군사력 승인이 정당한 경우로는 인권침해(74%), 테러집단에 대한 지원 저지(61%) 등을 꼽고 있는 반면, 핵무기보유 제한(44%), 핵연료 생산 금지(42%), 전복된 민주정부의 회복(32%) 등의 경우는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자신의 주요 국가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핵비확산(62%)이나 인권침해 근절(83%), 테러지원 저지(76%), 전복된 민주정부 수립(83%) 등 자국의 이익과 부합되는 사안에 대한 군사력 사용을 정당화하려고 한다.   □ 유엔 상임이사국 확대 또한 유엔은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시험대에 올라있는 상황이다. 안으로는 당장 수면위로 올라있는 유엔 상임이사국 확대를 포함한 유엔개혁안에 대한 국제사회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밖으로는 북핵문제와 이란 핵문제등 다양한 현재 국제 안보현안에 대한 유엔의 조정능력을 확대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유엔 상임이사국 확대 문제만 보더라도 이해관계의 조정이 싶지 않아 보인다. 이번 상임이사국 진출 경쟁에 적극 뛰어든 일본만 하더라도 미국 국민들이 강력한 지지(66%)를 받으면서도 정작 인접한 중국(10%)과 한국 국민(18%)들로부터는 냉대를 받고 있다. 독일의 경우 미국 국민의 지지는 상대적으로 낮지만(62%) 다른 나라들의 고른 지지가 강점이다. 한국국민의 54%가 독일의 상임위 진출을 지지하고 중국과 인도 국민의 각각 41%, 40%가 독일을 지지를 하고 있다. 인도, 브라질, 남아공은 국제사회의 지지도는 낮지만 후발국가의 대표자라는 점을 명분으로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을 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림1] 국제기구에 대한 한국인의 호감도 (0-100점)   [그림2] 유엔 안보리 군사력 행사의 정당성   [그림3] 한국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후보에 대한 지지      

이태환외 2007-02-06조회 : 13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