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지속적으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9%를 상회하는 고도의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중국의 고속 성장은 국내 및 지역적 차원을 넘어 지구적 변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이는 안보와 경제 등 전통적 이슈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환경 등 신흥 이슈에도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변화가 인류의 공생과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바람직한 아태 질서 설계도를 마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EAI는 2018년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이라는 중장기 연구사업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중 간의 무역 분쟁은 무역과 기술 영역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금융과 에너지, 군사·안보 부분에는 아직 대립이 본격화되고 있지 않다. 동아시아 연구원은 아-태 지역에서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이 미·중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오히려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미완의 영역이자 가능성을 지닌 영역으로 바라보고, 중견국인 한국이 주축이 되어 미·중 간 협력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아-태 에너지·자원 협력 구상>은 한샘DBEW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중국의 미래 성장과 아태 신문명 건축> 프로젝트(2018-2021)의 제2차년도 사업이다.

워킹페이퍼
[워킹페이퍼] China Transnationalized?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   Author Allen Carlson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Cornell University’s Government Department. His work mainly focuses on issues related to Chi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and Asian security. In 2005 his Unifying China, Integrating with the World: Securing Chinese Sovereignty in the Reform Era was published by Stanford University Press. He has also written in the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Pacific Affairs, Asia Policy, Nations and Nationalism and The China Quarterly (forthcoming). His most recent books are the co-edited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 New Sources, Methods and Field Strateg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and New Frontiers in China’s Foreign Relations (Lexington, 2011). In 2014 Carlson was the Class of 1955 Visiting Professor of International Studies at Williams College, and he was named a recipient of an East Asia Institute Fellowship. Professor Carlson is currently developing a research project that examines the emerging role of transnational public intellectuals in shaping debates within China about the country’s ris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international sys-tem.         Introduction   This paper, which is part of a larger research project, takes up the issue of contemporary China’s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world, and between its government and people. In so doing it challenges much of the conventional wisdom about China, both in terms of how to study the country, how it got to this juncture, and where it is headed. It contends that China’s recent emergence on the world stage is much more complex, and mercurial, than observers have so far recognized. It is also one that China’s leaders have found to be increasingly vexing as they have raced to make sense of their new found international position and to maintain control over developments both at home and abroad that are part and parcel of the country’s emergence as a major power.   The paper’s central argument is that China should be viewed as a transnational polity. This state not only involves a deep level of integration between its economy and the international one (a topic that has already been discussed at length by political economists), but also how those within China think of themselves and their country’s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world. This is not to say that China have become particularly cosmopolitan, but rather that it is deeply entwined with the international sys-tem in ways that extend well beyond how we normally think of the country. Such a development has stimulated deep and far reaching debates within the China over fundamental issues of collective identity and China’s place with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while posing a series of troublesome difficulties for a Chinese leadership looking to coral such discussions in a direction that will enhance rather than erode its authority and control over one of the world’s largest, and most powerful, states.    To be clear from the start this is not to contend that such a change is pervasive, or irreversible, but rather that it is meaningful, and constitute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cent (even though it is embedded in a longer history of openness) developments within China,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It is also a shift that has largely gone under-reported by those who study the country. The project from which this paper is drawn looks to rectify such a shortcoming via a focus upon the prominent role within the country of elites who have deep intellectual bonds outside of China, but whom have attain a level of prominence within the country. More specifically, I contend that this group has attained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and influence within China, especially following the removal of many of the physical barriers to movement into and out of the country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nd with the more recent rise of Internet-based social media that has eclipsed more traditional, territorially grounded,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ctors stand in a nebulous, but crucial, space between China and the world, but also between the country’s top leaders and its vast population.   Over the last 25 years these transnational public intellectuals have moved relatively unfettered across China’s territorial boundaries, gained access to the highest levels of power within the country, and influenced the tone and tenor of popular debates and discussions, while also serving as its main interlocutors on the international stage. It is my impression that many within China are aware of this trend, however, I also feel as was the case with Montesquieu, and the light he shed on American politics over two hundred years ago, outside insight into this Chinese dynamic is needed if we are to fully describe and explain its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This paper then places transnational public intellectuals at the center of studying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The larger project from which it draws upon then considers two primary cases (international relations scholars and contemporary artists) and four secondary ones (economists, legal scholars, leaders of religious movements, and the musicians in the underground music scene). The main empirical chapters of the manuscript that will follow examine how those within these groups have spoken to each other, influenced the state, and shaped public discussions both within their specific areas of expertise, but also more broadly, through contributing to and shaping public debates about what it is to be Chinese, and where the country now fits into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Such broader questions have been grounded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xtent to which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ose within these groups have tended toward either insular or cosmopolitan interpretations of China and its place in the world.   Such a survey, though, extend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Instead, on the following pages I set out the foundations for the project by considering how the transnational has played a role within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 outlining the extent to which such influences have been under-reported in the existing secondary literature on the country and its foreign relations, and mapping ou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overcoming such limitations.     Part 1: Questioning the Naturalness of Insularity and Autarky within Modern China   China’s present is very often studied with reference to the country’s propensity and attachment to isolation and insularity, to wall building, to xenophobia. The prevalence of such an interpretation of what was normal for China is evident in both casual studies of the country and in more sophisticated academic treatises. It is a perspective that makes it difficult to see the extent to which the transnational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shaping China’s modern development and current trajectory. Thus, for any study seeking to put the transnational at its center it is a necessary first step to challenge the natural, taken for granted nature, of such a narrative.   In brief, the stepping off point for viewing modern China as insular can be found in virtually every conventional study of the turn of the previous century when the Qing dynastic sys-tem teetered, and then finally fell in 1911, to be replaced, eventually, by a modern nation-state structure. Not surprisingly this period of rapid transition has long attracted historians and political scientists seeking to describe and explain its tumultuous politics. One might expect that work of this period would give broad consideration to the possibility that the new China that emerged from the wreckage of the Qing was more open to the external world than had previous been the case. Indeed, at first glance, this emphasis is visible in the way the period is normally presented.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it becomes apparent that most surveys of the time fall back upon known truths about Chinese preferences for insularity.   This being the said, it is also the case that the conventional story in this literature is told with reference to surging levels of economic and political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which reveals that China at the end of the 1800s was an entity that was no longer closed off to the outside world. However, fascinatingly, most such narratives also tend to place a heavy emphasis upon the extent to which those within China attempted to channel such a development in the direction of preserving Chinese distinctiveness, and limiting the degree to which change breeched both the territorial and intellectual boundaries of the new country.   The anchor for such a constrained view of the period is located in the famous zhongti, waiyong (中学为体 西学为用) concept that appears to encapsulate how those in China at the time viewed the rest of the world. Chinese scholars first formulated this idea during the end stages of the Qing as an intellectual framework for making sense of the changing world they were confronting. As such zhongti waiyong was central to subsequent May 4th era intellectual debates.   The term is usually translated as “preserving a (Chinese) essence, making use of the foreign” and is generally seen as referring to the preference within the country to somehow save its culture and tradition even as it had to utilize external, western approaches to economics, politics, and culture, in order to survive in a world dominated by others. Most scholars peg this approach to the outside world to the work of Zhang Zhidong (1837-1909), especially as his influential essay, “Exhortation to Learning,” which contained a vigorous defense of the old, insular Chinese order, coupled with a limited acknowledgement of the need to change and modernize China through a limited importation of western learning. As Zhang was the first to articulate this position he is deserving of a prominent spot in reflections on this period. However, the enshrinement of his rather static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is more an artifact of our own preference for continuing to imagine the country’s past as insular than it is reflective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debates of his time...(Continued)         * PLEASE NOTE: This paper is a draft of the introductory chapters of a manuscript that is in progress. Please do not cite or circulate without the author’s written permission.

Allen Carlson 2015-05-14조회 : 10827
워킹페이퍼
[워킹페이퍼] Convenient Compliance: China’s Industrial Policy Staying One Step Ahead of WTO Enforcement

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   Author  Seung-Youn Oh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t Bryn Mawr College starting Fall 2013. She specializ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mparative politics in East Asia. Her broader academic interests include China’s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upgrading,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and corporate governance, the effects of national origi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the evolving role of Chinese governments at the national and sub-national levels in shaping the country’s developmental path.   Seung-Youn is currently working on her book manuscript based on her dissertation, The Limits of Liberalization: Sub-National Government Autonomy and the Auto Industry in Post-WTO Era China. In the dissertation, she seeks to understand effects of international linkages o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with a specific focus on China’s burgeoning automotive industry.   Her recent articles have appeared in China Quarterly and Asian Survey. Prior to coming to Bryn Mawr, she served as a post-doctoral fellow at the Center for the Study of Contemporary China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or the year 2012-2013. She has also served as a visiting lecturer at the Shanghai branch of the French school of management, École Supérieure des Sciences Commerciales from 2009 to 2012.   In addition, Seung-Youn served as the Northeast Asia Project Director at the Berkeley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Study Center, where she assisted in organizing the conference for the volume, Asia’s New Institutional Architecture: Evolving Structures for Managing Trade, Financial and Security Relations (Vinod K. Aggarwal and Min Gyo Koo, eds., Springer Verlag, 2008). She has been a research fellow of the Korean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 (KFAS) and a visiting scholar at the Institute of World Economics and Politics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 (CASS) in Beijing, China. Seung-Youn holds an M.A. and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and a B.A. in Political Science as valedictorian from Yonsei University in Korea. She spent a year as an undergraduate exchange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Abstract Through case studies of China’s WTO trade disputes in the automobile and wind turbine sectors, I argue that China’s compliance with WTO rulings reflects Beijing’s skillful navigation through the WTO’s dispute-resolution process rather than socialization to international norms. China liberally implements industrial policies and removes them after they come into dispute at the WTO — strategies that I characterize as “convenient compliance.” By the time China removes the challenged measures, it often no longer needs them, since it has already achieved its goals and can still build up a reputation as a responsible WTO member by complying with the organization’s rulings. The dynamics of the global supply chain certainly complicate foreign business groups’ interests and countries’ domestic political calculations regarding trade disputes with China.         China’s entry in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2001 was hailed as a significant step forward in opening up China’s markets and curbing governmental practices that placed foreign firms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 While moving from being a cautious observer to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WTO, China has demonstrated an outstanding record of compliance with the organization’s dispute settlement rulings; in most cases, Beijing has either reached agreement with the complainant over the disputed practices or removed measures the WTO finds inconsistent with China’s WTO obligations. As such, China’s record at the WTO appears to confir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legal studies scholarship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ffectiveness in socializing and pressuring China for further economic liberalization.   However, China’s achievement in this regard is overshadowed by foreign governments’ and businesses’ increasing criticisms regarding their diminishing access to the Chinese market and Beijing’s continuing use of WTO-inconsistent industrial policy measures. In recent years, trade disputes involving China at the WTO have increased, focusing on the issues of subsidies, anti-dumping, favorable treatment of domestic compani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businesses or imports. This begs the question of how to reconcile two different pictures: China’s continuing reliance on industrial policy measures that contradict WTO rules and its record of successful compliance within the WTO’s dispute-settlement process. Conventional wisdom views China’s compliance with the WTO rulings as a measure of China’s socialization to international norms and the effectiveness of WTO’s dispute-settlement process in addressing trade concerns with China, as compared to the era of bilateral negotiations. But if China’s compliance with the WTO settlement process is a result of China’s socialization into international standards, why do we not see a simultaneous decrease in China’s adoption of WTO-inconsistent measures? What does China’s continuing reliance on industrial policy measures and ability to flout WTO rules reveal about the trade organization’s limi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TO and China, who is socializing whom and who is limiting whom?   In examining the pattern of China’s compliance with WTO dispute settlements, this article argues that China keep its industrial policies one step ahead of the WTO umpire by conveniently complying later with WTO dispute rulings. Under the WTO sys-tem, China does not hesitate to implement WTO-inconsistent regulations as a way to protect infant industries, develop strategic industries, and nurture national champions. Because the legal process at the WTO’s Dispute Settlement Body (DSB) takes months or even years, China continues to benefit from disputed policies while they are being reviewed and then can repeal them once the challenge succeeds. Also, DSB rulings mostly accomplish the removal of the offending measures rather than punishing the country that violated the provisions. Thus, it is in China’s best interest to adopt industrial policy measures first and remove them afterwards when they are in dispute. In doing so, China not only achieves its developmental purposes of putting those measures in place but also builds a reputation as a responsible WTO member by complying with the DSB rulings — a practice that I characterize as convenient compliance. Thus, China’s compliance reflects Beijing’s realpolitik calculation of achieving its economic development goals by navigating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WTO’s dispute-settlement process, rather than reflecting China’s socialization to international norms.   I also contend that multinational companies (MNCs) are not necessarily the main drivers of economic liberalization in China, as is often assumed in the literature. MNCs implicitly or explicitly support protectionist measures in China either because they fear retribution from Chinese government officials or because they benefit from gaining even small pieces of the ever-enlarging pie of Chinese trade. Global supply chain dynamics certainly complicate the issue of initiating trade disputes with China. First, interests between those economic actors who benefit from inexpensive Chinese imports and those who are hurt by them diverge. Second, interests also diverge between businesses without clear investment or contract ties with China and those with existing operations in China who are dealing with the country’s regulatory sys-tem on a daily basis. Firms’ form of market entry and their mode of operation in China often shape their attitudes toward initiating trade disputes with Beijing.   In an effort to substantiate China’s pattern of “convenient compliance,” I examine two recently completed trade disputes. First, I look at the dispute over China’s Measures Affecting Imports of Automobile Parts (DS 340), which the United States brought to the WTO in 2006 because of its adverse impact on American automobile parts exports to China. This is the first WTO case where China allowed the dispute to go through the full panel process. The second case I examine is China’s Special Fund for Wind Power Equipment Manufacturing (DS 419), where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contested China’s subsidies for domestic wind turbine manufacturers that use domestic rather than imported goods.   I chose these cases as representative and indicative examples of China’s record of convenient compliance at the WTO. First, both have been viewed as positive examples of China’s removing contested measures upon the WTO’s final decision. Second, both the auto and the wind turbine industry have received strategic support from Chinese governments at various levels. Lastly, both cases show how China can continue to pursue its developmental goals by adopting other measures to replace the measures that were contested at the WTO. The auto case has continued to have an impact with the recent dispute the United States brought to the WTO in September 2012 regarding China’s subsidies for local automakers, and the wind case has had an impact on other green energy industries, such as solar panels.   This article begins by introducing my empirical puzzle and delineating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WTO’s and MNCs’ impact on socializing and liberalizing China. I then explain my theoretical framework of convenient compliance and provide two trade dispute cases in the automotive and the wind turbine sectors. In so doing, I demonstrate how developing countries flout WTO rules, which in turn raises important sys-temic issues not only for the WTO, but also for free market principles in coping with the challenges raised by a large transitional economy like China.   Empirical Puzzle: What’s behind China’s Compliance to the WTO’s Dispute Settlement?   From its WTO accession till August 2014, China has participated in 155 disputes — 12 cases as a complainant, 31 cases as a respondent, and 112 cases as a third party. China is expected to be part of more trade disputes, given that it became the world’s largest exporter starting in 2009 and that the scope for trade friction increases as countries trade more. In fact, China was a party to only two of the 93 trade disputes at the WTO between its accession in 2001 and the end of 2005, but in 2009, China was a party to half of the fourteen new WTO disputes initiated in that year. And in 2010, China was involved in 26 of the 84 cases filed at the WTO. The United States accounts for the lion’s share of cases against China — as it has initiated 50 percent of the WTO disputes targeting China and participated in 70 percent of all WTO cases against China (which include disputes initiated by the EU). WTO members have mostly challenged Chinese industrial policy measures that favor state-owned enterprises (SOEs) and other domestic companies, discriminate against imports, and restrict foreign companies’ access to Chinese markets. The issues involved in these disputes includ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rading rights, and distribution services for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s, auto parts, and more recently renewable energy components. Over the years, China has shown “aggressive legalism” by being active in initiating disputes at the WTO, as it realizes its ability to use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 to defend its rights and interests. The eleven cases China has initiated at the WTO have so far targeted only two members — the U.S. (eight cases) and the EU (three cases). Nine of these cases have concerned trade remedies targeting anti-dumping, countervailing measures, and safeguard measures (Figure 1).   China’s compliance record in WTO dispute settlements has been quite outstanding. In the 11 completed cases where China was the respondent, Beijing has either reached agreement with the complainant over the disputed practices or has removed the measures that the DSB h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China’s WTO obligations. Of the eight completed cases where China was the complainant, Beijing has won four cases, received mixed rulings in another, and lost the remaining three cases. This record suggests that the WTO has been more effective in addressing countries’ trade concerns with China when compared with the era of bilateral trade negotiations. What does China’s increasing compliance with WTO procedures say about international institutions’ impact on transitional economies like China? And what about China’s continued reliance on industrial policies and discriminatory measures that contradict WTO principles and tilt the playing field against foreign business and imports?   The “liberalization group” of analy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legal studies expected China to accelerate its economic liberalization by preparing a level playing field for foreign companies and imports and increasingly comply with WTO rulings. First, according to these neo-liberal scholars, the WTO facilitates trade liberalization among nations by providing, monitoring, and enforcing rules on a multilateral basis. Its DSB enforces trade rules by evaluating a country’s potential WTO rule violations upon the request of other countries’ trade representatives. By entering the WTO, China abolished more than 800 of its trade-related rules during the first few months of 2002 and it had adopted, revised, or abolished an additional 2,300 pieces of legislation by the end of 2005.   Constructivist scholars, meanwhile, highlight international institutions’ ability to teach and socialize member countries to adopt international norms. According to this argument, China’s participation in the WTO leads China to incorporate WTO principles and terms into the Chinese government’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and to mobilize domestic agents who share the idea of economic liberalization and compliance with WTO rules. These processes of learning and norm diffusion take pla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tworks between domestic and transnational actors, or an “acculturation” process whereby a state “adopts the beliefs and behavioral patterns of the surrounding culture” through micro-processes of mimicry, identification, and status maximization. Scholars in international legal studies also believe that once countries join international legal agreements, they change behaviors and abide by those agreements out of the reputational concern of being considered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these socialization and learning arguments would be more persuasive if we had witnessed China’s compliance with WTO rulings improve over time.   Figure 1. WTO Dispute Cases involving China (2001-August 2014)   Source: WTO, Dispute settlement: the map of disputes between WTO members, available at: http://www.wto.org/english/tratop_e/dispu_e/dispu_maps_e.htm?country_selected=CHN&sense=e   Another group of scholars speak about how WTO rules are more constraining for developing countries than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Robert Wade (2003) and Linda Weiss (2005), WTO rules diminish developing countries’ room to maneuver by prohibiting industrial policy measures that developing countries may want to use in labor- and capital-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y. Most importantly, the WTO’s Agreement on Trade-Related Investment Measures (TRIMs) prohibits popular non-tariff barriers such as imposing requirements on foreign companies regarding local content, trade balancing, export performance, technology transfer, and domestic sales. On the other hand, other WTO rules permit — or at least do not explicitly prohibit — advanced countries to pursue more restrictive industrial policy in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For example, governments in developed countries can offer substantial support for venture capital financing of high-tech start-ups or provide strategic financing for pre-commercial technologies and product development. Thus, Wade and Weiss argue that developed countries craft WTO rules to best suit their current developmental trajectory, thereby putting developing countries at a sys-temic disadvantage...(Continued)

Seung-Youn Oh 2015-05-12조회 : 10643
워킹페이퍼
Globalization, Development Strategies and Social Welfare for the Rural Sector in China since the 2000s

Author  Eun Kyong Choi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Commerce and Diplomacy in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he received a Ph.D. from Princeton University’s Politics Department.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tax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in China. She published several articles, including “Patronage and Performance: Factors in the Political Mobility of Provincial Leasers in Post-Deng China” (2012), “The Politics of Fee Extraction from Private Enterprises, 1996-2003” (2009), and “Informal Tax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China since the 1994 Tax Reforms” (2009). She currently has a forthcoming article entitled “Politics of Central Tax Collection in China since 1994: Local Collusion and Political Control.”         Abstract   Through a case study of Chi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social welfare to the rural sector. This study provides support to the claim that globalization leads to social welfare expansion. In China, this was not conducted through a compensation mechanism in which volatility in globalization increases the societal demand for government welfare expenditure. This study finds that in countries with potentially huge domestic markets, an alternative mechanism is through the state’s change of its development strategy to a domestic consumption-driven one. I found that the volatility of exports during the global economic crises led Beijing to change its development strategies from an export-oriented to a domestic consumption-driven one. With this shift, central leaders gained incentives to extend social welfare provisions to the rural sector in order to increase consumption.   Introduction   Rural populations in China were virtually excluded from social welfare provisions in the 1980s and the 1990s despite phenomenal economic growth. Since the 2000s,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has developed social health insurance and pension programs for rural populations. Although these programs are much inferior to those for urban populations, it is still a significant change for the welfare of huge rural populations in China.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the central government has provided a subsidy for rural health insurance and pensions. In 2011, 832 million people joined rural health insurance programs, recording a 97.5 percent enrollment rate, and 326 million people enrolled in rural pension programs.   Building upon the globalization literature, this study finds that the volatility in the export markets during global economic crises had impacts on extending social welfare to rural populations in China. Facing the instability of export markets, the Chinese government changed its development strategies from an export-oriented to a domestic consumption-driven one. This impelled the center to take initiatives in building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rural populations in order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globalization literature by specifying an alternative mechanism in which globalization leads to welfare expansion. Existing studies explain this notion by referring to a compensation mechanism: as globalization increases volatility, it creates societal demands for social welfare protection. While the compensation mechanism may work in democratic countries, it may not do so well in non-democratic regimes where politicians tend to be insulated from societal demands. This study finds that in countries with potentially huge domestic markets, an alternative mechanism is through the state’s change of development strategies to a domestic consumption-driven one.   This paper is comprised of six sections.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e second section elaborate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third section examines how global economic crises engendered changes i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China from an export-oriented to a domestic consumption-driven one. The fourth section investigates how this shift of development strategy led to a social welfare extension to the rural sector as a way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The fifth sector examines the patterns of development for social health insurance and pensions for rural populations. Finally, the sixth section draws a conclusion...(Continued)

Eun Kyong Choi 2015-04-13조회 : 10762
워킹페이퍼
Historicizing China’s Ris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EAI Fellow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No.47   Author Ji-Young Lee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School of International Service, American University. Dr. Lee’s research focuses on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security, and diplomatic history. Her first book examines Chinese hegemony in early modern East Asia and is currently under review. Her second project investigates how China’s rise impacts the American-led international order, specifically through the lens of the U.S.-ROK alliance and China. At SIS, she teaches courses on Asian international politics, Korean politics and foreign policy, and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security. Prior to AU, she was an Andrew W. Mellon Postdoctoral Fellow in Politics and East Asian Studies at Oberlin College, where she also taught as a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She was a POSCO visiting fellow at the East-West Center and a non-resident James Kelly Korean Studies Fellow with the Pacific Forum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urrently, she is a Korea Foundation-Mansfield Foundation scholar of the U.S.-Korea Scholar-Policymaker Nexus program.         With the growth of China’s relative power vis-à-vis the United States, many wonder whether China will replace the United States as the leading power in Asia. As one way to think about this debate, we can historicize the rise of China in the broader view of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Prior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rise of a new Chinese state was alw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international change in the East Asian states sys-tem. It is arguable that China’s East Asian neighbors Japan and Korea had dealt with the “rising China question” several times prior to the twenty-first century. Is it possible then that we can identify recurring historical patterns in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that may help elucidate today’s questions? China was the sole great power for centuries in East Asia. How does this affect the process of China’s rise now in the American-led hegemonic order? What policy-relevant lessons can we draw from the overall pattern of the way the Chinese hegemonic order worked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that many scholars consider a period of “Asia’s long peace”?   In this paper, I approach the question of China’s rise today historically, and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order, especially in the area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East Asia. The goal is neither to suggest that history will repeat itself, nor to predict that a particular future scenario will hold. Rather, the paper surveys how the past history of the Sino-centric tribute sys-tem is contributing to the shaping of the rise of China today. It then challenges two popular notions that inform the current debate about a rising China. One is the idea that China’s growing power will reestablish regional hegemony on the model of a Sino-centric tribute sys-tem, and the other is that Japan and South Korea should make natural security partners against a rising China.   More specifically, I make the following two claims. First, the tribute sys-tem is not a notion that is comparable with the concept of sovereignty upon which the existing international sys-tem is built. As such, any invocation of this notion tends to be associated with China’s revisionist intentions against the sovereignty norms in today’s international politics. Beijing’s own invocation of its imperial past in the context of its territorial claims over the South China Sea and the Senkaku/Diaoyu islands have, for example, contributed to the speculation that China is seeking to change the status quo and challenging the liberal principles that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rests on. Second, historicizing China’s rise highlights the logic of geopolitics found in Asian history as a mechanism for continuity. By the logic of geopolitics, I mean the politics arising from the geostrategic lo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bridge” between China and Japan. I argue that an in-depth study on the recurring dynamics in Japan and Korea’s responses to imperial China suggests that China’s growing power and influence may affect America’s alliance sys-tem, not by openly challenging the U.S. and its allies, but by creating a structural condition for further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in Japanese and Korean responses to a rising China. Further, the overall pattern of international conflicts in China-Japan-Korea relations indicates that the Sino-Japanese strategic rivalry and the contingency situation over North Korea will be troubling hotspots for Asian security, possibly entrapping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an unwanted military confrontation.   A mention of the scope conditions of this study is in order. I primarily look at the early modern period in Asian history and the major international events associated with the Chinese hegemonic order between the fourteenth and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ies (the Ming and High Qing periods in China; the Koryo and Choson periods in Korea; the Muromachi, Senkoku, Tokugawa periods in Japan). Rather than presenting details of the historical study, the paper will focus on drawing its key insights. The remainder of the paper proceeds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I will discuss how the images of the past Sino-centric tribute sys-tem are affecting China’s rise today, while using three recent events as a window into what I call the “politics of the tribute sys-tem” in contemporary Asian politics. In the second section, I present my argument about what the tribute sys-tem was, challenging some of the existing images that have shaped the debate on a rising China. The third section discusses the lessons drawn from research on China-Japan-Korea relational patterns in early modern East Asia for a policy-relevant analysis that speaks to the contemporary debate on the future of U.S. alliance sys-tem and a rising China in East Asia.   The Politics of the Sino-centric Tribute Sys-tem and a Rising China Today   In recent years, in both popular dialogue and academic discourse, a Sino-centric tribute sys-tem and China’s imperial past are increasingly perceived as associated with China’s future intentions. It is argued that a growing Chinese power will establish regional hegemony modeled on the tribute sys-tem. International relations scholar Charles Kupchan notes, “China might attempt to exercise a brand of regional hegemony modeled on the tribute sys-tem.” In popular dialogue, too, China’s invocation of its imperial past in territorial disputes has led many to suspect that China intends to resurrect “a new face to China’s ancient tributary sys-tem where China is the central power and Beijing is the global political pole.”   These speculations may come as little surprise as people wonder how China will use its power in the future. China’s own invocations of the Sino-centric tribute sys-tem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China’s engagement with the world, with the prime example being the 2008 Beijing Olympics opening ceremony. China chose the glamor of the Tang empire (618-907) and the Ming empire (1368-1644) as key themes in the ceremony in order to convey the message to the world that a ‘real China’ is powerful, confident, prosperous and cosmopolitan. The tributary missions by Zheng He during the Ming period were to highlight the harmony that Confucian values lend to the world, and that China’s rise is not a threat.   At a deeper level, the discourse on the tribute sys-tem is being animated in part because China is in the process of defining a new great power identity with its newly acquired power and wealth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 is seeking inspiration from an idealized version of its imperial past, including the influence and respect it enjoyed from its neighbors during earlier centuries. President Xi Jinping defines China’s foreign policy as serving “the ‘Two Centuries’ objective to realize the great rejuvenation of Chinese nation.” The “Chinese Dream” seeks to promote China’s cultural soft power and modern Chinese values, while he emphasizes that “China should be portrayed as a civilized country featuring rich history, ethnic unity, cultural diversity, and as an oriental power with good government, developed economy, cultural prosperity, national unity and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China’s dream is presented as a common dream of all of Asia. Further, the official China Daily writes, “The realization of the Chinese Dream is conducive to facilitating the rejuvenation of Asia.”   How about other East Asian neighboring powers’ views on China’s imperial past and the Sino-centric tribute sys-tem? How do these notions affect their perceptions of China’s rise? Despite China’s intended message of a peaceful rise, it appears that the discourse on the tribute sys-tem is interpreted as China’s intention of changing the status quo, while sometimes contributing to shifts in neighboring powers’ views on the rise of China. There are three events that can provide us with a potential window into this dynamics: the Koguryo dispute between China and the two Koreas, the territorial disputes over the South China Sea, and the dispute over the Senkaku/Diaoyu islands between China and Japan. What emerges from the developments of these events is as follows.   First, the notion of the Sino-centric sys-tem is not simply a question of China’s great power identity, bu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politics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The Koguryo dispute shows that differing interpretations over the history related to the tribute sys-tem can sensitize what Mitzen called “ontological security.” Ontological security refers to the need of a state to “experience oneself as a whole, continuous person in time… in order to realize a sense of agency.” In other words, given that Koreans have long regarded Koguryo (which existed from 37 BC to AD 668) as the fiercely independent Korean state, the claim that Koguryo was a provincial vassal kingdom of China threatened a Korean sense of ontological security. This flare-up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had substantial effects on the South Korean perception of the rise of China as a potential threat to their national security, a shift from its earlier excitement about China’s rise in Asia. An April 2004 Korea Herald poll found that 63 percent of South Korea’s ruling party members viewed China as its most important diplomatic partner. In August, however, a similar poll showed that that less than 6 percent of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members regarded China as their country’s most valuable diplomatic partner.   Second, the Sino-centric tribute sys-tem is juxtaposed with the rules and norms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 as exemplified by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in the case of the disputes over the South China Sea. In the process of parties to the disputes presenting their own claims, China’s invocation of the territorial rights “since ancient times” was considered as challenging international law and the liberal principles that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rests on. The disputes resulted in “a rapid dissipation of China’s ‘soft power’” that existed leading up to the Beijing Olympics. Today, China’s neighbors think about the link between China’s imperial past and its current ambitions, where “the main distinguishing feature of Zheng He’s voyages was the size of the vessels and numbers of soldiers they carried, enabling China to impose its will on some lesser territories.” Arguably, the heightened threat perceptions felt by Southeast Asian countries toward a rising China have led to the tightening of their security ties with the United States as part of “rebalancing to Asia” strategy. Third, another example of the linkage between the tribute sys-tem and a rising China occurred in June 2013, when China disputed Japan’s sovereignty of Okinawa on the grounds that the Ryukyu kingdom paid tribute to imperial China. Although the Chinese government involvement with this assertion is a question, cases such as these matter, because of its potential to escalate the tension between China and Japan over the Senkaku/Diaoyu islands dispute into a crisis mode...(Continued)

Ji-Young Lee 2014-12-17조회 : 11284
워킹페이퍼
China’s Perception of and Strategy for the Middle Powers

EAI MPDI Working Paper No. 10   Author   Dong Ryul Lee is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Chinese Studies of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since 1997. He is now a chair at China Research Panel of East Asia Institute (EAI). Previously, he served as a policy advisor to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and an executive committee member in the Joint Committee of Experts for Korea-Chin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He was also an editor of The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Studies in Korea (2010-2011). He was a visiting scholar in the Weatherhead East Asian Institute, Columbia University from August 2005 to August 2006. He received his Ph.D. in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Politics, Peking University in 1996. He has published many scholarly articles, monographs, and edited books, including Global Superpower? Prospects for China’s Future (2011), “China’s Policy and Influence on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Denuclearization and/or Stabi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10), China’s Territorial Dispute (2008), and “Chinese Diplomatic Behavior in the United Nations” (2007). His research area includes Chinese foreign policy,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Chinese nationalism and minority.       This working paper will be included in an upcoming EAI publication set to be released in Spring 2016 entitled "Transforming Global Governance with Middle Power Diplomacy: South Korea's Role in the 21st Century." Please check in soon for the latest publication updates.

Dong Ryul Lee 2014-12-07조회 : 11613
워킹페이퍼
중국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인터넷여론의 역할: 제3차 북한 핵실험을 중심으로

EAI 중국연구패널 보고서 No.12   저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겸 중국연구센터 센터장. 중국 북경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정치외교이다. 최근 연구로는 <개혁개방기 중국 공산당> (2014, 편저), “Perceptions of Democracy among Intellectuals in Contemporary China: Evidence from Study on Political Scientists in Beijing and Shanghai” (2012), “Dilemma of Korea-China Relations with the Emergence of the G2 Era” (2012) 외 다수가 있다.         I. 문제제기   정보화와 세계화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인터넷 매체의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인터넷정보중심이 2012년 7월 19일에 발표한 <제30차 중국 인터넷발전상황통계보고>에 따르면, 중국의 네티즌 수는 2012년 6월 말 현재 5억 3천 8백만 명으로, 전국적으로 39.9%의 인터넷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휴대폰 인터넷 사용자는 3억 8천 8백만 명으로 2011년 말에 비해 3천 2백 7십만 명이 증가하였다. 중국은 2008년 6월 미국의 네티즌 수를 추월한 이래, 5년간 세계 제1의 네티즌 수를 유지해오고 있다. 중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웨이보’의 사용자는 2011년 말 6,311 만 명에서 2012년 6월말 현재 1억 9천 5백만 명을 기록해 반년 만에 1억 3천 2백만 명이 증가하여 208.9%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전체 네티즌 중 웨이보 사용자 비율은 13.8%에서 40.2%로 증가하였다. 휴대폰 웨이보 사용자 수도 2010년 말 15.5%에서 34.0%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2012년 하반기부터 한국의 카카오톡과 비슷한 서비스인 웨이신을 사용하는 중국인의 숫자 또한 빠르게 증가하여 2013년 말 현재 사용자 수는 약 5억 명에 이르고, 해외 사용자수 도 1억 명을 초과하였다. 한 전문가에 따르면, 중국 내 인터넷 사용 증가율은 2000~2008년 사이 연평균 38.1%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줬는데, 만일 연평균 15%의 성장률만 유지하더라도 2015년이 되면 총 인구수의 58%인 7억 9천 3백만 명이 인터넷을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여론을 전파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면서, 인터넷 매체는 여론 형성의 중요한 공간일 뿐만 아니라 정치참여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비록 인터넷이 중국 정부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고 관리된다고 하더라도, 인터넷은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이 불만과 비판을 제기하는 주요한 통로로 기능하고 있다. 특히 2003년 이후부터 중국 네티즌들은 인터넷 상에서 중국의 대외정책과 대외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각종 토론을 전개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토론은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매체가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 및 추진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그 동안 중국과 같이 고도로 중앙 집권화된 권위주의체제의 경우 민주주의 체제에 비해 대외정책 결정과정에 외교부 이외 기타 집단이나 개인의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이러한 인식에 따르면, 비록 중국외교가 점차 전문화되고 기관 별로 다원화되며, 권력 핵심층 외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가 증가하고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언론 통제 속에서 대중여론이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엄격하게 제한되는 비민주적인 국가이다. 또한 정부가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신흥매체에 대해서도 문제가 되는 홈페이지를 폐쇄하거나 다양한 기술적인 방식으로 통제력을 행사는 등, 인터넷이 정부의 외교정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시장화가 진전되면서 사회가 다원화되고 시민사회가 성장함으로써 외교정책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도 다원화 추세가 강화되고 인터넷 여론의 영향력 강화가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대중 여론, 싱크탱크, 매체와 전문가 등 여론 주도층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정책의 최종적 결정이 자신들의 정책적인 선호와 부합하기를 희망한다. 신문과 같은 기존의 전통매체가 여전히 정부로부터 상당 부분 엄격한 통제를 받고 있는 것에 반하여, 신흥매체인 인터넷이 발전함으로써 각종 정보에 대한 정부의 중앙집권적인 통제가 어렵게 되고 대중의 정치참여 통로와 능력이 강화되어 국내정치뿐만 아니라 대외정책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이 중국의 대외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이 글은 최근 들어 중국의 인터넷 사용률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인터넷을 통한 대중 여론의 형성과 정치 참여가 빈번해지면서 정부의 대외정책 추진에 이러한 신흥매체를 통해 형성된 여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동시에 이러한 인터넷 매체를 통해 형성된 여론과 대외정책 간의 관계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인터넷 여론이 대외정책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낸 경우도 있는 반면, 역으로 정부가 인터넷 여론을 통해 정책방향을 선전하고 정책집행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나가는 경우도 있다는 말이다. 특히 이 글은 인터넷과 같은 신흥매체를 통해 중국 내 대중 여론이 대외정책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제3차 북한 핵실험 이후 중국 내 인터넷 여론이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여론과 중국 대외정책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II. 인터넷의 등장과 중국의 대외정책결정   1. 인터넷 매체의 확산과 중국의 대외정책결정에 대한 도전   이른바 제4매체 혹은 신매체로 불리어지는 인터넷은 1990년대 이래 급속하게 발전하여 정보전달과 여론형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이는 이미 존재해 온 전통매체인 신문, 방송, 텔레비전 등과 비교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전파되는 매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매체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이 있지만, 이 글은 전파를 무대로 반도체, 전자, 통신, 시청각분야 등에서 비롯된 다양한 기술을 빌려 문자, 목소리, 그림 등 형식에 기초하여 새로운 소식을 전파하는 매체로 인터넷 매체를 정의한다. 또한 상호성과 동시성, 초국가성과 다매체성을 토대로 신문 홈페이지, 블로그, 인터넷 TV 등 인터넷 공간을 효율성 높은 전파 통로로 활용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웨이보, 카카오톡 등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인터넷 매체는 중국에서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 보급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등장해 왔다.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매체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크게 3단계로 변천했다. 첫째, 제1단계(1949-1978)는 카리스마적인 지도자가 정책결정의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고 전체 정책결정과정이 고도로 개인화된 것이 특징인 시기를 일컫는다. 이 시기에는 대중매체의 발전 수준이 낮았고, 냉전체제 속에서 중국이 국제무대로부터 고립되어 있어, 대중 매체의 주요한 기능이 주로 정부의 소식을 보도하고 정부의 정책을 선전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다.   제2단계(1978-1990년대 중반)는 외교정책결정이 개인에 의존한 정책결정에서 집단적 정책결정 형태로 전환되었지만, 여전히 카리스마적인 지도자로서 덩샤오핑이 강력한 개인적 영향력을 발휘한 시기이다. 이 시기 중국 정치에서 대표적인 사건으로 1981년 외사영도소조가 부활된 바 있는데, 이는 집단적 대외정책결정을 다시 회복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비록 이 시기에도 정책결정과정에 있어 대중의 역할이 여전히 부재하였지만, 대중 매체의 발전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제3단계(1995년대-현재까지)는 외교정책과 매체 간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 변화에는 다음 4가지 요인이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첫째, 탈냉전과 함께 중국에 인터넷을 대표로 하는 정보통신 기술이 빠른 속도로 도입되면서, 대중매체와 중국 외교정책의 관계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둘째, 인구 구성의 변화, 즉 혁명 후 2~3세대의 출생으로, 강력한 카리스마적인 지도자가 등장할 수 있는 사회적인 기초가 줄어든 가운데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외교정책결정과정이 등장할 수 있는 주요한 조건이 조성되었다. 셋째, 개혁개방 정책의 진전으로 외교정책 영역이 확대되면서 여러 가지 새로운 요소가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매체의 영향력이 확대될 수 밖에 없었다. 넷째, 중국 내 인터넷 사용이 전례 없이 빠르게 확산된 속도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상술한 요인들 중 특히 1990년대 중반 이래 꾸준히 발전해 온 인터넷 매체는 중국 대외정책이 매체와 맺는 관계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했다.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사이버 상의 각종 커뮤니티에는 기존에 존재해 온 독점적인 전파매체에 도전하면서 대중을 기초로 하는 새로운 참여 메커니즘이 만들어졌다. 중국 내 전통적인 대중매체에 대한 통제는 정부로 하여금 대중들이 어떠한 정보를 얻어야 하고 얻을 수 있는지, 어떠한 것을 믿어야 하는지를 결정했다. 또한 전통적인 매체에서는 공개토론이 불가능하며, 특히 대외정책과 관련된 경우 토론은 더욱 더 어려웠다. 인터넷 매체가 발전되기 전 중국 대중에게 정치와 공적인 일에 참여하고 관점을 표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통로가 없었다.   그러나 인터넷과 인터넷논단(포럼)은 대중들이 자신의 관점과 의견을 표현하는 (특히 정치적인 주제에 대하여) 새롭고 유일한 장소가 되었다. 대중들은 인터넷을 통해 각종 소식 전파, 관점 표출 및 정치적인 문제와 공공사무에 대한 비판을 일정 정도 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동시에 인터넷포럼과 같은 창구는 대중들이 관방 정보와 뉴스통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하여 인터넷은 대중들에게 정치적인 이슈에 대한 의견이나 비판을 표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세계와 정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처럼 인터넷이 비판적인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세계와 정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통로가 되면서, 개인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중국 외교정책과 관련된 정보와 지식 또한 편리하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의 외교정책결정에 3가지의 심각한 도전을 제기하였다.   첫째,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정보의 재분배에 영향을 미치면서 초래된 도전이다. 국경을 초월해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의 초고속 이동은 모든 인터넷 사용자들이 일시에 특정 문제에 대한 가장 새로운 진전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그리하여 설령 일반 중국 국민이라 하더라도 최고 정책결정자와 동시에 심지어 더 빨리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동시에 네티즌들은 인터넷으로부터 각종 국제관계에 대한 지식을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인의 선호도에 근거해서 국제현상과 중국의 외교정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정부의 일방적 선택을 피동적으로 수용하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정부가 국제문제와 자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유일한 해석권을 독점할 수 없으며, 정책결정자가 정책을 정하고 선포할 때 대중을 어떻게 설득하고 어떻게 지지를 얻는가에 대하여 훨씬 더 많은 고려를 할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둘째, 지식의 확산으로 인한 도전이다. 정보통신시대에 신뢰 가능한 지식의 공급은 새로운 권력 자원의 원천이 되었다. 충분한 정보가 공급되자 사람들은 효율적으로 숙성된 정보와 지식을 더 필요로 했다. 누가 이러한 지식을 제공하는가에 따라 지식을 제공받는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기구는 대중들이 관방에 대한 신뢰를 어떻게 유지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하여 심각한 고민을 하도록 하고 있다.   셋째, 권력분포의 탈중앙화 추세 강화로 인한 도전이다. 중국뿐만 아니라 대다수 국가의 외교정책 결정권한은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외교영역의 다원화와 전문화가 이루어지고, 인터넷의 발전으로 개인이나 단체의 외교정책과 관련된 정보와 지식의 습득이 용이해지면서, 외교정책 결정 및 추진과정에서 권력의 탈중심화 현상이 강화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정책결정 행위자 말고도 다양한 행위자가 과거보다 정책결정과정에 훨씬 더 쉽게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정책결정영역 밖의 행위자가 대중의 지지를 동원할 수 있을 때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외교부는 2004년 3월 19일 신문사(新闻司)에 대중외교처(公众外交处)를 설립하여, 대중들이 더 많이 외교부 업무를 이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   2. 중국 대외정책결정에서 나타나는 인터넷 매체 작동 메커니즘의 특징   대외정책 결정 및 추진과정에서 인터넷 매체의 역할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첫째, 외교 의제 설정을 추동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여기에 대해 정부와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인터넷이 설정한 의제는 최종적으로는 정부의 정책 의제가 된다. 둘째, 정책 집행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외교정책은 한번 결정된 이후 실행단계에서도 환경에 따라 실행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조정되어야 할 수도 있는데, 이 단계에서 인터넷 매체는 사회 여론을 인도하고 통찰하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외교정책의 결정과정뿐만 아니라 집행과정에도 개입하여 일정한 역할을 한다. 인터넷 매체는 정부 정책에 대한 선전, 정책 조문에 대한 구체적 해석, 정책 집행 모범사례에 대한 소개 등의 방식을 통해 대중들이 외교정책을 받아들이고 일치시키도록 하여 정책 실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셋째, 정책 평가에 참여한다는 점이다. 인터넷 매체는 정책의 실제 집행에 대한 사회여론이나 건의를 정부와 정책결정자에게 보내는 방식을 통해, 정부의 정책 집행과정에 대하여 공개적인 감독을 진행할 수 있다...(계속)

이정남 2014-09-29조회 : 13344
워킹페이퍼
중국 대외정책과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대외정책 전개의 새로운 조력자

EAI 중국연구패널 보고서 No.11   저자 이장원_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중국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에서 법학박사학위(국제정치전공)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대외관계, 시민사회 등이다. 최근 연구로는 “China’s Dilemma on the Korean Peninsula: Not an Alliance but a Security Dilemma” (2013, 공저), “한중 수교 20주년의 단상: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를 중심으로” (2012), “중국외교정책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 (2012), “중동 시민혁명으로 본 중국시민사회의 한계와 전망” (2012), “양안관계 개선의 정치경제적 의미” (2012, 공저), “중국의 공공외교: 배경, 목표, 전략” (2011) 외 다수가 있다.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확대되거나 적어도 개입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중국 시민사회단체의 역할과 영향력이 확대될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정책결정과정, 특히 대외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중국시민사회단체들의 역할과 영향은 아직까지는 산발적이고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대외정책에 개입할 수 있는 시민사회단체들의 경우 대개는 정부정책 추진을 보조 또는 보완해주는 행위자로서, 혹은 중국이 국제사회와 소통하며 상호 협력하는 창구로서, 외부의 비판적 혹은 적대적 요소에 대응하고 정부의 입장을 대신하는 공공외교의 카드로서 대외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시에 당무(黨務)와 정무(政務)가 고도로 통합된 당-국가체제의 특징 하에서도 대외정책결정 과정에 시민사회단체의 활동과 같이 다양한 요인들이 개입되고 확장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부분적이지만 중국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정책결정과정에까지 이르고 있다면,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과 외교행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같이 정치적 개방도가 미약한 국가에서도 시민사회단체의 존재와 역할은 중국대외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이 점차 다원화되고 있다는 사회적 변수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I. 서론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대외정책의 결정과정은 제한된 정책결정계층 외부로 쉽게 공개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국가운영의 궁극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정부가 전통적으로 거의 유일한 정책결정과 집행의 행위자로 간주되어 왔다. 말하자면 대외정책과 관련된 정보를 소수의 정책결정계층이 통제함으로써 정책의 결정과 집행의 권한까지 독점해왔던 것이다.   그러나 국제관계의 발전에 따라 한 국가의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외적 요인들이 과거에 비해 더욱 복잡해졌다. 또한 세계화와 민주화의 진전으로 인해 더 이상 정부 내 소수의 정책결정자들이 국가의 정보자원을 독점하기가 어려워졌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국내외적 변수들이 대외정책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커지고 그 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들도 다변화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경우를 보면 정부조직, 싱크탱크, 학자들로 구성되어 왔던 대외정책결정 주체의 범위가 기업, 시민사회의 참여 등을 통해 보다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외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서 NGO로 대표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동은 정부가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여론을 형성하며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노무현 정부 시기의 대 이라크 추가 파병문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이라크 추가파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대 이라크 전쟁 수행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대량살상무기의 존재와 알카에다와의 연계성 등에 대한 의문을 배경으로 한국 내에 미국의 대 이라크 정책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시민사회단체들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물론 추가 파병안이 국회를 통과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국내의 비우호적인 여론이 한미양국의 논의과정에 대한 압력으로 작용해 추가파병의 시기와 파병부대의 규모 등이 당초 미국의 기대와는 다르게 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제한된 정책결정과정이 확대되는 사례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2013년 12월 13일 한국 외교부에서 열린 ‘2013년 외교부 정책자문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외교부가 앞으로 정책결정과정에 학계와 NGO 등 민간의 경험과 전문지식을 더욱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협의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 또한 대외정책결정과정에 여론의 영향과 또 여론을 주도하는 행위자 중 하나인 시민사회단체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변화적 추세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은 아직까지 국가중심적인 대외정책결정과정을 보여 온 대표적인 국가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은 정책결정과 관련된 제도와 행위자들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아 한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하는 수준에서 이해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은 그 동안 당무(黨務)와 정무(政務)가 고도로 통합된 당-국가체제(party-state system)의 속성이 선명하게 반영되어 왔다는 점이다. 즉 중국의 대외정책결정은 공산당에 그 절대적인 권한이 있으며, 공산당중앙정치국 특히 정치국상무위원회를 정점으로 하여 중앙외사공작영도소조와 업무분장시스템 즉 꾸이코우 관리제도(歸口管理制度)에 의해 관련 업무별로 핵심적 정책결정라인이 구성된다. 하지만 대체로 공산당의 최고지도자(총서기)와 정치국상무위원회, 국무원 총리, 전담국무위원(경제담당 부총리, 외교담당 국무위원 등), 당∙정∙군 외사담당부서의 수장들이 주요 정책결정라인이 되는 국가중심적 대외정책결정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 전통적으로 당∙정∙군 라인 이외의 행위자들이 대외정책결정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는 거의 없었다.   그런데 이렇게 국가중심적인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도 일부 변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에서도 정책과 관련한 이해관계가 복잡해짐에 따라 대외정책결정의 과정도 보다 전문화되고 참여하는 행위자의 수도 대폭 확대됨으로써 정책결정의 과정도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관변 싱크탱크, 대학 및 민간연구기관, 연구자들의 영향력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라는 것이다. 또한 일부 중국학자들의 경우 대외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개입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예를 들면, 왕이저우(王逸舟)는 중국 내에서도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정보접근에 대한 제약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대외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시민사회의 접근 가능성도 커졌으며 글로벌 시민사회의 대내적 영향력이 커짐으로써 대외정책결정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진찬롱(金燦榮)은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에 새로운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가운데 비외교정부부문의 참여, 특수이익집단의 개입, 그리고 여론의 영향 확대 등을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실로 중국의 대외정책결정과정이 다원화되고 있으며, 특히 그 가운데에서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확대되거나 적어도 개입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는 이 같은 질문에서부터 출발하여 중국대외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중국시민사회단체의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물론 현재의 중국 정치 상황에서 중국시민사회의 한계를 부정할 수는 없지만,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중국시민사회단체의 역할과 영향력이 확대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동안 주로 시민사회단체의 국내적 역할이 주목되었던 것에 비해 여기서는 주로 중국의 외교과정에 대해 중국시민사회단체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용어의 사용과 관련해, 중국에서는 학술적으로 ‘비정부기구(非政府組織: NGO)’, ‘비영리기구(非營利組織: NPO)’, ‘제3섹터조직(第三部門組織)’, ‘자원기구(志願組織)’, ‘자선단체(慈善組織)’, ‘민간단체(民間組織)’ 등의 용어를 사용해 시민사회영역의 행위체들을 지칭하고 있으며, 이들을 관리하는 정부기관인 민정부(民政府)에서는 공식적으로 ‘사회단체(社會團體)’, ‘민영비영리기관(民辦非企業單位)’, ‘재단(基金會)’으로 등록된 시민사회영역의 행위체들만을 합법적인 조직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는 실제적으로는 기업의 신분으로 활동하는 비정부기구를 비롯해 비공식적 네트워크, 각종 살롱, 해외비정부기구의 중국지부, 불법종교단체 등 합법적 지위를 갖추지 못한 조직들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문에서는 이들을 지칭하는 가장 포괄적인 개념으로 세계은행에서 정의하고 있는 ‘시민사회단체(Civil Society Organizations)’를 사용할 것이다.   II. 대외정책결정과정 참여자의 다원화에 대한 논의   대외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영향변수의 다원화라는 측면에서 로즈노우(James N. Roseneau)의 연구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로즈노우는 대외정책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변수(individual variable), 역할변수(role variable), 정부변수(governmental variable), 사회적 변수(social variable), 체계변수(system variable)의 5개 차원을 제시하였고, 이들이 국가 크기, 경제발전수준, 정치적 개방도에 따라 국가별로 대외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화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 기준에 따르면 사회가치정향, 여론, 산업화 정도, 민족단합의 정도 등을 포함하는 사회적 변수는 특히 중국과 같이 정치적 개방도가 미약한 국가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재우는 이를 중국에 적용하여 마오쩌뚱부터 후진타오에 이르는 각 지도자 시기별로 대외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였지만, 그가 적용한 사회적 변수는 ‘경제발전수준’이었기에 시민사회 내지 여론의 영향을 파악하기는 불가능하다. 양갑용은 “여론의 향배가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민간외교가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중국의 외교정책 생산단위는 점차 다원화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국가의 공식적인 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대외정책결정과정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이는 그가 사례로 제시한 중•일 간의 댜오위다오(釣魚島) 분쟁에도 나타나고 있다. 다만 한 가지, 댜오위다오 분쟁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관련해 시민사회단체들의 민족주의적 활동이 중국의 대일 협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던 사례를 지적하고 있는 점은 매우 유의미하다. 2010년 9월 7일 댜오위다오 해역에서 발생한 일본 해상보안청 선박과 중국 어선의 충돌 사건 당시 일본이 ‘어로법’ 위반을 내세워 중국인 선장을 비롯한 선원 전원과 선박을 나포한 바 있다. 양갑용은 이에 대해 중국정부의 외교적 교섭 이외에 ‘중국 민간 댜오위다오 보호 연합회’ (中國民間保釣連合會), 중국 최대의 해커조직인 ‘중궈홍커(中國紅客)연맹’, ‘댜오위다오 보호 홍콩 행동위원회’ (香港保釣行動委員會)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일본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공격을 시도하고 항일시위를 주도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일본 측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중국의 외교적 협상력을 높여주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계속)

이장원 2014-06-29조회 : 12542
워킹페이퍼
중국의 대외정책과 기업 -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EAI 중국연구패널 보고서 No.10   저자 김영진_국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독일 베를린 대학교(Freie Universitaet Berli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 성균관대, 서울대, 숭실대 등 시간강사, 중국 북경대 방문학자, 미국 클레몬트(Clarmont Colleges) 연구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정치경제학 이론, 중국 노동시장, 특히 최근에는 중국고대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저작에는《중국의 시장화와 노동정치》(1998), 《중국의 도시 노동시장과 사회》(2002, 2011), 《시장자유주의를 넘어서: 칼 폴라니의 사회경제론》(2005) 등이 있다.         I. 문제 제기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기업의 역할이 점차 주목 받고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볼 수 있는데, 크게 대외관계의 구조적 측면과 행위자적 측면,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대외관계의 구조적 측면이다. 특히 대외관계의 다변화와 그에 따른 경제적 부분의 중요성 확대이다. 다시 말해 중국의 국제적 이해나 역학 관계에 있어서 경제적 내지는 기업적 부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는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국가간 경제적 상호의존이 강화되는 전반적인 상황과 함께 중국의 적극적인 대외진출(‘走出去’) 전략과도 관련된다. 2012년 중국의 수출 규모는 2조 478억 달러로 세계 1위이며 대외 투자액수는 624억 달러로 세계 6위이다(WTO & OECD Statistics Databases 2013). 이처럼 글로벌화에 따른 국제경제적 교류가 증대되면서 대외정책에서 경제적 요소가 차지하는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卫灵 2002, 29-32; 崔绍忠 2012, 80-83).   둘째는 행위자적 측면이다. 그것은 대내적뿐만 아니라 대외 정책결정에 있어서 행위자의 다변화를 의미한다. 각종 형태의 기업들을 포함한 경제주체들의 정책결정에 대한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이익(관념)의 분화, 분화된 이익의 조직화, 그리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 등 고전적인 이익집단 개념으로서 중국 기업들의 대외정책 참여를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李欣 2012a, 163-175; 全国政协外事委员会 2012, 5-10). 물론 기업들이 서양에서와 같이 일종의 이익집단으로서 중국의 대외정책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는 불확실하다. 개방된 사회의 경험을 중국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그럼에도 기업의 공동이익과 그들의 대외정책에 대한 영향력은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외교에서 새로운 행위자로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의 하나가 에너지, 특히 석유와 가스이다. 에너지 확보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며, 그것은 국내생산만으로 충족될 수 없다. 따라서 2000년대 중국지도부가 적극적인 ‘대외진출(走出去)’ 전략을 추진하면서, 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해외직접 투자의 주체가 되었다.   국유기업들의 대외 무역과 투자가 확대되면서 대외정책에서 이들의 집단적 내지는 개별적 이익의 반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석유, 철강, 통신, 에너지 그리고 기초건설 등의 영역에서 중국기업의 국제적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대외정책에서 이들의 영향력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주지하는 것처럼 과거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하에서는 기업들이 독자적인 경영의 주체가 되지 못하였다. 개혁 이후 이들은 점차 이윤의 극대화라는 고유 목표를 가지는 경영의 주체로 변화되어 왔다. 그렇다면 이들이 자신의 이익을 조직화하고 표출할 수 있는 기제는 무엇인가. 여기에서는 석유화학으로 대표되는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대외정책과 기업의 관계에 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대외정책이 기업의 고유한 목적, 이를테면 이윤의 극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하는 점이다. 그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있지만, 또한 부정적일 수도 있다. 기업의 목적이 대외정책에 의해 뒷받침될 수도 있지만, 국제정치적 목적에 의해 희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든 기업은 대외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일종의 종속변수로 간주된다. 둘째는 기업이 자체의 목적을 위해서 대외정책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이다. 이때 대외정책은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기업은 대외정책의 종속변수가 아니라 오히려 독립변수가 되는 것이다.   실제 기존의 연구에서도 위의 두 가지 상이한 접근방식이 확인된다. 즉, 첫 번째 시각은 중국기업이 당과 정부의 정책에 크게 구속됨으로써 해외투자에 있어서 이윤의 극대화와 같은 사업적 목적이 달성되지 못한다는 것이다(Yu 2012, 32-37). 환언한다면, 중국의 기업들은 사회주의 정치와 경제체제에 부속됨으로써 중국의 대외 에너지전략을 집행하는 대리자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중국 정부는 단지 국내 제조업을 위한 에너지와 자원 조달을 위해 이들 기업들을 해외 개발과 공급계약에 적극 나서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반적인 기업들은 일정한 비율의 이윤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 사업에 진출하지 않지만, 중국의 기업들은 국가의 전략적 목적을 위해서 낮은 이윤이나 또는 손해를 감수하고도 신규 사업에 진출한다는 것이다(Zweig and Jianhai 2005, 25-26; Taylor 2006, 941–944). 중국은 거액의 비용을 감수하면서까지 석유수입을 다변화하면서 동시에 송유관을 건설하기도 하였다. 중국은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중동에 대한 석유의존도를 낮추고, 동시에 중동과 아프리카로부터 수입을 늘리고 있다. 미국과 비교하여 중국의 해군력으로 통제가 어려운 말라카 해협(Strait of Malacca)을 중국의 원유수입선이 우회함으로써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이었다. 동시에 중국은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러시아와 공동으로 각각 수억 달러 규모의 송유관을 건설하여, 연간 수백만 톤의 원유를 공급받고 있다. 그 외에도 중국은 러시아를 포함한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들과 천연가스 운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건설 협약도 진행중에 있다. 최근 중국은 25억 달러를 투입하여 미얀마의 시트웨(Sittwe) 심해기지에서 중국 남서부 쿤밍(昆明)을 연결하는 1100 킬로미터의 송유 및 가스관을 완성하여 가동에 들어갔다(<국민일보>, 2013/01/22, 18). 해당 공정에는 중국석유천연가스총공사(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CNPC)와 같은 국유석유회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중국에서 대외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들을 대형 국유기업들이다. 그 책임자들은 여전히 공산당원으로서 정부와 당에 의해 임명된다. 따라서 기업경영은 국가의 포괄적인 정책에 의해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업의 역할은 대외정책을 위한 목적에 종속되는 것이다. 그 바탕에는 실제 아래에서 살펴보는 것처럼 국유석유회사들이 중국정부에 의한 거액의 재정지원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달리 일부의 연구자들은 중국정부가 기업들을 통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기업들이 이윤을 추구하는 과정은 복잡하며 따라서 경영상의 자율성을 요구한다. 이들은 해외에서 에너지 자원의 탐사와 개발을 진행하고, 송유관과 가스관의 구축과 운영에 참여하며, 기업인수와 같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자본시장에도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정부도 그러한 경영과정에서 기업의 독립성을 기본적으로 인정한다(에너지연구원 2008, 17-18). 해당 기업들이 발간하는 각종 보고서들은 기업경영이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자산소유자의 최대목표인 이윤창출에 맞춰져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일부의 연구에 의하면, 외교부나 상무부와 같은 감독기구가 중국기업들의 해외활동에 대해서 통제권을 갖지 못한다. 그것은 주인-대리인 사이의 전형적인 딜레마를 보여준다(Gill and Reilly 2007, 39-40). 이를테면 석유나 가스자산을 매입할 때, 정부에 의해 잘 조정된 전략에 의해 위로부터 아래로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며, 대개 각기 아래로부터 위로 정책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혼란스럽고 응집력이 없다(Downs 2007, 48-51; Liou 2009, 670-690). 최근 중국정부가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는 석유회사 CEO들에 대한 부패혐의 조사도 기업운영 자체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쉽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중국에서 정책결정이나 이익관계가 다변화되면서 외교정책과 관련된 변수나 행위자들도 그러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공산당과 정부의 핵심부가 외교정책을 독점하였다면, 지금은 정부의 여러 부서들, 지방정부, 각종 형태의 기업, NGO 등 대중조직, 언론과 여론 등이 외교정책에 다양한 정도와 방식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중국경제의 국제적 개방과 연계가 강화되면서, 대외정책에서 기업의 이해관계와 그 역할에 보다 많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국유에너지 기업들을 에너지 안보의 수행을 위한 첨병으로 활용하고, 기업은 정부의 에너지안보 정책을 해당 기업의 입지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한다. 양자는 서로 공생관계에 있는 것이다.   결국 대외정책에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위의 두 가지 측면 모두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시 말해 기업은 자체의 고유한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서 외교정책에 영향을 행사하고자 하며, 동시에 기업은 국가의 대외정책 목적을 위해 동원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경향적으로 과거에 비해 기업의 자율성이 보다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외교정책의 새로운 행위자로서 기업의 능동적 측면이 점차 의미를 갖게 된다. 대외정책에서 기업의 역할 연구에서도 이러한 역사적 변화의 추세가 적극 고려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① 중국의 글로벌 전략과 에너지 안보 ② 국유석유회사들(National oil company: NOC)의 조직구성과 활동 ③ 국유석유회사들의 대외진출 현황 ④ 정부의 대외정책과 기업 영업활동 사이의 일치와 갈등   이를 위해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헌적 자료들을 주로 이용하고자 한다. 우선 해당 기업들이 매년 발간하는 보고서들이다. 중국해양석유총공사(China National Offshore Oil Corportaion: CNOOC),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Sinopec), 중국석유천연가스총공사(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CNPC), 페트로차이나(PetroChina) 등은 모두 연도별 또는 월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여기에는 주로 해당 기업 CEO들이 전하는 기업목표, 기업의 전반적 소개, 연간 주요활동, 그리고 영업실적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SWF, 主权财富基金) 기금을 운용하면서 중국의 해외투자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 투자유한공사(China Investment Corporation: CIC, 中国投资有限公司)의 자료도 활용된다. 이와 함께. 영국의 브리티시 페트롤륨(British Petroleum: BP)의 세계에너지통계(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와 같은 국제적 석유회사들이 발간하는 자료들도 활용된다.   해당 기업의 활동과 관련해서는 주요 외신들의 기사가 활용된다. 로이터(Reuters), 블룸버그(Bloomberg) 그리고 신화사통신(新華通訊)등이 대표적이다. 에너지 분야는 규모가 큰 해외투자나 M&A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외 언론에서 실시간 보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관련 연구기관이나 전문가들의 보고서도 활용될 것이다. 이를테면 홍콩 과기대의 중국국제관계연구센터(Center on China’s Transnational Relations), 런던정치경제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 S라자라트남 국제학학교(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미국 에너지 정보국(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미국의 컨설팅 회사 딜로이트(Deloitte), 부르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e), 제임스타운 재단(The Jamestown Foundation) 등이 그 예이다. 마지막으로는 중국어와 영어권의 학술저널에서 발간되는 관련 논문들이 이용된다.   II. 글로벌 전략과 에너지   중국에서 에너지자원의 확보는 국가안보의 핵심 과제로 설정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중국의 고속 경제성장이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과 관련된다.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대부분의 에너지 수입국가들 사이에서도 에너지자원의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에너지 공급이 정치, 경제적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장기적•안정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가운데 석유가 주목을 받는 것은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이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중동과 아프리카 등이기 때문이다(Zhang 2006; Blair et al. 2006; Houser 2008).   중국은 1990년대 초반 석유의 순 수입이 이루어진 뒤, 그 후 계속하여 소비에서 수입의 비중이 확대되었다. [표-1]에 나타난 것처럼 2011년대에 이르러 중국은 국내소비의 약 70%를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 되었다. 또한 그 비중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천연가스의 경우에는 [표-2]에 나타난 것처럼 2009년 순 수입으로 전환된 이후 빠른 속도로 수입에 대한 의존율이 높아지고 있다.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도 천연가스 소비는 계속 늘려야 하는 처지에 있다. 중국이 에너지 자원에 대한 대외의존도가 높아지는 경향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 문제를 안보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 특히 미국이 셰일 가스 개발에 성공하면서 장기적으로 석유에 대한 대외의존도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중국은 미국을 대신하여 국제 에너지시장의 주요 행위자로서 등장하고 있다...(계속)

김영진 2014-06-29조회 : 1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