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I는 아시아 지역의 민주적 거버넌스와 인권 증진에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2013년 11월 아시아민주주의연구네트워크(Asia Democracy Research Network: ADRN)를 발족했다. EAI는 국내 싱크탱크의 대표기관인 동시에 아시아 지역 싱크탱크의 직능대표로서 소속된 연구기관들의 민주주의 관련 연구지원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ADRN은 아시아 지역이 직면한 민주주의 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민주주의 전환 및 공고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형 연구과제를 논의하고 확산하고자 창립되었다. ADRN은 연구에 기반한 정책 제시를 목표로 아시아 민주주의의 위협 요소와 당면과제를 점검하고 지역적 차원에서 바라보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실천적 의제를 발굴하고 연구하고 있다. 네트워크에는 한국의 EAI를 비롯하여 대만,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태국, 파키스탄, 필리핀 등 아시아 14개국 22개의 주요 싱크탱크들이 참여하고 있다. 

논평이슈브리핑
[ADRN Issue Briefing] Post-Elections Analysis: Pakistan’s “New” Political Order Faces a Polycrisis

The lead up to Pakistan’s 2024 elections was ridden with political instability. After Imran Khan’s ouster as prime minister in April 2022, a caretaker government significantly delayed holding elections, allowing for the creation of an uneven playing field for Khan’s party, the Pakistan Tehreek-e-Insaf (PTI) (Kugelman 2024). Khan’s fall-out with Pakistan’s all-powerful military establishment resulted in the PTI losing support of its allies and suffering rapid defections from party ranks. A series of politically motivated cases were launched against Khan (Reuters 2024-01-31) and he was jailed and disqualified from running for office. PTI’s election symbol (the cricket bat) was taken away following another case on intraparty elections, forcing PTI candidates to compete in the elections without a party affiliation (Bhatti 2024).   Meanwhile, PTI’s primary opposition, the Pakistan Muslim League-Nawaz (PML-N) was anticipated to be the biggest beneficiary of these crackdowns against the PTI. Nawaz Sharif, PML-N chief, had returned to Pakistan after four years in exile; cases of corruption were steadily dismissed and the life-time ban against Sharif was scrapped (Reuters 2024-01-08). The PML-N also allied with Pakistan People’s Party (PPP) to lead an opposition against Khan in the lead up to Khan’s ouster. The stage appeared to be set for the PML-N and PPP to ease their ways back into power.   But on February 8, Pakistanis demonstrated the power of the vote, surprising even the most astute political pundits. Early results showed PML-N candidates suffering and PTI-affiliated (independent) candidates in the lead. These results suggested voter fatigue against the incumbent PML-N, robust support for the PTI, and anger against the military’s persisting involvement in domestic politics.   Delays in elections results and allegations of rampant voter fraud further delegitimized the process and enflamed public sentiments against PML-N. Previously confident in a smooth return to power, the Sharif clan was instead forced to turn to the PPP and Muttahida Qaumi Movement to negotiate a “marriage of convenience” in which a power-sharing arrangement now sees Shahbaz Sharif (Nawaz’s younger brother) as second-time prime minister and PPP chairperson Asif Zardari as second-time president. Khan, meanwhile, remains in jail, with his supporters and PTI candidates still protesting election results.   Civil-Military Relations and the “Same Page” Model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se elections without placing them in the context of the evolution of hybrid politics in Pakistan since 2018. From 2008 to 2018, Pakistan’s military accepted competitive multi-party elections that produced coalition governments which then had to negotiate working relationships with the military in order to rule at the center. Since 2018, the military has opted for a different hybrid arrangement in which governments at the center would (i) come to power with the military’s help, (ii) rely on military support against political competition, (iii) govern based on a shared civil-military understanding of the governing agenda, and (iv) accept the military’s steering role in governance. In short, the elected civilian government needed to be on the “same page” with the military in order to rule (Almeida 2019).   The first of these hybrid arrangements was between the PTI and the military. Khan campaigned on an anti-corruption populist platform, and the military, aligned with a section of the Supreme Court, used propaganda, politically motivated cases against competing parties, arrests of opposition party workers, and material and coercive inducements for rival political candidates, to undermine the incumbent PML-N’s electoral prospects and facilitate PTI’s electoral victory (Bajpai and Kureshi 2022). Between 2018 and 2022, the Chief of Army Staff and Prime Minister Khan relied on military-controlled intelligence agencies and anti-corruption agencies to harass, arrest and detain leaders of opposition parties.   Whereas the confluence of executive aggrandizement, populist mobilization, and opposition repression that characterized the PTI’s rise in 2018 resembled the pattern of democratic backsliding recently witnessed in many other countries (Bermeo 2016), the duality of a civilian and military leadership at the helm of the hybrid formation meant that its stability depended on the sustained alignment between civilian and military leadership.   By 2021, differences over foreign policy, governance, and important transfers and postings within the military, led the military to conclude that even if Khan and the military had an ideological affinity, Khan was undermining the army’s institutional interests (Mir and Kureshi 2022). This “fall-out” provided an opening for the PML-N and the PPP to coalesce into an alliance, the Pakistan Democratic Movement (PDM), that mounted a successful no-confidence bid against Khan in parliament, with the military’s support.   A new “same-page” hybrid arrangement was established, this time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coalition of parties brought together by the military and led by the PDM. These parties aligned with the military leadership’s agenda to (i) weaken Khan, (ii) restore ties with international partners, and (iii) secure much-needed international donor funding.   But whereas PTI had lost the military leadership’s support, thanks to a combination of economic hardship due to rampant inflation, the new coalition’s lackluster leadership, and Khan’s relentless campaigning, PTI rebounded in popularity even as it attacked the military for colluding in removing Khan from power. Following PTI protests targeting military installations and bases on May 9 of 2023, the repertoire of repression deployed against PTI resembled the one used against PML-N in 2018, but it was carried out in a more brazen and often more brutal fashion.   When the PDM government’s term ended in 2023, a new caretaker government came to power, comprising handpicked officials who owed their careers to their ties to the military and were willing to secure the military’s interests across all areas of government. During the tenure of the caretaker cabinet, a series of measures were taken to enhance the prosecution of anti-military dissent, secure the military’s own steering role in economic policymaking and other sectors of government, and brutally crackdown on PTI (Sheikh 2023).   Hybrid Politics Continues   PTI’s surprising electoral success and PML-N’s poor performance taught the military two contrasting lessons. First, there were limits to the military’s ability to manipulate public opinion and manage the political landscape. Even as the military remains the most trusted institution in the state, its attempts at political engineering backfired as supporters of Khan were mobilized at least in part by anger at the military’s meddling (Khan 2024b).   Second, in spite of this outcry against military interference, the military was still well-positioned to establish a “same-page” regime. With the PML-N having performed particularly badly, its only path to power lay through brazen military-led manipulation of polling results and the military’s brokerage of a coalition government with PML-N at the helm.   Thus, PML-N is now in power, but its hold on power is entirely dependent upon military manipulation and support, and therefore the party is willing to accede to all the strings that come attached. The PPP has reluctantly joined the coalition at the military’s insistence but refused to take cabinet positions. Instead, it has assumed offices in the presidency and parliament, important offices that allow PPP to avoid taking ownership for the more unpopular decisions the next government will have to make, particularly to secure donor funding. This reveals the vulnerabilities of the new government and its dependency on the military.   The PML-N has made Shahbaz, the party leader who enjoys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the military, Prime Minister. It has also integrated several of the military’s most favored members of the outgoing caretaker set up into the new cabinet and is willing to accept the military’s steering role in multiple spheres of governance. Consequently, Pakistan once again has a government that has come to power thanks to military support in the elections and against the opposition (PTI). It is committed to a common governing agenda with the military, and is willing to integrate the military and its affiliates into governing roles.   Thus, the military has been able to sustain the “same-page” hybrid arrangements it has been experimenting with since 2018, that afford the military an enhanced steering role in governing the state without facing significant political opposition. However, it has come at the cost of growing public anger at the military’s overt manipulation of the political systеm.   “Polycrisis” and Possibilities   A post-elections analysis, set against Pakistan’s ongoing polycrisis, suggests that several challenges lie ahead for the new government, with repercussions for the health of democratic politics in Pakistan.   On the political front, first, is the question of survival. Some speculate that the current coalition government may see an in-house change of leadership, before it even completes its term (Ellis-Petersen 2024). Second, the coalition’s survival also depends upon Khan’s ability to maneuver backchannel negotiations with the military. Should the establishment “fall out” with the Sharifs and PTI’s opposition politics sustain momentum both inside parliament and on the streets, the military may, in time, consider alternative arrangements with PTI. Even if the current coalition completes its term, and opposition from PTI is contained, the country is likely to see entrenched hybrid political arrangements. At its best, this might create a brief period of political stability. At its worst, this “stability” may require greater curbs on constitutional freedoms and human rights.   Pakistan has a thriving civil society, with steadily increasing digital and social media activism, which means that some of the greatest pushback to the military’s encroachment into democratic activity comes from online platforms such as X (former Twitter), YouTube and TikTok. In the days leading up to and following the elections, Pakistani authorities restricted access to these platforms for long durations, even shutting down mobile phones and internet services. As news of voter fraud and electoral rigging spread rampantly across social media in the days after the polls, these platforms became inaccessible (X still remains inaccessible), while police officers detained more critical journalists, and cracked down on opposition protests and PTI leaders across Balochistan, Sindh, Khyber Pakhtunkhwa (KP) and even Punjab.   Should such repression continue, Pakistan may suffer greater democratic backsliding; rather than the post-election “healing” that the incoming leaders had promised (Dawn 2024-02-11). Opposition forces and dissidents – both at the center, and at the peripheries – will be on the receiving end of state-perpetrated violence. In the long run, this can worsen socio-political polarization and pave the way for greater political instability.   Financial hardships and economic grievances are going to be another cause of instability ahead, with inflation soaring at 23 percent and creating a cost-of-living crisis. The country continues to remain dependent on loans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which will come with harsh conditions and demands for undertaking difficult and wide-ranging structural reforms (Rana 2023). The negotiations for the next IMF loan are going to take place in the weeks to come and, till then, Pakistan may struggle to repay its debts. The current government will also look to its allies in the Middle East and China for fresh loans (Hussain 2024). Without the support from IMF and friendly states, the new leadership is unlikely to emerge out of this ongoing economic crisis, which can worsen public discontent.   Finally, the coalition’s legitimacy and credibility will be tested by insecurity, resistance, and armed conflict in Pakistan’s peripheries. In Balochistan, a social movement is surging against enforced disappearances. This movement is led primarily by women and families of victims of state violence which has led to widespread local and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the state’s counterinsurgency practices (Baloch 2024). Simultaneously, the province grapples with insurgent violence perpetrated by Baloch separatists, as well as internationally connected militant organizations, including the Islamic State. Similarly, in Khyber Pakhtunkhwa, since 2018, the Pashtun Tahafuz Movement has led protests against state and militant violence while the province continues to suffer brutal violence inflicted by armed actors, including the Tehreek-e-Taliban Pakistan. The regional connections of these militant groups to neighboring states, including Afghanistan and Iran, indicates a difficult period for Pakistan’s foreign relations ahead (Khan 2024a).   Pakistan’s pathway to democracy lies not just in the government’s ability to politically stabilize the center, but also in its ability to empower its peripheries, emancipate its marginalized populations, and steadily repossess the governing space ceded to the military. The ongoing protests and the current anti-establishment public sentiment provide all civilian actors, especially the mainstream political parties, a rare opportunity to rethink their “complacent reliance upon the military as kingmaker” (Khan 2024b). Whether they capitalize upon this moment in Pakistan’s political history and strive for lasting peace and stability, remains to be seen. ■     References   Almeida, Cyril. 2019. “The Regime.” Dawn. September 15. https://www.dawn.com/news/1505305 (Accessed March 15, 2024)   Baloch, Mahrang. 2024. “A new chapter in the Baloch struggle for justice in Pakistan.” Al Jazeera. https://www.aljazeera.com/opinions/2024/2/8/a-new-chapter-in-the-baloch-struggle-for-justice-in-pakistan (Accessed March 15, 2024)   Bajpai, Rochana, and Yasser Kureshi. 2022. “Mechanisms of Democratic Authoritarianism: De-Centring the Executive in South Asia and Beyond.” Democratization 29, 8: 1375-1396.   Bermeo, Nancy. 2016. “On Democratic Backsliding.” Journal of Democracy 27, 1: 5–19.   Bhatti, Haseeb. 2024. “PTI bat-tered, loses iconic electoral symbol as SC restores ECP order.” Dawn. January 13. https://www.dawn.com/news/1805488 (Accessed March 15, 2024)   Dawn. 2024. “Army chief backs efforts towards ‘healing’ alliances.” February 11. https://www.dawn.com/news/1813201 (Accessed March 15, 2024)   Ellis-Petersen, H. 2024. “Election turmoil leaves Pakistan with a weak and unpopular coalition.” The Guardian. February 13.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4/feb/13/pakistan-election-imran-khan-military-nawaz-sharif-coalition-government (Accessed March 15, 2024)   Hussain, Khurram. 2024. “What awaits the new PM.” Dawn. February 29. https://www.dawn.com/news/1817918/what-awaits-the-new-pm (Accessed March 15, 2024)   Khan, Abdul Basit. 2024a. “Security challenges for the next Pakistani government.” Arab News. February 19. https://www.arabnews.pk/node/2462686 (Accessed March 15, 2024)   Khan, Sarah. 2024b. “In Pakistan, the Military is Still Running the Show.” Foreign Affairs. March 5. https://www.foreignaffairs.com/pakistan/pakistan-military-still-running-show (Accessed March 15, 2024)   Kugelman, M. 2024. “Pakistan’s surreal elections.” Time. February 7. https://time.com/6692240/pakistan-election-tragedy-farce/ (Accessed March 15, 2024)   Lodhi, Maleeha. 2024. “Post-election challenges.” Dawn. February 12. https://www.dawn.com/news/1813477 (Accessed March 15, 2024)   Mir, Asfandyar, and Yasser Kureshi. 2022. “Imran Khan Dissolved Pakistan’s Parliament. How Did That Happen?” Washington Post. April 5.   Rana, Shahbaz. 2023. “Pakistan’s existential economic crisis.”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April 6. https://www.usip.org/publications/2023/04/pakistans-existential-economic-crisis (Accessed March 15, 2024)   Reuters. 2024a. “Imran Khan: What are the criminal cases against Pakistan former PM?” January 31.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main-criminal-cases-against-pakistans-imran-khan-2024-01-31/ (Accessed March 15, 2024)   ______. 2024b. “Pakistan court ruling allows ex-PM Sharif to run for fourth time.” January 8.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pakistan-court-scraps-lifetime-election-bans-convicts-2024-01-08 (Accessed March 15, 2024)   Sheikh, Salman Rafi. 2023. “Pakistan Embraces Military Rule without Martial Law.” Himal Southasian. September 29. https://www.foreignaffairs.com/pakistan/pakistan-military-still-running-show?utm_medium=promo_email&utm_source=lo_flows&utm_campaign=registered_user_welcome&utm_term=email_1&utm_content=20240312 (Accessed March 15, 2024)     ■ Zoha Waseem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of Warwick.   ■ Yasser Kureshi is a Departmental Lecturer at the Oxford School of Global and Area Studies, University of Oxford.     ■ Typeset by Hansu Park, Research Associate     For inquiries: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Zoha Waseem 2024-03-21조회 : 7162
논평이슈브리핑
[ADRN 이슈브리핑]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와 2024년 선거: 결정적 순간

2월 14일 인도네시아의 대선과 총선 직후 발표된 예측 결과는 두 선거 결과의 수렴을 전망하고 있다.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Gerindra Party)의 프라보워 수비안토(Prabowo Subianto) 대통령 후보와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Gibran Rakabuming Raka) 부통령 후보가 무소속 아니스 바스웨단(Anies Baswedan)-무하이민 이스칸다르(Muhaimin Iskandar) 후보, 민주항쟁당(PDI-P)의 간자르 프라노워(Ganjar Pranowo)-마흐푸드 엠데(Mahfud MD) 후보를 꺾고 선거에서 승리했다. 프라보워-기브란 후보는 56-59퍼센트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24-26퍼센트를 득표한 아니스-무하이민 후보와 15-17퍼센트를 득표한 간자르-마흐푸드 후보에 앞섰다(Ira 2024). 한편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주항쟁당(PDI-P, 16.4%), 골카르당(Golkar Party, 14.6%),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Gerindra Party, 13.5%), 국민계몽당(PKB, 10.7%), 국민민주당(Nasdem Party, 9.9%), 번영정의당(PKS, 8.4%), 민주당(Demokrat Party, 7.6%), 국민수권당(PAN, 7.1%) 등 8개 정당이 원내에 진출한 것으로 추산된다. 민주항쟁당은 대선에서 패배했지만 총선에서 최다 득표를 기록하면서 선거 결과의 다양성을 시사하고 있다(Farisa 2024).   선거관리위원회(KPU)의 공식 결과 발표가 남아 있지만, 지금까지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현직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이하 조코위) 대통령의 정치적 계승자가 승리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브란 부통령 후보가 조코위 대통령의 아들일 뿐만 아니라, 프라보워-기브란 후보는 조코위 대통령과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선거 운동을 통해 조코위의 계승자를 자처했고 승리를 거두었다. 또한 프라보워-기브란 후보를 지지한 정당들은 총선에서 40퍼센트 이상을 득표하며, 아니스-무하이민 후보 지지 정당의 총합 29%와 간자르-마흐푸드 후보 지지 정당의 총합 16.4%를 능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조코위 재임 기간 동안 몇몇 연구들이 지적한 민주주의 퇴행의 흐름이 새 정부하에서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Power and Warburton 2020).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 퇴행과 2024년 선거   최근 수 년 동안 여러 학자들이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가 퇴행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Aspinall and Warburton 2017; Power and Warburton 2020; Wijayanto, Budiatri and Wiratraman 2022). 2024년 선거 기간 동안 이러한 민주주의 퇴행은 어떻게 나타났으며, 향후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 쇠퇴는 사법 체제의 정치적 오용, 세습 정치의 강화, 심각한 선거 부정으로 인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권위주의 재등장과 민주주의 회복 사이의 기로에 있으며, 민주주의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시기를 겪고 있다.   2019년 선거 이전까지 인도네시아의 선거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찬사를 받았다(Aspinall and Mietzner 2019; Bland 2019). 이제까지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으로 복잡한 수준의 선거 절차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경쟁 가능성, 공정성, 자유의 원칙을 실현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2024년 선거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이 제기되었다. 학계와 민주주의 옹호자를 포함한 시민사회 일각에서 선거 과정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 이들은 이번 선거가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민주주의 퇴행을 더욱 가속화했다고 주장한다. 특히 사법 체제의 정치화, 세습 정치의 강화, 심각한 선거 부정 및 위법 현상이 온전한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대두되었다.   대통령 및 부통령 출마 요건을 40세 이상으로 규정한 법령 조항에 대하여, 선출직 경력자의 경우 예외를 인정한 헌법재판소 결정은 적잖은 정치적 격변과 선거 기간 동안의 민주주의 퇴행을 야기했다. 이 결정으로 인해 조코위 대통령의 장남 기브란이 프라보워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있었다. 기브란은 40세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지만, 2년 간 솔로(Solo) 시장을 지낸 경력이 있어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출마가 가능해졌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조코위 대통령과 인척 관계에 있는 안와르 우스만(Anwar Usman) 헌법재판소장에 의해 내려진 것으로,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결정 과정은 일관성 없이 서둘러 진행되었다. 당초 출마 요건에 관한 사안은 헌법재판소가 아닌 의회와 정부에서 처리할 문제로 여겨졌다. 그러나 결국에는 이해충돌의 여지가 있음에도 헌법재판소장이 심리에 참여하였고, 출마 요건 규제를 수정하는 데 합의가 이루어졌다. 일련의 과정은 사안을 둘러싼 정치적 이해관계를 더욱 복잡하게 했다(Ulya, Mantalean and Yahya 2023; Ulya and Prabowo 2023). 과거에도 일자리 창출 법안 제정이나 부패방지위원회법 개정을 둘러싸고 법적 이해와 정치적 이해가 얽히는 전례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사례는 인도네시아의 최고 헌법기관인 헌법재판소의 위상과 직결되어, 민주주의 퇴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기브란이 출마하면서, 조코위 대통령의 후계자가 2024년 선거 국면에 본격적으로 진입하였다. 기브란은 정치 경력이 부족했지만, 아이르랑가 하타르토(Airlangga Hartarto) 골카르당 총재와 에릭 토히르(Erick Tohir) 국영기업부 장관 등 프라보워의 러닝메이트로 거론되던 정치인들의 영향력을 압도했다. 또한 기브란의 남동생 카에상 팡아렙(Kaesang Pangarep)은 선거를 앞두고 인도네시아연대당(PSI) 대표로 선출되며 정계에 입문했다. 조코위 대통령의 두 아들이 경험 부족에도 불구하고 요직에 오른 배경에는 명백히 혈통의 영향이 있었다. 이들의 정계 진출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Megawati Soekarnoputri, 재임 2001-2004)와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Susilo Bambang Yudhoyono, 재임 2004-2014) 두 전직 대통령의 자녀들을 필두로 근래 인도네시아 정치에 번진 세습의 흐름을 고착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 왕조’는 정당의 정치적 충원 기능을 저하하고 능력을 중시하는 원칙을 경시함으로써 민주주의 퇴행을 야기한다.   5년 전의 선거가 공정하게 치러졌다는 평가를 받은 것과 달리, 지금의 선거 과정은 여러 시민사회 그룹이 지적했듯 많은 위법과 부정 의혹을 받고 있다. 매표, 유권자 동원, 의심스러운 개표 절차를 둘러싼 의혹이 이번 선거에서만 제기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국가 기관의 공정성 침해 문제는 이전 선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서 특히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선거 후보자 및 그 친인척, 또는 정당 간부로서 이해충돌 관계에 있는 많은 공직자들이 사임하지 않으면서 선거의 불공정성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나아가 2023년 조코위 행정부는 장관들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더라도 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새로운 규정을 입안했다. 그 결과 선거에 출마하는 장관들이 선거 기간 동안 개인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국가의 자원을 부당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시민사회의 35개 기관과 5명의 개인이 공동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2023년 11월 13일부터 2024년 1월 31일까지 121건의 선거 부정 사례가 기록되었다. 그중 대부분은 국가 기관의 불공정성에 관한 것이었다. 이 조사 결과는 조코위 대통령이 국가 원수의 권한을 이용하여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민주적 선거의 공정성 원칙을 위반했다고 지적한다(Kontras 2024).   2024년 선거는 인도네시아 민주주의가 더 쇠퇴할 것인지 판가름하는 전환점이다. 상기한 세 가지 문제점은 선거가 정치적 리더십을 계승하는 절차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권위주의 정치 체제로 가는 중간 단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과거 수하르토(Suharto) 권위주의 정권이 제시한 “신질서(New Order)”를 상기시킨다. 신질서는 수하르토 가문의 세습 정치, 사법적 기반 침해, 국가 기관의 권한을 통한 집권 세력의 정치적 이익 추구 행태 등을 포함한다. 인도네시아 민주주의는 이제 퇴행의 시작 단계를 넘어 최악의 순간을 향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미래를 위한 긍정적 동향   2024년 선거 과정은 한편으로 민주주의의 미래에 희망적인 전망을 함께 제시했다. 선거 과정을 감시하고 민주주의 제도를 강화하기 위한 시민사회 단체 간의 연합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향후 더 강력한 민주주의 감시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을 형성했다. 또한 조코위 행정부의 개혁을 주장한 아니스-무하이민 후보 지지 정당들과, 조코위와 아들의 정치적 연합을 억제하려다 조코위 일가와 거리를 두게 된 투쟁민주당이 의회에서 야권 연합을 이루어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추구할 여지도 있다. 시민사회가 연합을 유지하며 발전시키고, 영향력 있는 야당 세력이 형성된다면 향후 민주주의가 발전할 수 있는 희망이 여전히 존재한다.   선거 기간 동안 시민사회는 상호 협력 관계를 강화했다. 전통적으로 서로 다른 의제에 집중하던 민주주의 관련 단체들이 동맹과 연합을 결성했다. 가령 조코위 대통령의 선거 부정 및 불공정 혐의에 대해 소송을 제기한 시민사회 단체 연합에 35개 기관과 5명의 개인 활동가가 참여하고 있다. 이 연합은 선거 관련 문제를 제기하던 단체뿐만 아니라 환경, 반부패, 노동권 등 다양한 의제를 다루는 기관을 포함한다(Kontras 2024). 또한 선거 관련 위법 행위에 관한 광범위한 관심을 촉발한 다큐멘터리 “더티 보트(Dirty Vote)”는 선거, 환경 보전, 반부패, 저널리즘 등을 주제로 활동하는 23개 시민사회 단체의 협력으로 제작되었다(Dirty Vote 2024).   시민사회 단체와 함께, 학계에서도 연합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1월 말부터 선거 당일까지 70개 이상 대학의 학자 수천 명이 선거의 공정성과 인도네시아 민주주의를 우려하는 성명을 발표했다(Wijayanto 2024). 학계의 움직임은 시민사회 단체 및 활동가의 노력과 연대하며 협력 작용을 냈다. 시민사회의 연대와 광범위한 동원은 공론을 확산시키는 영향력을 발휘하고, 민주주의 침해에 대항하는 집단적 행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연대가 선거 이후에도 지속되며 반향을 일으키고, 기층 사회에 침투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민 사회의 영향력과 함께,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정치 세력의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자립 가능한 반대 세력의 존재가 중요하다. 잠정 집계된 총선 결과에 따라 야권의 정치적 역량을 가늠할 때, 민주항쟁당이 국민민주당, 번영정의당, 국민계몽당과 연대한다면 의석의 45퍼센트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정당이 야권 연대를 형성하면 집합적 영향력을 통해 견제와 균형을 달성하는 정치적 자산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연대가 성사되면 최근 20년 사이 가장 강력한 야권 세력이 등장하게 된다. 또한 민주항쟁당이 원내 제1당을 확보한 사실에도 주목해야 한다.   다만 조코위 대통령과 프라보워-기브란 캠프, 그리고 각 정당 간의 정치적 협상이 진행되면서 강력한 야권연대의 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국민민주당 총재인 수르야 팔로(Surya Paloh)가 선거 직후 조코위와 만나 연합의 가능성을 논의했으며, 국민계몽당도 지금까지 정부를 일관되게 지지해 왔다(Abdurrahman 2024). 새 의회에서의 여야 세력은 정치적 동학(dynamics)과 로비에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선거 직후의 현 시점은 인도네시아 정치의 중요한 지점이며, 각 정당들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책무를 유지하고 민주주의 퇴행을 방지하는 원내 야권 세력의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할 때다.   맺음말   2024년 선거는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향방을 결정하는 중대한 순간이다. 사법 제도 오용과 선거 부정, 세습 정치의 강화 등이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에 심각한 위협을 가했다. 조코위 대통령을 계승하는 세력의 승리는 향후 민주주의 퇴행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한 희망은 남아 있다. 공고한 시민사회 연합의 노력은 향후 민주주의를 수호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을 형성했다. 야당 세력이 의회에서 민주주의를 지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시민사회와 정치권이 변함없이 민주주의에 헌신한다면,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담보하고 전체 사회의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Abdurrahman, Sultan. 2024. “Soal Surya Paloh Bertemu Jokowi, Nasdem: Murni Mengharga Undangan Seorang Kepala Negara.” Tempo. February 23. https://nasional.tempo.co/read/1836771/soal-surya-paloh-bertemu-jokowi-nasdem-murni-menghargai-undangan-seorang-kepala-negara (Accessed February 23, 2024)   Aspinall, Edward, and Eve Warburton. 2017. “Indonesia: The Dangers of Democratic Regression.” Advances i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ASSEHR), Volume 129. https://www.atlantis-press.com/article/25891321.pdf (Accessed February 18, 2024)   Aspinall, Edward and Marcus Mietzner. 2019. “Indonesia’s Democratic Paradox.” New Mandala. December 7. https://www.newmandala.org/indonesias-democratic-paradox/ (Accessed February 18, 2024)   Bland, Ben. 2019. “The World’s Most Complicated Single-Day Election is a Feat of Democracy.” The Atlantic. April 15. https://www.theatlantic.com/international/archive/2019/04/indonesias-elections-are-feat-democracy/587143/ (Accessed February 18, 2024)   Dirty Vote. 2024.“DIRTY VOTE – Full Movie (OFFICIAL).” YouTube. February 11. https://www.youtube.com/watch?v=RRgLZ66NCmE (Accessed February 22, 2024)   Farisa, Fitria Chusna. 2023. “Quick Count Litbang Kompas Data 99 Persen: 8 Masuk ke DPR.” Kompas. February 17. https://nasional.kompas.com/read/2024/02/17/09002941/quick-count-litbang-kompas-data-99-persen-8-parpol-masuk-ke-dpr (Accessed February 21, 2024)   Ira, Laili. 2024. “10 Lembaga Survei yang Rilis Prabowo-Gibran Menang Quick Count Pilpres 2024.” Tempo. February 15. https://pemilu.tempo.co/read/1833863/10-lembaga-survei-yang-rilis-prabowo-gibran-menang-quick-count-pilpres-2024 (Accessed February 21, 2024)   Power, Thomas and Eve Warburton (eds.). 2020. Democracy in Indonesia: From Stagnation to Regression? Singapore: ISEAS – Yusof Ishak Institute.   Ulya, Fika Nurul, Vitorio Mantalean, and Achmad Nasrudin Yahya. 2023. “Saldi Isra Sebut MK Masuk Jebakan Politik Usai Putuskan Usia Capres-Cawapres.” Kompas. October 16. https://nasional.kompas.com/read/2023/10/16/19445651/hakim-saldi-isra-sebut-mk-masuk-jebakan-politik-usai-putuskan-usia-capres (Accessed February 18, 2024)   Ulya, Fika and Dani Prabowo. 2023. “Hakim Konstitusi Arief Hidayat Beberkan Kejanggalan MK Kabulkan Gugatan Usia Capres-Cawapres.” Kompas. October 16. https://nasional.kompas.com/read/2023/10/16/19130891/hakim-konstitusi-arief-hidayat-beberkan-kejanggalan-mk-kabulkan-gugatan-usia?page=all (Accessed February 18, 2024)   Wijayanto, Aisah P. Budiatri, and Herlambang P. Wiratraman (eds.). 2022. Refleksi 100 Ilmuwan Sosial Politik tentang Kemunduran Demokrasi di Indonesia. Jakarta: LP3ES.   Wijayanto. 2024. “Strengthening Democratic Culture.” Kompas. February 22. https://www.kompas.id/baca/english/2024/02/21/en-memperkuat-budaya-demokrasi?open_from=English_Page (Accessed February 23, 2024)   Kontras. 2024. “Koalisi Masyarakat Sipil Somasi Presiden Jokowi, Desak Hentikan Keculasan dan Tindakan Nir-Etika Jelang Pencoblosan.” Kontras. February 9. https://kontras.org/2024/02/09/koalisi-masyarakat-sipil-somasi-presiden-jokowi-desak-hentikan-keculasan-dan-tindakan-nir-etika-jelang-pencoblosan/ (Accessed February 20, 2024)         ■ 아이사 푸트리 부디아트리 (Aisah Putri Budiatri)_인도네시아 국립연구혁신청(BRIN) 정치학연구센터 연구원.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아이사 푸트리 부디아트리(Aisah Putri Budiatri) 2024-02-29조회 : 4073
논평이슈브리핑
[ADRN 이슈브리핑] 일본의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 현황

서론   디지털 영향 공작(Digital influence operation)은 특정 국가의 대중 인식과 여론을 형성하거나 약화시키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는 중국, 러시아, 이란의 경우 디지털 영향이 가져오는 인지적 효능성 때문에 이들이 사이버 공격보다 디지털 영향 공작을 더욱 우선시하고 있다고 분석한다(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2023). “디지털 영향 공작”은 인지전(cognitive warfare) 및 정보전(information warfare) 등의 용어로 다양하게 일컬어진다. 본 브리핑에서는 “디지털 영향 공작”이라는 용어를 통칭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 글은 일본의 주요 행위자가 구사하는 대응 전략 현황을 설명한다. 일본에서는 방위성, 총무성, 외무성, 국가공안위원회, 내각 사이버시큐리티센터 등의 기관이 대응 조직을 구축하고 있다. 반면 팩트 체크 기관, 싱크탱크, 학계 등 민간 차원의 노력은 인적 자원 및 규모의 부족 등 한계에 직면해 있었다. 최근 몇 년간은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민간 차원에서의 대응 전략이 확장되는 움직임이 보인다.   일본의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은 세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첫째, 지식과 인적 자원이 심각하게 부족하다. 둘째, 대응 전략은 주로 허위 정보(disinformation) 대응이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 일부에 국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작전 대상 국가의 정치적 양극화를 초래할 수 있는 사이버상의 공격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은 일본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에서도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의 주요 행위자   유럽연합 대외관계청(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EEAS)은 최근 발간한 “제2차 EEAS 해외 정보 조작 및 간섭 위협 보고서”에서 정부 및 산하 기관, 사기업, 팩트체크 기구, 싱크탱크, 대학 등 디지털 영향 공작에 대응하는 주요 행위자를 적시했다(EEAS 2024). 일본의 경우, 정부 및 산하 기관의 역할이 중심적이며 다른 행위자는 상대적으로 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 정부 및 산하 기관   일본의 방위성, 자위대 및 안보 관련 기관은 디지털 영향 공작에 따른 외부 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총무성은 일본 국내의 위협 대응, 외무성은 외교적 차원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각각 전담하며, 내각 사이버시큐리티센터가 전체 대응을 총괄 조정한다. 이러한 책임 배분은 2022년 발표된 국가안보전략에 규정되었으며, 각 기관이 이에 따른 세부 대응 방침을 수립하고 있다(Cabinet Secretariat 2022). 또한 형사 사건은 국가공안위원회가, 기밀 관련 사안은 내각관방, 방위성 정보본부 등이 분담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국가 안보 기구: 국가안보전략은 방위성이 디지털 영향 공작에 대응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방위성 내에서는 정보 본부가 대응 업무를 전담한다(DIH n.d.). 정보본부는 직원 2,600명 이상이 속한 일본 최대의 정보 기관이다(MOD n.d.). 대중에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정보본부는 전략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선전 및 허위 정보 대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급증하는 정보의 진실성을 판단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MOD n.d.).   한편 자위대에서는 육상자위대 교육훈련연구본부(Training-Evaluation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ommand: TERCOM)가 새로운 사이버전 체계를 개발하는 전담 조직을 운용하고 있으나, 그 외의 특기할 만한 대응은 많지 않다(TERCOM 2023). 미국의 사이버사령부와 달리 공작의 원점을 공격하는 선제적 대응은 논의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선전과 허위 정보에 대한 일본의 대응은 주로 정보의 확산 이후에 이루어진다.   총무성은 2018년부터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에 관여하여, 관련 학계 전문가와 플랫폼 기업이 참여하는 연구 그룹을 결성했다(MIC 2018). 현재 고도 정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분과가 허위정보 대응을 중심으로 한 이행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 다만 부처 간 권한 분담으로 인해 국가 안보 차원의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팩트체크와 정보 문해력 향상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외무성은 전략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 디지털 영향 공작 문제에 접근하며, 일본에 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정확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대외에 확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일본 정부의 평판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그중 일부는 이스라엘의 평판 관리 기업에 위탁하고 있다(Intelligence Online 2023).   내각관방은 내각정보회의, 내각정보조사실, 내각 사이버시큐리티센터 등의 대응 부처를 거느리고 있다. 사이버시큐리티센터는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을 포함한 일본 정부의 전반적 대응 전략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Cabinet Secretariat 2022). 일본에서는 사이버 공격과 디지털 영향 공작이 각각 별개로 취급되었으나, 실제로는 양자가 상호 연계되고 대응 조직도 동일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이버시큐리티센터를 중심으로 한 대응 체계를 조직하려는 것이다.   그 밖에도 형사 사건을 다루는 경찰청 및 정보 사건을 다루는 공공안보 및 대외 부서들이 대응에 관여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본 정부의 대책은 주로 허위 정보를 탐지하여 대응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영향 공작은 허위 정보 외에 감정적 조작, 타국에서 생산되는 내러티브, 인식 체계 교란 등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Myre 2020; Meta 2023).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하는 종합적 대응을 전개하는 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일본 정부의 대응은 더 좁은 범위에 특화되어 있다. 이는 지식과 인적 자원의 부족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정부 기관은 2023년부터 관련 지식을 보유한 민간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부문도 마찬가지로 전문성과 자원의 부족을 겪고 있다. 정부가 허위 정보 대응 등을 민간 단체에 위임하고자 한다면, 이들 단체에 대한 감독 및 평가 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2. 민간 부문   유럽과 미국의 많은 사이버 보안, IT, 군사 관련 기업들은 디지털 영향 공작을 담당하는 부서를 두고 그 활동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본국의 보고서를 공유하는 외국계 기업을 제외하면 이러한 활동을 하는 사이버 보안 및 IT 기업은 많지 않다.   평판 관리 기업은 디지털 영향 공작과 관련된 민간 단체이지만, 그들의 실제 활동은 대부분 공개되지 않는다. 이들 기업에 업무를 위임하는 정부 기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평판 관리 기업의 일반적인 직무 범위에 따르면, 이들은 허위 정보에 대응하고 전략 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ation)을 지원한다고 추정된다. 전략 커뮤니케이션은 동맹을 강화하거나 지향하는 가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정보나 신호를 공개함으로써 국제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일본 정부가 관련 예산을 늘리고 체계를 강화함에 따라, 민간 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사업 분야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양대 팩트체크 기관은 팩트체크 이니셔티브(http://fij.info) 및 일본팩트체크센터(https://www.factcheckcenter.jp/)이다. 여타 선진국에 비하면 팩트체크 기관의 수와 활동은 적은 편이며, 영향력도 여전히 제한적이다. 막대한 허위 정보가 쉽게 생산되는 환경에서 팩트체크 활동의 확장성은 도전 받고 있으며, 팩트체크 결과는 허위 정보에 비하면 제한적 범위에 확산되는 데 그친다. 이는 세계 각국의 팩트체크 기관이 직면한 도전이기도 하다. 싱크탱크 중에서는 일본국제문제연구소(https://www.jiia.or.jp/)와 사사카와평화재단(https://www.spf.org) 등이 디지털 영향 공작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그 수와 범위가 제한적이고 보고서 대부분이 기존 문헌 및 조사 자료를 재구성하는 수준이다.   정치학, 사회학,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계 연구자들은 각 분야와 디지털 영향 공작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일본 정부의 지원을 받기도 한다. “국가안전보장전략 개정을 향한 제언”이나 “건전한 언론 플랫폼을 향하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실무 종사자가 참여한 야심찬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기도 했다(ROLES 2022; Toriumi and Yamamoto 2023). 전자는 국가 안전 보장의 모든 영역을 다루었으며,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의 획기적인 참고 자료가 되었다. 한편 후자는 연구 자금의 원천이 불투명하였고, 여론 조작 가능성에 관한 우려를 일으킨 바 있다.   요컨대 일본의 학문 공동체는 유럽과 미국만큼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고 있지는 않다. 다만 가까운 장래에 정부의 재정 지원이 증가한다면, 학계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본의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의 문제점   일본의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은 지금까지 부진했다. 총무성이 연구를 적극 진행하기는 하였으나 시민사회, 학계, 팩트체크 기관 및 민간 기업의 관여는 제한적이었다. 2023년 일본 정부는 이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기로 하고, 예산 및 조직을 확충하여 민간 기업과 연구 기관의 영향력을 증진하기로 하였다. 비록 지식과 인적 자원의 부족 문제가 여전히 있지만, 일본은 본격적 대응의 출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일본의 대응에는 크게 세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지식과 인적 자원의 부족은 가장 중대한 걸림돌이다. 둘째, 대응책이 주로 허위 정보 대처, 정보 문해력 향상, 전략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에 국한되어 있다. 최근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이 발간한 보고서는 다면적인 대응책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 미디어, 교육 등을 망라하는 10가지 대응책을 제시한 바 있다(Bateman and Jackson 2024).   끝으로, 유럽이나 미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국내 차원의 위험 요소는 상당 부분 경시되고 있다. 외부에서의 디지털 영향 공작은 대상 국가 내부의 양극화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아, 국내 대응과 국제적 대응 간 상호 연계가 필요하다. 가령 미국의 음모론 집단인 큐어넌(QAnon)의 주장은 종종 러시아나 중국과 동조하기도 한다(Kayali and Scott 2022; Soufan Center 2021; Butler and Martin 2022; Graziosi 2022).   해외에서의 방해에만 대처하는 접근법은 위협의 실체에 접근하지 못한다. 대내적으로 디지털 영향 공작을 전개하는 국가의 수는 타국에 대한 방해를 전개하는 국가보다 많다(Martin et al. 2020; Meta 2022; Bradshaw et al. 2020). 대내적인 공작은 민주주의에 더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다. 또한 해외에서의 방해가 대상 국가의 정치적 양극화를 활용하는 경우도 잦다. 즉 대상 국가에 존재하는 정치적 문제를 활용하는 공작을 전개하는 것이다. 디지털 영향 공작 대응이 국내 여건과 외부 개입 간 연계를 고려하지 못한다면, 민주주의를 지키는 효용성은 제한적일 것이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 따르면 중국, 러시아, 이란은 미국 국내의 양극화를 이용하는 전략을 중점 추진한다(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2022). 디지털 영향 공작에 대한 대응은 국내 및 대외 차원에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디지털 영향 공작에 대한 국가의 관여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Nyst and Monaco 2018; Ichida 2018; Woolley 2023). 현재 유럽, 미국, 일본은 그 중 두 가지 유형에 대처하고 있다. 정부가 공작을 조장하고 지원하는 세 번째와 네 번째 유형은 특히 대응이 어려우며, 대상 국가의 양극화를 활용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유형 1. 정부의 집행(Government Execution): 정부 또는 산하 기관이 직접 공작을 시행한다.   유형 2. 정부의 지원 및 조정(Government Support and Coordination): 정부가 공작 계획을 세우되, 그 시행은 외부 행위자에게 위임한다.   유형 3. 정부의 조장 및 지원(Government Incitement and Support): 정부가 온라인 사용자로 하여금 정부에 비판적인 개인 및 단체를 공격하도록 부추겨 여론을 조작하는 유형으로, 가장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   유형 4. 정부의 승인 및 지원(Government Approval and Support): 정부가 공작 대상에 대한 비난과 공격을 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한다.   다만 일본 정부는 마지막 유형에 대응하는 데 잠재적인 강점을 갖고 있다. 현 집권당인 자유민주당은 2009년 민주당에 정권을 내준 이후 온라인 홍보 활동을 전담하는 ‘T2’라는 조직을 운영했다(Koguchi 2016). T2는 IT 및 홍보 기업의 지원을 받아 기업의 평판 관리와 유사한 활동을 수행했다. 이러한 사실은 일본 정부가 국내에서의 디지털 영향 공작에 관한 정책적 배경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의 활동을 대중에게 알리고 논의를 활성화하며, 투명성을 증대하는 노력이 수반된다면 일본 정부는 민주적인 대응 태세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Bateman, Jon, and Dean Jackson. 2024. “Countering Disinformation Effectively: An Evidence-Based Policy Guid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January 31. https://carnegieendowment.org/2024/01/31/countering-disinformation-effectively-evidence-based-policy-guide-pub-91476 (Accessed February 8, 2024)   Bradshaw, Samantha, Hannah Bailey, and Philip N. Howard. 2021. “Industrialized Disinformation: 2020 Global Inventory of Organized Social Media Manipulation.” Oxford University Programme on Democracy & Technology. https://demtech.oii.ox.ac.uk/research/posts/industrialized-disinformation/ (Accessed February 8, 2024)   Butler, Josh, and Sarah Martin. 2022. “Australian online anti-vaccine groups switch to Putin praise and Ukraine conspiracies.” The Guardian. March 1. https://www.theguardian.com/australia-news/2022/mar/02/australias-anti-vaccine-groups-switch-focus-to-putin-praise-and-ukraine-conspiracies (Accessed February 8, 2024)   Cabinet Secretariat. 2022.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Japan (Provisional Translation)” December 2022. https://www.cas.go.jp/jp/siryou/221216anzenhoshou/nss-e.pdf (Accessed February 8, 2024)   Defense Intelligence Headquarters: DIH. n.d. “情報本部の任務・活動.” https://www.mod.go.jp/dih/company.html (Accessed February 8, 2024)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EEAS. 2024. “2nd EEAS Report on Foreign Information Manipulation and Interference Threats.” January 23. https://www.eeas.europa.eu/eeas/2nd-eeas-report-foreign-information-manipulation-and-interference-threats_en (Accessed February 8, 2024)   Graziosi, Graig. 2022. “Anti-vax conspiracy theorists in US turning to antisemitic pro-Putin propaganda, report says.” The Independent. March 2. https://www.independent.co.uk/news/world/americas/us-politics/putin-propaganda-usa-conspiracy-theorist-b2027230.html (Accessed February 8, 2024)   Ichida, Kazuki. 2018. 『フェイクニュース 新しい戦略的戦争兵器』. Tokyo: Kadokawa Shinsho.   Intelligence Online. 2023. “Japan turns to Israel’s 9500 Group to counter Chinese Fukushima disinformation.” September 12. https://www.intelligenceonline.com/corporate-intelligence/2023/09/12/japan-turns-to-israel-s-9500-group-to-counter-chinese-fukushima-disinformation,110042325-art (Accessed February 8, 2024)   Kayali, Laura, and Mark Scott. 2022. “Anti-vax conspiracy groups lean into pro-Kremlin propaganda in Ukraine.” POLITICO. March 17. https://www.politico.eu/article/antivax-conspiracy-lean-pro-kremlin-propaganda-ukraine/ (Accessed February 8, 2024)   Koguchi, Hidehiko. 2016. 『情報参謀』. Tokyo: Kodansha.   Martin, Diego A. Jacob N. Shapiro, and Julia G. Ilhardt. 2020. “Online Political Influence Efforts Dataset.” Princeton University Empirical Studies of Conflict Project. Last Updated May 11, 2023. https://esoc.princeton.edu/publications/trends-online-influence-efforts (Accessed February 8, 2024)   Meta. 2022. “Recapping Our 2022 Coordinated Inauthentic Behavior Enforcements, Meta.” December 15. https://about.fb.com/news/2022/12/metas-2022-coordinated-inauthentic-behavior-enforcements/ (Accessed February 8, 2024)   ______. 2023. “THIRD QUARTER Adversarial Threat Report.” November 3. https://transparency.fb.com/ja-jp/metasecurity/threat-reporting/ (Accessed February 8, 2024)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MIC. 2018. “プラットフォームサービスに関する研究会 (Study Group on Platform Services)”. https://www.soumu.go.jp/main_sosiki/kenkyu/platform_service/index.html (Accessed February 8, 2024)   Ministry of Defense: MOD. n.d. “Integrated Information Warfare with Special Regard to the Cognitive Dimension.” https://www.mod.go.jp/en/d_architecture/infowarfare/index.html (Accessed February 8, 2024)   Myre, Greg. 2020. “A ‘Perception Hack’: When Public Reaction Exceeds The Actual Hack.” NPR. November 1. https://www.npr.org/2020/11/01/929101685/a-perception-hack-when-public-reaction-exceeds-the-actual-hack (Accessed February 8, 2024)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2022. “Foreign Threats to the 2022 US Elections” December 23. https://www.odni.gov/files/ODNI/documents/assessments/NIC-Declassified-ICA-Foreign-Threats-to-the-2022-US-Elections-Dec2023.pdf (Accessed February 8, 2024)   Nyst, Carly, and Nicholas Monaco. 2018. “State-Sponsored Trolling.” July 19. Institute for the Future. https://legacy.iftf.org/statesponsoredtrolling/ (Accessed February 8, 2024)   Research Center for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Open Laboratory for Emergence Strategies: ROLES. 2022. “国家安全保障戦略改訂に向けた提言(Recommenda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ctober 31. https://roles.rcast.u-tokyo.ac.jp/publication/20221031 (Accessed February 8, 2024)   Soufan Center. 2021. “Quantifying The Q Conspiracy: A Data-Driven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Threat Posed by QAnon.” April 21. https://thesoufancenter.org/research/quantifying-the-q-conspiracy-a-data-driven-approach-to-understanding-the-threat-posed-by-qanon/ (Accessed February 8, 2024)   TERCOM (陸上自衛隊の新たな戦い方検討チーム). 2023. “陸上自衛隊の新たな戦い方コンセプトについて” October 3. https://www.mod.go.jp/gsdf/tercom/img/file2320.pdf (Accessed February 8, 2024)   Thomas, Elise. 2022. “QAnon goes to China – via Russia”, Institute for Strategic Dialogue. March 23. https://www.isdglobal.org/digital_dispatches/qanon-goes-to-china-via-russia/ (Accessed February 8, 2024)   Toriumi, Fujio, and Tatsuhiko Yamamoto. 2023. “KGRI Working Papers No.1 健全な⾔論プラットフォームに向けて ver2.0 (Toward a Healthy Platform for Discussion).” May 2023. https://www.kgri.keio.ac.jp/docs/S0120230529.pdf (Accessed February 8, 2024)   Woolley, Samuel. 2023. Manufacturing Consensus: Understanding Propaganda in the Era of Automation and Anonym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이치다 카즈키(Kazuki Ichida)_메이지대학 사이버시큐리티연구소 객원연구원.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이치다 카즈키(Kazuki Ichida) 2024-02-16조회 : 4524
논평이슈브리핑
[ADRN 이슈브리핑] 2024 대만 선거에서의 중국 위협론 공방

선거 개요   2024년 1월 13일 대만에서 총통 및 입법위원 선거가 열렸다. 여당 민주진보당(민진당,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DPP)은 라이칭더(賴淸德) 부총통 겸 당대표를, 제1야당 중국국민당(국민당, Kuomintang: KMT)은 허우유이(侯友宜) 신베이 시장을 각각 총통 후보로 선출했다. 대만민중당(민중당, Taiwan People’s Party: TPP)은 타이베이 시장을 지낸 커원저(柯文哲) 당대표를 공천했다. 국민당과 민중당은 당초 후보 단일화를 논의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라이칭더 후보의 당선은 1996년 직선제 시행 이래 한 정당이 세 번 연속으로 총통 선거에서 승리한 첫 사례이다. 라이칭더는 40%의 득표율로 총통에 당선되었고, 허우유이와 커원저가 각각 34%, 26%를 득표했다.   라이칭더와 허우유이가 대만의 전통적인 양대 정당에서 선출된 반면, 커원저는 대중적 인기에 기반을 두고 양당 외의 새로운 선택지를 내세워 선거 운동을 전개했다. 커원저의 소통 방식은 마치 인터넷 유명인처럼 직설적인 언어로 사회 이슈를 지적하는 것이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제시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소통 방식은 젊은 유권자의 상대적 선호로 이어졌다.   총통 선거와 함께 치러진 입법위원 선거에서는 민진당이 총 113석 중 51석을 얻어 과반 확보에 실패했다. 국민당은 52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으며, 민중당은 8석을 차지했다. 이로써 라이칭더의 새 정부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출범하게 되었다.   대만의 정체성 및 안보 보장을 둘러싼 민진당과 국민당의 차이   통일 또는 독립을 둘러싼 문제는 대만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균열을 형성한다. 정치적 스펙트럼의 한 극단에는 대만의 독립을 추구하고, 대만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중국과의 경제 및 무역 관계를 줄이려는 경향이 있다. 반대편에는 중국과의 통일을 추구하고, 대만 고유의 정체성과 함께 중화권(Greater China)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중국과의 경제 및 무역 관계를 강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주요 정당의 독립 또는 통일에 관한 입장을 볼 때 민진당은 대만 독립을 추구하는 쪽에, 국민당은 통일을 추구하는 쪽에 상대적으로 가까우며, 민중당은 그 중간에 자리잡고 있다. 다만 세 정당은 모두 현상 유지를 선호한다는 점에서 스펙트럼의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고 할 것이다.   대만은 항상 주변 대국의 움직임을 고려해야 하는 위치에 놓여 있다. 과거의 총통 선거에서 있었던 각 정당의 공언은 이번 선거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났다. 먼저 민진당은 미국을 향해 자신들이 집권하더라도 “중화민국”이라는 국호와 헌법을 바꾸지 않겠다고 확약했다. 이는 곧 대만의 독립을 추구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이는 한편으로 베이징을 향한 공언이기도 하였으며, 개헌을 즉각 추진하는 것이 양안 간 긴장을 고조시켜 선거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깔려 있었다. 또한 민진당의 확약은 대만 내의 중도 유권자를 겨냥하는 성격도 가지고 있다. 한편 국민당은 미국을 향해 자신들이 집권하더라도 대만은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민주주의 진영의 편에 서며, 통일 문제를 비롯하여 중국과의 정치적 협상에 연계되지 않을 것을 확약했다. 국민당의 확약 또한 대만 내의 중도 유권자를 포섭하려는 목적을 함께 갖고 있다.   양대 정당은 이러한 확약과 함께 각자 지켜야 할 가치를 갖고 있다. 민진당은 대만의 주권과 민주주의를, 국민당은 “중화민국”의 국체를 각각 중시하는데, 이는 각 정당의 정치적 정체성과 결부된다. 국민당은 친미 노선과 방위력 강화를 강조하지만,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인해 민진당에 우호적인 유권자의 우려를 일으킨다. 한편 민진당은 국호와 헌법 변경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과거 몇 년 간 민진당 정부가 추진한 중국 정체성을 약화하려는 움직임이 국민당에 우호적인 유권자의 우려를 일으킨 바 있다. 이처럼 상이한 목적은 유권자를 동원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각 정당의 핵심 지지층은 정체성 및 가치 이슈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   중국 위협과 선거 개입   지난 몇 년 간 대만을 향한 중국의 위협은 정치적 영향력 및 군사적 압력을 결합하며 고조되었다. 중국은 외교 차원에서 몇몇 나라들이 대만과의 공식 관계를 단교하도록 압박하고 회유하였다. 군사적으로는 대만 해협에서 주기적으로 군용기 비행을 실시하고, 전함과 항공기를 대만 인근에 전개하는 군사 훈련을 통해 효율적인 봉쇄를 시행했다. 또한 대만을 겨냥한 위협적 언급이 점차 증가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위협은 대만 시민 다수의 반발을 초래했다.   근래 중국은 직접적, 간접적 방법을 아우르며 대만 선거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공식 발언을 통한 압박과 별개로, 중국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허위 정보를 유포했다. 중국에 비판적인 정치 세력의 신뢰도를 저하하기 위한 거짓 뉴스가 대만의 네티즌이 주로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었다. 선거 이후에도 선거 부정을 둘러싼 유언비어가 외부에서 유입됐다. 주류 언론은 가짜 뉴스를 쉽게 전파하지 않았으나, 소셜 미디어 매체를 통해 가짜 뉴스가 광범위하게 확산됐다.   중국의 외부 세력은 대만의 지방 행정구역 대표, 시민 단체 관계자 등을 중국에 초청하여 관광을 주선하는 방식으로도 선거 개입을 시도했다(Central Broadcasting Station 2023-12-04). 또한 대만의 언론인을 매수하여 가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도록 하고, 입법위원 후보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전달하는 등의 개입이 이루어졌다.   중국 위협의 활용   최근 수 년 간 대만 선거의 후보자들은 선거의 의미를 민주주의, 주권, 국가의 생존이 결부된 것으로 강화시켰다. 점증하는 중국의 위협은 집권 민진당이 중국 위협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선거 운동 기간 동안 민진당 후보는 스스로를 대만 주권의 수호자로 선전하며, 상대 후보가 당선되면 대만이 중국에 굴복하고 민주주의가 붕괴되며 대만의 주권이 약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민진당 집권기의 국내 정치에 관한 비판적인 여론을 중국 위협론으로 돌리려는 목적도 내포하고 있었다. 민진당의 선거 승리는 의심할 나위 없이 중국의 위협과 이를 활용한 선거 전략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40%에 그친 민진당의 득표율은 위협론을 활용한 선거 전략이 유권자 다수에게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았음을 시사한다. 중국과의 대화를 통해 오판과 군사적 대치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선호하는 유권자 또한 존재한다.   2024년 총통 선거에서 젊은 유권자는 이전만큼 민진당을 강하게 지지하지 않았다. 이번 선거 기간에는 양안 서비스무역협정 개정 검토나 홍콩 송환법 반대 시위 등 반중 정서를 강화하는 특별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선거 전 수 개월 간의 비교적 차분한 국면에서, 양안관계 이슈가 전면에 등장할 만한 유인은 감소했다. 또한 군사적 갈등이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고 특히 군에 징집된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다수의 젊은 유권자는 양안관계 악화를 원치 않았다. 이는 젊은 유권자 상당수가 민진당이 아닌 민중당을 지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Wang 2024).   한편 국민당은 선거를 전쟁과 평화 사이의 선택으로 정의하며 중국 위협을 활용했다. 국민당은 라이칭더 후보의 대만 독립에 우호적인 성향과 대립을 일삼는 접근법이 갈등을 고조한다고 비판하며, 민진당 집권 시 젊은 세대는 전장에 내몰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이칭더는 이에 대응하여 국호 변경과 헌법 개정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수 차례 공언했다.   정치 세력의 중국 위협 활용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중립을 지키는 정부 기관에 개입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정부는 선거의 중요성을 전략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상황은 공정한 경쟁 환경을 해치고 대중의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 가령 중국이 선거를 며칠 앞두고 대만 상공을 지나는 인공위성을 발사하자, 대만 국방부는 공습경보를 발령하고 중국이 미사일 시험 발사를 했다고 발표했다(Central News Agency 2024-01-09). 이러한 허위 정보는 국가 안보 위협에 대한 인식을 고조시켜 집권 여당에 대한 지지를 결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선거 전에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중국의 침투를 도왔다는 이유로 정치적 반대 세력과 시민들을 조사하고 기소하도록 법 집행 기관에 명령하는 정부 개입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최근 수 년 간 대만에서는 가짜 뉴스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질서유지법 및 중국의 선거 및 정치 개입에 대응하기 위한 반침입법이 제정되었다. 민진당은 중국이 인지전 및 침입에 연루되어 있다는 점을 이용해 왔다. 정부를 비판하거나 정부 정책에 의견을 개진하는 행위를 인지전으로 규정함으로써, 비판적 기류를 저하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것이다(Wu 2023). 또한 민진당 정부는 지역 대표 수십 명이 주민들의 중국 방문을 알선한 혐의에 대하여, 선거를 앞두고 법 집행 기관에 수사를 지시했다. 여러 지역 대표들은 중국의 보조금 지원을 받는 여행을 주민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수단으로 활용했다(Kung 2019). 또한 법무부는 중국 출신 이민자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여, 특정 이민자 집단을 표적으로 삼았다는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경제 정책을 둘러싼 차이의 부재   국가 방위와 안보, 주권이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한 반면, 다른 정책 이슈에 관한 논의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주권에 관한 이슈는 정치적 정체성과 상당 부분 결부되어 있으며, 핵심 지지 세력의 강한 지지를 효과적으로 결집할 수 있다. 반면 노동 연금 재정의 파산 가능성, 인구 구조 급변, 지구 온난화, 노동력 부족, 에너지 보조금 재원 문제 등 시급한 사회경제적 이슈는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세 후보와 언론은 부동산 보유 문제 등 서로의 결점에 관한 공방에 집중했다.   세 후보는 심각한 사회경제적 이슈에 대응하는 정책을 공약했지만, 심도 있는 논의와 충분한 관심 환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특정 유권자 집단의 이익을 해치지 않도록,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 원인에 대한 지적을 회피했다. 가령 세 후보는 모두 노동 연금 재정의 결손을 막기 위해 노동자의 납부액을 인상하는 방안에 관하여 함구했다. 대신 후보들은 정부 예산을 계속 투입하여 결손을 보완하겠다고 공약했다.   세 후보의 산업, 노동, 교육, 주거, 보건 관련 정책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에너지 문제와 관련하여 국민당과 민중당은 원자력 발전을 지속하고자 하지만, 민진당은 가급적 신속하게 탈원전을 추진하고자 한다. 이러한 정책의 차이는 양안관계를 둘러싼 후보 간 입장 차이에 비해 분명하지 않았다.   각 후보들은 미국과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하며, 대만의 군사적 억지력을 강화하고, 동등하고 존엄한 입장에서 중국 대륙 측과 대화에 나서고자 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미국의 학계와 언론들은 선거 결과와 무관하게 미국 및 중국과 대만 간 관계는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후보들은 모두 미국을 방문하여 대학과 싱크탱크의 연구진을 만나고 정부 관리와 논의하며 미국과의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했다.   다만 세 정당은 “동등하고 존엄한” 입장을 각각 달리 해석했다. 허우유이 후보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합의하되 그 표현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일중각표(一中各表) 원칙을 수용하며, 대만 독립에 반대하고 전쟁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라이칭더 후보는 전임자인 차이잉원(蔡英文) 총통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중국”이 “일국양제”와 같은 것이라고 보고 이를 수용하지 않는 입장이다. 국민당은 라이칭더의 입장이 대만 독립에 우호적이고 군사적 갈등을 유발한다고 비판하였고, 라이칭더는 국민당의 노선이 중국에 대한 굴복이라고 비판했다. 커원저 후보의 입장은 더욱 모호했다. 양안 간 경제 관계와 관련하여, 라이칭더는 경제가 국가 안보와 강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강조하면서 대만이 대중국 의존에서 탈피하여 민주 진영과의 경제적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민당은 중국 본토와의 경제적 연대 강화를 선호했다. 다만 허우유이 후보의 입장은 이전 선거에 출마했던 국민당 후보에 비해 대만의 주권과 민주적 제도의 중요성을 비교적 강조하며, 베이징에 대한 불신을 어느 정도 나타냈다.   맺음말   2024년 대만 선거의 주요 화두는 중국 위협과 이를 활용한 각 정당의 전략이었다. 이는 민주주의의 존립 및 질적 저하에 관한 우려와 결부되는 주제이다. 각 후보들은 미국과의 관계 강화, 대만의 방위 역량 강화, 현상 유지를 공언했지만, 민주주의의 존립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중국의 개입을 감시하고 민주 진영과 협력하는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존립에 대한 위협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는 대만의 민주주의에 관한 또다른 우려를 낳는다. 새 정부는 국가 안전 보장과 민주적 원칙의 보호라는 두 목표를 조화롭게 이행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앞에 두고 있다.   라이칭더 정부는 분점 정부로서 입법원의 다수를 점한 야당을 상대해야 한다. 입법부 내 다수를 형성하기 위해 사안별로 정당 간 연합을 추진할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 정책에 대한 타협이 불가피하다. 헌법 개정을 위해 전체 입법위원 중 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차치하더라도, 국민당과 민중당이 대만 독립에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민진당이 독립을 추구하는 정책을 밀어붙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사회경제적 이슈에 관한 법률에 대해서는, 과거 민진당 천수이볜(陳水扁) 총통 집권기(2000-2008)의 사례에서 보듯 정당 간 협력의 여지가 존재한다. ■   참고 문헌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2023. “China Invite Neighborhood Representatives, Prosecutors have acquired intelligence and are currently conducting investigations.” [中國招待北市里長涉介選 檢方掌握情資偵辦中] December 4. https://www.rti.org.tw/news/view/id/2188599 (Accessed January 28, 2024)   Central News Agency. 2024. “Wrong Translation of National Missile Raid Alert Department of Defense Apologize.” [國家級警報衛星誤譯成飛彈 國防部致歉] January 9. https://www.cna.com.tw/news/aipl/202401095003.aspx (Accessed January 28, 2024)   Kung, William. 2019. “Neighborhood Representative: How China Factor Penetrate Taiwan’s Local Communities” [從「雙棲里長」到「里長組黨」,中國因素如何深入台灣選舉基層?] The Reporter. December 13. https://www.twreporter.org/a/2020-election-chief-of-village-party-united-front-china (Accessed January 28, 2024)   Wang, Austin Horng-En. 2024. “2024 Presidential Election: The Two Major Parties that Are Trapped, the Third Option Rises with Concern.” [王宏恩/2024總統大選:走不出去的兩大黨、崛起但有隱憂的第三選擇]. The Reporter. January 14. https://www.twreporter.org/a/2024-election-wang-austin-horng-en-view (Accessed January 28, 2024)   Wu, Chin-en. 2023. “Taiwan’s Civic Space Threatened by Chinese Misinformation and the Government’s Worrisome Legislative Responses.” ADRN Issue Briefing. February 10. http://adrnresearch.org/publications/list.php?idx=294 (Accessed January 28, 2024)     ■ 우친엔(Chin-en Wu)_대만중앙연구원 연구위원(Associate Research Fellow at the Institute of Political Science, Academia Sinica).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우친엔(Chin-en Wu) 2024-01-31조회 : 4831
논평이슈브리핑
[ADRN 이슈브리핑] 민주주의 지원을 위한 한국 ODA의 개혁 방안

원조와 민주주의 지원   한국은 2022년 기준, 27.9억 달러(국민소득 대비 0.17%) 규모의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이하 원조)를 지원해 경제개발협력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30개 국가가 소속된 개발협력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에서 16위 공여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DAC에 2010년 가입한 이래 한국의 원조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빈곤국에서 공여국으로의 성공적 전환은 세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취이다. 하지만 한국의 높은 자유민주주의 위상에서 보자면 민주주의 원조 수준은 낮은 편이다.   민주주의 원조에 관한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민주주의 옹호와 지원에 쓰이는 원조를 통칭한다. 민주주의 원조가 자칫 협력대상국 정부의 내정 간섭으로 비쳐질 수 있어, 빈곤 퇴치와 사회경제적 발전이 주요 목표가 되는 개발협력(development assistance)에서 민주주의 원조를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는다. DAC도 원조를 “개발협력과 유관 정책들을 도모해,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개발, 국가 내 · 국가 간 평등의 진전, 빈곤 퇴치, 개도국의 삶의 여건 개선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2030에 기여함을 목표로” 두고, 개발, 통상, 산업 등은 물론 환경, 성평등, 반부패, 시민사회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원조정책의 표준을 만들고 제언을 해 오고 있다. 한마디로, DAC 차원에서 민주주의 확산을 원조의 목적으로 말하고 있지는 않다 (OECD n.d.).   한국의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역시 “국제개발협력정책의 적정성과 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국제개발협력의 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게 함으로써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인류의 공동번영과 세계평화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말한다. 이 법은 국제개발협력의 기본원칙으로 국제연합헌장의 제반 원칙 존중, 협력대상국의 자조노력 및 능력 지원, 협력대상국의 개발 필요 존중, 개발경험 공유의 확대, 국제사회와의 상호조화 및 협력 증진을 명시하고 있는데, 원조를 민주주의에 연관시키는 어떤 자구도 없다(OECD 2005;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n.d.).   오랜 기간 되물어져 온 “원조가 과연 효과가 있느냐”는 질문은 주로 경제적 개발 효과가 있는지에 초점을 뒀고, 공여국들의 원조도 이에 따라 국가역량 및 제도 구축과 관련한 사업들이 중심이 되어 왔다(Riddell 2007). 2005년 천명된 파리 선언도 원조효과성 5대 원칙 — 수원국의 오너십, 공여국의 수원국 간의 전략 연계, 공여국 사이 조정과 공여국과 수원국 사이의 협력 등의 조화, 결과중심 관리, 상호 책무성 — 의 목적을 원조의 사회경제적 발전 효과에 두고 있다. 현행 원조체제의 근간이 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17개 가운데서도 민주주의 옹호와 관련되는 것은 16번째 목표인 “평화, 정의, 강력한 (포용적) 제도” 정도이다.   내전, 분쟁이나 재난 등 갈등적 상황에서 인도주의적 지원이 실시될 때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무해(Do No Harm)’ 원칙을 민주주의 지원의 관점에서 어떻게 봐야 할지는 신중을 요구한다. 이 원칙은 원조 간섭(aid intervention)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았는데 협력대상국 내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거나 국가 건설을 방해할 수 있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경각심에서 정립되었다. 유엔 난민 고등판무관(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은 무해원칙을 공평성, 중립성, 투명성, 책무성 등의 윤리적 측면에서 강조하고 있다(UNHCR 2019). OECD는 공여국들이 원조 제공 시 현지 정치 역학과 역사적 배경에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포용적 정치과정, 국가 정통성, 건설적 국가-사회 관계, 적절한 국가기능 역량 강화에 집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1] 권력 집단 간 정치적 대립, 엘리트와 사회세력 간 갈등 등 현지의 권력관계에 정치적 중립을 지키면서 통합적 국가건설에 원조가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민주주의 지원 요소보다는 국가건설과 사회통합에 더 초점을 두는 것이다.   그런데, 전면에 나서지 않았던 민주주의 원조를 지정학적 이해관계와 융합하여 옹호하는 흐름이 생기고 있다. 공여국들의 원조는 협력대상국 수요 중심으로 효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지만, 공여국들의 이해관계가 원조정책의 저변에 흐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Lancaster 2007; Haan 2009). 민주주의 공여국들도 안보나 경제적 이해관계 또는 외교적 영향력 확보를 민주주의 옹호 자체보다 우선시해 왔다. 이렇다 보니 민주주의 옹호론자들은 서방 공여국들이 해외 원조 시 민주주의 가치와 인권 존중을 게을리하고 있다고 종종 비판해 왔다. 특히, 원조 총액 면에서 제1위 공여국인 미국의 경우는 안보와 외교 협력이 원조정책의 주요 동인이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민주주의 대 전제주의로 국제정세를 보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민주주의 지원을 원조정책을 비롯한 미국의 외교정책에 보다 강력하게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Task Force on US Strategy 2021).   바이든 대통령은 전임자와 달리 민주주의를 대외 정책에 반영하는 데 적극적이며, 이러한 취지에서 민주주의정상회의를 만들어 2021년 12월 첫 회의를 열었다. 세계 민주주의 진흥을 위한 미국의 노력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더 커졌는데 ‘민주주의 재생을 위한 대통령의 창안(Presidential Initiative for Democratic Renewal)’ 아래 독립 미디어, 반부패, 민주주의 개혁가 지원, 민주주의를 위한 기술 전진, 선거 및 포용적 정치과정 보호 등 다섯 가지 분야에서 미국원조청(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을 중심으로 지원을 하고 있다(White House 2022). USAID의 수장인 서맨사 파워(Samantha Power)는 전제주의에 맞서는 옳은 길은 그간 개인의 권리 옹호에 치중했던 가치중립적 경제개발 원조 간의 벽을 허물고 민주주의 지원을 원조를 포함한 모든 경제적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Power 2023).[2] 권위주의에 반대하는 시민의 자발적인 저항 운동이 있을 시, 내정 불간섭 원칙에 절대적으로 구속되지 말고 국제적으로 인정된 인권 옹호의 연장선상에서 외부의 민주주의 지원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민주주의) 지원을 받을 권리(right to assistance)” 규범이 확립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등장했다(Merriman, Quirk, and Jain 2023).   이처럼 민주주의 지원을 지정학적 이해관계에 연계하는 움직임에 대한 비판도 있다. 개발 중시나 지정학적 관점에서 민주주의 지원을 하지 말고, 소수 집단의 인권이나 언론인 및 반정부 인사의 정치적 자유 등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민주주의 지원 본연의 임무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Pepinsky 2021). 이러한 주장은 민주주의 원조를 공여국의 안보나 경제적 이해관계에 종속시키지 말고 일관되게 민주주의 지원에 충실하자는 기존 논리의 연장선상에 있다. 두 주장은 민주주의 지원이 왜 중요한가에 대한 시각의 차이가 있지만, 민주주의의 보호와 진흥을 위해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한국의 윤석열 정부는 자유, 인권, 법치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외교정책에 통합시키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제2차 민주주의정상회의 인태지역 회의 기조 연설에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에게 전자정부, 디지털, 기술 역량 강화, 투명성, 반부패 등 민주주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에서 향후 3년간 1억 달러 규모의 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발언 이후 외교부는 5월 무상원조 관계기관 협의회를 열고 2024년도 무상원조 후보사업 지원액을 총 3조 4,281억원 규모로, 전년도 대비 29.3%나 늘렸다. 다만 정상회의에서 천명된 원조는 주로 전자정부와 디지털 기술 제공과 같은 기술지원이나 협력대상국 정부의 역량강화 사업이어서, 이것이 과연 민주주의 지원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권위주의가 득세하면서 서구 공여국들에서는 민주주의 원조 적극론에 대한 지지가 강해졌고, 자유민주주의를 외교정책에 적극 표방하고 있는 한국 정부도 이러한 접근 방식을 공유하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한국이 어떤 분야의 민주주의 원조를 확장해야 할지, 민주주의 원조를 집중할 수 있는 협력대상국의 여건은 무엇인지, 효과 있는 민주주의 원조를 위한 집행 방식은 어떤 것인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이 확장해야 할 민주주의 원조 부문   OECD 보고서는 DAC의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지원 분야를 국가건설(state building)과 민주주의 지원(democracy promotion)으로 양분해 비교하고 있다. 전자는 공공정책 및 행정관리, 공공재정관리, 분권화와 자치정부 지원, 반부패 조직과 기관 지원, 세수 증대, 공적 획득, 법적 사법적 발전, 거시경제 정책 등으로 구성되며, 후자는 민주적 참여와 시민사회 지원, 입법부와 정당, 미디어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 인권, 여성의 평등을 위한 조직과 기관,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 근절, 질서 있고 안전하고 책임 있는 이민과 이동 활성화 등으로 구성된다. 2010년에서 2019년 사이 모든 원조 공여국들이 124개국 수원국에 지급한 원조를 분석한 OECD 보고서에 의하면, 동 기간 거버넌스 원조의 73%가 국가건설에, 27%가 민주주의 진흥에 사용되었고 이러한 비율은 매년 별 변동이 없었다고 한다.[3]   한국의 원조에서 민주주의 지원은 무상원조를 통해 구현된다. 무상원조 집행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의 웹사이트에 열거된 12개 활동 분야 중, 민주주의와 관련된 분야는 거버넌스 및 평화, 성평등, 인권 3개 분야이다. 그 가운데 핵심적인 거버넌스 및 평화 분야에 관한 중기전략을 보면, ‘참여적이고 포용적인 민주주의’가 민주주의 관련 전략 목표이다. 이 목표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포용적 선거 및 입법활동 지원과 참여적 민주주의 기반 확대가 제시되고 있다. 나머지 ‘분쟁 예방 및 평화로운 삶’은 공동체와 사회 통합에, ‘안전하고 정의로운 사법 및 치안제도’와 ‘책임있고 효율적인 행정제도’는 공공기관 및 제도에 관한 것이다(KOICA n.d.). 평화 및 거버넌스 분야 지원액은 2016-2019년 사이 전체 원조에서 15-18%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 중 81%가 거버넌스, 19%가 평화 관련 원조였다. 거버넌스 원조는 행정제도에 62%, 사법치안제도에 19%, 입법지원에 5% 순으로 지원되어, 결국 KOICA의 거버넌스 원조는 행정제도 개선과 공공행정 역량강화 및 초청연수에 대부분을 사용한 셈이다(김태균 2021). 문제는 사법 및 치안제도나 행정기관 역량강화는 국가건설에 해당되어 민주주의 원조로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한국이 국가역량 부문을 거버넌스 분야로 분류해 원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은 발전국가 또는 행정국가 모델을 통해 근대화를 이룬 역사적 경험이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좁은 의미의 민주주의 원조 기준에 충실하자면, KOICA의 프로그램 중 선거 및 입법활동 지원, 참여 민주주의 기반 지원, 성평등이 해당된다. 한국 선거관리위원회가 창설하여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 세계선거관리협의회(Association of World Election Bodies: A-WEB)가 민주적 선거 지원과 각국 선거관리기관 간 교류를 담당하고 있어 이 분야 활동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보조금과 함께 지원되던 정부 예산이 대폭 삭감되어 현재는 충분한 활동을 하고 있지 못하다. 기왕에 한국이 주도해 선거관리위원회들의 국제적 협의체를 만들고 사무국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협의회의 법적, 재정적 위상을 개선해 민주주의 원조의 창구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민주적 참여의 경우는 한국 사회의 온 · 오프라인 능동적 시민 참여가 활발한 만큼 협력대상국 맥락에 맞춰 이를 프로그램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방정부 예산 수립 시 활용되어 오던 시민참여예산제나 디지털 청원제도 및 정책 제안과 같은 것은 협력대상국 시민들의 정치 참여를 도울 수 있다.   자유로운 미디어 활동 지원은 민주적 거버넌스에 중요하다고 여겨지지만, 한국의 원조 기관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이는 한국 원조가 정부 대 정부 간의 계약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민간 언론 지원이 어렵고, 미디어 지원은 자칫 국내 정치 간섭으로 비칠 수 있어 피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 독립적 언론 매체가 다양하고 그 숫자도 매우 많은 상황에서 자유 언론 지원을 게을리하는 것은 갖고 있는 역량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경우 양자원조보다는 다자기구나 자유언론을 지원하는 서방의 민간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어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민자와 난민에 관한 지원 역시 민주주의 원조 차원에서 주목받고 있다. 난민과 이민 유입에 대한 통제가 강한 한국 정부도 이제 사람들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입장이 되고 있는 만큼, 국제적 원조 활동을 통해 국내 이민과 난민 거버넌스 개혁의 동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사회의 주요 성취 중 하나인 성평등의 경우, 교육과 고용을 통한 여성 권리 신장이 한국 민주주의 원조의 강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자면, 한국의 거버넌스 원조는 행정제도 역량강화에 집중되어 있고, 전형적인 민주주의 원조는 취약하다는 점이다. 국가역량이나 기술 지원보다는 시민사회 강화나 언론자유와 같은 민주주의 원조가 수원국의 민주적 거버넌스 진흥에 효과가 있으므로 이 분야의 원조를 보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국 원조: 신생민주주의국에 민주주의 원조를 집중하라   DAC 공여국들이 굿 거버넌스에 도움이 되는 원조를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이들의 원조는 협력대상국 정치체제 형태를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 중론이다. 최근 발표된 OECD 보고서는 2010년에서 2019년 사이 10년 간 공적개발원조가 레짐 형태별로 어떻게 지원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 기간 OECD DAC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포함한 모든 원조 공여국이 124개국 수원국에 지원한 추세를 보면, 전제주의 국가들로 흘러간 원조 총액은 2010년 전체 공적개발원조액의 64%에서 2019년 79%로 15%포인트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주의 레짐 가운데 직접선거도 하지 않는 폐쇄 전제주의 국가들에 대한 공적개발원조는 178%가, 선거는 치르되 비민주적인 선거 전제주의 국가들에 대한 원조는 41%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다.[4] 이는 10년 간 전제주의 국가가 68개국에서 75개국으로 늘었고, 전제주의 국가들에 대한 인도주의적 원조가 19배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2015년 이후 시리아와 예멘 사태는 전제주의가 강화되어도 이들 국가들로 인도주의적 지원을 늘릴 수밖에 없는 딜레마를 잘 드러낸다. 나아가 동 기간에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신흥 공여국들은 전제주의 국가들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대폭 늘렸다. DAC 회원이 아닌 이들 국가는 인권이나 민주적 거버넌스를 중시하는 위원회의 원조 원칙을 따를 필요가 없었다.   공적개발원조가 빈곤 퇴치와 경제개발이 주요 목적인 만큼 원조 총액의 흐름이 협력대상국 정치체제를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은 일견 당연해 보일 수 있다. 그렇다면 거버넌스를 개선하려는 목적의 원조는 어떨까? 동 보고서는 2010년대에 거버넌스 원조가 전체 공적개발원조 총액의 65%에서 73%로 증가했지만 이는 전적으로 폐쇄전제주의 국가들로 거버넌스 원조가 150%로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보고한다. 이는 거버넌스 원조도 레짐 형태를 가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민주주의진흥 원조만 따로 보아도(즉 전체 거버넌스 원조에서 국가건설을 위한 원조를 제외하더라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민주주의진흥 원조 가운데 동 기간 참여와 시민사회 지원이 항상 가장 크고, 선거지원은 줄어든 반면 인권과 여성 지원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런데 민주주의 원조 역시 필요와 기회가 상당히 다를 협력대상국 정치체제 특성을 별로 고려하지 않은 채 지원된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5개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들인 미국, 유럽연합, 스웨덴, 영국, 독일은 전체 민주적 참여와 시민사회 원조액의 70%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들마저도 레짐 형태에 따라 차별화를 별로 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2010년과 2019년 사이에 폐쇄 전제주의 국가들에 대한 민주주의 진흥 원조가 72% 늘어났는데, 이 범주의 원조는 소말리아, 요르단, 남수단, 중국, 모로코, 시리아로 흘러 들어갔다.   이러한 추세를 본다면 민주주의 원조라고 하면서도 민주화 기대효과 없이 전제주의 국가에도 이런저런 이유로 원조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점은 수원국의 레짐 형태와 무관하게 민주주의 원조가 지원되었다고 해서 민주화 효과가 없었다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점이다. 최근 실증 연구들은 민주주의 원조가 민주화를 돕고 있음을 발견한다. 2002-2012년 사이 OECD 국가들의 원조 전후를 비교한 Lührmann 등의 연구는 선거민주주의 수준, 핵심적 시민사회, 시민자유 수준에 대한 민주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다. 수원국 체제의 위협이 되지 않는 한, 국가역량 강화 원조보다는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민주주의 진흥 원조가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Lührmann et al. 2018). 2002-2018년 사이 EU 민주주의 원조 지원을 분석한 Gafuri의 연구도 EU의 126개 수원국 대상 민주주의 원조가 V-Dem 선거민주주의 지표의 0.01점 상승을 가져오고, 수원국 1인당 지급된 1달러의 민주주의 원조가 2년후에 0.009점의 선거민주주의 지표 상승을 가져오는 등 크지는 않지만 민주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있다 (Gafuri 2022). 25년 간 스웨덴의 민주주의 진흥 원조 효과를 분석한 Niño-Zarazúa 등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반적인 효과는 미미하지만 수원국이 민주화 상승 추세에 있을 경우 민주주의 지원 효과가 크다고 말한다. 따라서, 아직 민주주의 공고화 단계에 이르지 않았을 때 어느 정도 민주화가 되었다고 원조를 줄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공고화에 필수불가결한 인권, 참여 및 시민사회 강화, 자유언론과 같은 부문에 민주주의 원조를 집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Niño-Zarazúa et al. 2020).   Cheeseman과 Desrosiers의 최근 보고서도 권위주의 국가라고 원조를 중단해서도 안되지만 우선한다면 민주주의가 조금씩 약화되어 가고 있는 국가에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것을 주문한다. 가장 중요하게는 수원국에 지속적으로 일관된 방식으로 관여하는 원칙을 지키는 것인데, 안보나 경제를 우선시하면서 수원국들에 관여할 때 민주주의를 해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장 우선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Cheeseman and Desrosiers 2023).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자면, 인도주의적 이유 등으로 권위주의 국가를 지원하더라도, 공여국은 신생 민주주의 국가에 지원을 집중하지 않고 있다. 민주주의 공여국들이 거버넌스 지원에 따른 민주화 효과를 기대하고 싶다면, 민주화 과정에 있는 신생 민주주의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진적, 장기적인 민주화 효과를 기대하면서 민주화 과정에 있는 특정 수원국이 필요로 하는 분야에 지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겠다.   한국 원조: 시민사회 단체 및 민주주의 공여국과 파트너십을 통해 원조 집행방식을 다각화하라   한국의 해외 원조는 협력대상국 정부와의 계약에 기반하는 정부 간 원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정부 민간단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출되는 해외 원조는 아직 전체의 4%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 점은 협력대상국 시민사회 지원을 민간 루트를 통해 실시하는 서구 공여국의 원조 방식과 상당히 다른 부분이다.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제2조는, 국제개발협력을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발전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협력대상국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무상 또는 유상의 개발협력(이하 “양자간 개발협력”이라 한다)과 국제기구에 출연ㆍ출자 및 양허성 차관 등을 통하여 제공하는 다자간 개발협력을 말한다”라고 적시하고 있다. 여기서 국제기구란 OECD DAC이 정한 개발 관련 정부 간 또는 비정부 국제기구 가운데 한국이 재정적 기여를 하거나 공동사업추진 등을 통하여 협력하는 국제기구를 말한다. 따라서 이 법 조항에 따르면 비정부 국제기구를 통해 공동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법적 근거가 있는 만큼, 한국 정부는 국내외 비정부 단체와 민관 협력을 아우르는 혁신적 방식으로 원조 집행을 다각화해야 할 것이다.   다자성 양자원조(multi-bilateral assistance)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자성 양자원조는 협력대상국, 지역, 분야, 주제 등 용도를 지정하여 국제기구에 기금을 위탁하여 시행하는 제도로 국제기구가 의사결정권을 갖는 다자원조와 구별된다. 다자성 양자원조는 공여국이 국제기구의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하면서 정부 간 양자원조와 비교하여 정치적 민감성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연재해나 분쟁 등 취약국가에서 긴급한 구호 원조가 필요할 공여국들이 유엔 산하 국제기구들을 종종 활용하는데, 한국도 아프리카 최빈국이나 필리핀 등 재난 구호 시 이러한 방법을 활용했다고 한다(조현주 · 김은미 · 정헌주 2015). 이를 민주주의 원조에 활용한다면 민주주의 지원에 특성화되어 있는 국제기구의 전문성을 활용하고 협력대상국 정치 불간섭 원칙을 지키면서 현지 민주적 거버넌스를 도와주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뜻을 같이하는 민주주의 공여국 간 파트너십도 가능하다. 목표를 공유하는 민주주의 공여국들이 수원국 원조에 드는 행정적 비용을 절감하며 개발원조의 규모를 확대하는 등 시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을 것이다.   결론   한국은 경제 발전과 민주화를 모두 성취한 대표적 자유민주주의 공여국이다. 그러나 협력대상국 민주주의를 지원하는 원조에 대해서는 뚜렷한 원칙과 규범 없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는 시점에 민주주의의 증진을 위해 민주주의 원조의 틀을 짤 필요가 커졌다. 본고는 기존의 경제적, 사회적 개발에 초점을 두어 온 한국의 원조 정책을 크게 바꿀 수 없을지라도 민주주의 원조를 시급히 정립해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존 정부 역량강화나 기술지원 원조에서 나아가 선거지원, 시민참여, 자유언론 지원과 같은 분야의 민주주의 지원을 늘릴 것, 둘째, 수원국 선정 시 전제주의와 공고한 민주주의 사이에 있는 신생 민주주의에 집중할 것, 셋째, 국내외 민간단체들과 관민협력 파트너십을 통해 또한 국제기구나 뜻을 같이 하는 민주주의 공여국들과 협력하여 협력대상국의 시민사회와 언론을 직접 지원하는 원조를 집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의 출발점은 DAC 공여국들과 원조 분류 방식이나 체계를 일치시키되 우리 실정에 맞게 프로그램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원조를 통한 기여외교는 빈곤 탈출과 경제개발에서 나아가 민주적 거버넌스를 진흥하는 방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민주적 거버넌스가 자리잡지 못하면 지속가능한 발전도 안정적 평화도 어렵기 때문이다. ■     [1] 동 보고서는 특정 집단을 배제하고 치러지는 선거라면 이른 시일 내 선거 실시가 바람직하지 않고, 시민사회의 기대를 너무 높여도 갈등적 상황에 도움이 안 된다고 보고한다. 취약국가의 정부가 기능적 역할을 못 한다고 시민사회 단체들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공공부문을 두 개 만드는 것과 같으므로, 이보다는 국가부문을 통한 원조 자원 분배가 바람직하다고 주문한다(OECD 2010). [2] USAID는 활동 영역을 13가지로 분류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인권, 민주주의 및 거버넌스(Democracy, Human Rights, and Governance)’이다. https://www.usaid.gov/democracy [3] 이 보고서는 원조와 협력대상국 레짐 유형 간 관계를 보는 만큼 국제기구 등으로 향한 다자원조는 제외하고 있는데, 총액 규모로는 전체 공적개발원조의 70%에 이르는 것이다. 민주주의다양성 연구에서 레짐 분류방식은 Lührmann et al.(2018)을 참조할 것. [4] 이처럼 178% 늘어난 폐쇄전제주의로 지원된 원조는 주로 다자원조 형태로 공공부문에 투입되었는데, 분야별로는 인도주의 원조(34%), 사회 인프라와 서비스(29%), 경제 인프라와 서비스(14%), 물품 원조와 프로그램 지원(7%)으로 사용되었다.   참고 문헌   김태균. 2021. “한국 민주주의 지원 경험의 글로벌 서사로서의 함의.” EAI 이슈브리핑. https://eai.or.kr/new/ko/pub/view.asp?intSeq=20830&board=kor_issuebriefing (검색일: 2024. 1. 25.)   외교부. 2023. “「2023년 무상원조 관계기관 협의회」 개최.” 5월 3일. https://www.mofa.go.kr/www/brd/m_4080/view.do?seq=373628 (검색일: 2024. 1. 25.)   조현주 · 김은미 · 정헌주. 2015.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다자성 양자원조(multi-bilateral assistance)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관계연구』 20, 2: 35-65.     Cheeseman, Nic, and Marie-Eve Desrosiers. 2023. “How (Not) to Engage with Authoritarian States.” Westminster Democracy Foundation. https://www.wfd.org/sites/default/files/2023-02/how_not_to_engage_with_authoritarian_states_wfd_cheeseman_desrosiers_2023.pdf (검색일: 2024. 1. 25.)   Gafuri, Adea. 2022. “Can Democracy Aid Improve Democracy” The European Union’s Democracy Assistance 2002-2018.” Democratization 29, 5: 777-797.   Haan, Arjan de. 2009. How the Aid Industry Work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Kumarian Press.   KOICA. n.d. “KOICA’s Governance Mid-Term Strategy 2021-2025.” https://www.koica.go.kr/koica_en/3416/subview.do (검색일: 2024. 1. 25.)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N.d.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54777&lang=ENG (검색일: 2024. 1. 25.)   Lancaster, Carol. 2007. Foreign Aid: Diplomacy, Development, Domestic Poli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ührmann, Anna, Kelly McMann, and Carolien van Ham. 2018. “Democracy Aid Effectiveness: Variation Across Regime Types.” V-Dem Institute Working Paper. https://v-dem.net/media/publications/v-dem_working_paper_2018_40_revised.pdf (검색일: 2024. 1. 25.)   Lührmann, Anna, Marcus Tannenberg and Staffan I. Lindberg. 2018. “Tannenberg and Lindberg, Regimes of the World (RoW): Opening New Avenues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Political Regimes.” Politics and Governance 6, 1: 60-77.   Merriman, Hardy, Patrick Quirk, and Ash Jain. 2023. “Fostering a Fourth Democratic Wave: A Playbook for Countering the Authoritarian Threat.” March 28. https://www.atlanticcouncil.org/programs/scowcroft-center-for-strategy-and-security/global-strategy-initiative/democratic-order-initiative/fostering-a-fourth-democratic-wave/ (검색일: 2024. 1. 25.)   Niño-Zarazúa, Miguel, Rachel M. Gisselquist, Ana Horigoshi, Melissa Samarin, and Kunal Sen. 2020. “Effects of Swedish and International Democracy Aid.” https://www.oecd.org/derec/sweden/Effects-of-Swedish-and-international-democracy-aid.pdf (검색일: 2024. 1. 25.)   OECD. 2005. “The Paris Declaration on Aid Effectiveness: Five Principles for Smart Aid.” https://www.oecd.org/dac/effectiveness/45827300.pdf (검색일: 2024. 1. 25.)   ______. 2010. Do no Harm: International Support for Statebuilding. https://www.oecd.org/dac/conflict-fragility-resilience/docs/do%20no%20harm.pdf (검색일: 2024. 1. 25.)   ______. n.d. “DAC Standards.” https://www.oecd.org/dac/dac-instruments-and-standards.htm (검색일: 2024. 1. 25.)   Pepinsky, Thomas. 2021. “Biden’s Summit for Democracy should focus on rights, not economics and geopolitics.” November 22. https://www.brookings.edu/articles/bidens-summit-for-democracy-should-focus-on-rights-not-economics-and-geopolitics/ (검색일: 2024. 1. 25.)   Power, Samantha. 2023. “How Democracy Can Win: The Right Way to Counter Autocracy.” Foreign Affairs, March/April 2023.   Riddell, Roger C. 2007. Does Foreign Aid Really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Task Force on US Strategy. 2021. “Reversing the Tide: Towards a New US Strategy to Support Democracy and Counter Authoritarianism.” https://freedomhouse.org/democracy-task-force/special-report/2021/reversing-the-tide (검색일: 2024. 1. 25.)   UNHCR. 2019. “Emergency Handbook: Humanitarian Principles.” https://emergency.unhcr.org/protection/protection-principles/humanitarian-principles (검색일: 2024. 1. 25.)   White House. 2022. “Fact Sheet: Summit for Democracy: Progress in the Year of Action.” November 29.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statements-releases/2022/11/29/fact-sheet-summit-for-democracy-progress-in-the-year-of-action/ (검색일: 2024. 1. 25.)     ■ 이숙종_동아시아연구원 시니어펠로우. 성균관대학교 특임교수.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이숙종 2024-01-26조회 : 4657
논평이슈브리핑
[ADRN Issue Briefing] Quo Vadis Indonesian Democracy? A Closer Look at Dynastic Politics

Re-emergence of Dynastic Politics in Indonesia   While being recognized as a “reluctant global statesman” (Wee 2022), President Joko Widodo is known for his pace in advancing Indonesia’s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his popularity ratings have been high. However, the stability of Indonesian democracy recently faces a threat from the growing symptom of political dynasties, a recurring political feature in Southeast Asia including Indonesia.   Political dynasty in Indonesia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political power or political positions ar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in one family or lineage. Establishing a political dynasty is often considered a political strategy to gain and maintain power. By using family power and influence, politicians can build strong support networks. In theory, political dynasty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notations. Positive connotations can occur if the generation holding power is proven competent; however, this may happen when the institutional structure, for instance, a political party, is weak. On the other hand, negative connotations arise when the dynastic systеm is used to maintain power within a family without paying attention to leadership quality. Nevertheless, the case in Indonesia involving President Jokowi’s son in the 2024 election as a Vice President candidate has yielded more negative responses.   Several fundamental variables c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dynasties. One of these reasons is the desire for personal or family power. Furthermore, there are structured collectives formed by mutual consensus and a feeling of cohesion, leading to the emergence of group leaders and participants. This is made possible by a multi-party democratic systеm. Moreover, the collaboration between leaders and businesses requires certain conditions to combine the power of financial resources with the power of political personalities. Ultimately, there is a propensity to “assign onus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influential individuals with money, which often results in corruption.   Political dynasties in Indonesia are often a source of criticism because they can hinder meritocracy, where leaders are selected based on qualifications and achievements, not family relationships. In Indonesia, political dynasties and political oligarchy potentially obstruct the renewal of political leadership. This environment concentrates power within families, limiting opportunities for other parties and undermining bureaucracy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due to corruption and misconduct.   Despite the intense debate and criticism, political dynasties have increasingly been recognized in Indonesia since the post-Soeharto period (Aspinall and As’ad 2016). The political legacy of the first President Sukarno has been passed down to his daughter, Megawati Sukarnoputri, who became the fifth President and is currently the leader of the incumbent party. Sukarno’s granddaughter, Puan Maharani, serves as the speake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DPR). Similarly, descendants of other former presidents, Soeharto and Susilo Bambang Yudhoyono, have also been involved in political activities, building upon their ancestors’ legacies.   Political dynasties can emerge in various political systеms, including autocratic and monarchical ones, where power is often inherited within royal families (Ved 2013). This phenomenon is not exclusive to Indonesia; it is prevalent in Western civilizations and cultures. Similar trends are observable in European nations and, notably, in American politics (Hess 2016). In addition, political dynasties, also known in South and Southeast Asia, play a part in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politics (Teng 2023).   In Indonesia, dynastic politics remains a pervasive issue, with family members of regional leaders occupying positions of power at various levels. Several tribes in Indonesia have a tradition of dynastic leadership, where certain families or lineages hold leadership. Leadership or certain positions can be inherited based on genealogical ties.   Political dynasties are not limited to the central level of national government. This phenomenon also extends to the regional level, where regional heads, governors or regents are often filled by family members closely related to the previous official.   Thanks to the massive use of the internet, the public has become more aware that the practice has become somewhat a “standard feature” since the political reforms in 1998, particularly with the release of Law Number 32 of 2004 concerning Regional Government, which regulates the first regional elections for the Governor, Deputy Governor, Regent, and Mayor have been conducted (Simandjuntak 2021). Notable instances include Ratu Atut Chosyiyah in Banten Province, Muhammad Ma’mun Ibnu Fuad in Bangkalan, East Java Province, and Mohammad Yasin Limpo in South Sulawesi, where family members assumed vital positions (Simandjuntak 2021; Ulum 2013; Kenawas 2015; Vice June/28/2018). The influence of dynastic politics extends to legislative elections, limiting opportunities for other parties to secure regional representative positions.   During Jokowi’s presidency, the recent involvement of his sons, Kaesang Pangarep- recently appointed as the Chief of the Partai Solidaritas Indonesia (PSI), and Gibran Rakabuming Raka, drew attention to the issue (The Jakarta Post February/06/2023; Wahyu 2023). Kaesang’s sudden rise in the political party, added to Gibran’s endorsement as a vice-presidential running mate for the 2024 election, raised concerns among intellectuals and activists supporting a fair democratization and an independent court systеm (Suhenda 2023; The Jakarta Post n.d.).   Politiciz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cessing the Constitutional Court portal led to the discovery of an insightful article shedding light on this issue. The most egregious feature of the notorious case involving the first son of the Indonesian President was the blatant politicization of the legal systеm in the Constitutional Court, established in 2003. Historically, within the context of Indonesia’s “Reformasi”, the Constitutional Court of Indonesia was founded to uphold the supremacy of the 1945 Constitution. It is a judicial body responsible for organizing court procedures to ensure law enforcement and order. The Constitutional Court of Indonesia has four powers and one duty as stipulated by Article 24C (1) and (2) of the 1945 Constitution. Four authoriti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Indonesia are conducting examinations at the first and appellate levels. The Court’s rulings are conclusive in reviewing the legislation for its conformity with the Constitution, resolving conflicts regarding the jurisdiction of state institutions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determining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settling disputes arising from the outcome of general elections.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Indonesia is to provide decisions based on the Constitution, taking precedence over the opinions of the House of People’s Representatives in cases involving allegations of misconduct by the President and/or Vice President (Butt 2018). Jimly Asshiddiqie claims that the Indonesian Constitutional Court is responsible for enforcing the four powers mentioned earlier and one responsibility stated in the Constitution.   Follow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approval of lawsuit No. 90/PUU-XXI/2023 challenging Article 169 letter q of Law No. 7 of 2017 concerning General Elections, Gibran participated in the General Election for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The amended provision reads: “Enter into or hold regional head elections or be at least 40 years old (forty years) after that” (Iqrimah 2023).   Gibran’s potential to run as a vice presidential candidate in the 2024 presidential election is widely perceived to have been facilitated by the decision render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Gibran was widely speculated to be a vice presidential candidate b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Gibran was formally declared a vice presidential candidate on the evening of October 22, 2023, after the consensus reached by the general chairmen of the political parties affiliated with the Advanced Indonesia Coalition (KIM) in Jakarta.   The Honorary Council of the Constitutional Court (MKMK) convened a preliminary examination hearing to scrutinize complaints of purported infringements of the code of ethics and behavioral norms for constitutional judges. The hearing was conducted in two parts, with the first session including the Indonesian Advocate Movement (Perekat Nusantara) and the Independent Election Monitoring Committee (KIPP). Perekat Nusantara and KIPP disclosed that Chief Constitutional Court Justice Anwar Usman had a familial connection with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The Petitioner in Case Number 90/PUU-XXI/2023 sought to guarantee Gibran Rakabuming Raka’s eligibility to compete in the presidential/vice-presidential election. The Reporting Party alleges that the Reported Party has breached the standards of independence, impartiality, and integrity as outlined in the code of ethics governing the conduct of constitutional judges. The Independent Election Monitoring Committee (KIPP) has asserted that the Reported Party had vested interests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about the election, and there were compelling accusations of interference in the poll organizers and admіnistration (Salam 2023). During the second session, the MKMK received evidence from many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such as the Election Concern Advocacy Team, Legal Aid Institute, “Barisan Volunteers on the Road to Change”, Roynal Christian Pasaribu, R. Jourda, and Marthen Y. Siwab (Pujianti 2023).   The dissatisfaction with using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platform for unfair politics led to responses such as the “Juanda Declaration 2023: Reform Returns to Zero Point.” (Priyasmoro 2023) This declaration, endorsed by 326 prominent Indonesian personalities, including academics, religious leaders, former ministers, and cultural icons, voiced concerns about the prevalence of political dynasties during the Jokowi period. These individuals represent various fields, encompassing education, human rights, the environment, and health, highlighting the widespread discontent with Indonesian politics.   Conclusion   Political dynasties will foster political oligarchies and a climate that could be more conducive to efforts to regenerate political leadership, where power is only held or controlled by people who are related or come from the same family, without providing opportunities for other parties to participate. Also, dynastic politics will harm bureaucratic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because they tend to be greedy and prone to corruption and corruption practices.   The politiciz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the acquirement of power is deemed to be opposed by Indonesian society. The historical need for change primarily drov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a democratic nation, the judicial systеm upholds the Constitution’s integrity, ensuring law enforcement authorities’ independent and impartial conduct. Before the 2024 General Election, the state of national political practice is becoming more concerning, as shown in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one hand, there are indications of legal manipulation that disregards conscientious politics. Conversely, there are signs of a profound dilemma over principles and moral standards inside society and governmental officials.   Jokowi is Indonesia’s first president, not from a political or military elite family. This was regarded as a positive sign of the country’s democratization. Unfortunately, his family is now considered to be reversing Indonesia’s democratic course. ■   References   Aspinall, Edward, and Muhammad Uhaib As’ad. 2016. “Understanding family politics: Successes and failures of political dynasties in regional Indonesia.” South East Asia Research 24, 3: 420-435.   Butt, Simon. 2018. “The Indonesian Constitutional Court: Implying Rights from the ‘Rule of Law’.” In R. Dixon and A. Stone (Eds.) The Invisible Constitu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Comparative Constitutional Law and Policy, pp. 298-31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9781108277914.010   Eddyono, Luthfi Widagdo. 2018.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nsolidation of Democracy in Indonesia.” Jurnal Konstitusi 15, 1: 1-26.   Hess, Stephen. 2016. America’s Political Dynasties: From Adams to Clinton.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Iqrimah, Ani Nur. 2023. “Kronologi Terpilihnya Gibran Rakabuming Raka Jadi Cawapres Prabowo.” (In Indonesian) Berita Satu. October 23. https://www.beritasatu.com/bersatu-kawal-pemilu/1073494/kronologi-terpilihnya-gibran-rakabuming-raka-jadi-cawapres-prabowo   Kasuya, Yuko, and Benjamin Reilly. 2023. “The shift to consensus democracy and limits of institutional design in Asia.” The Pacific Review 36, 4: 844-870. DOI: 10.1080/09512748.2022.2035426   Kenawas, Yoes C. 2015. “The Rise of Political Dynasties in a Democratic Society.” EDGS Working Paper. May 16. https://www.edgs.northwestern.edu/documents/working-papers/the-rise-of-political-dynasties-in-a-democratic-society.pdf   ______. 2023. “The irony of Indonesia’s democracy: The rise of dynastic politics in the post-Suharto era.” Asian Journal of Comparative Politics 8, 3: 748-764.   Priyasmoro, Muhammad Radityo. 2023. “Kritik Putusan MK,Maklumat Juanda: Reformasi Kembali Ke Titik Nol.” Liputan6. October 17. https://www.liputan6.com/news/read/5425315/kritik-putusan-mk-maklumat-juanda-reformasi-kembali-ke-titik-nol   Pujianti, Sri. 2023. “Para Pelapor Sampaikan Alasan dan Bukti Dugaan Pelanggaran Kode Etik Hakim Konstitusi.”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November 1. https://www.mkri.id/index.php?page=web.Berita&id=19736&menu=2   Querubin, Pablo. 2016. “Family and Politics: Dynastic Persistence in the Philippines.” Quarterly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1, 2: 151-181.   Richburg, Keith B. 2023. “Southeast Asian dynasties are rising again. That’s troubling news.” The Washington Post. November 28. https://www.washingtonpost.com/opinions/2023/11/28/southeast-asia-political-dynasties-rise/   Salam, Hidayat. 2023. “Pelapor Anwar Usman Pertanyakan Sidang Etik yang Bergulir Cepat.” Kompas. November 1. https://www.kompas.id/baca/polhuk/2023/11/01/pemohon-pertanyakan-sidang-etik-anwar-usman-sangat-cepat   Simandjuntak, Deasy. 2021. “Direct Elections, Patronage and the Failure of Party Cadre-ship: Dynastic Politics in Indonesia.” Heinrich-Böll-Stiftung. July 21. https://th.boell.org/en/2021/07/21/dynastic-politics-indonesia   Suhenda, Dio. 2023. “Kaesang takes over PSI leadership days after joining the party.” The Jakarta Post. September 25. https://www.thejakartapost.com/indonesia/2023/09/25/kaesang-takes-over-psi-leadership-days-after-joining-the-party.html   Teehankee, Julio C, Paul Chambers, and Christian Echle. 2023. “Introduction: Political dynasties in Asia.” Asian Journal of Comparative Politics 8, 3: 661-670.   Teng, Carla. 2023. “Asia’s Political dynasties: Philippines.” Asia Media Centre. May 24. https://www.asiamediacentre.org.nz/features/asias-political-dynasties-philippines/   The Conversation. 2023. “Terjebak dinasti politik: apa dampaknya dan bagaimana partai bisa lepas dari jerat ini?” October 17. https://theconversation.com/terjebak-dinasti-politik-apa-dampaknya-dan-bagaimana-partai-bisa-lepas-dari-jerat-ini-215778   The Jakarta Post. 2023. “Analysis: Jokowi political dynasty: Kaesang hints at political ambitions.” February 6. https://www.thejakartapost.com/opinion/2023/02/06/analysis-jokowi-political-dynasty-kaesang-hints-at-political-ambitions.html   ______. n.d. “Candidate profile: Gibran Rakabuming Raka.” https://www.thejakartapost.com/indonesia/2023/12/01/candidate-profile-gibran-rakabuming-raka.html   Ulum, Wasi’ul. 2013. “Atut Dynasty Gains Power Using Regional Budget.” Tempo.co. October 22. https://en.tempo.co/read/523809/atut-dynasty-gains-power-using-regional-budget   Ved, Mahendra. 2013. “Political dynasties face a tough time across Asia. East Asia Forum. March 30. https://www.eastasiaforum.org/2013/03/30/political-dynasties-face-a-tough-time-across-asia/   Vice. 2018. “One of Indonesia’s Most-Powerful Political Dynasties Just Lost in South Sulawesi.” June 28. https://www.vice.com/en/article/nekp8q/one-of-indonesias-most-powerful-political-dynasties-just-lost-in-south-sulawesi   Wahyu, Yohan. 2023. “Gibran dan Polemik Dinasti Politik.” (in Indonesian) Kompas. October 23. https://www.kompas.id/baca/riset/2023/10/23/gibran-dan-polemik-dinasti-politik?open_from=Search_Result_Page   Wee, Sui-Lee. 2022. “Once Inward-Looking, Joko Widodo Casts Himself as a Global Statesman.” The New York Times. November 13. https://www.nytimes.com/2022/11/13/world/asia/indonesia-joko-widodo-g20.html       ■ Irine Hiraswari Gayatri, Ph.D., is a Senior Researcher of Research Centre for Politics at the N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Agency (BRIN).     ■ 담당 및 편집: 박한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Irine Hiraswari Gayatri 2023-12-29조회 : 6053
논평이슈브리핑
[ADRN Issue Briefing] State of Democracy in Asia and the Pacific: The End of the Decline?

※ This Issue Briefing is the summary of the Asia and the Pacific region in the Global State of Democracy 2023 by the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gsod/2023/).   International IDEA’s annual Global State of Democracy report shows that across every region of the world, democracy has continued to contract, with declines in at least one indicator of democratic performance in half of all countries assessed in the report. But after five consecutive years of more countries experiencing declines in their democratic quality than improvements, the data shows that this trend may have, in Asia and the Pacific, largely paused after five years of steady declines in most indicators.   These findings are based on the Global State of Democracy Indices (GSoD Indices), International IDEA’s quantitative dataset of democratic performance launched in 2015 and containing data from 1975 to the present. The indices measure democratic trends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levels across a broad range of different categories of democracy and include data for 174 countries across the globe, 35 of which are in Asia and the Pacific. In lieu of a single democracy score, the GSoD Indices measure four main categories of democracy – Representation, Rights, Rule of Law, and Participation - which are based on 157 individual indicators from 20 diverse sources: expert surveys, standards-based coding by research groups and analysts, observational data and composite measures. Each of these four measures is comprised of several of the 17 factors, as seen in Figure 1 below.   This data show that in every region of the world, democracy has continued to contract, with declines in at least one indicator of democratic performance in half of the countries covered by the GSoD Indices. But it is in Asia and the Pacific where the trend is most ambiguous and least severe. When we look at five and one year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s in the data for the region what we see in 2022 is not continued decline but mostly scores plateauing after years of declines.   Whether or not this is “good” news for a given country largely depends on where it stood before the widespread declines of recent years began. At one extreme, we see countries with firmly established democratic institutions like Australia, Japan and South Korea continuing to perform well across the GSoD Indices while at the other authoritarian regimes in Laos, China, North Korea and Turkmenistan occupy the lower rungs of the global rankings in each of the GSoD’s four core measures of democracy. The vast majority of the diverse Asia and the Pacific region lies somewhere between these two poles. To reflect the diversity of Asian democracies, this text will work through the major trends at the country-level according to the GSoD Indices four main categories of democracy, and then close with short reflections on two broader trends and accompanying courses of action to ensure the region’s future remains democratic.   Figure 1. The Global State of Democracy conceptual framework       Representation   The GSoD’s first core measure of democracy is representation, or the quality of representative government in a country. Malaysia mad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is measure over the last five years due to improvements in Credible Elections and Free Political Parties, which can be credited in part to the convincing defeat of the long-powerful United Malays National Organisation (UMNO) in November 2022 elections, which had clung to power in the face of persistent and wide-ranging corruption allegations (Bersih 2022; Lee 2022; Wee 2022). The Maldives was the other country to make major improvements in Representation due to gains in the measures of Effective Parliament, Credible Elections, Elected Government and Free Political Parties.   Two countries scheduled to have general elections in early 2024, however, saw five-year significant declines. India’s decline in Representation was tied to reports that the ruling Bharatiya Janata Party benefited from unequal treatment by Facebook and used hate speech during campaigns in the 2019 general election (Purnell and Horwitz 2020; Safi 2019; Tiwary 2022; Chakrabarty 2023). Bangladesh saw a significant decline in Elected Government over a failure to improve since the much-criticized 2018 general elections (The Wire August/10/2018; Siddiqui and Paul 2019; HRW 2018). Arrests of opposition figures there began as early as 2022, and a steady escalation of protests, violence, and polarization has also been documented in International IDEA’s monthly-updated qualitative dataset, the Democracy Tracker (International IDEA 2023; Hasnat and Mashal 2022).   Rights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especially the civil and political rights measured under Civil Liberties in the GSoD dataset, continues to be an area of concern and decline across Asia and the Pacific that runs contrary to the broader trend of stability. India, Maldives, the Philippines and Sri Lanka are all mid-performing countries that saw significant declines over the last five years. The regional average for Civil Liberties continues to be well below the world’s, and most people in Asia and the Pacific live in a country that has seen a significant decline in this score in the last five years. Examples of what this looks like on the ground abound. Amnesty International was forced to close its doors in India in 2020. Sri Lanka responded to hundreds of days of mass protests that forced the president’s resignation by introducing laws to restrict the freedoms of association and assembly (Amnesty International n.d.) (HRW 2022). Declines in Freedom of the Press and Freedom of Expression are also occurring across the region and affecting even high performing democracies like Australia, as seen in the figure below:   Figure 2. Variation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Freedom of the Press for Selected Countries 2017–2022       These declines take place during a time of historic changes in how media is consumed and shared across Asia and the Pacific, where internet penetration rose from 48 to 64 percent between 2017 and 2022. This growth has not been universally enjoyed and has, depending on local political contexts, amplified, reduced, or simply altered pre-existing social inequalities. (ITU 2023; Setiawan, Pape and Beschorner 2022). The introduction and broad uptak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and forms of media are proving to be neither an inherently democratic or autocratic force, but a space for political contest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forces (Sinpeng 2020; Farrell 2022).   Rule of Law   This year’s Global State of Democracy report included for the first time a score specifically dedicated to the Rule of Law. As visible in the graphic below, these scores vary widely between subregions, with Oceania and East Asia performing strongly and Central Asia the lowest. Across the region, it has fallen to institutions like anti-corruption bureaus and the judiciary to push back against executive overreach in the region as weak parliaments have proven incapable of providing a first round of defence.   Figure 3. Distribution of Rule of Law scores by subregion 2022 (median scores for subregions annotated)       One of the key issues of contention in courts has been LGBTQIA+ and women’s rights. A Hong Kong court removed the requirement of sex-reassignment surgery prior to legal gender recognition, a South Korean court recognizing the rights of same-sex couples to social benefits, and an Indian court legalized abortion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Lau 2023; Pandey 2022; Yoon 2023). The judiciary has also been one of the few countervailing institutions pushing back against the decline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Freedom of the Press. In an otherwise tumultuous year in Pakistan, a colonial-era law criminalizing criticism of the government was struck down by a Lahore court (Al Jazeera March/30/2023). A Filipino tax court also cleared Nobel laureate Maria Ressa of multiple politically-motivated tax evasion charges – a decision hailed globally as a win for press freedom and the rule of law (OHCHR 2023a).   Participation   Participation, or the measure of mass participation in democracy through elections and organization, is a strong point for most of the region, with most countries scoring at mid-range or high-performing levels. The sole exception is Central Asia, which is also the lowest-performing subregion globally, reflecting how entrenched its autocratic elite are and the dearth of countervailing institutions to check their authority.   More broadly across Asia and the Pacific, it is mass public participation – above all, in elections – that have acted as the most powerful countervailing force against autocracy and entrenched elites in the region in recent years. This was visible in Malaysia in 2022 when lowering the voting age to 18 from 21 and introducing automatic voter registration led to three million more voters participating than in the previous 2018 election and firmly removed the corruption-tainted UMNO from power (Fernandez Gibaja 2022; International IDEA n.d.). The expanded electorate worked in concert with the nation’s anti-corruption commission, which obtained a conviction of former prime minister and UMNO president Najib Razak for corruption for his role in the country’s 1MDB scandal (Latiff 2023).   However, significant public mobilization is not always a guarantor of democratic progress. The 2014 coup d’état in Thailand has been met by growing youth engagement, varied forms of activism and civic engagement. Like Malaysia’s, the May 2023 election in Thailand also saw the highest voter turnout in the country’s history, which contributed to the historic first-place finish of the progressive Move Forward Party at the expense of more established parties (International IDEA 2023). Unlike Malaysia, the country’s political establishment prevailed when the military-appointed Senate blocked Move Forward’s efforts to assemble a ruling coalition. In August 2023, a Pheu Thai-led coalition viewed by the military as more amenable successfully built a governing coalition without Move Forward (Nikkei Asia August/15/2023).   Where do we go from here?   What can be done to stem declines and reverse the democratic declines of the last five years? One area that activists, democracy assistance providers, and donors should focus on is scaling up technical and financial assistance to independent media and advocating for robust legal protections for journalists. A free press is a core component of any democracy, but in 2022 and 2023, governments in Bangladesh and Kyrgyzstan instituted bans on popular media outlets, a Pakistani court strengthened the country’s blasphemy law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ok action against a major media outlet and cut funding for public broadcasting in retaliation for perceived unfavourable coverage (Imanaliyeva 2023; Masood 2023; OHCHR 2023b; Daily Star February/21/2023) (CIVICUS 2022; RSF 2022). This is a long-term trend – as of 2022, Freedom of the Press had regressed to 2001 levels, far down from the region’s historical peak in 2012, as seen in Figure 4 below.   Figure 4. Freedom of the Press improved from 2001 to 2012, but had returned to 2001 levels in 2022 (each dot represents a country)       A second area of focus should be the slow work of establishing complementary countervailing institutions – those social institutions that, inside and outside of government, that balance the distribution of power and ensure popular control over decision-making. The contrast between Thailand and Malaysia in the Participation section above is a key example of the risks in relying on a sole countervailing institution – in Thailand’s case, elections – instead of an array that provide each other with mutually reinforcing support.   This is not to say the relevant complementary institution of the anti-corruption commission in Malaysia’s case was a cure-all. The once-powerful Indonesian Corruption Eradication Commission (Komisi Pemberantasan Korupsi), working together with capabl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a largely free press, was famously able to secure hundreds of high level convictions in the first two decad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Buehler 2019; Umam et al. 2020). But it has since been subjected to an elite backlash and seen its independence curtailed (Mulholland and Sanit 2020). Its rise and fall show that anti-corruption commissions can be a core part of a set of high-performing and complementary countervailing institutions – such as well-managed and open elections and a free media – but they cannot be a shortcut to sustainable democracy.   Conclusion   Despite the overall pause in democratic decline in 2022, most countries in Asia and the Pacific are below the global average in key measures of democracy such as Rule of Law and Representation. The growth of restrictions on freedom of speech, censorship of the media, and legal action against investigative media remain a concern across the broad and diverse region. While technocratic and legalistic institutions like the judiciary and anti-corruption commissions have been able to stem to some extent the declines of recent years, they remain institutions that are dependent on political will and are doomed to inefficacy without true independence. Collective efforts will be required across the region to revitalize the core instruments of democracy, such as parliaments, to prevent further democratic decline. ■   References   Al Jazeera. 2023. “Pakistani court strikes down sedition law in win for free speech.” March 30. https://www.aljazeera.com/news/2023/3/30/pakistani-court-strikes-down-sedition-law-in-win-for-free-speech   Amnesty International n.d. “Protect Our Human Rights Work in India.” https://www.amnesty.org/en/petition/protect-our-human-rights-work-in-india/   Bersih. 2022. “Preliminary Report of the 15th General Election.” December 6. https://bersih.org/2022/12/06/preliminary-report-of-the-15th-general-election/   Buehler, M. 2019. “Indonesia takes a wrong turn in crusade against corruption.” Financial Times. October 2. https://www.ft.com/content/048ecc9c-7819-3553-9ec7-546dd19f09ae   Chakrabarty, Sreeparna. 2023. “Bill introduced to remove CJI from panel to select Election Commissioners.” The Hindu. August 10. https://www.thehindu.com/news/national/bill-moved-to-remove-cji-from-panel-to-select-election-commissioners/article67180873.ece   CIVICUS. 2022. “Concerns about free expression in South Korea with security law, restrictions on press freedom and anti-north activism.” December 1. https://monitor.civicus.org/explore/concerns-about-free-expression-south-korea-security-law-restrictions-press-freedom-and-anti-north-activism/   Daily Star. 2023. “Dainik Dinkal stops publication.” February 21. https://www.thedailystar.net/news/bangladesh/news/dainik-dinkal-stops-publication-3253461   Farrell, Maria. 2022. “Your platform is not an ecosystеm.” Crooked Timber. https://crookedtimber.org/2022/12/08/your-platform-is-not-an-ecosystеm/   Fernandez Gibaja, Alberto. 2022. “How young voters are revamping democracy in Malaysia.” International IDEA. November 17. https://www.idea.int/blog/how-young-voters-are-revamping-democracy-malaysia   Hasnat, Saif, and Mujib Mashal. 2022. “Bangladesh Arrests Opposition Leaders as Crackdown Intensifies.” The New York Times. December 9. https://www.nytimes.com/2022/12/09/world/asia/bangladesh-protests-election.html   Human Rights Watch: HRW. 2018. “Creating Panic: Bangladesh Election Crackdown on Political Opponents and Critics.” December 22. https://www.hrw.org/report/2018/12/22/creating-panic/bangladesh-election-crackdown-political-opponents-and-critics   ______. 2022. “Sri Lanka: Revoke Sweeping New Order to Restrict Protest.” September 27. https://www.hrw.org/news/2022/09/27/sri-lanka-revoke-sweeping-new-order-restrict-protest   Imanaliyeya, Ayzirek. 2023. “Kyrgyzstan: Court orders closure of RFE/RL’s local affiliate.” Eurasianet. April 27. https://eurasianet.org/kyrgyzstan-court-orders-closure-of-rferls-local-affiliate   International IDEA. 2023. “Democracy Tracker: Bangladesh.” https://www.idea.int/democracytracker/country/bangladesh   ______. 2023. “Democracy Tracker: Thailand – May 2023.” https://www.idea.int/democracytracker/report/thailand/may-2023   ______. n.d. “Voter Turnout Database: Malaysia.” https://www.idea.int/data-tools/data/country?country=135&database_theme=293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2023. “Measuring digital development: Facts and Figures 2023.” https://www.itu.int/en/ITU-D/Statistics/Pages/facts/default.aspx   Latiff, Rozanna. 2023. “Jailed Malaysian ex-PM Najib loses final bid to review graft conviction.” Reuters. March 31.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jailed-malaysian-ex-pm-najib-loses-bid-review-graft-conviction-2023-03-31/   Lau, Chris. 2023. “Hong Kong’s landmark transgender ruling: will the rest of Asia now follow suit?” South China Morning Post. February 19. https://www.scmp.com/week-asia/lifestyle-culture/article/3210600/hong-kongs-landmark-transgender-ruling-will-rest-asia-now-follow-suit   Lee, Jaehyon. 2022. “Review – The End of UMNO?: Essays on Malaysia’s Dominant Party.” Kyoto Review of Southeast Asia 36. https://kyotoreview.org/book-review/review-the-end-of-umno-essays-on-malaysias-dominant-party/   Masood, Salman. “Pakistan strengthens already harsh laws against blasphemy.” The New York Times. January 21. https://www.nytimes.com/2023/01/21/world/asia/pakistan-blasphemy-laws.html   Mulholland, Jeremy, and Arbi Sanit. 2020. “The weakening of Indonesia’s Corruption Eradication Commission.” East Asia Forum. January 20. https://www.eastasiaforum.org/2020/01/28/the-weakening-of-indonesias-corruption-eradication-commission/   Nikkei Asia. 2023. “Thailand’s Move Forward ‘will not back’ Pheu Thai’s PM bid.” August 15. https://asia.nikkei.com/Politics/Thai-election/Thailand-s-Move-Forward-will-not-back-Pheu-Thai-s-PM-bid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2023a. “UN expert welcomes verdict on Maria Ressa’s tax evasion case.” January 19. https://www.ohchr.org/en/press-releases/2023/01/un-expert-welcomes-verdict-maria-ressas-tax-evasion-case   ______. 2023b. “Cambodia: UN experts call for reinstatement of Voice of Democracy, say free media critical ahead of elections.” February 20. https://www.ohchr.org/en/press-releases/2023/02/cambodia-un-experts-call-reinstatement-voice-democracy-say-free-media   Pandey, Geeta. 2022. “India abortion: Why Supreme Court ruling is a huge step forward.” BBC. October 1. https://www.bbc.com/news/world-asia-india-63086321   Purnell, Newley, and Jeff Horwitz. 2020. “Facebook’s Hate-Speech Rules Collide With Indian Politics.” The Wall Street Journal. August 14. https://www.wsj.com/articles/facebook-hate-speech-india-politics-muslim-hindu-modi-zuckerberg-11597423346   Reporters Without Borders: RSF. 2022. “South Korea: RSF concerned by president’s hostile moves against public media.” December 5. https://rsf.org/en/south-korea-rsf-concerned-president-s-hostile-moves-against-public-media   Safi, Michael. 2019. “India: high-profile candidates banned from election trail over hate speech.” The Guardian. April 15.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9/apr/15/indian-party-leaders-banned-from-election-trail-over-hate-speech   Setiawan, Imam, Utz Pape, and Natasha Beschorner. 2022. “How to bridge the gap in Indonesia’s inequality in internet access.” World Bank Blogs. May 13. https://blogs.worldbank.org/eastasiapacific/how-bridge-gap-indonesias-inequality-internet-access   Siddiqui, Zeba, and Ruma Paul. 2019. “Some in Bangladesh election observer group said they regretted involvement.” Reuters. January 29. https://www.reuters.com/article/us-bangladesh-election-observers-exclusi-idUSKCN1PG0MA/   Sinpeng, Aim. 2020. “Digital media, political authoritarianism, and Internet controls in Southeast Asia.” Media, Culture & Society 42, 1: 25-39.   The Wire. 2018. “Centre Moves New Bill on Appointment of Election Commissioners, CJI Excluded From Panel.” August 10. https://thewire.in/government/new-bill-selection-of-election-commissioners   Tiwary, Deeptiman. 2022. “From 60% in UPA to 95% in NDA: A surge in share of Opposition leaders in CBI net.” The Indian Express. September 21. https://indianexpress.com/article/express-exclusive/from-60-per-cent-in-upa-to-95-per-cent-in-nda-a-surge-in-share-of-opposition-leaders-in-cbi-net-express-investigation-8160912/   Umam, Ahmad Khoirul, Gillian Whitehouse, Brian Head, and Mohammed Adil Khan. 2020. “Addressing Corruption in Post-Soeharto Indoneisa: The Role of the Corruption Eradication Commission.”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50, 1: 125-143.   Wee, Sui-Lee. 2022. “Anwar, Opposition Leader for Decades, Is Now Malaysia’s Prime Minister.” The New York Times. November 24. https://www.nytimes.com/2022/11/24/world/asia/malaysia-elections-prime-minister.html   Yoon, Lina. 2023. “South Korea Court Recognizes Equal Benefits for Same-Sex Couple.” Human Rights Watch. February 22. https://www.hrw.org/news/2023/02/22/south-korea-court-recognizes-equal-benefits-same-sex-couple       ■ Michael Runey is an Adviser in the Democracy Assessment team of Global Programmes at International IDEA, where he contributes in research, analysis,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in support of the Global State of Democracy (GSoD) initiative.     ■ 담당 및 편집: 박한수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Michael Runey 2023-12-27조회 : 3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