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I는 국가이익뿐 아니라 국민의 삶과도 직결되는 외교안보 분야의 어젠다 설정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004년 6월에 18명의 외교안보 전문가로 국가안보패널(National Security Panel: NSP)을 구성하였다. 이후 국가안보패널은 《21세기 한국외교 대전략: 그물망국가 건설》(2006), 《동아시아 공동체: 신화와 현실》(2008), 《21세기 신동맹: 냉전에서 복합으로》(2010), 《위기와 복합: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2011), 《2020 한국외교 10대 과제:n복합과 공진》(2013), 《1972 한반도와 주변 4강 2014》(2015),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등 일곱 권의 책을 출판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기타
[Keynote Address] Division Management and Unification: Korea vs. Germany

멀티미디어  [한승주 전 외무장관] “미국 적극적 지원 있어야 평화통일”         1. Preface   After 25 years, the German unification still evokes admira-tion and envy among the Ko-reans. Before Germany was un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and thos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d shared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oth countries were divided by the occupation of separate Allied powers in the wake of World War II. Both countries turned into fields of East–West confrontation while being incorporated into the postwar alliance systems. Nevertheless, neither country abandoned their hope for unification for several decades after the division. In neither case did the surrounding powers seem eager to have them unified. Germany’s neighboring countries feared that it might be reborn as a strong unified nation, whereas the countries around the Koran Peninsula were concerned about the possibly unst-able aftermath of un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for a uni-fied Korea to fall into some other nation’s sphere of influ-ence.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several differences between the German and Korean divisions. Five such differences stand out. For one thing with the national division, while the Koreans were inflicted with what might be called “victim’s complex,” the Germans on the other part had what might be called a “guilt complex.” Koreans had the sense that they had done nothing wrong to deserve the tragedy of division but were simply the victim of power politics and backdoor understanding between the power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contrast, the Germans recog-nized and accepted the fact that their national division was the result of what pre-World War II Germany had done; the invasion of neigh-boring countries, the persecution of some ethnic groups, particularly the Jews, and the preci-pitation of World War II.   Secondly, during the period of national di-vision, while the DDR, East Germany, was un-der effective control and protection by the Soviet Union, it posed no serious military threat on West Germany itself. In contrast, North Korea was a constant security threat to South Korea, with which an all-out military invasion of the South had resulted in the Korean War, a smaller scale of military provocations, including commando attacks, military build-up,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of various kinds, and subversive activities.   Third, while the devoted and activist movements for unification came mainly from younger generations and from the politically leftist sectors in Korea, the relatively subdued and passive calls and desire for reunification tended to derive from the older generations and more from the conservative spectrum.   Fourth, whereas West Germany was an important member and active participant of multilateral regional and security organizations such as the European Community and NATO, South Korea’s main security link to the outside world was a bilateral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it enjoyed no membership in regional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So when unification came to Germany, the East Germans were prepared to join not only their Western brethren, but also the European Community and NATO, thereby diluting the sense that East Germany was being taken over by West Germany.   Finally, after 45 years of the German division and 70 years of Korean division since 1945,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Germany and North Korea on the one hand, and the Soviet Union and China on the other hand, their respective benefactors and guardians. In 1990, the Soviet Union was a declining and disintegrating empire in need of economic help from the outside after overspending in arms build-up and competition with the West. The Soviet Union was also in the process of internal transition from autocracy and dictatorship to perestroika and glasnost. In 2015, China is a rising economic power still under an effective one party rule, challenging the domin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erritorial status quo in East Asia, even though it has a strong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West, and has its own share of risks from rapid economic growth and self-aggrandizement. Nonetheless, East Germany was still under firm control of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has been struggling for self-reliance and determination.     2. Status of North-South Korean relations   Roughly speaking,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1953, inter-Korea relations have gone through seven different phases with various degrees of hostilities and engagements. The post-Armistice period of 1953-1960 can be characterized as one of internal recuperation from the war in both Koreas and estrangement between the two sides. It was a period of a military impasse with each armed forces aligned with the major supporting powers, namely the United States on the part of Sou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and China on the part of North Korea. It was also a period of diplomatic competition whereby in a starkly bipolarized world, both Koreas established and nurtured diplomatic ties with the countries belonging to one of the two main blocs (Western and Soviet bloc) at the exclusion of the other. The so-called nonaligned bloc provided a field of completion for both recognition and votes at the United Nations on resolutions favoring one or the other of the two Koreas.   The second phase (1960-72) is one in which South Korea witnessed the emergence of a military gov-ernment, and North Korea became increasingly belligerent toward South Korea with occasional military (although on a small-scale) provocations both to South Korea and its ally, the United States. A selected list of such provocations would include the 1968 raid attempt of the Presidential mansion by a North Korean armed commando group, the 1968 capture of the USS Pueblo, and the 1969 downing of an EC-121 reconnaissance plane. These provocative acts were committed at a time where the attention and energy of bo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diverted to the war in Vietnam. The third phase (1972-1984) could be characte-rized as a co-existence phase, where a series of dialogues got started as the two governments tried to use inter-Korea dialogue for the consolidation of power in their respective home fronts. The first dialogue of the series occurred as the Red Cross societies of the North and the South met from 1972 through 1973 and discussed possibilities for reunion of families separated by the war. The inter-Korea “Joint Declaration of July 4th, 1972” pledged first to resolve Korean issues by Koreans without the outside intervention of other powers, second to resolve disputes by peaceful means without resorting to military means, and third, work toward a grand unity of all the Korean people. Afterward, both sides set up the North-South Coordinating Committee to discuss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However, the dialogue was suspended in 1973 as the North refused to deal with the South.   The dialogue sputtered during the fourth phase (1984-1992), in large part because of the North Korean attempted assassination of the visiting South Korean pres-ident when the North Korean regime planted and exploded a bomb at the Aungsan Mausoleum in Rangoon, Burma in 1983. The North-South dialogue in the mid eighties began as Seoul accepted Pyongyang’s proposal to provide relief goods for flood sufferings in the South. As a result of Red Cross talks, art performance troupes and some fifty families met with relatives living in the other part of the peninsula. The dialogue in the mid-eighties was the one that could not surpass a certain level because of limitations pertaining to North Korea and distrust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dialogue started mainly out of extra-dialogue motivations of the North, such as recovering international image that had been tarnished by the Rangoon bombing, enhancing the image of Kim Jong Il as successor to Kim Il Sung. Furthermore, faced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bloc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North Korea felt obliged to reckon with South Korea which was broadening its diplomatic horizon starting with the hosting of the 1988 summer Olympics, and thus engage with South Korea in a serious bilateral dialogue. It resulted in such landmark agreements as Basic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Exchanges and Cooperation (1991), and Joint Declaration on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greement (1992).   But the apparent lunge toward reconciliation was su-perseded by another, at the fifth phase of estrangement (1993-1998) as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pro-gram became a focal issue of contention. Additionally, the passing of the “great leader” Kim Il-Song ion 1994 made it impossible for North Korea engage the South in any posi-tive and active way. In the absence of the deceased father, his son and the designated successor, Kim Jong-Il needed time to consolidate his position at home and re-figure his policy and strategy toward the South.   The sixth phase (1999-2008), the phase of “Sun-shine Policy,” was ushered in when Kim Dae-Jung, a long-time advocate of engaging the North became president in 1999. After the end of his five-years’ term, another “Sunshiner” President Roh Mu-Hyun succeeded Kim for the following five-year term until 2008. The ostensible purpose of Kim Dae-Jung’s Sunshine Policy toward the North was three-fold: One, to achieve peace by promoting cooperation,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Two, to help North Korean people improve their economic conditions so that they can overcome hunger and dire poverty. Three, to induce North Korea to open itself to the outside world and enable the society to change so that ultimately both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could improve. Improved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ulminated in an inter-Korea summit meeting when President Kim Dae-Jung visited Pyongyang in June, 2000, and met his counterpart Kim Jong-Il. The result was large scale economic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an increased exchange of people, goods and servi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espite the ten-year period of “Sunshin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North Korean military posture vis-à-vis South Korea did not become less aggressive or threatening. In fact, with the collapse of the 1994 Geneva Agreed Framework in 2002, North Korea openly stepped up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with the effect of making the security situation in Korea more dangerous and threatening. In South Korea, criticism of the “Sunshine Policy” which presumably helped finance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mounted. Thus, whe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f Lee Myong-Bak took office in 2009, the Sunshine policy was replaced by a more balanced policy which was less unconditional, one-sided and indulgent toward North Korea.   The seventh, and the current phase (2009- ) of North-South Korean relationship can be characterized by contin-uing advancement on several issues, such as: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program, a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 of the North, the start of a third genera-tional dynastic succession process, discontinuation of dialogue and the consequent decrease in exchange, trade and eco-nomic assista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perpetration of provocative acts on the South by North Korea. The phase is also witnessing China seeming to take a more “protective” attitude toward North Korea lest it should collapse on its own weight of poverty and intransi-gence, and the strengthening of U.S. commitment to secu-rity relationship with its allies, South Korea and Japan.     3. Possibility for duplication?   Despite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divided Germany and Korea, however, South Koreans were hopeful after German unification that they could duplicate the German path to unification. Moreover, German unification provided North Korea with both incentives and perhaps means to prevent a similar process from taking place on Korean Peninsula.   In fact, at the time of German unification, North Korea had plenty to worry about: The Soviet empire was disinte-grating; Both China and the Soviet Union officially recog-nized the Republic of Korea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it, whil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did not reciprocate for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greed on a detente;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greed on a rapprochement; and North Korea op-posed the application of the German formula to Korea.   In that sense, German unification brought about re-trogression rather than progress in the short term in the North–South Korean relationship, by stiffening the North Korean attitude. This is a very tragic irony for a divided country. That is to say, the stronger the aspiration of one side for unification is and the louder the clamor for unifi-cation is, the lesser becomes practical opportunities or possibilities to achieve it as the other side takes the aspira-tion for a desire to take over and therefore is threatening. While both North and South Korea clamor for unification, neither side would think of turning over power, or sharing it with the other side, in the name of unification. Under such circumstances, unification by either side would mean to absorb or subjugate, if not conquer, the other. Whereas North Korea’s reference to unification meant to South Koreans a North Korean takeover of the South, the South Korean reference to unification sounded to the North to signify absorption of North Korea by the South, thus evok-ing the fear and resistance from Pyongyang.   What evokes North Korea’s concern was not only German unification. As a result of transformations in so-cialist states since 1989 and the promotion of Nordpolitik by South Korea, most of them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Seoul. Pyongyang of course showed negative responses to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y its allies with Seoul and recalled most of its international students from Eastern Europe and the USSR. North Korea, one of the most closed, if not the most closed, regimes in the world could not but be influenced by the transformation of socialism. As a means to prevent a regime change, North Korea chose to develop WMDs including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and to further insulate itself from outside influence.   Only during the 10-year period from 1998–2008 of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North Korea chose to en-gage South Korea as the latter was eager to provide the former with extensive economic assistance. However, with the election of Lee Myungbak as President, and with the return to power of the Grand National Party in 2008, South Korea’s experiment with the Sunshine Policy had come to an end, and a policy of pragmatism and balance, which emphasized reciprocity, conditionality, and measured engagement with the North became an official policy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orth Korea on its part was dissatisfied with the less ge-nerous and less indulgent South Korean government atti-tude following the more generous Sunshine Policy years. Since then, North Korea conducted three nuclear weapons tests and pursued what it named the byongjin policy, de-scribed as a parallel policy to become a nuclear weapons’ state while simultaneously reviving its economy.   In the meantime, the Park Geun-hye government that succeeded Lee Myung-bak’s government, pretty much continued the preceding government’s “measured en-gagement policy” but with greater emphasis on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and search for “unification,” which would supposedly bring a “bonanza” to Korea and its neighbors. The problem has been that the Park government had to overcome two hurdles to get positive results from its policy for promoting unification. One is the need to overcome North Korea’s suspicion that Park’s unification overtures are nothing less than a call for “unification by absorption,” that is, by the German formula. The other is that it had to find a formula by which North Korea would suspend and then abandon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nd refrain from conventional provocations.     4. Persuading major powers   Another important task for the Korean govern-ment is to persuade the four major powers, i.e., China,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Japan, that have strong interests in how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develops, that Ko-rean unification, when and if it comes, will actually be in accord with their respective interests rather than being against them. So, how will Korean unification affect their interests? One can think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f the major powers on Korean unification.   Let’s first talk about the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There are some positive reasons why the United States will think Korean unification to be in its own inter-est as well.   Positive Reasons: 1. War in or over Korea less likely 2. North Korean threat (WMDs, missiles, etc.) and provo-cations removed 3. Emergence of a unified Korea as a powerful ally 4. Korea’s increased dependence on the United States in the short term––need for economic and security support from the U.S. 5. Expansion of democracy, market economy   But there are some possible reasons why the U.S. could think Korean unification to be against its interest...(Continued)           This Keynote address was prepared for "Preparing for a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Conference which was host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Unification Preparation an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organized by the East Asia Institute.

Han Sung-Joo 2015-12-06조회 : 10373
단행본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

언론에서 본 EAI  [세계일보] 美·中간 전략을 보면 꼬인 남북관계 보인다   언론에서 본 EAI  [조선일보] 한줄읽기: '1972 한반도와 주변 4강 2014' 외 언론에서 본 EAI  [한겨레] 6월 19일 학술 · 지성 새책           한국 ∙ 북한 ∙ 미국 ∙ 중국 ∙ 일본 ∙ 소련/러시아 여섯 대의 카메라 데탕트와 탈냉전 한반도와 국제정치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에서 동북아 국제정치로   이 책의 시작은 국제정치와는 특별히 관련이 없는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미술관이다. 2012년 당시 하영선 교수(현 EAI 이사장, 서울대 명예교수)는 세계정치학회 참석을 위해 마드리드를 방문하던 중 현대 팝아트의 대가인 데이비드 호크니 특별전을 찾게 되었다. 이 전시회에서 특히 시선을 끌었던 작품이 있었는데, 비디오아트인 “Nov. 7th, Nov. 26th 2010, Woldgate Woods, 11.30 am and 9.30 am”였다. 데이비드 호크니는 고향인 영국 동요크셔의 월드게이트(Woldgate) 숲을 캔버스에 입체적으로 재현하기 위해서 아홉 대의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하여 고향 숲길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촬영했다.   아홉 대의 카메라가 만들어내는 거대한 하나의 풍경. 각각의 카메라는 고유한 장면을 담아내면서도 전체적으로 커다란 하나의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처럼 한반도와 주변을 둘러싼 국제정치도 하나의 시선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해보는 것이 어떨까? 제각기 다른 이해를 가진 당사자들 고유의 시선에 집중하여 살펴본 다음, 이들을 다시 하나로 장면으로 종합한다면, 행위자와 맥락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이해의 지평이 열릴 수 있다. 이렇듯 현대미술가 데이비드 호크니의 미술적 시도가 동북아 국제정치를 새롭게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남북한의 퇴행적 냉전체제, 벗어날 길은 없는가?   1990년을 앞두고 세계는 반세기 동안 지속되었던 냉전의 종식을 선언하였고 해빙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25년의 시간의 흘렀다. 이제 누구도 오늘의 국제정세를 논할 때 냉전을 말하지 않는다. 이념은 퇴색했고 갈등은 세속적이며, 협력과 공존을 위한 새로운 기회들이 대두되고 있다. 세계는 이미 냉전으로부터 충분히 멀어졌다.   그러나 한반도는 다르다. 한국과 북한은 여전히 대치상태에 있으며 1950년 한국전쟁 발발의 시점에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관계가 회복되었던 적도 있었지만, 일시적이었을 뿐 이내 엄습한 퇴행을 벗어날 수 없었다. 세계는 변했는데,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환경 또한 과거와는 다른데, 어찌하여 남북한은 여전히 냉전의 올가미에 묶인 채 제자리인가?   과거의 경험, 전세계적 화해 무드도 한반도에서는 좌절되었던 바 있다   1972년 미국 대통령 닉슨의 중국 방문은 전세계를 놀라게 했다. 당시 세계는 미국을 필두로 한 자유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진영이 이념,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부분에서 극렬히 대립하고 경쟁하며 단절되어 있던, 전쟁처럼 치열했지만 화염은 없었던 냉전을 겪고 있었다. 그런데 핑퐁외교를 시그널로 하면서 미국의 국가원수가 반대 진영의 대국인 중국을 방문한 것은 실로 획기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어쩌면 이념적 대립이라는 견고한 틀에 균열의 조짐이 나타날 수 있음을 점치기도 했다. 데탕트의 개막이었다. 이로써 세계는 냉전의 긴장에서 다소 벗어나 해빙의 무드를 맛보게 되었다.   전세계적인 데탕트는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국내외 여러 이해가 맞물려 남북한은 7∙4남북공동성명에 합의함으로써 남북한 긴장완화와 화해를 위한 첫 단추를 맞추는 듯했다. 어쩌면 한반도의 미니데탕트가 실현될 수도 있는 시점이었다. 그러나 남북한 당국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원하고 있었기에 전세계적인 화해와 해빙의 무드가 한반도에서는 자리잡을 수는 없었다. 한반도의 미니데탕트는 좌절되었다.   여섯 대의 카메라 렌즈, 데탕트와 탈냉전의 한반도를 촬영하다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는 한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소련/러시아라는 여섯 대 카메라를 사용하여 1972년 한반도 미니데탕트의 좌절과 2014년 한반도 탈냉전의 어려움을 대비적으로 촬영함으로써 한반도의 진면목을 드러내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6개 국가의 카메라를 1972년과 2014년으로 나누어 각기 촬영할 12인의 전문가를 촬영감독으로 영입하였다.   공동작업은 첫 단계로서 역사적 현실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촬영자의 주관적 시야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관련 당사국들의 핵심 외교문서들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합의하고, 1970년대의 키신저-저우언라이 협상록, 남북한 7∙4남북공동성명 관련 회의록과 2010년대 6개국의 핵심 관련 문서 등을 함께 읽었다. 다음 단계로서 호크니처럼 먼저 1970년대의 데탕트와 한반도를 입체적으로 그리기 위해서 6개의 초벌 촬영 화면을 엮어서 하나의 큰 화면으로 만들었고, 동시에 2010년대의 탈냉전과 한반도의 큰 화면을 구성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 삶터에서 벌어지고 있는 국제, 지역, 한반도라는 공간 복합성과 1970년대의 데탕트와 2010년대 탈냉전의 시대 복합성의 의미를 제대로 체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로서 열두 편의 완성된 초고들을 기반으로 해서 1970년대에 강대국들의 데탕트가 왜 한반도에서는 7∙4남북공동성명의 추진과 폐기라는 좌절의 역사로 전개됐으며 2010년대에 강대국들의 탈냉전이 한반도에서는 여전히 탈냉전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는가를 보다 분석적으로 토론한 다음에 모든 원고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했다.   국내의 한국현대사 연구와 한국외교정책 연구가 이분법적으로 단순화된 문제의식과 방법론의 답답함 속에서 자기만족의 한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대해,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는 한반도와 주변 국제정세를 다각적이고 통시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시공적 복합성을 보여주려는 야심찬 시도이다. 이 책을 통해 21세기 신한반도 정책과 담론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서문   제1부 1972년   1장 적(敵)에서 암묵적 동맹으로 : 데탕트 초기 미국의 중국 접근 ■ 마상윤 2장 중국의 1972년 대미 데탕트 : 배경, 전략, 역사적 함의 ■ 이동률 3장 미중 데탕트와 일본 : 1972년 중일 국교정상화 교섭의 국제정치 ■ 손 열 4장 미중 데탕트와 소련 : 국제정세 인식과 대응 ■ 강윤희 5장 북한 1972 진실 찾기 : 7•4공동성명의 추진과 폐기 ■ 하영선 6장 데탕트 국면에서 박정희 행정부의 선택 ■ 조동준 제2부 2014년   7장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정책 : 아시아 공존의 상호인정과 지속되는 긴장 ■ 손병권 8장 국제질서 변환과 각축하는 미중관계 : 중국의 전략적 입장과 정책 방향 ■ 박병광 9장 21세기 일본 외교전략의 변화 : 보통국가의 변환과 다차원 외교의 대두 ■ 이승주 10장 동북아 세력구도 변화와 러시아의 신(新)동방정책 ■ 신범식 11장 미중시대 북한식 국제정치 독해 : 자주외교 불패 신화의 유산 ■ 김성배 12장 한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 : 현황과 과제 ■ 전재성

하영선 편 2015-05-27조회 : 14082
워킹페이퍼
[NSP Report 73] 미중 데탕트와 소련: 국제정세 인식과 대응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학부 러시아학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영국 글라스고우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특별연구원, 고려대학교 세계지역연구소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등을 역임했으며 주요 연구분야로는 러시아정치 및 역사, 여성정치 등이 있다. 저서 및 편저로는 《러시아의 미래와 한반도》(2009, 공저), 《러시아의 선택: 탈소비에트 체제전환과 국가•시장•사회의 변화》(2006, 공저), 《한•러관계사료집 1990-2003》(2005, 공저), “러시아 체제전환:민주화 이행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역할과 한계”(2012), “스탈린의 산업화 전략과 소련 공산당 기능의 변화, 1928-1932: 레닌그라드의 사례연구”(2002) 등이 있다.         I. 머리말   1969년 소련 외교에서 세 가지 사건이 일어났다. 모스크바와 워싱턴 간 비밀외교루트(back channel)가 만들어지고 전략핵무기제한협정(SALT) 교섭이 시작된 것, 서독에서 브란트(Willy Brandt) 총리가 집권하자 서독과의 불가침조약 교섭에 들어간 일, 그리고 우수리 강 다만스키 섬에서 중소간 무력 충돌이 발생한 것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사건은 1970년대 소련 외교의 방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즉 소련은 미국 및 서유럽에서 적극적인 데탕트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중국과의 분쟁을 해결하지 않은 채 방치하였던 것이다. 문제는 미국이 중소 분쟁이 제공하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중국을 끌어들여 미중 화해라는 극적인 변화를 도출해냈다는 점이다.   돌이켜보면, 1970년대 전반 데탕트 시기에 일어난 일련의 국제정세 변화는 냉전을 대체하는 새로운 국제질서의 구축기라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정책으로서의 데탕트는 그리 오래 가지 못하였고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더불어 끝나게 된다. 그러나 1970년대 데탕트 시기에 이루어진 미중 화해 및 국교정상화는 1980~1990년대 중국의 개혁개방을 가능하게 하였고, 그 결과 오늘날의 중국의 부상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세계질서 재편에 중요한 초석을 놓은 사건이었다. 그렇다면 1970년대 당시 미국과 더불어 세계의 슈퍼파워로 전세계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소련은 데탕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으며 미중 화해를 얼마나 자국에게 위협적인 사건으로 이해했었는가? 소련은 중국의 부상 가능성을 간과하였던 것인가? 만약 그렇다면 왜 그렇게 오판을 하였던 것인가? 본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1970년대 전반기 소련 지도부의 대외 인식과 외교 정책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1970년대 소련 지도부의 대외 인식이나 외교정책 결정과정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러시아 내부 1차 자료를 활용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시간적, 재정적 제약으로 인하여 본 연구는 2차 자료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 데탕트 시기의 국제관계를 보여주는 1차 자료로는 러시아연방대통령문서고(APRF), 러시아연방외교정책문서고(AVPRF) 등이 소장하고 있는 회의록 및 공식문서 , 1971년과 1976년에 각기 열렸던 24차, 25차 소련공산당 전당대회 회의록, 소련 정부 및 공산당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였던 프라브다, 이즈베스치아 등의 신문 사설 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소련공산당 전당대회 회의록만을 참조하였다.   한편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가 제공하는 웹사이트(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미국 우드로윌슨센터의 국제냉전사프로젝트(CWIPH: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등에서 러시아 문서고의 일부 자료와 미국 국무성 등의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이 외에 미국에서 출간된 냉전사 관련 단행본들도 본 연구에 주요 자료를 제공하였다. 1962년부터 1986년까지 소련 주미대사였던 도브리닌(Anatoly Dobrynin)의 회고록(Dobrynin 1995), 미국 및 러시아 문서고 자료를 활용한 냉전사 연구서(Zubok 2009), 키신저 회고록(Kissinger 1982) 및 녹취록(Burr 1998), 가토프 (R. Garthoff)의 데탕트 및 냉전사 연구(Garthoff 1994)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본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전반기의 소련 지도부의 국제 정세관이나 대중국 인식을 살펴보기에는 자료가 여전히 부족하여 많은 부분에서 추측에 의존하거나 의문점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었다. 추후의 연구가 이를 보완하게 되기를 기대할 뿐이다.   II. 중소 분쟁의 심화와 소련 지도부의 대중국관   1969년 중소 국경 분쟁이 발발하기 오래 전부터 이미 소련과 중국 관계는 균열되기 시작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의 내전 승리 이후 견고해 보였던 중소 관계는 1950년대 말부터 흔들리기 시작했다. 1959년 흐루쇼프(Nikita Khrushchev)의 중국 방문 이후 양국 지도자 간의 인신공격이 시작되었고, 중국 공산당과 마오쩌둥(毛泽东)은 후르쇼프의 소련을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정주의 세력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였다. 이에 소련은 중국에 근무하던 자국 전문가를 소환함으로써 중국 경제에 압박을 가하였으나, 중국은 ‘자력갱생’을 외치며 소련과는 다른 사회주의 길로 들어섰다.   이처럼 중소 갈등 초기 양국의 대립 양상은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둘러싼 갈등으로 비추어졌지만, 그 내면에는 현실정치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Zang 2010; Radchenko 2010). 무엇보다 중국의 핵무기 개발 시도에 대해 소련이 부정적으로 반응하면서 중국의 소련에 대한 불만과 의혹이 커졌다. 소련은 원자폭탄 기술의 중국 이전을 거부하였고, 1963년에는 미국이 제안한 부분적핵실험금지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중국의 불만을 샀다. 이에 더하여 후르쇼프의 스탈린(Joseph Stalin) 격하운동은 중국 내 마오쩌둥의 위상에 부정적 함의를 주는 것이었기에 마오 마오쩌둥은 이에 대해 몹시 불편한 심기를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1964년의 말리놉스키(Rodion Malinovsky) 사건 이후 마오쩌둥은 소련에 대해 완전히 마음을 돌리게 되었다. 한편 1965년 소련의 베트남 쿤밍 공군기지 건설계획, 1968년 소련의 체코 침공사건 등은 중국 지도부가 소련의 대 중국 군사개입의 가능성을 실질적 위협으로 간주하게 만들었다. 바로 이런 상황 속에서 1969년에는 중소 국경에서 무력분쟁까지 일어났으니 소련과 중국의 양자 관계는 최저점에 다다랐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1960년대 당시 소련은 왜 중국과의 갈등을 해소하지 못하고 분쟁이 고조되게 만들었을까? 사실 소련이 중국 지도부의 마음을 돌이키기 위해 유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주복(Vladislav M. Zubok)의 연구에 따르면, 후르쇼프 실각 후 성립된 소련 집단지도체제 시기(1964-1968)에 소련 지도부는 소련 외교정책의 최우선 순위는 자본주의 서구와의 데탕트가 아니라 “형제”국가인 공산주의 중국과의 화해라고 생각하였다고 한다(Zubok 2009, 197). 그러나 소련 지도부는 중국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치적 격변 상황(문화혁명으로 치닫고 있는)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했다. 베이징의 소련 외교관들이 현지 상황에 대한 보고를 모스크바에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보고서는 적절한 관심을 받지 못한 것이다. 1965년 체르보넨코(Stepan Chervonenko)를 대신하여 주중대사가 된 라핀(Sergey Georgyevich Lapin)은 냉소적인 당 관료 출신으로서 현지 상황에 대한 적절한 분석조차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Zubok 2009, 197). 한편 1965년 코시긴(Alexei Kosygin) 수상은 하노이 방문 시 2차례에 걸쳐 베이징을 방문하여 각기 저우언라이(周恩来)와 마오쩌둥을 만났으나 회담 결과는 낙담할만한 것이었다. 중국 대표는 매우 완고했고 이념적으로 공격적이었으며, 소련의 “수정주의”를 비판하였다. 코시긴 수상은 베트콩에 대한 원조 문제를 두고서도 중국과의 정책 조정을 이끌어 낼 수 없었다.   1969년 중소 국경지역 분쟁 발발 초기 소련은 중국에 대해 군사•외교적 수단을 모두 동원해 대응하였다. 3월 최초의 교전 발생 이후 소련은 중국의 군사행동에 대해 군사보복을 가하는 한편, 코시긴 수상은 중국 지도부와 전화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중국 지도부는 정상적인 외교채널을 통해 연락을 하라며 통화를 거부하였다. 소련은 1964년에 중단된 중소 국경문제에 대한 협상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8월 중순 중국 신장과 카자흐스탄 간의 국경지역에서 갑작스럽게 발발한 교전 이후 소련의 태도는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8월 28일 프라브다(Pravda)지는 중국의 모험주의로 인해 중소 전쟁이 발발한다면, 이것은 핵전쟁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와 더불어 극동•시베리아 지역 소련군 증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69년 25개 사단이었던 소련군은 1973년 45개 사단으로 증강되었으며 전술전투기는 200개에서 1200개로 증가하였고, 이 지역에 있었던 50여 개의 SS-4, SS-5 중거리 탄도미사일들은 120개의 신형 SS-11로 대체되었다. 이에 대해 가토프는 소련이 극동-중앙아시아 지역 내 모든 군사 전력을 증강함으로써 위기가 발생할 경우 유럽과 아시아 양쪽 2개 전선에서 동시에 싸우는 것을 결정했다고 해석하였다(Garthoff 1994, 231-232).   이처럼 소련은 외교적 노력을 포기하고 군사적 압박을 가하는 방향으로 대 중국 외교 정책 방향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정에는 국경분쟁 후 소련 지도부가 가지고 있었던 중국의 비합리적 공격성에 대한 두려움이 주요하게 작동했다. 주복에 따르면, 당시 모스크바에서 다음과 같은 농담이 돌았다고 한다. “극동의 소련 사령관이 급하게 크렘린에 전화를 걸어 물었다. 5만 명의 중국인이 방금 국경을 넘어와 항복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Zubok 2009, 210) 종합적 국력에서나, 핵 전력에서나 전혀 비교할 바가 되지 않는 중국이 소련을 상대로 군사 분쟁을 일으킨 사실은 소련인들에게는 이해되지 않는 “비합리적 결정”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소련인들이 중국을 두려워했다면 그것은 공격성(혹은 공격 능력)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비합리성”에 방점이 있는 것이었다.   결국 1969년 국경분쟁에 대한 소련 측 태도는 중국을 겁주어서 중국인들이 다시는 소련 국경에서 도발하지 못하도록 억지하는 것이었다. 1969년 코시긴이 베이징 공항에서 저우언라이를 만났을 때, 저우언라이는 소련의 선제 핵 공격에 관한 “소문”을 언급하였고 당시 배석하였던 소련 외교관은 이를 중국이 소련의 핵 공격 가능성에 대해 매우 겁을 먹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저우언라이는 중국이 소련에 대해 전쟁을 계획하거나 시작할 의사가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전달하였다. 이 대화가 있은 후, 소련 지도부는 중국에게 위협적인 시그널을 다시 보냈고, 중국은 소련과의 비밀 불가침조약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핵 위협을 통해 중국을 억지하려는 소련의 전술은 잘해야 절반의 성공이었다. 소련의 핵 위협은 결국 중국 지도부로 하여금 미국과의 화해를 추구하고 북쪽의 북극곰에 대해 공동으로 대처하는 것을 추구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즉 고전적인 의미의 안보딜레마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미중 화해를 주도했던 키신저(Henry Kissinger)의 녹취록을 보면, 소련의 군사적 위협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의 안보 불안감은 상당히 컸고 미국은 이를 중국을 미국 측으로 끌어당기는 카드로 사용하였다.   한편 소련 측의 중국과의 관계개선 노력이 1969년 중소 국경분쟁 발발 이후에도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69년 코시긴 수상과 저우언라이 회담 당시 양국은 대사급 외교관 교환을 합의하였고 , 1970년 톨스티코프(V. S. Tolstikov) 소련 대사가 베이징에, 리힌구안(Li Xinguan) 중국 대사가 모스크바에 도착하였다. 양국 간 무역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972년에는 2억 9천만 달러 규모에 달하기도 했다(Garthoff 1994, 241). 그러나 양국 관계는 상호 불신과 적대감이 지배하였고, 결코 미중 화해가 그랬던 것처럼 전격적으로 개선되지는 않았다. 1972년 미중 화해 직후 브레즈네프(Leonid Brezhnev)는 삼각외교에서 소련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서 중국에게 불가침 및 국경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 제안을 하였지만, 중국은 이미 더 이상 소련과의 불가침조약이 필요하지 않았다(Garthoff 1994, 242). 그 결과 데탕트 시기 내내 소련은 삼각외교에서 불리한 한 축으로 남게 된다.   III. 미중 화해와 소련 지도부의 국제정세 인식   그렇다면 소련 지도부는 중국이 소련에 대항하여 미국과 결속할 가능성에 대해 왜 우려하지 않았을까?. 몇 가지 가설을 세워보자면, 첫째, 중국이 이념적 요인 때문에 미국과 결속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였을 가능성, 둘째, 중국이 미국과 화해하더라도 양국 간에 현존하는 현실정치적 문제 때문에 미중 화해의 실질적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을 가능성, 셋째, 미중 화해가 소련을 적대시 하는 군사적 동맹이 되지 않는 한 소련에 대한 위협 요인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을 가능성, 넷째, 중국 및 미국의 외교 현황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오판 가능성 등을 상정해 볼 수 있다...(계속)

강윤희 2014-08-25조회 : 14313
워킹페이퍼
[NSP Report 74] 러시아 신(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지역정치: 지역 세력망구도 변화와 러시아의 가능성 및 한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신범식 교수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슬라브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러시아 외교정책과 유라시아 국제관계다. 주요 논저로는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2006, 편저), 《러시아의 선택: 탈소비에트 체제전환과 국가•시장•사회의 변화》(2006, 공저), Russian Nonproliferation Policy and the Korean Peninsula (2006, 공저),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2008) 등이 있다.         I. 문제 제기   현재 동북아 지역질서 구축 주도권을 잡기 위한 미중 간 경쟁이 동북아 지역정치의 기본적 단층면을 형성하고 그 경쟁구도가 양국을 상호 속박하게 되면서, 이 경쟁구도가 역내 국가들에게 영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지 아니면 양국 간 경쟁으로 주변국들의 입지가 위축될지는 불확정적이다. 급변하는 동북아 지역정치 구도에서 각국은 최소한 자국의 입지를 방어하거나 적극적으로는 그 영향력을 신장할 기회를 얻기 위해 새로운 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한 두 국가의 힘으로 신(新)아시아 질서를 구축하거나 주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가운데, 역내 갈등을 조절하고 지역정치를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지역적 안보협력 기재를 구축할 필요와 요구는 날로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지구 및 지역질서의 전환기적 특성과 맞물려 동북아 지역의 다양한 변화가능성과 충돌하는 가운데, 탈냉전 이후 동북아 지역 무대에서 급속한 영향력 약화 및 단기간의 회복을 경험한 러시아의 역할에 대한 관심도 높아가고 있다.   한반도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과 중국이 “동맹의 연루”에 따른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것과 달리 러시아는 남•북한 동시 수교국으로서 한반도 문제에서 좀 더 자유로운 행보를 취할 수 있는데, 어쩌면 러시아는 이런 가능성을 기반으로 한반도 문제에서 발언권과 영향력을 고양시킴으로써 잃어버렸던 동북아 전략적 행위자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회복하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관련 러시아가 가장 ‘피하고’ 싶은 상황은 전쟁이나 갈등과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이며, 한반도 분단 구조 속에서 남•북한 동시 수교국으로 조심스럽게 회복해 온 동북아 이해당사자 및 6자회담 당사국으로서의 지위를 ‘지키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의 급속한 부상(浮上)과 영향력 확대로 인해 러시아의 부담이 커가는 가운데, 러시아는 한반도를 둘러싼 세력관계를 미중 양극 구도로부터 미-중-러 3극 내지 준(准) 3극 구도로 변화시키기 위해 가용 자산을 최대한 동원하여 미중 경쟁의 틈새를 ‘파고들고’ 싶은 욕심이 날 법도 하다. 물론 러시아에게 이를 추진할 충분한 내적 역량과 의지가 얼마나 있는지 확답하기는 어렵다. 분명한 것은 러시아가 얼마나 기여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러시아가 ‘피하고’ 싶은 한반도 갈등 내지 분쟁 상황이 현재까지도 어렵사리 관리되고 있으며, 또한 러시아가 ‘지키고’ 싶은 한반도 문제 당사자로서 일정한 지위는 어쨌든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러시아에게 제기되는 과제는 “이 지역에서 무엇을 더 ‘얻어’ 낼 수 있는가?”이다(신범식 2013a).   탈냉전 이후 동북아에서 러시아가 지향해 온 외교는 “기회주의적 약진”을 추구하는 형태로 표출되곤 했다. 이를 위해서 중국과 관계를 잘 관리하고 북한과 관계를 회복•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정책 옵션이었다. 그리고 이제 한국 및 일본과 실질협력을 증진하려는 노력은 러시아의 역내 영향력뿐 아니라 미래 성장동력을 찾아내는 전략과 결부되면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동북아에서 미국과 협력기재를 마련하는 것은 러시아의 역내 지위를 공고히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축이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미국은 러시아가 동북아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부상에 따른 부담 증대라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동북아 행위자로서 위상 강화는 바라지 않는 듯하다(Севастьянов 2008).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미국은 지구적 수준에서 대러시아 제재를 서서히 강화시켜 나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는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를 관리하면서 유라시아 통합을 가속화시키는 것은 물론 아시아 방면에서 중국과 전략적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 틀을 조정해 가고 있다.   이 글은 러시아가 동북아 지역정치 구도 속에서 경험한 위상변동과 새롭게 직면하게 된 도전,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을 지역정치 주요 행위자들 간 관계 속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1) 러시아 주요 외교안보 관련 문건들에 나타난 러시아의 동북아 정책 원칙을 지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2) 최근 푸틴 3기 정부의 신동방정책으로 불리는 전략적 시도가 동북아 지역정치 구도 속에서 어떤 지향점과 성과 및 한계를 노정하고 있는지 분석한 뒤, 3) 이런 러시아 신동방정책이 가지는 의미를 동북아 세력망 구도를 바탕으로 해석해 봄으로써 지역정치 내 러시아의 존재와 위상, 그리고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해 볼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이 한국외교에 대해 지니는 시사점을 동북아정치의 미래와 연관하여 적시해 보고자 한다.   II. 기본문건 분석: 외교정책 개념, 안보 개념, 군사 독트린   러시아 외교정책, 안보정책, 군사정책의 주요한 기본 원칙과 그에 따른 정책적 사고(思考) 동향을 보여주는 주요 문서들로는 외교정책개념(Концепц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국가안보개념(Концепц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군사독트린(Военная Доктр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등이 있다. 이 문서들은 러시아 정부 내 주요 관계부처 관료들의 오랜 토의 끝에 작성되는 결과물로서, 단순한 수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 외교, 안보, 군사 정책의 전략적 지향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각 문서들은 외교, 안보, 군사라는 다른 영역을 다루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하나의 세계관 위에서 작성되고 있으며 또한 공통된 정책 지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러시아의 외교정책개념은 러시아의 기본적 국제정치관은 물론 외교정책 목표와 각 지역별 정책방향을 보여주는 문서다. 최근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2000년 및 2008년 외교정책개념 문서를 보면 러시아의 주요 관심사가 기존의 냉전 시기 군사적 대립과 핵무기에서 경제, 정치, 과학, 기술과 같은 비군사적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Концепц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8 июня 2000 года 2000/6/28; Концепц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15 июля 2008 года 2008/7/15). 또한 러시아는 테러리즘, 조직범죄와 같은 비전통 안보 영역의 위협과 도전들이 거세지고 있음에도 주목하고 있으며 국제정치에서 UN 역할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존중 역시 강조되고 있다.   2000년 문서는 러시아 외교정책의 핵심적 목표로 총 7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국가 안보, 주권, 영토 통합성 보전; 둘째, 안정적이고 공정한 민주적 세계 질서 확립; 셋째, 경제 발전을 위한 긍정적 외부 환경 조성; 넷째, 주변 국가들과 우호적 관계 유지; 다섯째, 타 국가들과 조화적 관계 구축; 여섯째, 해외 러시아인 및 러시아 동포들의 권리와 이익 보장; 일곱째, 러시아의 긍정적 이미지 증진 등이다. 지구적 차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러시아 정부의 우선순위로는 첫째, 새로운 국제 질서 형성; 둘째, 국제 안보 증진; 셋째, 국제 경제관계 발전; 넷째, 인권 관련 국제 관계 관리 및 안정; 다섯째, 외교 정책 활동을 위한 정보 지원 등을 들고 있다.   2008년 외교정책개념 문서에서는 2000년 내용들이 유지되는 가운데 드러나는 중요한 차이점들을 통해 러시아 외교정책의 최근 변화를 보여준다. 첫째, 2008년 러시아 외교정책개념에서는 경제문제가 이전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2000년 당시 러시아 외교의 두 번째 주요 목표였던 안정적이고 공정한 민주적 세계 질서 확립은 2008년에 와서는 세 번째 목표로 물러나고 그 자리에 경제 발전과 근대화를 위한 긍정적 외부 환경 조성이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러시아 정부가 러시아의 경제 발전, 근대화를 매우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내적 역량 강화에 대한 관심과 그 한계에 대한 국내적 위기의식이 더욱 고조되는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다극질서에 대한 강조 및 미국 일방주의에 대한 비판 어조가 누그러졌다. 2000년 문서에서는 다극질서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하는데, 앞서 언급한 안정적이고 공정한 민주적 새로운 국제질서의 수립이 당시 러시아 외교정책의 두 번째 주요 목표였다는 점과 “미국의 경제와 힘의 지배를 통한 일방적 국제질서의 수립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라고 주장하며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질서를 노골적으로 비판한 점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하지만 2008년 문서에서는 다극질서 자체에 대한 언급이 줄어들었고, 국제정치 무대에서 어느 특정 국가의 일방적 행동에 대해서는 비록 부정적인 평가를 내릴지언정 이를 미국이라 명시하지는 않고 있으며 미국이 주도하는 일방적 국제 질서에 대한 노골적 비판 역시 자제하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 미국에 대한 불만을 자제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다른 식으로 보면 강대국으로서 자신감을 회복해 가는 러시아가 새로운 행동의 자유를 지향하고자 함을 암시했는지도 모른다.   셋째, 러시아 정부의 직접적인 자신감도 드러난다. 2008년 러시아 외교정책개념 문서의 두 번째 장인 ‘현대세계와 러시아 외교정책(Современный Мир и Внешная Политика РФ)’은 “새로운 러시아가 국익에 대한 확고한 바탕을 마련하고 국제정치에서 온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는 기조로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신감은 2000년 외교정책개념 문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특성으로, 러시아 외교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는 결국 러시아가 그루지야 전쟁, 크림사태 등에서 보여준 행동이 힘에 기초한 자국 이익 관철임을 예견케 하는 단초가 되었다는 판단은 크게 그르지 않을 것이다.   넷째, 러시아 정부는 지속적으로 국제법과 UN 역할에 대해서 강조해왔는데, 2008년 외교정책개념에서도 이를 강조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때 지구적 차원 문제 해결을 위한 두 번째 우선순위로서 “국제관계에서 법의 지배”를 추가했다. 이는 2000년 문건에서는 거론되지 않았던 항목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UN안보리 및 헌장의 중요성과 국제법 준수 의무를 강조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주권 및 내정불간섭 원칙과 더불어 국제적인 문제의 일방적 해결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지향점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러시아의 국가안보개념 문건은 러시아 안보정책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는 문건이다. 1997년 12월, 2000년 1월에 각각 국가안보개념 문서들이 발표된 바 있으며 2009년 5월에 새롭게 발표된 ‘국가안보전략 2020’(Стратег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о 2020 года)은 기존의 국가안보개념 문서를 대체하게 되었다(Концепц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1997/12/17).   2000년 국가안보개념 문서는 앞서 살펴 본 2000년 외교개념 문서와 비교했을 때 기본적인 국제정치관과 정책 지향점 측면에서 많은 공통점이 있다. 이는 2000년 국가안보개념이 문서 첫 부분부터 일방주의를 비판하고 다극질서의 출현을 강조했다는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를 정치, 경제, 군사 등 여러 면에서 약화시키려고 노력하는 국가들이 있다”고 노골적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특히 2000년 국가안보개념 문서에서는 러시아의 “국가 이익”을 개인, 사회, 국가의 수준에서 국내정치, 경제, 사회는 물론 국제, 정보, 군사, 국경, 환경 등 제(諸)분야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이익의 총체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의 안보개념 역시 단순한 군사적 안보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등 다른 분야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안보(comprehensive security)” 개념에 입각하여 제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제, 인구, 환경, 문화 등 세부분야에서 러시아 정부가 취해야 하는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의 국가 이익이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통해서만 실현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경제적 기반 확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00년 국가안보개념 문서에서 제시된 안보개념과 주요 정책방향은 상당 부분 ‘국가안보전략 2020’에서도 유지되고 있다(Стратег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о 2020 года 2009/5/12). 하지만 차이점 역시 발견되는데, 이는 2000년과 2008년의 외교정책개념 문서가 보였던 차이와도 같은 맥락에 놓여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국가안보전략 2020에서도 2008년 외교정책개념에서 발견되는 러시아의 자신감과 좀 더 낙관적 세계정세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 국가안보전략 2020에 나타난 러시아의 국제정치관은 2000년 안보개념의 그것보다는 낙관주의와 자신감이 더 잘 표현되어 있다(Dimitrakopoulou•Liaropoulos 2010, 38). 러시아는 2020 문서에서도 한 국가의 일방주의적 행동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판적이나, 미국에 대한 언급을 피하면서 이를 나토(NATO)에 대한 비판으로 새롭게 구체화하고 있다. 특히 나토가 러시아에게 중요한 이익이 되고 있는 지역 내 국가들에게 군사적 인프라를 확장하는 것을 가장 첫머리에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러시아는 나토가 중요한 국제법상 원칙들을 무시하고 위반하는 상황을 비판하고 있다. 이는 미국과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면서 러시아의 국익이 어떻게 침해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되 여타 부분에서의 협력 가능성까지 닫지는 않으려는 러시아의 국가안보적 근심과 고려를 잘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2020 문서는 2000년 국가안보개념 문서에서와 같이 러시아를 방해하려는 국가들로부터의 위협에 대한 언급은 사라지고 없다.   둘째, 2000년 안보개념 문서에서 드러났던 포괄안보가 2020 문서에서는 더 구체화되어서 나타나고 있다. 2020 안보전략문서는 경제 발전의 중요성과 러시아 시민들의 삶의 질 그리고 사회 경제 발전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3장에서는 민주 국가, 시민사회 건설, 국가 경제 경쟁력 향상이 장기적 국익으로 상정되고 있다. 국가 안보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국방, 국가와 공공의 안보, 러시아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 경제 성장, 과학•기술•교육의 강화, 보건의료 강화, 문화 창달, 생태계 보존, 전략적 안전성과 전략적 동반자와 평등한 관계 등의 순으로 그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국가안보의 주요 지표로서 실업률, 소득불평등 지수, GDP 대비 부채율, 공공 지출, 무장 쇄신 등을 제시함으로써 이전과는 달리 포괄안보에 대한 구체적인 사유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러시아 외교정책개념, 안보개념 및 안보전략은 각 문서들이 다루고 있는 영역이 다르더라도 공통적인 세계관과 정책 지향을 공유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러시아 군사 독트린 역시 앞 문서들과 많은 공통점을 보여주는 동시에 안보 중심적 분야로서 러시아의 군사정책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러시아 군사 독트린은 1993년, 2000년에 각각 발표된 바 있으며, 최근 2010년 2월 5일에는 새로운 군사 독트린이 발표되었다.   2010년 군사 독트린은 먼저 러시아의 안보 환경을 평가하면서 정치 및 군사적 위협이 부분적으로는 감소했지만 새로운 분야에서는 증가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De Haas 2010, 3). 특히 1993년, 2000년에 발표된 각각의 군사 독트린에서는 “군사적 위협”(военные угрозы)만을 언급하고 있는데, 2010년 문서에서는 “군사적 위험”(военные опасности)을 같이 언급하면서 ‘위험’이 ‘위협’보다 우선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술되고 있다(De Haas 2010, 3).   군사 독트린 상 위험은 위협보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들로서, 각각 8, 9 항목을 통해 외부와 내부 위험으로 나누어 기술되고 있다. 외부 위험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은 나토의 위험이고, 다음으로는 개별 국가들의 전략적 안정을 해치려는 시도, 러시아 접경지 내 군사력 확장, 전략 무기 및 미사일 배치, 러시아와 동맹국들의 영토 침해와 내정 간섭, 대량 살상 무기•미사일 기술 확산, 개별 국가의 국제 협정 위반, 테러리즘 등 총 11가지 사항이 구체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Военная доктр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10/2/5). 러시아가 처한 내적 위험으로는 러시아의 정체(政體)를 바꾸려는 시도, 러시아의 영토 통합성과 주권에 대한 침해, 국가기구의 작동 방해 등 일반적인 사항이 언급되고 있고, 안보개념 문서에서 다루어졌던 에너지, 인구, 사회 경제 발전 등의 문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러시아가 처한 ‘위협’으로는 군사 및 정치적 상황의 급격한 악화 등과 같이 ‘위험’보다는 좀 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내용만 언급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인식은 좀 더 실제적인 “위험 인식”으로 구체화되면서, 이 위험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대응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러시아의 구체적인 위험 인식은 결국 대응책 마련 간에 군사적 조치가 수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군사 독트린 상 러시아가 군사 및 정치적 협력을 해야 할 대상의 우선순위로는 벨로루시,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독립국가연합(CIS), 상하이협력기구(SCO), 국제연합(UN)이 지목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나토 확장에 따른 자국의 군사적 위협 및 위험에 대한 인식 수준이 대단히 높으며, 동시에 다자주의적 군사 안보에 대해 높은 기대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신 군사독트린이 특이한 점은, 2010년을 전후로 나온 외교정책 및 안보 관련 문건들과는 다르게 러시아가 중국, 인도와 가지고 있는 특별한 관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De Haas 2010, 4). 러시아에게 군사적으로 중요한 동맹은 CSTO 국가들로서 러시아는 CSTO 국가들에 대한 공격을 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동맹 범위를 잘 드러내주는 대목이다.   이상의 분석은 러시아의 외교안보 정책이 점차 초기의 국제주의적 기조에서 벗어나 강대국 위상 회복을 희구하거나 과시하기 위한 독자적 정책노선 강화로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루지야 전쟁 발발과 함께 이러한 변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 섞인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크림합병 조치에 의해 좀 더 확실한 정책으로 현실화됐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러시아의 정책적 선회는 탈냉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국제질서가 좀 더 심각한 변화 압력과 직면하게 되었다는 평가를 가능케 한다.   III. 푸틴 3기 러시아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러시아의 동북아 정책은 안보, 군사, 외교 정책 원칙 측면에서 매우 어려운 고민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최근 세 번째 임기를 시작한 푸틴 대통령 시기 러시아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신범식 2013a, 151-152)...(계속)

신범식 2014-08-25조회 : 14121
워킹페이퍼
[NSP Report 71] 데탕트 국면에서 박정희 행정부의 선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부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주요 연구분야로는 국제기구, 한반도와 국제정치 등이 있다. 주요 논저로는 “안보위협을 대처하는 중소국의 선택” (2010), “Bargaining,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state Dispute” (2009, 공저),《고위관료들, ‘북핵위기’를 말하다》(2009, 편저) 등이 있다.         I. 들어가며   1970년대 데탕트 국면에서 박정희 행정부의 국내정책과 대외정책은 선명하게 대비된다. 대외적으로 보면, 박정희 행정부는 북한은 물론 공산권과의 관계에서 유화국면을 조성하려고 노력했다. 한국 정부는 남북 사이의 무한경쟁에서 벗어나 통일을 염두에 둔 남북대화를 시도했고, 북한의 국제기구 가입을 막지 않았으며, 심지어 공산권과 관계 개선을 도모했다. 반면, 국내적으로 한국 정부는 남북대결이 임박하며 국가의 생존이 위험에 처한 듯이 행동했다. 국군현대화계획, 자주국방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중화학공업 육성, 핵무기 개발 시도 등이 그 예이다. 더 나아가 “남북 대화의 적극적인 전개와 주변 정세의 급변하는 사태에 대처”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선포된 10월 유신으로 인해 한국의 민주주의는 암흑기를 맞이하였다.   한국이 데탕트 국면에서 국내외적으로 상이한 행보를 보인 원인에 대한 논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전통적인 견해와 공개된 사료에 토대를 둔 연구에 따르면, 박정희 행정부는 미군 철수와 북한의 도발로 인한 안보불안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내적 통합과 자주국방을 모색하였고(e.g. 김형아 2005; 마상윤 2003, 176-184) 이를 위한 시간을 벌고자 남북대화와 주변국과의 긴장완화를 모색하였다(e.g. 윤홍석 2004, 78; 중앙일보 특별취재팀 1998). 둘째, 박정희 행정부의 장기집권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는 데탕트 국면에서 존재했던 안보불안이 과장되었으며, 거대 성장한 군부세력이 안보불안을 활용하여 장기집권을 모색하였다고 해석한다(e.g. 김정주 2008, 483-48; 김지형 2008, 34-36; 임혁백 2004, 235-238; 홍석률 2010, 305-311). 셋째, 한국 내부의 사회적 모순과 경제성장 경로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는 유신체제를 중화학공업을 육성하기 위한 강제적 자본집중과 동원의 기제로 파악한다(e.g. 강민 1983, 353-360; 한상진 1988).   이 글은 1960년대 남북한 집권세력의 국가전략에 초점에 맞추어 데탕트 국면에서 남북한의 선택을 조망한다. 이 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한국전쟁 이후 남북한의 국가전략이 엇박자를 보이는 현상을 기술한다. 1950년대 이승만 행정부는 실체가 없는 북진통일론을 내세우면서 군비보강에 국력을 투여하였다. 반면, 북한은 ‘민주기지노선’을 내세우면서 전후 복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는 남북한의 중점 영역이 뒤바뀌었다. 군사 쿠데타로 등장한 박정희 행정부는 “조국 근대화”를 국가 목표로 정립한 후, 경제성장에 국가 재원을 투자하였다. 반면, 북한은 “병진노선”을 채택하여 국가 재원을 국방비에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남북한의 국가전략이 엇박자를 보이면서, 남북한은 진실된 화해를 위한 접점을 찾지 못했다. 둘째, 데탕트 국면에서 박정희 행정부의 위기 인식을 검토한다. 북한과의 대결, 국내 경제성장전략의 단점, 국내정치적 취약성으로 인하여 이미 잠재적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박정희 행정부는 주한미군의 철수 상황에서 심각한 위기감을 가졌다. 셋째, 데탕트 국면에서 박정희 행정부의 생존전략을 항목별로 검토한다. 박정희 행정부는 미국으로부터 버림을 받을 위험성, 북한의 도발 가능성, 경제성장의 지체, 국내 정치세력의 반발에 대처하기 위하여, 자주국방, 중화학공업 육성, 외교 공세 등을 시행하였다. 또한, 대화를 진행하는 동안 북한이 도발하지 않으리라 기대하면서, 중화학공업을 육성할 시간을 벌고자 하였다(박정희 1975/1/14 국가기록원; 국토통일원 1985; 국토통일원, 670). 마지막으로 박정희 행정부의 위기 요인과 대처 방식, 박정희 행정부의 대응책이 남긴 유산을 검토한 후, 현재 한국의 정치세력에 주는 교훈을 정리한다.   II. 민주기지 vs. 북진 통일   이 절은 1950-1960년대 초반 엇박자를 보인 남북한의 국가전략을 기술한다. 1950년대 북한은 중국과 소련의 후원 아래서 전후 복구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을 추진한 반면, 한국은 북진통일론을 채택하였다. 이 시기 북한은 성공적 전후복구와 한국의 경제문제로 인하여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다. 한국은 북진통일을 구호로 외쳤지만 분단상황을 관리하는 데에서 열세에 놓였다.   (1) 북한의 선경(先經) vs. 한국의 북진통일   1953년 6.25 전쟁이 멈춘 후, 남북한은 상이한 국가전략을 채택하였다. 북한은 ‘민주기지노선’을 천명하면서, 전후 복구에 집중했다. 1954년 11월 3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에서 김일성은 통일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국토통일원 1985a, 261). 조국통일을 위하여 우리는 두 가지 방면에서 일을 잘 해야 하겠습니다. 한 방면으로서는 남조선인민들에게 꾸준히 우리 당의 영향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미제와 리승만 역도를 반대하여 궐기하도록 해야 하며 다른 방면으로는 북반부 민주기지를 더욱 철옹성같이 강화해야 합니다. 민주기지 노선은 북한의 경제건설에 초점을 맞춘다. 김일성은 (1) 북한을 “낙원”으로 만들 정도로 민주기지를 경제적으로 강화하면, (2) 남한 주민이 북한을 동경하고 남한에서 혁명기세를 높일 수 있고, (3) 북한의 물질적 토대와 남한의 노동운동이 결합되면 통일에 이른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김일성 1957/8/25 국토통일원 1985a, 341). 즉, 민주기지 건설은 한반도에서 “모든 정세변화의 기본적 요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김일성 1957/9/20 국토통일원 1985a, 345). 북한은 민주기지에서 통일로 이어지는 3단계 논리 아래에서 경제건설에 집중했다. 북한은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전후복구 3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시기 북한은 구소련으로부터 10억 루블의 경제원조, 중국으로부터의 식량원조, 그리고 북한 주민의 동원을 통하여 괄목할 만한 전후 복구를 이루어냈다. 1955년에는 6.25 전쟁 이전의 경제생산능력을 회복하였다(강인덕 1974상, 468).   북한은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인민경제발전 5개년계획을 실시하였다. 김일성은 1차 5개년계획의 중심과업을 “사회주의적 공업화의 토대를 닦으며 인민들의 의식주를 기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즉, 사회주의적 경제발전을 위한 중공업과 주민들의 소비품을 공급하는 경공업을 균형적으로 발전시켜 “자급자족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천명한 것이다(김일성 1981a, 106-107). 북한의 1차 경제계획은 외형상 성공을 거두었다. 공업부분의 연평균 성장률은 36.6%였고, 농업부분에서도 수리화, 전기화, 기계화가 진행되었다. 식량문제와 의식주 문제가 기본적으로 해결되었다고 선언할 정도였다(김일성 1981b, 157-184)...(계속)  

조동준 2014-07-30조회 : 13142
워킹페이퍼
[NSP Report 72] 한국의 동아시아 지역전략과 한반도 전략의 현황과 과제

동아시아연구원 아시아안보연구센터 소장 겸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최근 저술로는《정치는 도덕적인가》,《동아시아 국제정치 : 역사에서 이론으로》,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탈근대론과 현실주의의 비판 고찰,” “유럽의 국제정치적 근대 출현에 관한 이론적 연구,” “강대국의 부상과 대응 메커니즘 : 이론적 분석과 유럽의 사례” 등이 있다.           I. 서론   이 글은 변화하는 2010년대의 미중관계, 더 크게는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의 정부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어떠한 전략적 구상을 토대로 대처해 나가고 있는지, 그러한 전략이 적절한지를 살펴본다. 특히 1970년대 초반 미중 관계가 소위 데탕트를 기점으로 급변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 역시 빠르게 변했던 상황을 염두에 두고 과연 현재의 한국이 어떠한 함의를 추출할 수 있는지도 알아본다.   21세기 들어 중국의 부상은 빠르게 지속되고 있는 반면, 미국의 상대적 쇠퇴는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두드러진다. 세력균형의 변화와 더불어 양국은 전략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데, 미국은 소위 아시아 중시전략을 2010년 전후로 추진하고 있고, 중국은 시진핑 체제가 출범하면서 본격적인 강대국 전략을 포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중은 2013년 6월 정상회담을 통해 소위 신형대국관계를 선언한 바 있는데, 이는 그간 미중이 각각 추구해온 지역전략의 공통점을 찾아 일정 기간 동안 협력 상태를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협력 상태 속에서 경쟁은 지속될 것이고, 미중 두 강대국의 협력 속 경쟁은 주변국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Shambaugh 2013). 과연 미중 신형대국관계가 주변국들의 대강대국 정책에서도 신형관계로 나타날지, 그리고 주변국들 간의 관계도 신형관계로 귀결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Campbell 2013).   대표적인 대상이 한반도다. 미중이 신형대국관계 속에 협력관계를 추진할 때 각각의 동맹국인 한국과 북한도 신형남북관계를 설립할 수 있을 지가 관건이다. 데탕트의 시기를 보면 미중은 상호협력 관계를 수립하면서 남과 북이 소위 미니데탕트를 추진하도록 독려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는 단기간에 걸친 남북 화해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불과 3년이 채 안되어 남북 간에는 다시 대결과 경쟁관계가 복구되었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은 강대국들이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 질서라 하더라도 강대국들 간의 관계 설정이 주변국들 간의 관계에 직접 반영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거꾸로 따져보면 강대국들의 관계 개선이 주변국들에 긍정적으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주변국들 역시 나름대로의 독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현재 한국은 북핵 문제, 더 나아가 북한 문제로 오랫동안 고통을 겪어왔다. 북한 문제는 탈냉전초기, 9.11테러 발생 이후 반테러 전쟁기를 거치면서 그 환경이 변화되었다. 향후에는 미중의 동아시아 세력경쟁 구도 속에서 새롭게 문제가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한국은 북핵과 북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데 있어, 미중 관계의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동아시아 전략과 대북전략을 선순환 구조로 엮을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과 동아시아 정책을 살펴보고, 미중 관계의 변화가 어떠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정책 제언의 관점에서 함께 분석해 보기로 한다.   II. 한국의 동아시아 지역전략 현황과 과제   1. 미국의 아시아 중시정책 전개   현재 동아시아는 전반적인 세력균형 변화와 더불어 국가중심의 근대 국가체제가 복잡화되는 소위 탈베스트팔리아, 혹은 탈근대 이행을 동시에 겪고 있다. 냉전 종식 유지되어 오던 미국 중심의 단극체제는 미국이 반테러전쟁과 2008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재정적자가 심각해지고 이어 상대적 쇠퇴, 혹은 전략적 축소(retrenchment)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Brooks, et al. 2012; Beckely 2011). 반면 중국은 9% 전후의 경제성장을 지속하여 왔고, 세계적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정부 주도의 경기부양책 으로 두드러진 둔화 없이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그간 누려왔던 지도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군사기술 부문의 뛰어난 선도성과 외교적 지도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Drezner 2013, 52-79). 반면 군사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은 자국의 경제성장이 군사력 증강으로 이어지려면 일정 기간 지체현상이 벌어질 것이다(Johnston 2013; Schweller and Pu 2011).   미중 간의 세력균형 변화는 전략의 변화로 이어져 미국의 아시아 중시전략과 중국의 강대국 전략이 본격적으로 교섭하게 만든다. 현재 수립된 신형대국관계 및 그 유지국면은 미국으로서는 패권부활에 필요한 경제적, 외교적, 정치적 전략공간을 마련하고 중국으로서는 강대국 부상에 필요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제발전 환경 조성 및 소강사회 건설을 통한 국내기반 강화의 시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이 향후 경제력 회복을 통해 다시 패권국의 지위를 차지할지, 중국이 소강사회 건설 이후 탈소강패권국의 지위에 오를지는 향후 지켜보아야 알 수 있을 것이다.   미중 두 강대국의 세력균형 변화 이외에도 동아시아는 전반적인 국제질서의 변화를 겪고 있다. 수많은 FTA 조약 네트워크에서 보듯이 역내 무역량이 증가하고 생산네트워크가 촘촘해지는 등 역내경제통합이 가속화되었다. 민주화되는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시민사회가 발전하고 동아시아 차원의 시민사회네트워크도 성장했다. 또한 여러 형태의 동아시아 지역 다자협력기구들이 만들어지면서 국가들 간의 세력경쟁에 규범적 제약을 가하는 국제환경도 조성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국가 중심, 하드 파워 중심의 근대적 국제정치도 네트워크 거버넌스 형태로 서서히 변화하려는 기운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정부는 첨예해져 가는 세력균형과 탈근대 이행의 거대 흐름 속에서 양자 모두에 적절히 대비하는 복합전략이 필요하다. 한국의 역대 정부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부분적으로 시도했으나 이들이 통합된 전략으로 구체화된 경우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들다.   2. 박근혜 정부의 동북아지역전략과 과제   박근혜 정부가 현재까지 제시해온 동북아 지역전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주변 강대국에 대한 양자 전략 내용은 있지만 전체 지역전략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박근혜 정부는 미국과의 동맹관계 강화,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 러시아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 강화 및 다각화, 일본에 대한 원칙 중시 외교, 그리고 동북아평화협력구상 등을 지역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전략들이 미중 신형대국관계 수립이라는 양자적 변화,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지역적 변화를 민감하게 의식한 상태에서 제시된 전략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의 여지가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5월 방미하여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지고 이명박 행정부로부터 이어온 포괄적 전략동맹을 이어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북핵 문제에 대한 공조체제를 다지고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대한 지지를 얻는다는 것이었다(외교통상부 2013a). 한국과 미국은 이후 주요 현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현재까지 전시작전통제권 반환 조건, 주한미군 분담금 배분, 원자력협정 개정, 그리고 주한미군 기지이전 등에 관해 논의해오고 있다. 특히 북한이 3월 이후 병진전략을 추진하면서 비핵화를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한 조건 마련을 위해 한미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미 간의 전략협의는 여전히 명확한 개념과 비전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아시아 중시전략과 미중 신형대국관계 전략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아시아 중시전략을 통해 아시아에 대한 정치, 외교, 군사, 경제, 사회문화적 개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기존의 동맹국 관계 강화를 전략의 핵심에 두고 있다. 아시아 중시전략이 대중전략으로 채워지는 것은 아니지만 향후 미중관계를 어떻게 유지해나갈지에 대한 미국의 관심은 지대하다. 한편 이러한 미국의 아시아 중시전략과 미중 신형대국관계는 양립이 가능하다. 미국은 중국과 상호협력관계 심화를 유지하면서 리더쉽 부활에 필요한 경제, 외교적 힘을 축적하고자 한다. 신형대국관계는 미국에게 이러한 노력의 시간을 벌어줄 수 있는 전략인 것이다. 미국이 추진하는 아시아 중시전략에서 한국은 어떠한 대미관계를 수립해야 하는지 점차 입장을 정해야 하는데 이는 미국이 계획하는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한국이 추구하는 동아시아 질서 간의 조정을 통해 가능하다. 과연 한국이 명확한 지역질서 구상을 가지고 한미 간의 포괄적 전략 동맹관계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인지가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미 간에는 중국을 포함한 지역전략 구상 협의가 활발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1972년과 명확히 비교된다. 데탕트 당시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동아시아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줄이고 대만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협의하면서 한국에 대한 안보공약을 약화시키고, 남북 간의 화해를 독려하는 전략을 추구했다. 박정희 정부는 이러한 미국의 지역전략을 염두에 두고 한편으로는 미국의 대북 협상 권고를 받아들여 <7.4 남북공동성명>을 추진하는 한편, 북한의 대남 노선에 대응하는 군사, 경제 전략을 추구하는 전략적 노련함을 보인 바 있다. 현재 미국은 다가오는 미래의 미중 경쟁관계를 의식하면서 당분간 미중 신형대국관계를 추구하고 있는데 과연 한국이 미중 간의 민감한 전략관계를 의식하고 한미동맹전략을 추구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계속)

전재성 2014-07-30조회 : 14745
워킹페이퍼
[NSP Report 70] 오바마 행정부 등장 이후 미국의 대중정책: 아시아 공존의 상호인정과 지속되는 긴장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건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에서 미국정치를 전공으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미국정치발전, 미국외교, 미국과 한국의 정치제도 및 과정 등이다. 최근 연구로는 《기후변화 대처와 미국 패권의 딜레마: 국제적 공공재 창출에 대한 국내적 저항》,“미국 의료보험 개혁법안의 최종 통과과정: 하원의 자동실행규칙의 폐기와 오바마 행정 명령의 선택,” “미국정치의 집단적 사회운동으로서 티파티 운동 참여자의 성격과 구성” 등이 있다.         I. 서론   중국의 미래발전양상과 미국과 중국 간의 관계만큼 일반인과 학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지역적 혹은 국제정치적 현상은 아마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1970년대 후반 개혁과 개방 이후 세계의 어느 지역보다도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으며, 이러한 축적된 경제력을 배경으로 군사대국으로의 비상을 함께 도모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에 필적하는 강대국으로 부상하기에 이르렀다. 반면 2000년대 초반 이후 약 10년 동안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개의 전쟁을 치르느라 국력을 소모한 미국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엄청난 규모의 재정적자와 국내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2000년대 판 미국 쇠퇴론을 다시 경험하기에 이르렀다. 미국의 상대적 위상 약화와 중국의 급속한 부상은 중국의 미래 및 미중관계의 향후 진로와 관련하여 다양한 질문을 던지기에 충분한 세계사적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다. 과연 중국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할 것인가? 과연 중국의 경제적, 군사적 성장은 주변국가의 안보와 번영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것인가? 중국의 경제성장은 정치적 자유화와 민주화로 귀결될 것인가? 미국과 중국이라는 주요 강대국 간의 관계는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귀결될 것인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양국은 결국 군사적 대결을 경험할 수밖에 없을 것인가, 아니면 비군사적 형태의 긴장 속에서 타협을 통해서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인가? 양국 간 다양한 차원의 상호협력에 대한 절박한 필요성은 이러한 갈등을 회피하는 방패가 되어 줄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중국의 미래를 예측하거나 미중관계의 전개양상을 관찰하고 그 패턴에서 전략이나 교훈을 얻으려는 식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이미 지난 20여년 간 다양한 답변들이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강대국이 신흥 강대국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Levy 1987; Mearsheimer 2001; Schweller 1994; Schweller 1999),  중국의 경제적, 군사적 성장에 대한 미국의 현실주의적인 관점 및 이에 근거한 미중관계의 분석(Friedberg 2002, 2011; Mearsheimer 2001; Tellis 2013), 중국위협론의 맹점에 대한 지적과 지속적인 관여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Lieberthal 2001; Lampton 1996; Roy 1996), 중국부상에 대한 포괄적 분석과 특히 세력전이 이론으로 미중관계를 파악하는 경향의 문제점(Ross and Zhu 2008; Levy 2008), 미중관계는 특정한 경로를 걷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다기보다는 협력과 갈등 속에서 양국의 상호 관리와 조정 여부에 달려 있다는 의견(Shambaugh 2002, 2013) 등 다양한 관점과 해석들이 등장하면서 중국의 미래와 미중관계의 향후 전망에 관한 연구가 당대의 문제의식 속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들은 저술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미중관계를 분석하고 진단했다는 점에서 다양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논의의 근본적인 동인은 빠르게 부상하는 중국의 경제력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군사력이 탈냉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단극체제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면서 새로운 국제적 세력배분현상을 가져오고 있다는 사실이라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미중관계의 미래상에 대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볼 때, 2009년 오바마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미중관계 전개양상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흥미로운 연구과제로 등장한다. 빠르게 부상하는 중국을 맞아 국제적 세력배분의 측면에서 상대적인 패권쇠퇴를 경험하고 있고 동시에 정치적으로 거버넌스의 문제와 경제적으로 성장동력의 정체현상을 드러내고 있는 기존 강대국 미국이, 오바마 행정부 이래 꾸준히 추구한 아시아 중시정책의 내용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어떠한 것인지는 상당한 관심거리라고 할 수 밖에 없다. 오바마 행정부가 추구한 다양한 이름의 대중국 정책—아시아 회귀, 아시아 재균형, 아시아 중시정책—이 어떻게 추진되었으며, 중국의 어떠한 반응에 직면하였고, 이러한 반응에 미국이 다시 어떠한 조정 과정을 밟아 왔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상하는 강대국과 기존 강대국 간의 관계가 일방의 승리와 패배가 아닌 장기간의 공존과 공영의 도정이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탐색적 분석으로서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샴보(David Shambaugh)가 지적하듯이 양국 간의 관계가 점점 더 협력의 영역을 넓혀가기 보다는 갈등의 영역을 줄이도록 통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Shambaugh 2013), 그가 편집한 저술의 제목이 시사하듯이  서로 “복잡하게 엮인 두 거인”(tangled titans)의 공존 패턴 가능성에 대한 모색은 매우 중요한 연구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09년 이후 오바마 행정부가 추구한 대중국 정책은 이러한 패턴 분석의 출발점으로서 충분한 연구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서 이 글은 먼저 다음 장인 제II장에서 2009년 출범한 오바마 제1기 행정부의 중국정책을 개괄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제1절에서는 미국의 아시아 중시정책의 전개과정을 설명하면서 먼저 미국 최초의 아시아-태평양계 대통령임을 자임한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의 2009년 중국 방문 이후 미중관계의 전개상황과 그 이후의 양국간 갈등 상황이 소개될 것이다. 이어서 중국 인근의 해양도서 분쟁과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 속에서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당시 국무부장관이 제기한 “아시아 지역 다자구도론”의 내용과 이후 2011년 후진타오 주석의 미국방문을 통해 양국 간의 갈등관계가 봉합되는 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제2절에서는 미국의 아시아 회귀론 등장배경과 중국이 제시하고 미국이 긍정적으로 화답한 “강대국 관계의 새로운 모델”의 내용에 대한 설명이 제시될 것이다. 이어서 오바마 제2기 행정부 초반부의 중국정책을 다루는 제III장에서는 먼저 제1절에서 제2기 오바마 외교안보팀 등장 이후 뉘앙스가 변한 미국의 아시아 회귀론과 그 원인이 간략히 검토될 것이다. 이어서 제2절에서는 2013년 중국의 신임 국가주석으로 등장한 시진핑(習近平: Xi Jinping)의 미국 방문 및 그 성과와 그가 주창한 신형대국관계론과 관련한 향후의 미중관계 전개 방향 등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 장인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그 시사점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II. 제1기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국 정책   중국과의 관계개선이 가져 올 전략적 이익에 일찍 눈을 뜬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이 1972년 중국방문을 통해서 미중관계와 세계 권력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듯이, 오바마 대통령 역시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불러 오고 있는 미중관계에 대한 변화 및 아시아와 세계의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잠재적 충격을 누구보다도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미국은 다극화 구도가 시작되던 1970년대 초반만 해도 여전히 강력한 패권국가의 위치를 고수하고 있었으나,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국내경제의 장기침체와 이에 따른 높은 실업률과 성장동력 둔화 및 소위 중국의 급속한 군사, 경제적 성장을 포함한 “나머지 국가의 부상”으로 인해서 패권국가로서의 지위가 실질적으로 위협을 받는 지경에 처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환경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질적으로 변화된 환경 속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글로벌 차원의 도전에 대한 시급한 대처가 미국의 일방적인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는 미국이 관여하는 다자적인 틀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얻어내고자 하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중 간의 양자적 협력관계를 넘어서는 효과적인 다자적인 틀을 구축해야 한다고 전망하고 있었고, 이러한 오바마 대통령의 생각은 이미 그가 대통령 출마를 가늠하고 있었던 시절부터 배태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Obama 2007). 2009년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백악관에 입성한 오바마 대통령은 이미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지위를 인정하면서, 이에 맞추어 미중관계를 조정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중국 역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실적인 주도세력인 미국의 지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오바마 행정부 등장 이후 미중 양국 사이에는 “미국은 평화롭게 부상하면서 번영하는 중국을 환영한다”라는 입장과,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미국을 지지한다”라는 입장이 상호 조응하기에 이르렀고, 양국관계는 다양한 갈등에도 불구하고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전반적인 양국 간 상호인정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중국에 대해서 강대국의 지위에 걸맞은 “책임 있는 이해당사자”가 되어줄 것을 꾸준히 주문해왔다. 이미 강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이 시기와 사안에 따라서 강대국과 개도국의 지위를 오가는 “선별적인 이해당사자”가 되어서는 안 되며, “전폭적인 이해당사자”로 행동할 것을 미국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상기시켰다. 이와 함께 미국은 중국의 행위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규범과 규칙에 따를 것을 주문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입장과 여기에서 파생하는 양국 간 긴장은 오바마 제1기 행정부 4년 내내 양국 간 갈등의 요인이 된 중국 인근의 해양영토 분쟁, 중국 인권문제, 그리고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 등의 문제에서 더욱 강하게 부각되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중국은 양국관계를 위해서는 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글로벌한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협력할 수밖에 없는 관계로 발전했고, 이러한 관계발전은 후일 부상 강대국과 기존 강대국 관계를 새로 정립하는 “강대국 관계의 새로운 모델론” 혹은 “신형대국관계론”이 태동하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필연적인 분쟁 없이 공존할 수 있다는 양국의 공약에도 불구하고, 양국관계는 미국이 강조하는 “책임 있는 이해당사자”와 “국제적 규칙준수,” 그리고 중국이 주장하는 “핵심이익의 존중” 등을 둘러싸고 여전히 긴장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긴장관계와 갈등이 격화될 경우 양국 관계는 상당한 냉각국면에 접어드는 경향을 보였고, 반면 정상회담 등의 고위급 회담을 통해서 긴장이 해소되고 갈등이 봉합되면서 새로운 우호협력관계 국면이 전개되기도 하였다...(계속)

손병권 2014-05-12조회 : 14128
워킹페이퍼
[NSP Report 69] 적(敵)에서 암묵적 동맹으로: 데탕트 초기 미국의 중국 접근

가톨릭대 국제학부 부교수. 마상윤 교수는 서울대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과정을 마친 후 영국 옥스포드대학에서 1960년대 한국의 민주주의 문제를 둘러싼 미국의 국내정치개입에 대한 연구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 국제교류처장을 역임하였으며, 미국 부르킹스연구소 및 우드로윌슨센터에서 방문학자로 선발되어 연구하였다. 주된 연구분야는 미국외교정책, 한미관계, 냉전외교사이다. 최근 출간된 논문으로는 “한국군 베트남 파병결정과 국회의 역할,”“1970년대 초 한국외교와 국가이익: 모겐소의 국익론을 통한 평가,” “‘특수관계’의 해부: 영국 블레어 정부의 자유국제주의 대외정책과 영미관계,” “오바마 행정부의 안보전략과 한미동맹: 현실주의 역외균형론을 넘어서” 등이 있다.             I. 머리말     미국과 중국은 아시아 냉전의 주요 당사국이었다. 두 나라는 한국전쟁에 참가하여 서로 총부리를 맞대고 치열한 전쟁을 치르기까지 했으며, 그만큼 양국 간의 상호불신과 경계심은 대단히 컸다. 미국에서 중국은 소련보다도 더 교조적인 공산주의 국가로 인식되어왔으며, 냉전의 상황 하에서 적대적 국가와 관계를 개선하는 것은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냉전적 불신과 경계심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1970년대 초 관계개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72년 2월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의 중국방문은 그 하이라이트였는 바, 이로써 미중관계 개선은 데탕트기 국제정치에서 가장 주목 받는 사건이 되었다.   이 글의 목적은 1970년대 초 데탕트 국면에서 미국이 중국에 접근하여 외교적 관계를 개선하고자 시도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 교섭의 과정을 검토하며, 아울러 미중 접근의 국제정치적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미중 양자관계는 <미국뿐 아니라 중국의 시각에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겠으나, 이 글은 미국외교에 주로 초점을 맞추면서 다음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미국은 어떤 이유에서 냉전 대립의 주된 당사국이었던 중국과 관계개선에 나서게 되었는가? 적성국과 관계를개선하기 위한 교섭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무엇이었으며, 미국은 이를 어떻게 극복하려 했나? 이 과정에서 닉슨 대통령과 키신저(Henry Kissinger) 국가안보보좌관의 역할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미중교섭의 결과는 무엇이었으며, 그것이 오늘날 미국 외교 및 미중관계에 던지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미중관계 개선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서 그 자체로서 충분히 의미 있는 역사연구의 대상이지만, 현재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매력적인 연구주제이다. 1970년대 초 미중관계의 일대 변화가 오늘날의 미중관계와 그에 따른 한반도 주변정세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첫째, 오늘날의 국제정치는 중국의 급속한 부상과 함께 미국의 상대적 쇠퇴로 특징지어지고 있다. 물론 미국의 힘은 여전히 강력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회복에 가장 큰 국정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서 대외정책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형편이다(Nasr 2013). 그런데 이와 같은 미국 국력의 상대적 쇠퇴는 1970년대 초에도 비슷하게 관찰되었던 바, 당시에 미국이 여기에 어떻게 외교적으로 대응했는가는 오늘날 미국의 대외전략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오늘날 국제정치의 가장 큰 화두는 미중관계의 향방이다. 과연 기성 패권국인 미국은 부상하는 중국과 대결로 치닫고 있는가? 아니면 양국은 앞으로 보다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고 강화하게 될 것인가? 미래를 훤히 내다볼 수 있는 능력이 인간에게 주어지지 않은 이상 이 질문에 대해 주관적 의견 이상의 대답을 기대할 수는 없다. 하지만 1970년대 초 미국이 외교적 접근을 통해 공산주의 적성국이었던 중국을 “암묵적 동맹”(tacit ally)으로 변화시켰던 역사적 경험은 우리에게 오늘의 문제를 간접적으로나마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을 제공한다. 1970년대 초에 제시된 미중관계 방정식의 난이도는 오늘의 문제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다. 당시의 해법에 대한 연구는 오늘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고 또한 미래를 전망하는 데 어느 정도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970년대 초의 미중관계와 양국 교섭에 대해서는 영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에야 기밀 해제된 외교문서를 기초로 한 연구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물론 1970년대 초의 미중 데탕트가 당시 한국의 정치 및 국제정치에 직간접적으로 미친 영향이 크기 때문에 박정희 정부의 정치와 외교를 다루는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미중관계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진 경우는 있다(홍석률 2012). 하지만 미중관계 자체가 연구의 주된 대상으로 설정되었던 경우는 없으며,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우리 학계의 현대 미중관계사 연구에도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I. 미중 데탕트의 기원     1. 미국의 상대적 쇠퇴     1969년 1월 닉슨이 미국의 제37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닉슨은 반공주의자로 유명했다. 아이젠하워(Dwight Eisenhower) 행정부의 부통령을 지냈던 시기부터 이미 그는 반공주의자의 이미지를 확고히 굳혔다. 닉슨은 또한 현실 주의자이며 국제주의자였다. 그는 국제정치가 기본적으로 힘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을 굳게 믿었으며, 미국이 국제질서를 이끌어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960년대 말 미국과 국제질서는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강국이었으나 조금씩 지쳐가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베트남 전쟁이 미국의 피로를 가중시켰다. 1965년 존슨(Lyndon Johnson) 행정부가 본격적으로 베트남 전쟁에 뛰어들 무렵 그 누구도 전쟁의 장기화를 예상하지는 않았다. 미국이 대규모 정규 병력을 투입한 만큼 공산세력은 곧 소탕될 것이고 베트남과 인도차이나반도 그리고 나아가 동아시아에서의 반공전선은 유지될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전쟁은 장기화되었고, 미국은 수렁에 빠져든 듯 했다.   1968년 말까지 미국은 536,000명의 베트남 참전병력 중 30,500명의 전사자를 냈다. 165만 톤에 이르는 폭탄을 남베트남 및 북베트남에 쏟아 부었고, 500여대의 항공기가 손실되었다. 연간 200억 달러에 달하는 전쟁비용도 무시 못 할수준이었다. GDP 대비 국방비 비중은 1966년 7.9 퍼센트에서 1967년 9 퍼센트, 그리고 1968년 9.7 퍼센트로 늘어만 갔다. 미국은 1950년대 말부터 경상수지적자와 이에 따른 금 해외유출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었는데, 베트남전쟁에 따른 재정지출증가는 이를 더욱 악화시켰다. 금 유출이 지속되었고, 인플레 압력 또한 높아져서 1968년 미국 경제는 연 5 퍼센트에 이르는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게 되었다(Young and Kent 2004, 348-349).   국내정치적으로도 반전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본래 미국 시민들은 존슨 행정부의 베트남 참전 결정에 대해 대체로 우호적인 반응을 보여 왔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반전운동이 나타나고 확대되었다. 특히 1968년 음력설을 맞아 전개된 북베트남과 베트콩의 대대적 공세는 공산세력의 건재를 과시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미국여론의 전환점이 되었다. 기성질서에 대한 청년층의 반감과 저항이 표출되었고(Gaddis 2010, 14), 이에 동조하는 여론도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1960년대 말 미국은 국내적으로 가중되는 정치 및 경제적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었다.   국제질서 또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특히 국제적 세력균형 변화가 중요했다. 첫째, 서유럽과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파괴를 딛고 경제적 부상을 이루었다. 이중 프랑스와 독일 같은 서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커진 경제력과 자신감을 배경으로 보다 독자적인 외교행보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드골(Charles de Gaulle) 대통령은 독자노선을 추구하면서 1966년 나토(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를 탈퇴했다. 독일도 1966년 12월 기독민주당과 사회민주당의 대연정이 성립된 이래 사민당의 빌리 브란트(Willy Brandt) 외상의 주도 하에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과 관계개선을 추구하는 동방정책(Ostpolitik)에 나서기 시작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은 소련에 대항하는 서방의 단결력 약화를 우려하게 되었다.   둘째, 미국의 입장에서 더욱 중요한 국제적 변화는 소련의 군사력 강화였다. 소련은 1960년대 중반 이후 핵전력 및 운반능력 확충에 집중적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결과 1968년경에는 미국과 대등한 수준의 전략무기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미소가 모두 상대방에 대한 제2차 공격능력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하영선 1989, 232). 이는 미국의 입장에서 보자면 소련에 대한 전략적 우위 상실을 의미했다.   물론 소련도 나름대로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경제침체가 계속되었고, 공산권 내부의 분열도 표면화되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루마니아가 독자노선을 추진했고, 후술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중국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다. 즉 미국의 국력만 일방적으로 약화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강국이었다. 그렇지만 미국이 국제적 위상의 상대적 약화를 겪고 있었고, 국내적으로도 회복을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는 점은 분명했다. 1969년 출범한 닉슨 행정부의 대외정책은 이러한 현실 인식에서 출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닉슨은 하버드대학(Harvard University)의 국제정치학 교수였던 키신저(Henry Kissinger)를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임명했다. 키신저가 공화당을 지지하고 국제문제에 정통한 학자임에 틀림이 없었지만 그의 임명은 다소 의외로 여겨졌다. 키신저는 닉슨이 아니라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섰던 록펠러(Nelson Rockefeller)에게 오랫동안 정책자문을 해왔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닉슨과 키신저는 철저한 현실주의자이며 또한 국제주의자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둘은 또한 공개적인 외교 접근보다 은밀한 협상을 통한 타협을 선호했고 필요하다면 기꺼이 공식적 관료조직을 거치지 않고 계통을 뛰어넘어 일을 진행하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미국의 상대적 쇠퇴를 특징으로 하는 국제적 환경변화 속에서 어떻게 하면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미국의 국익을 확보할 것인가 하는 중대한 문제에 함께 직면해 있었고, 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외교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Hanhimäki 2013, 37-39).   미국이 처한 국제정치의 환경 변화에 닉슨과 키신저는 어떻게 대응하려 했을까? 이와 관련해서 닉슨과 키신저가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위에 오르기 전에 남긴 연설과 글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닉슨은 1967년 7월 29일 보헤미안클럽에서 한 연설을 통해 미소 데탕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그는 국제적 세력균형의 변화에 대해 언급하면서 소련이 핵무기 톤수에서 미국을 앞서기 시작했고, 운반수단에 있어서도 1970년에 이르면 미국과 대등해질 것이며, 중국도 곧 핵 운반능력을 갖출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닉슨은 미국이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투자에 나서야 하며, 소련과 비교해 대등한 핵전력만 보유해도 충분하다는 주장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닉슨은 경제적으로 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과 무역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고, 외교적으로도 “소련 지도자들과 대화를 통해 오판의 가능성을 줄이고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영역을 모색하여 긴장을 낮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닉슨은 또한 1967년 10월 외교 분야의 유력 시사매거진 <포린 어페어즈> (Foreign Affairs)에 기고한 “베트남 이후의 아시아”(Asia after Vietnam)라는 에세이를 통해 새로운 아시아정책을 촉구하기도 했다. 닉슨은 미국이 장기화 되는 베트남 전쟁에 사로잡혀있는 상황에 대해 비판하면서 미국 외교가 베트남에서 벗어난 새로운 아시아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늘의 아시아는 스스로 안보를 위해 노력해야”하며 미국은 이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주장은 후일 닉슨 독트린(Nixon Doctrine)으로 정식화되었다. 이 글에서 또한 주목할 내용은 중국에 대한 것이었다. 닉슨은 10억 인구의 중국이 영원히 국제적 고립 상태에 머물게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변하지 않고 계속해서 다른 국가를 위협한다면 세계도 안전할 수 없으며, 따라서 중국을 국제사회로 끌어들이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Nixon 1967, 113-125; U.S. Department of State 2003b).   키신저는 1968년에 출간된 “미국 외교정책의 핵심 쟁점들”(Central Issues of American Foreign Policy)이라는 에세이에서 미국 외교의 기본과제를 새로운 다극질서의 출현이라는 국제정치의 구조적 변화에 창조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된 미소 양극질서가 군사적으로는 여전히 남아있지만, 정치적으로는 다극질서로 변화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키신저에 따르면 정치적 다극질서 하에서 미국은 더 이상 압도적 힘을 바탕으로 국제질서의 안정을 주도할 수 없다. 따라서 미국은 여전히 물리적으로는 초강대국이지만 미국의 역할은 정치적 차원에서 여타 강대국들의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내는 데 있다. 키신저는 또한 미국이 다른 강대국들과 국제질서의 성격에 대한 합의를 형성함으로써 국제적 안정을 도모해야 하며, 그러한 가운데 스스로의 국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서 키신저는 미국이 이런 역할을 담당하려면 외교적 유연성을 지녀야 한다고 했는데, 이는 외교가 도덕주의적이고 법률주의적 경향을 띄는 국내여론에 지나치게 얽매여서는 곤란하다는 의미였다(Kissinger 1968; U.S. Department of State 2003c).   닉슨과 키신저의 정세인식은 닉슨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키신저는 1969년 12월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미국외교의 기본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미국 외교정책을 새로운 기반 위에 세워야 하는 시점에 놓여있습니다. 전후 20년간 미국외교는 마샬플랜(Marshall Plan)을 이끌었던 원칙에 따라 행해졌습니다.” 그러나 “조건이 크게 변했습니다. 오늘의 세계에서는 다른 국가들의 역할이 커졌습니다. 그들은 자신감을 되찾고 있습니다. 신생국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공산주의는 더 이상 단일한 세력이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전보다 덜 일방적으로 미국적인 기반 위에 국제관계를 건설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U.S. Department of State 2003d).”   1970년 2월 닉슨 대통령이 의회에 제출한 “1970년대 미국외교정책: 평화를 위한 새 전략”(U.S. Foreign Policy for the 1970s: A New Strategy for Peace)이라는 보고서에도 키신저의 구상이 반영되어있다. 닉슨은 이 보고서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지되어왔던 국제정치질서가 종언을 고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는 평화의 구조를 갖추기 위한 원칙으로 다른 국가들과 맺은 파트너십(partnership), 미국의 힘(strength), 그리고 협상의지(willingness to negotiate)를 꼽았다(U.S. Department of State. 2003e).   요컨대 닉슨과 키신저는 미국의 상대적 쇠퇴를 맞이한 가운데 이에 외교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대외전략을 구상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소련과 경쟁을 완화하여 여러 국내외적 곤란을 타개하겠다는 것이었다. 물론 소련과의 냉전적 대결의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닉슨은 미국의 군사적 우위를 지킬 수 있는 투자를 강조했다. 장기적 차원의 대립을 전제한 상태에서 이를 위해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가 강했던 것이다.   새로운 전략구상에는 대외개입 특히 아시아지역에 대한 개입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도 담겨 있었다. 베트남 전쟁이 미국의 국력 및 위상에 끼친 악영향을 고려할 때 이로부터 명예롭게 탈출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정책목표로 오른 점은 놀랍지 않다. 이와 관련해서 닉슨은 중국과 관계 개선이 필요함을 또한 강조했다. 이는 국제질서가 미국의 압도적 우위를 바탕으로 하는 양극질서에서 다극질서로 변환하고 있다는 키신저의 인식과도 어우러질 수 있었다. 키신저의 주 관심은 유럽 및 소련과 미국의 관계여서 그가 닉슨만큼 중국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키신저는 미국 단독으로 힘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강대국 간 힘의 역학관계를 이용한 국제관계 관리를 구상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당시 악화일로에 있던 중소관계는 미국 외교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기회로 포착되기 시작했던 것이다(MacMillan 2008, 109)...(계속)

마상윤 2014-04-27조회 : 14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