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민주주의와 거버넌스 발전을 위하여 미얀마의 신생 민간 싱크탱크가 건전한 정책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역량 및 연구역량을 지원하고 있다. EAI는 한국의 민간 독립 싱크탱크로서 네트워크에 기반한 활발한 연구활동을 통해 세계적으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EAI는 성장의 경험을 미얀마의 신생 싱크탱크들과 공유함으로써, 미얀마의 시민사회가 적극적으로 정책 과제를 발굴하고 아이디어를 개진함으로써 민주주의와 보다 발전된 거버넌스 체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미얀마 파트너 기관으로는 산디거버넌스연구소(Sandhi Governance Institute), 양곤정치학교(Yangon School of Political Science), 오픈미얀마이니시어티브(Open Myanmar Initiative), 살윈정책연구소(Salween Institute for Public Policy), 언아더디벨로프먼트(Another Development), 욘치야(Yon Kyi Yar), 나우셩개발연구소(Nawshawing Development Institute) 등 총 7개입니다. 본 프로그램은 미국 민주주의진흥재단(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멀티미디어
[미얀마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⑥ “한국행 택한 미얀마 임시정부, NUG의 공식 정부 요청을 비롯한 지속적인 지원 요청”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젝트는 지난 일 년간 미얀마의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해 온 한국과 미얀마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듣는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다시, 미얀마’를 기획하였습니다.   얀나잉툰(Yan Naing Htun) 주 대한민국 미얀마연방 공화국 대표부 특사는 2021년 군부 쿠데타가 전 국민적 연대의 필요성을 일깨워줬다고 분석합니다. 미얀마 현지에서 전국 단위의 반 군부 독재 타도 세력이 형성된 점을 강조하며 미얀마 국민통합정부(National Unity Government: NUG)의 3대 전력으로 시민불복종운동, 시민방위군, 국제사회의 압박을 제시합니다. 미얀마 8888 민주항쟁의 자전적 경험과 한국의 민주화 경험을 돌아보며, 미얀마 민주화 지원을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로 한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가 NUG를 공식 정부로 요청해주기를 제안합니다.   인터뷰이 소개 ■ 얀 나잉 툰_민족통합정부(NUG)와 외교부, 주 대한민국 미얀마 대표부 대표 특사. 군부독재타도위원회 공동대표이자 미얀마 민주주의 네트워크 공동대표 인도주의 재난관리부 협상가로도 활동 중이다. 1988년 양곤경제대학교를 다니다 중퇴하였고 1988년 전국 대학생 운동 보도부(버마 중북부지역) 책임자를 역할을 맡았다. 1989년 정치 비판 시작 (詩作)으로 태국 국경으로 피신하여 1991년 한국에 입국한 이후 계속하여 미얀마를 위한 민주화 운동을 벌였다. 2005년, 한국 정부로부터 정치적 망명을 인정받았으며 그 이후로 버마 미디어협회 중앙집행위원회 회원과 NLD 국제조직위원회(한국) 회장으로도 활동을 이어갔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주대한민국미얀마연방공화국 2022-03-25조회 : 10222
멀티미디어
[미얀마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⑤ “민주화 전후를 두루 경험한 미얀마 MZ 세대에게 국제사회란? … 민주화 운동의 활동 무대!”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젝트는 지난 일 년간 미얀마의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해 온 한국과 미얀마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듣는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다시, 미얀마’를 기획하였습니다.   수 타찐 (Su Tazin) 재한연합국적협회 총무는 미얀마 MZ세대가 반 군부 시위와 민주화 운동의 주역이 된 배경으로 군부 억압과 개혁, 개방의 시대를 모두 경험했다는 점과, 세계화와 정보화의 혜택을 얻으며 자랐다는 점을 제시합니다. SNS 시민불복종운동이 민주 진영과 미얀마의 민주화를 지지하는 국제사회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고 평가하면서도, 미얀마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군부와의 정보전 싸움이 갈수록 치열해 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쿠데타 발발 1주년을 맞아 미얀마 시민사회 구성원 모두가 지속가능한 시민불복종운동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이 소개 ■ 수 타찐_재한연합국적협회 총무이자 재한미얀마학생연합회의 활동가. 미얀마 여덟 가지 민족 중 라카인(Rakhine) 민족 출신의 MZ세대로, 인하대 토목공학과 석사 과정을 밟았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재한연합국적협회 2022-03-25조회 : 9532
멀티미디어
[미얀마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④ “국외 이주노동자, 청년, 그리고 여성: 미얀마 민주항쟁의 새로운 주역들”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젝트는 지난 일 년간 미얀마의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해 온 한국과 미얀마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듣는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다시, 미얀마’를 기획하였습니다. 킨메이타(Khin May Htar) 수원이주민센터 대표는 지난 8888 미얀마 민주항쟁의 경험을 돌아보며, 이번 민주항쟁에서 미얀마 국민들이 군부 저항 및 민주화 운동을 위해 미얀마 현지에서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연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긴 투쟁의 과정 가운데 특별히 청년 여성의 활약이 중요했다고 분석하며, 이번 일을 계기로 미얀마가 불교 국가의 보수적인 유산을 떨쳐내고 미래 세대에게 좀 더 많은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성장하길 기대합니다.   인터뷰이 소개 ■ 킨메이타_수원이주민센터 대표이자 인권 활동가. 세계시민교육과 인권을 널리 알리는 교육 사업을 벌이고 있다. 만드레이 대학 영문학사를 졸업하였고 타운지교육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했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수원이주민센터 2022-03-22조회 : 9961
멀티미디어
[미얀마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③ " 미얀마 민주화 지원을 위한 핵심 키워드, #감시 #대안 #참여 #연대”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젝트는 지난 일 년간 미얀마의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해 온 한국과 미얀마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듣는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다시, 미얀마’를 기획하였습니다. 전은경 참여연대 선임간사는 ‘어제의 광주가 없었더라도 오늘의 미얀마를 주목했을 것’이라 말하며 미얀마 민주화를 지원하게 된 배경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쿠데타 이전부터 미얀마 군부와 결탁했던 한국 기업을 상대로 규탄 시위를 벌이고, 냄비 두드리기 행사나 세 손가락 인증샷 캠페인을 통해 온라인 공간을 연대의 장으로 활용했던 지난 일 년을 돌아보며, ‘작지만 무언가를 만들어 내야만 하는’ 시민단체의 숙명을 강조합니다.   인터뷰이 소개 ■ 전은경_ 참여연대 정책기획국 선임간사.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발족한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106개 단체)`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에서 일했고, 2018년부터 참여연대의 국제연대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참여연대 2022-03-18조회 : 9891
멀티미디어
[미얀마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② “미얀마 사태에 반응하는 한국 국제개발협력 분야, 쇄신과 재도약의 바람을!”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젝트는 지난 일 년간 미얀마의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해 온 한국과 미얀마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듣는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다시, 미얀마’를 기획하였습니다. 오의석 국제개발협력커뮤니티얼라이언스(국커얼) 활동가는 인도주의적 단견으로 활동을 이어가던 국제개발협력 분야가 2021년 미얀마 쿠데타 발발로 좀 더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연대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고 분석합니다. 사태가 장기화, 복잡화 됨에 따라 관련 자료를 꾸준히 모으고 시민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미얀마, 봄”과 같은 아카이빙 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미얀마 메타버스의 구현과 미얀마 토크 개최 등 국커얼의 향후 활동 계획을 설명합니다.   인터뷰이 소개 ■ 오의석_ 해외주민운동연대 상임활동가이자 로컬퓨쳐스(Local Futures)의 한국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제개발협력청년단체 공적인사적모임 대표직을 맡고 있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국제개발협력커뮤니티얼라이언스 2022-03-16조회 : 9825
멀티미디어
[미얀마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① “쿠데타 이후 1년+, 지속가능한 미얀마 민주주의를 준비해야”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프로젝트는 지난 일 년간 미얀마의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해 온 한국과 미얀마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듣는 시민사회 인터뷰 시리즈 ‘다시, 미얀마’를 기획하였습니다. 웨 노에 흐닌 쏘(Wai Nwe Hnin Soe) 행동하는미얀마청년연대 리더는 미얀마 민주화 운동을 지원하는 방식이 모금 운동이나 SNS 인증샷 캠페인 참여와 같이 일차원적이고 단기적인 방법에만 그쳐서는 안 된다고 지적합니다. 지속가능한 미얀마 민주주의를 위해서 심리 치료 및 풀뿌리 운동 리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저항과 연대 일지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향후 행동하는미얀마청년연대의 활동 계획을 제시합니다.   인터뷰이 소개 ■ 웨 노에 흐닌 쏘(강선우)_ 행동하는미얀마청년연대 리더 중 하나. 만달레이 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코트라 미얀마 상무부 공무원 연수, KDI국제개발협 (MDI)공동연구 역량강화,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미얀마 고위급공무원 연수,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한국어-미얀마어 통역을 담당하였으며, 월드프렌즈 NGO봉사단 현지어 교육 강사와 아시안허브 미얀마어 집필 및 강사로 재직하였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행동하는미얀마청년연대 2022-03-14조회 : 9996
논평이슈브리핑
[EAI 미얀마 특별 논평] ⑦ 2021년 미얀마 사태와 국제 인권

1. 인권 우호적, 비우호적 국제 사회의 교차점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는 국제적으로 큰 충격이었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상황이었고, 국제정치의 향후 변화에 중요하게 생각되던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였다. 트럼프 이후 새로운 국제질서를 기대한 사람들에게 불완전하나마 민주주의가 도입돼 자라고 있던 미얀마에서 일어난 군부 쿠데타와 무고한 시민에 대한 무차별 학살은 자유주의 국제질서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었다. 하지만 미얀마 사태는 국제 인권을 중심으로 볼 때 전혀 새로운 흐름은 아니었다. 2021년 인권을 둘러싼 국제정치의 지형은 인권에 비우호적 환경과 우호적 환경이 공존하던 시기였다.   우선, 비우호적 환경으로 국제적으로 인권, 법치, 민주주의 등 자유주의 가치가 여러 지역에서 후퇴했고,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유럽 난민 위기, 브렉시트(Brexit), 헝가리, 폴란드, 필리핀 등에서 권위주의 색채를 보이는 실력자(strongman)를 중심으로 한 포퓰리즘이 등장했다. 특히 트럼프는 엄격한 이민 통제 정책, 푸틴이나 김정은 등 독재자와의 친밀한 교류, UN 인권이사회 탈퇴 등 미국의 인권 상황을 악화시켰다. 더 나아가 미·중 갈등에서 중국을 공격하기 위한 도구로 인권을 이용했고, 중국은 역으로 인권의 상대성과 특수성을 강조하며 인권의 보편성을 공격했다. 코로나 전후로 국가들은 앞다투어 국가이익 중심, 자국중심주의로 회귀했고, 통상과 무역에서도 중상주의가 재등장했다.   하지만 이런 비우호적 환경은 국제정치의 유일한 모습은 아니었다. 바이든은 등장 이후 미국 민주주의의 회복을 최우선으로 천명했고 비인도주의적인 이민 정책을 철폐했다. 국제적으로도 UN 인권이사회(UN Human Rights Council)의 복귀, 아프가니스탄 전쟁 범죄 조사를 개시한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al Criminal Court) 검사에 대한 개인 제재 해제, 사우디의 반체제 언론인 카쇼기(Kashoggi) 살해 관련 정보 공개 등 인권을 중시하는 가치 외교(value-oriented diplomacy)가 돋보였다. 또한 미·중 양국과 무관하게 국제사회는 인권,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보호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 등 국제 인권, 인도주의 규범 및 국제인도법, 국제형사법이 발전해 왔다. 이는 분명히 과거와 다른 인권 우호적 환경으로 국제사회의 의지만 있다면 미얀마 상황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여러 장치가 마련됐다는 의미이다. 미얀마 사태는 이 두 조류가 교차하는 지점에 던져졌다.   2. 길어지는 투쟁과 아세안 5개 합의 사항   쿠데타 이후 2022년 1월 현재까지 미얀마의 인명 피해는 사망이 1,398명이다. 특히 2021년 3월 27일 하루 102명 사망했다(Assistance Association for Political Prisoners [AAPP] 2022). 군부는 쿠데타에 저항하는 비무장 시위대, 시민, 아동, 여성에 대한 무차별적 총격을 가했고, 대량 체포와 구금, 그리고 고문이 이어졌다. 현재까지 체포된 인원은 8,376명이고 이 중 507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AAPP 2022).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비무장 시위대를 향해 국가의 “안정과 안보를 해치는 테러리즘”으로 정의했고, 군부는 국영방송을 통해 시위대는 “머리와 등에 총격을 받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라고 협박했다(MRTV, 2021.3.26.)   미얀마 사태는 1년이 지나도록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가장 중요한 합의는 지난 4월 자카르타에서 채택된 아세안의 5개 합의사항이다. 이 합의는 폭력의 즉각 중단,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건설적 대화의 개시, 의장국인 브루나이의 특별 사절(special envoy)에 의한 중재, 인도주의적 지원, 특별 사절단과 대표단의 미얀마 방문 등이 담겼다. 미얀마가 아세안 회원국이고, 지역 정치에 있어 아세안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는 이 합의는 큰 의의가 있다. 미얀마도 이에 따라 지난 10월에 1,316명을 정치범을 사면하고 4,320명의 구금자를 석방하기도 했다(Human Rights Watch 2021). 하지만 사면은 충분치 못했고, 현재까지도 더는 의미 있는 진전이 없었다. 이 과정에서 아세안은 분열된 모습을 보였고 아세안의 역할에 대한 회의론까지 나왔다.   미얀마 사태가 오래되면서 군부에 대항하는 시민불복종운동(Civil Disobedience Movement, CDM)도 지속됐고, 4월에는 국민통합정부(National Unity Government, NUG)와 시민 방위군(People’s Defence Force, PDF)이 구성됐다. 국제 사회도 UN을 비롯한 다자 회의에서 미얀마 사태의 해결을 촉구하며 군부를 압박했다. UN 안보리는 비록 중국, 러시아, 인도, 베트남의 반대로 결의안 도출은 어려웠지만, 네 번의 의장성명과 두 차례 비공식(Arria-formula) 회의, 여러 차례의 자문 회의를 개최했다. 유엔 총회와 인권이사회도 결의안 채택을 통해 안보리를 압박했다. 미국은 12개국 합참의장의 쿠데타 비난 공동 성명이나 G7 국가의 공동 성명을 주도했다. 지난 10월, 한국을 포함한 동티모르,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노르웨이, 영국, 미국, 유럽연합은 미얀마에 아세안 5개 합의 사항을 즉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3. 비난과 연대에서 내정불간섭과 전략 모색까지   국가들은 미얀마 사태에 다양하게 반응했다. 우선 미국은 쿠데타 직후 신속하게 군부를 비난했고, 시위대에 대한 무차별적 폭행과 살인을 중단하도록 촉구했다. 오랜 기간 미얀마 제재를 시행한 미국은 쿠데타를 계기로 이를 복원했다. 미국의 정책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째, 민주주의를 저해하고 인권을 침해한 군부를 비난하는 성명을 대통령, 국무장관, 합참의장의 명의로 발표했다. 둘째, 쿠데타를 주도한 군부 인사 개인에 대한 금융 제재 및 미국 입국 제한, 미국 은행 자산 인출 금지 조치도 시행했다. 이는 2017년 로힝야 집단살해 이후 가해졌던 개인 제재가 확대 적용된 것이다. 셋째, 비교적 실효성 있는 대책으로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상당 부분을 미얀마 시민사회 지원 정책으로 전환했다. 넷째, UN 등 다자 회의에서 공동 성명과 유의미한 결의안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아직은 가치 외교를 앞세운 미국의 정책으로 보기에는 큰 실효성이 없고 결정적이지 않다.   미얀마는 중국에 지정학적으로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국가로, 코로나 직전인 2020년 1월에는 시진핑의 국빈 방문이 있기도 했다. 시진핑은 군부 최고사령관 민 아웅 흘라잉과 당시 국가 고문 아웅산 수찌를 모두 만나며 균형을 맞췄다. 이를 반영하듯 사태 발발 직후 중국은 내정간섭 불가를 주장하며 “쌍방이 차이를 해소”하라고 주문했다. 같은 논리로 중국은 UN 안보리 결의안 도출을 방해했고, 의장성명이나 보도자료 등 다른 문서에서도 쿠데타의 폭력성과 군부의 책임을 흐리며 물타기 했다. 지난 4월 왕이 외교부장은 미얀마 사태에 대한 “3개 지지와 3개 배격 사항”을 밝히며 안보리의 “부적절한 개입”이나 “외부 세력에 의한 혼란 조장”을 반대했다(中國 外交部 2021). 아세안의 5개 합의 사안 도출 이후 중국은 합의의 “점진적 시행(gradual implementation)”을 지지하며 현상 유지를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도 미얀마 소수민족 문제로 군부와 마찰이 있고, 이념적으로 군부와 갈등이 있다.   한국은 미얀마 사태에 대해 비교적 신속하고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쿠데타 직후 대통령, 국무총리, 외교부는 여러 차례 군부에 대한 비난 성명을 발표했고, 외교부와 법무부는 장관, 차관 등 고위급 인사를 내세워 미얀마 대사나 국내 체류 미얀마인과 여러 차례 면담했다. 3월 28일 아동과 여성에 대한 무차별 살해 직후, 정부는 “국제 사회의 거듭된 요구에도 불구하고 야만적인 폭력이 계속되고 있음을 강력히 규탄”하고 “자국민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폭력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재차 강력히 촉구”했다. 동시에 관련 부처 합동으로 강제력 있는 제재 조치를 발표했다. 국방 및 치안 분야 신규 교류 및 협력 중단, 군용 물자 수출 불허 및 산업용 전략물자 수출 엄격 심사, 민생과 직결된 사업이나 인도적 사업 이외의 개발 협력 사업 재검토, 체류 중인 미얀마인에 대한 인도적 특별 체류 조치 계획 등이었다.   4. 국제 인권 협력의 딜레마: 주권과 내정불간섭 원칙을 따르는 미얀마 군부   사태가 발발한 지 1년이 지나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미얀마 사태는 국제 인권 협력에 중요한 함의가 있다. 인권 침해국이 외부의 인권 압력을 수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부의 국내외 정당화 필요성, 관련 규범의 선진국 수용성, 규범의 명확성과 보편성 등이 있다(Finnemore and Sikkink 1998).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 이후 어느 정부보다 국내외적으로 취약한 정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국제 사회가 비난한 인권은 무고한 시민에 대한 무차별적인 학살과 구금, 폭행 및 고문 금지로 너무나 명확하고 보편적이며 선진국에서 존중되는 규범이다. 하지만 조건이 갖춰졌음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군부는 1년 가까이 외부 인권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있다.   이는 미얀마 군부의 지향이 다름을 보여준다. 미얀마 군부는 인권 보호보다는 연방의 통합, 사회 안정에 초점을 두고 국내외에서 쿠데타와 인권침해를 정당화했다. 이런 시도는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세안 국가에서도 있었고, 태국 사례에서 보듯이 아세안에서 받아들여진 선례가 있었다. 또한 미얀마 군부가 추구했던 모델은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민주적 제도와 절차를 존중하는 서구 유럽이 아니라, 인권과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무시하더라도 사회 혼란을 막고 경제 발전에 집중하는 중국이다. 이렇게 볼 때 미얀마 군부에 더 명확하고 보편적으로 체감되는 규범은 인권 원칙이 아니라 주권 혹은 내정불간섭 원칙이다. 이 원칙은 아세안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중국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지를 받는 규범으로 지역에서 강하게 체감된다.   또한 미얀마 군부는 두 요인 때문에 예상외로 크게 취약하지 않게 상황을 버티고 있다. 첫째, 제한된 국가 역량으로 인해 취약해야 할 물적, 사회적 기반은 아세안과 중국의 존재로 인해 버틸만한 상황이다. 최대 교역국인 싱가포르와 중국은 미얀마와 통상을 이어가고 있고, 아세안 회원국인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태국은 권위주의 정부를 유지하면서 미얀마 군부에 간접적으로 정당성을 제공한다. 민간인 학살이 진행 중이던 지난 3월, 미얀마 군인의 날 기념행사에 러시아, 중국,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베트남, 라오스, 태국이 참석해 축하한 사실은 이를 보여준다. 둘째, 군부에 치명적인 군부 소유 기업(Myanmar Economic Holdings Limited, Myanmar Economic Cooperation)에 대한 본격적 제재는 아직 가해지지 않았다. 특히 군부의 핵심 재원인 미얀마석유가스공사(Myanmar Oil and Gas Enterprise)는 미국과 유럽, 인도, 한국에 기반을 둔 셰브론(Chevron), 쉘(Shell), 토털(Total), 포스코(POSCO) 등 다국적 기업의 로비와 압력으로 제재를 피하고 있다.   그러나 서구의 미얀마 정책이 단순히 기업의 로비 때문에 정체된 것만은 아니다. 근본적으로 외교정책이 갖는 국내정치적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미국을 보더라도 바이든은 트럼프를 근소한 차이로 이겼고, 선거 결과는 불법 선거 시비와 국회의사당 폭동으로 이어졌다. 미국 내에는 트럼피즘(Trumpism)으로 불리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의 상당히 지지층이 있고, 이 세력은 바이든 외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바이든이 내세운 “미국 중산층을 위한 외교(foreign policy for American middle class)”도 국가이익과 연관이 크지 않은 미얀마에 집중하기 어렵게 했다. 더불어 지난 8월 순조롭지 않았던 아프가니스탄 철수는 미국 외교정책의 취약점인 민주주의 증진(democracy promotion)의 문제를 드러냈다. 이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아랍의 봄, 그리고 최근 홍콩에서 보였는데 쉽게 성공하기 어렵고, 자칫하면 정치적 혼란과 역내 불안정까지 책임져야 하는 양날의 검이다.   5. 국제 인권 협력의 가능성: 예상할 수 없는 충격(shock)에서 시작!   최근 미얀마 사태에 대한 언론 보도의 급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국제적 관심은 줄어들고 있다. 향후 상황은 두 가지 이유로 더 나빠질 수 있다. 첫째, 사태의 장기화와 현상(status quo)의 고착화이다. 미얀마 군부는 오랜 기간의 국제 제재에 익숙하고, 현재도 중국, 태국, 인도, 싱가포르 등 주요 교역국과 계속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석유와 가스 이외에도 풍부한 목재, 보석, 마약의 유통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수입도 무시할 수 없다. 군부의 자생력이 증진되고, 국제 제재에 대한 내성이 강해져 사태를 장기화하고 현 상황을 고착화할 수 있다. 이미 군부는 쿠데타 직후 1년 뒤 실시하기로 약속한 선거를 적어도 2년 반 후로 연장했다.   둘째, 내전 발발과 이로 인한 주변국으로의 폭발적 난민 유출 상황이다. 동시에 전통적으로 반군에 대해 자금, 식량, 정보, 인력의 흐름을 끊는 “4개 단절(four cuts)” 전략도 이미 재개됐다. NUG는 지난 9월 군부에 대한 방어전을 선포했고, 이들과 연계된 소수민족 거주 지역에서 군부의 공습, 폭격 및 방화가 발생했고 난민의 수도 급격히 늘었다. 미얀마 상황이 시리아처럼 악화하면, 다양한 정치세력 간 무장 투쟁과 난민 문제가 두드러지게 될 것이다. 현재 주목을 받는 미얀마의 민주화나 정당한 CDM보다는 분쟁에 연루된 “모든 당사자(all parties)”가 주목받고, 시민운동의 정당성이 침식당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상황이 어렵다고 해서 미얀마 사태를 둘러싼 인권 협력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변화는 일반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충격(shock) 때문에 발생한다. 두 지점에서 가능하다. 첫째, 인권침해로 인한 충격이다. 1990년대 보스니아 내전이나 코소보 내전에 국제 사회가 개입한 것이나 2010년대 시리아 난민에 대한 유럽 국가의 정책이 급격히 전환된 계기는 모두 예상치 못한 충격 때문이었다. 보스니아의 경우 나치의 유대인 수용소를 연상케 하는 집단 수용소의 실상이 공개됐고, 시리아 난민도 익사해 해변에 엎드러져 사망한 아이 “알란 쿠르디 사건”이 있었다. 미얀마도 최근 집단살해가 빈번해지고 그 방법도 잔인해져 이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둘째, 군부 자체에 의한 충격이다. 리비아 사례를 보면 카다피가 시위대를 향해 “바퀴벌레(cockroaches)”로 지칭한 것이 국제 사회에 집단살해의 전조로 인식되어 안보리를 움직였던 것처럼 미얀마 군부의 정책과 발언이 충격을 줄 수 있다. 최근 시위대에 차량을 돌진해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이나 아동을 포함한 35여 구의 불탄 시신이 발견된 사건은 군부의 포악성을 잘 보여준다.   6. 충격의 상황 속에서: 여론과 시민사회, 초 국경적 연대의 역할   충격의 상황에서 두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째, 여론과 시민사회의 역할이다. 미얀마 사태의 평화적 해결에 비관적인 싱가포르 전진 외교관도 미국 외교정책에서 변환점을 국내 및 국제 사회의 여론으로 보았다(Kausikan 2021). 보스니아 수용소나 쿠르디의 사망 등 충격적 사건은 여론을 움직인다. 우선, 여론에 민감한 정치인, 정부, 혹은 정당을 움직여 정책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또한, 비정부기구 등 시민사회를 움직인다. 비정부기구는 국내에서 시민사회에 정보와 전략을 제공하고, 정부를 압박해 정책 지향을 변화시킨다. 국제적으로는 UN 등 국제기구에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을 자문한다. 이제까지 진행된 미얀마 사태를 둘러싼 동아시아 국가의 대응을 보면 정부의 노력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여론과 시민사회의 역할도 중요했다.   둘째, 현재까지 미얀마 사태에 목소리를 높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국가, 한국, 미국 이외에 유럽연합, 일본, 인도, 싱가포르, 호주 등 다른 관련 국가의 적극적 참여이다. 인도는 미얀마와 국경을 마주한 국가이자 UN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이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도 미얀마 군부와 긴밀한 관계를 이용해 비공식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ODA를 이용해 압박했다. 유럽연합과 호주도 미국이 주도하는 공동 성명에 참여했다. 향후 이들의 역할은 더 중요하다. 트럼프가 남긴 유산으로 인해 미국이 인권을 전략적으로 이용한다는 비난은 바이든 정부에 큰 부담이다. 따라서 유럽연합과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가 미얀마를 압박하고, 미국이 이들의 행보를 지지하는 정책을 펼 수 있다. 이렇게 국제 사회가 움직인다면 인권, 이행기 정의, 보호책임 등 국제적으로 많은 수단이 존재한다는 것도 긍정적인 요소이다.■   참고문헌   Assistance Association for Political Prisoners (AAPP). 2022. “Political Prisoners Post-Coup,” https://aappb.org/ (접근일: 2022.1.4.) Finnemore, Martha and Kathryn Sikkink. 1998.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 52(4): 887-917. Human Rights Watch. 2021. “Myanmar: Prisoner Releases Fall Short: Deposed Political Leaders and Journalists Remain Detained,” https://www.hrw.org/news/2021/10/21/myanmar-prisoner-releases-fall-short (접근일: 2022.1.4.) Kausikan, Bilahari. 2021. “The Dangerous Impasse in Myanmar: For the United States, Patience Is the Least Bad Option,” Foreign Affairs, April 9, 2021. https://www.foreignaffairs.com/articles/burma-myanmar/2021-04-09/dangerous-impasse-myanmar (접근일: 2022.1.6.) Myanmar TV Channels(MRTV), 2021.3.26. 中国 外交部,“王毅谈对缅甸局势的“三个支持”“三个避免。” https://www.fmprc.gov.cn/web/wjbzhd/t1866713.shtml (접근일: 2022.1.4.)     ■ 저자: 김헌준_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호주 그리피스대학교 부교수 및 선임연구원, 미국 세인트올라프대학교 (St. Olaf College) 방문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관련 연구로는 The Massacres at Mt. Halla: Sixty Years of Truth-Seeking in South Korea, Transitional Justice in the Asia Pacific, “The Prospect of Human Rights in US-China Relations: A Constructive Understanding,”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 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김헌준 2022-03-04조회 : 11422
논평이슈브리핑
[EAI 미얀마 특별 논평] ⑥ 미얀마 민주화 시위가 한국 언론에 던진 질문

1. “미얀마 시민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한국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시사IN>이 2021년 3월부터 약 5개월간 진행한 미얀마 연속 보도(#WatchingMyanmar)는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다[1].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가 아니라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묻는 건 언론인으로서 분명 예외적 상황이었다. 한 국가의 반 인륜 범죄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전하는 것이 언론 본연의 역할이지만,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유혈사태 앞에서 이것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전부일지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끊긴 시대에 고립된 미얀마의 상황을 지켜보던 국내외 언론에게는 한 번쯤 이런 질문을 했을 것이다. ‘도대체 언론의 역할은 어디까지인가?’ ‘언론은 과연 중립적일 수 있는가?’   미얀마 반 쿠데타 시위를 적극적으로 의제화한 언론은 <시사IN>만이 아니었다. 4000km 떨어진 해외 이슈에 언론들이 이토록 큰 관심을 보인 건 어떤 이유에서 일까? 우리가 미얀마의 시민 저항을 적극 보도하기로 한 이유, 현지 언론인들과의 연대, 그 안에서의 깨달음과 남은 과제는 무엇일지 공유하고자 한다. 국내 언론의 미얀마 연대 활동을 기록하는 일은, 미얀마 민주화 시위가 한국사회에 남긴 ‘흔적’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초일 것이다. 무엇보다 미얀마 보도가 현저히 줄어든 상황에서, 교착 국면에 빠진 미얀마 위기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 또 언론의 다음 스텝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2. 시간을 거슬러 1년 전으로   미얀마 군경의 강경 진압으로 희생자가 속출하던 당시, 국내에는 ‘유혈사태’ ‘피의 일요일’ ‘지옥의 밤’이라는 헤드라인을 달고 속보가 쏟아졌다. 상황을 안타깝게 지켜보던 한국 시민들은 그야말로 속수무책이었다. <시사IN>은 국내에서 미얀마 군부 규탄 시위를 열고 있는 재한 미얀마인들을 매주 만나기 시작했다. 당장 취재할 수 있는 현장이 그것뿐이었다.   처음 예상했던 것과는 또 다른 ‘현장’이 이들의 손에 쥐어져 있었다. 스마트폰 메시지함에는 치료비, 방탄조끼와 헬멧, 인터넷 연결을 위한 유심카드(미얀마 군부가 인터넷을 끊은 후로 타이 유심카드가 있어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고 했다),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속하기 위한 생활비 등등 현지 시위대가 보낸 ‘SOS 요청’이 가득했다. 피부가 찢어진 채 피를 흘리고 쓰러져있는 사람들의 사진들이 스크롤을 내려도 나오고, 또 나왔다. ‘맨몸으로 군경과 맞서고 있다' ‘턱에 총알이 관통해 치료비가 필요하다' ‘장례비를 지원해달라'…. 이주 노동자, 유학생, 결혼이주민 등 다양한 신분으로 한국에 정착해 살던 이들의 삶은 2021년 2월 1일을 기점으로 운동가로 뒤바뀌어 있었다. 그때 처음 이 질문을 던졌다. “미얀마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코로나19 상황이 아니었다면 국내외 언론사 여럿이 미얀마로 입국했을 것이고, 외신들이 지켜보는 상황이라면 미얀마 사태가 이렇게 손쓸 수 없이 장기화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전 세계 외신 가운데 유일하게 ‘군부 허락을 받고’ 미얀마 양곤에 들어간 해외 취재진은 지난해 3월 31일 BBC 클라리사 워드의 팀뿐이었다. 모든 취재 현장에는 군부가 동행했으며 취재진이 현장을 떠나자 미얀마 군부는 BBC와 인터뷰에 응한 시민들을 구금했다. 취재 중에 알게 된 미얀마 현지 언론인은 격앙된 말투로 내게 말했다. “왜 어떤 나라도 개입하지 않는가? 우리도 늘 묻는 주제다. 답은 간단하다. 미얀마를 위해 무언가를 해서 얻는 이득이 없기 때문이다.” 당시 미얀마 시위대는 ‘얼마나 더 죽어야 개입할 것인가(#How Many Dead Bodies Need To Take Action)’라는 구호를 들고 거리에 나왔다.   3. <시사IN>이 미얀마 캠페인을 시작한 이유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가 혼란을 잠재우는 방식은 일종의 ‘고립 전략’이었다. 코로나19 집합 금지 조치를 근거로 시위를 탄압하고, 인터넷을 끊고, 언론인과 언론사를 겨냥하는 것이다. 미얀마 국내에 있던 언론인들은 군부의 첫 번째 타깃이 되었다. 미얀마 군부는 독립 언론의 출판 면허를 취소하고, 시위를 취재하는 언론인과 시민기자들을 ‘가짜뉴스 유포’ ‘선동’ 혐의로 기소했다. 2022년 1월 10일 기준 미얀마 언론인 115명이 체포되었고 여전히 44명이 구금되어있다(Reporting ASEAN 2021).   국가에 의한 폭력과 총격, 탄압 등 미얀마에서 일어나는 일(#What’s happening in Myanmar)이 온라인 상에서 더 이상 퍼지지 않는다면 국제사회의 관심과 압박, 비난의 강도도 줄어들 것이 분명했다. 미얀마의 한 언론인은 “해외에서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는 데 힘을 얻는다. 계속 지켜봐 달라”라는 당부를 들었을 때, 미얀마는 군부가 아닌 고립과 싸우고 있는 현실을 직감했다. 시민들을 고립시킬수록 군부 통치가 용이해진다면, 반대로 시민들이 연결될수록 군부 통치는 취약해지지 않을까? 미얀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움직여야 하고, 국제사회가 움직이기 위해서 미얀마의 상황이 계속 알려져야 했다. 우리는 그 역할에 동참하기로 했다.   편집국이 폐쇄되고 쫓기는 상황에서도 목숨을 걸고 미얀마의 참상을 기록하고 있는 기자와 언론인들이 있었다. 그들에게 기고를 요청했다. 미얀마 언론인들과의 소통과 협업은 매 순간 난관이었다. 연락을 주고받고 예정된 시간에 기사를 받는 것, 또 원고료를 전달하는 과정 하나하나 순조롭지 않았다. 현지시각 새벽 1시부터 오전 9시부터 인터넷이 끊기는 데다 군경을 피해 기자들은 주기적으로 거처를 옮겨야 했기 때문이다. 우리와 연을 맺은 미얀마 언론인들은 2022년 현재 신변 위협을 받다 태국 국경을 넘거나, 국경 지대로 들어가 총대를 잡기도 했으며, 일부는 감옥에 수감 중이다.   2021년 4월부터 <시사IN>은 사회적 기업 ‘오늘의행동’과 #WathcingMyanmar 캠페인을 시작했다. 미얀마 언론인 원고료(취재비) 모금 활동에 총 800명이 넘는 사람이 참여했다(2021년 5월 20일까지 854명이 참여해 3712만 5386원 모금). ‘언론사가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역할이 아니냐’는 문제제기도 있었다. 수 개월간 수입 없이 버티는 동료 언론인들에게 원고료가 취재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작은 동력이 되길 바랐다. 무엇보다 언론사가 한 이슈를 고정적으로 의제화한다는 건(agenda keeping, 어젠다 키핑), 쏟아지는 기삿거리 속에서 지워지거나 잊히지 말아야 하는 문제로 끌어올리려는 편집국의 판단과 의지가 필요한 일이다. 미얀마 반쿠데타 시위의 경우 해외 사안임에도 편집국의 자원과 비용, 인력을 투입할 만큼 중요한 사건이라고 봤다.   4. 한국 언론의 미얀마 연대 흐름들   미얀마 문제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온 이유경 국제분쟁 전문기자는 한국 언론의 미얀마 민주화 시위 보도를 이렇게 평가한다. “이렇게 국제 이슈에 한국 언론이 관심을 쏟아부은 적이 있었던가. 우리가 알아야 할 의제로서 설정하는 그런 기능에서는 굉장히 긍정적인 역할이 있었다고 본다. 한발 더 들어가서 질이 어땠는가, 기사 보도량에 비해서 다양성이라든가, 이슈의 깊이라든가 이면의 분석이라든가 그런 건 굉장히 부족했던 것 같다(KBS ‘질문하는 기자들Q’ 2021년 5월1 7일 자 방송).” 군부의 잔인한 폭력을 중계하는 것 이상으로, 미얀마 군부가 어떻게 21세기까지 막강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는지, 소수민족과의 오랜 갈등의 역사는 왜 벌어졌는지 등 미얀마가 처한 민주주의 위기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부족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국내 언론이 해외 뉴스를 ‘핫 토픽’ 정도로 다뤄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얀마 문제를 알리려는 언론의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는 점은 의미 있다. <주간경향>은 2021년 4월 초 미얀마 언론인들의 기사와 사진으로 구성된 특집호 ‘시민은 승리한다’를 제작했다. 당시 이 기획에 참여한 김영미 분쟁지역 전문 PD는 미얀마 해직 기자들을 모아 현지에서 ‘다큐 앤드 뉴스 코리아’라는 언론사를 차려 관심을 끌었다. <오마이뉴스>의 경우 2021년 8월부터 온라인 연재 ‘나는 미얀마 기자다-위기의 저널리즘 복원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미얀마 사진기자 모임(MPA)’의 기사를 받아 한국어와 미얀마로 전하고 독자들의 후원금을 받아 전달하는 방식이다. 2021년 1월1 4일 기준 2000만원이 넘는 금액이 모였다. <한겨레21>은 지면과 온라인에 ‘#Stand with Myanmar' 기획연재를 이어가며 미얀마 국민과 연대하고 지지하는 시민의 글을 매주 미얀마어로 함께 싣고 있다. 그 외에도 KBS <시사기획 창>, <시사직격> MBC 등 방송사들도 미얀마 현지 상황을 알리고 미얀마 쿠데타에 관한 심층 분석을 내놓는 다큐멘터리를 여러 차례 제작했다.   무엇이 달랐을까? 한국 시민사회는 다른 어떤 국가들보다 미얀마 민주화 시위에 열렬한 응원과 연대를 보냈다. 2021년 2월 24일 양곤의 주미얀마 한국대사관 앞에서 미얀마 시민들이 무릎을 꿇고 “제발 도와달라”라고 호소한 영상이 기점이었다. 한국 시민들은 “뭐라도 돕고 싶다”며 모금활동부터 거리 시위, 서명 운동, SNS 캠페인 등을 자발적으로 벌여 나갔다. 이 모습이 다시 SNS를 통해 미얀마 시민들에게 전달되었다. 많은 이들은 2021년 미얀마에서 1980년 광주의 모습을 떠올렸다. 군부 독재와 국가 폭력이라는 비슷한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는 데서 오는 안타까움과 부채의식, 아시아에서는 드물게 민주주의 공고화를 먼저 이뤄낸 국가로서의 책임감이 복잡하게 공존했다.   3월 2일 한국영상기자협회가 내놓은 연대 성명에는 이러한 의식이 잘 드러난다. “1980년 5월, 광주민주항쟁의 참상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는 한국의 영상기자들은 미얀마에서 전해지는 비극적 소식과 영상들을 접하며, ‘오월광주’의 참상이 떠올라, 경악과 분노를 금할 길이 없다. ‘오월광주’에서 한국 영상기자, 언론인들의 무기력과 공백은 독일의 영상기자 위르겐 힌츠페터와 같은 다른 나라 방송, 언론사 기자들의 목숨을 건 치열한 취재, 보도가 대신했다. 그들의 영상취재와 보도가 있었기에 광주는 국내에서는 고립되었지만, 세계적으로는 그 참상을 알리고, 민주주의를 향한 우리 시민들의 항거를 지지, 연대하는 국제적 여론을 만들 수 있었다. ‘얼마나 더 피 흘려야 하느냐?’는 미얀마 시민들의 호소에 응답해, 미얀마의 뜨거운 민주주의 항쟁을 적극적으로 취재, 보도하는 것이 우리 방송 언론인들이 1980년 광주와 대한민국의 시민들, 우리를 지지 연대해 준 세계인들에게 진 빚을 갚는 일이다.”   1980년대 원로 언론인들의 연대 성명도 이어졌다.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자유언론실천재단 등 5개 언론단체는 4월13일 주한미얀마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외쳤다. “권력과 부를 탐하는 군부의 쿠데타로 국가와 국민이 고통을 당하고 언론인들이 취재 현장에서 쫓겨나던 아픈 역사를, 우리는 미얀마 국민과 공유하고 있다. 광주민주항쟁을 계승하고 군부독재에 맞서 언론 자유와 민주언론을 위해 강고하게 싸워왔던 우리는 미얀마 국민의 정의로운 항쟁에 강력한 지지를 보내고 미얀마 민주 시민사회와의 굳건한 연대를 약속한다.”   5. 미얀마를 통해 한국을 들여다보는 계기   물론 광주와 미얀마를 섣불리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국가를 둘러싼 지정학적 위치와 국제 정세가 완전히 다른데다, 미얀마는 한국보다 군부 집권의 역사가 길고 소수민족과의 오랜 갈등도 존재한다. 그래서 우리가 가진 민주주의를 ‘알려준다’거나, 미얀마를 ‘시혜적으로’ 혹은 ‘온정주의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광주의 역사가 미얀마를 포함해 홍콩, 태국 등 아시아 민주주의 위기에 깊이 감응하게 만드는 연결고리라는 점이다. 지난해 5월 홍콩, 태국, 한국(광주), 미얀마 2030 청년들을 한 자리에 모아 아시아 민주주의와 ‘밀크티 동맹(Milktea Alliance)’을 주제로 좌담회를 기획한 적이 있다. 거기서 만난 광주 출신 이희영 씨의 말이다. “광주 시민들이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연대하는 모습을 보면서 5·18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게 된다. 처음 ‘딴뽕띠’ 집회(냄비를 두드리며 군부에 저항하는 미얀마 시민들과 연대하는 시위)를 열 때만 해도 매주 그토록 많은 어르신들이 꾸준히 참석할 것이라곤 예상하지 못했다. 어르신들을 보면서, 우리가 80년대의 기억을 다시 마주하고 치유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광주는 여전히 보이지 않는 차별을 받고 있지만, 그래서 억압받는 목소리를 누구보다 더 잘 들을 수 있는 도시였구나’ 하고.   미얀마 사태는 이렇듯 한국사회 전반에 ‘떨어져 있지만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일깨웠다. 이것은 언론에게도 다양한 고민과 숙제를 안겼다. 한때 경제 성장의 주역이라 평가받았던 회사가 쿠데타 이후에 군부의 자금줄 의혹을 받을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어떻게 물어야 하는가? 한국사회가 군부 규탄 성명을 쏟아내는 것 이상으로 미얀마 난민을 받을 수 있을까? 5·18 광주 민주화 항쟁 이후 유족들의 트라우마와 진상규명이란 과제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차별받고 있는 미얀마 노동자들의 인권 문제는? 미얀마의 민주화를 응원한다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미얀마가 우리 사회에 던지는 질문의 무게가 결코 적지 않다.   6. 미얀마 쿠데타 1년, 언론에게 남은 과제   <시사IN> #WatchingMyanmar 캠페인에 참여한 한 독자의 후기가 기억에 남는다.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미얀마 시민도 아닌데 위로받는 것 같았다. 연대가 쌓여가며 더 큰 힘을 지니게 될 것이라는 믿음과 연대 자체가 주는 소속감, 친밀감, 위로가 있었다.” ‘남의 나라’ 일로만 치부되던 미얀마 민주화 시위가 한국 시민사회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포착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시민들을 연결하는 일은, 시민사회와 민주주의를 더 크고 넓게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언론의 의무와도 다르지 않다.   미얀마 연속 보도를 통해 한 가지 알게 된 사실은 ‘민주주의 국가는 주위에 더 많은 민주주의 국가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한 나라의 민주주의가 위태로울 때 국제사회가 더 잘 개입하기 위해서는 인접 국가들의 도움과 지지가 필요하다. 유엔과 아세안 등 국제사회가 미얀마 군부에 공식적인 경고에도 군부가 아랑곳하지 않았던 이유도 오랫동안 지속된 고립화 조치에 이미 적응해버린 상태였기 때문이다. 급기야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8월 2일 ‘1년 뒤 총선 실시’ 약속을 깨고 2023년 8월까지 비상통치 체제를 이어가겠다고 선포했다. 그리고 스스로 총리에 취임했다. 동남아 연구자들은 군부의 장기 집권 플랜이 시작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얀마는 사실상의 내전 상태에 접어들었다.   민주주의 지표인 언론자유지수도 비슷한 양상을 띤다. 지난 4월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2021 언론자유지수를 보면 아시아 국가들은 타이완(43위), 한국(42위), 일본(67위), 몽골(68위) 등을 제외하고 모두 100위권 밖이다. 군부 독재와 언론 탄압은 동남아시아 기자들이 공유하는 위기의 본질인 셈이다. 그러다 보니 고군분투하던 아시아 언론인들이 미얀마 위기를 중심으로 모이는 조짐도 나타났다. 태국외신기자협회(FCCT) 등 아시아 언론 단체들도 모금 활동과 장비 지원 등 실질적인 해법을 찾았다. 그웬 로빈슨 전 FCCT 회장은 “그간 태국 언론은 왕실에 대한 언급을 엄격하게 검열하는 법을 따랐다. 그런 태도가 최근 들어 변하기 시작했다. 검열에 반대하는 미얀마 언론의 투쟁을 보며 타이 언론도 다르지 않다고 느꼈다”라고 말한다. 현재 미얀마 사태가 어떻게 전개되느냐는 홍콩과 태국, 필리핀, 캄보디아 등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군부와 시민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관심사다.   미얀마 쿠데타 1년. 국제사회의 관심은 전보다 떨어졌고 보도량은 확연히 줄었다. 언론계 내부에서는 ‘더 급박한 이슈’들이 물밀 듯 밀려오는 현실적인 상황도 존재한다. 그러나 미얀마 지역 곳곳에서 쿠데타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끊긴 적은 단 하루도 없다. SNS에는 #SaveMyanmar #PrayForMyanmar 해시태그 운동이 매일 이어지고, 그 현장에는 미얀마의 시민 저항과 군부 폭력을 기록하는 기자들이 있다. “누군가는 여기에 남아 보도해야 한다. 군부의 인권유린과 폭력 사건을 기록해 국제사회에 보여줘야 한다. 미얀마 시민들이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나에게 어떤 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 나의 결정을 후회하진 않을 것이다[2].(미얀마 독립 언론 <프런티어 미얀마> 기자, 12월 16일).” 이런 목소리를 충실히 기록해나가는 것이 미얀마에 대한 관심의 ‘불씨’를 이어가는 한 가지 방법일 것이다. 각국의 이해관계로 얽힌 국제 정세를 움직이고, 미얀마 군부가 무시하기 어려운 국제사회의 압박을 만들어내는 일은 결국 시민들의 관심이 모이는 곳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미얀마 민주화를 위해 한국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은 그래서 아직 끝나지 않았다. 언론과 시민사회, 정부 단위에서의 고민과 논의가 계속되어야 하는 이유다. ■   참고 문헌   Reporting ASEAN. 2021. https://www.reportingasean.net/. 시사IN. '미얀마 쿠데타 300일, 여기서는 여전히 사람이 다치고 죽는다.' 2021/12/16.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06 오마이뉴스. ‘나는 미얀마 기자다-위기의 저널리즘 복원 프로젝트.’ 2021. http://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list.aspx?SRS_CD=0000014012&CMPT_CD=M0146 주간경향. [표지 이야기]‘미얀마 봄 혁명’ 반드시 승리할 것이다. 2021/04/05. http://m.weekly.khan.co.kr/view.html?med_id=weekly&artid=202104051526391&code=117&s_code=n0002#c2b 한겨레21. #Stand with Myanmar. 2021. https://h21.hani.co.kr/arti/SERIES/2593/ KBS 시사기획 창. ‘혁명은 실패하는가.’ 2021/05/09. https://mylovekbs.kbs.co.kr/index.html?source=mylovekbs&sname=mylovekbs&stype=blog&contents_id=70000000395517 KBS 시사직격. ‘우리의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2021/06/18.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9-0280&program_id=PS-2021091763-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6 MBC PD 수첩. ‘#세이브 미얀마.’ 2021/05/18. https://program.imbc.com/Enews/Detail/pdnote?idx=314415     [1] 보다 자세한 정보는 <시사IN>의 미얀마 민주화 시위 특별 페이지(http://myanmar.sisain.co.kr/)를 참고하길 바란다. [2] 원문은 시사IN의 미얀마 독립 언론 <프런티어 미얀마> 기자의 2021년 12월 16일자 기자를 참고하길 바란다.     ■ 저자: 김영화_2018년부터 <시사IN>에서 일하고 있다. 현재는 정치팀 기자. 2019년 홍콩과 2020년 태국에 이어 2021년 미얀마의 민주화 시위를 취재 보도했다. 2021년 3월 ‘미얀마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미얀마 독립 언론인들을 후원하는 <시사IN> #WatchingMyanmar 캠페인 기획을 담당했다. 격동기에 접어든 아시아 민주주의와 아시아 청년들이 위기를 돌파해가는 방식을 기록하는 데 관심이 많다.     ■ 담당 및 편집: 전주현 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김영화 2022-03-02조회 : 10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