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한국에게 지리적으로 역사적으로 매우 가까운 나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 양국은 과거사에 대한 인식 차이로 협력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지역안보와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와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한일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은 절실하다. 이에 EAI는 미래의 보다 발전적인 한일관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한일 양국 간 상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한일 양국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하기로 하였다.

일본의 言論NPO와 함께 매년 한일 양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문항에 대해 설문을 실시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같은 역사인식을 비롯하여, 문화와 관광 등 한일 양국 간 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 미디어와 시민사회 등 민주주의 관련 이슈, 북한 핵 문제를 비롯한 동북아의 안보와 평화 등 한일 양국과 동북아 지역이 당면한 현안에 대해 양국 국민의 평가와 의견을 조사한다. 본 여론조사의 결과는 매년 서울과 동경을 번갈아 언론을 통해 발표하며, 이어서 개최되는 “한일 미래대화”에서 한일 양국 전문가들은 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 의제를 논의한다.

워킹페이퍼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시리즈] ②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변화

I. 서론   한일관계는 일반적으로 ‘수직적 비대칭적 관계’에서 ‘수평적 대칭적 관계’로 변동되었다고 분석된다(기미야 다다시 2022). 이때 ‘수직’에서 ‘수평’으로, ‘비대칭’에서 ‘대칭’으로의 변화를 가장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영역이 양국의 경제 관계일 것이다.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에서 일본으로부터의 자본과 기술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김도형 2015). 이 가운데 한국 내에서 일본과의 경제협력에 대한 높은 가치부여 인식은 장기지속되어왔다. 하지만, 세계시장에서의 양국 기업 사이의 경합성이 증대되고 양국의 경제 전체에서 상대방과의 경제 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축소되면서, 한일 경제 관계의 가시성은 지속적으로 저하되었다(오쿠다 사토루 2015). 이 가운데 한일 경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도 많이 제기되어왔다. 일본이 더는 한국의 선진사례의 롤모델이 아니며 실질적으로 한일 경제협력이 한국에 주는 전략적 이익이 크지 않다는 주장 속에 한일 경제협력의 현재적 의미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곤 한다(이명찬 2023).   하지만, 한일 양국 정부의 역사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외교 갈등 속에서도 별도의 트랙으로 경제협력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정책 언설은 꾸준하게 지속되어 왔다. 역사인식 현안에 대한 양국 갈등을 역사인식 현안의 해법 모색이 아니라, 다른 분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하자는 취지의 소위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개선론은 오래된 수사였으며,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협력 분야는 언제나 경제였다. 제2공화국의 협력적 대일외교 기조, 박정희 정권의 경제협력 방식의 한일관계 처리,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등의 사례에서 경제 분야 협력은 양국의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견인하는 것으로 대일정책에서 중요한 위상을 유지해왔다.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개선론은 현재 윤석열 정부와 기시다 후미오 정부 사이에서 지난 반년 동안 급격하게 진전한 양국 외교 갈등 봉합 과정에서도 다시 등장하는 가운데, 이때도 양국 사이의 경제협력은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개선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다(대통령실 2023).   물론 한일관계사에서 자주 등장해온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에서 언급되는 경제 분야의 구체적 협력 내용은 각 시대에 따라 다르고, 특히 올해 한일정상회담에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개선의 경제협력은 경제안보 협력에 방점이 찍혀있다. 시대에 따라 구체적 내용은 달리하지만,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경제협력은 대일정책에서 일종의 ‘성배’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한일 양국의 경제협력에 대한 정책 당국의 꾸준한 강조에 대해 한국 사회는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한일 양국 경제 관계의 표면적 중요성 저하 속에서도 양국의 경제협력에 대한 정책 담론이 정책 당국에 의해서 꾸준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은 경제협력 필요성에 대한 한국 사회의 적극적 수용 또는 최소한으로는 거부하지 않는 태도를 전제로 한다. 과거 한일 경제 관계가 수직적이고 비대칭적 성격을 지니던 시대에는 한일 경제협력은 필수불가결한 것이었지만, 한일 경제 관계의 변화는 한일 경제협력의 위상을 상대화시켰다. 그럼에도 한일 경제협력을 강조하는 정책 태도가 계속된다는 점은 경제 분야에서 한일 협력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이 꾸준하게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예측하게 한다. 역사인식 문제와 안보협력 사안에 비해 경제협력 이슈가 양국 사회에서 한일관계에서 정서적 긴장과 연계된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사회로부터의 당위론적 동의가 자연스럽게 도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2년 이후 순차적으로 종료된 한일통화스와프 사례나 2019년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 조치와 같이 한일 경제협력이 다른 분야의 갈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굴곡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한일 양국 간의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일반 사회의 인식이 당위론적 수용 태도로 고정되어 있다고 전제하기도 어렵다. 경제 분야의 한일관계가 다른 분야와 연계되어 갈등이 복합화되는 상황이 최근 한일 갈등의 기본적 성격이었다(남기정 2021). 이 상황 속에서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한국 사회 인식은 다른 갈등 현안과 연계되어 선호되기 어려운 대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 즉 한일관계에서 오래 지속되어 온 정경분리 기조가 손상되는 가운데, 경제협력에 대한 사회 인식의 성격이 변동되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이 한일 갈등의 복합화 속에서 기존의 당위론적 수용으로부터 변동되었을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연구원이 일본 겐론NPO와 공동으로 실시해 온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의 10년의 조사결과(2013-2022)를 바탕으로 한일 양국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인식 변화와 그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가운데 정책적 차원에서 급격하게 진행된 최근의 한일관계 개선 속에 다시 부활하고 있는 한일 경제협력의 정책론이 한국 사회 내에서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이해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II. 한일 경제협력의 중요성 인식 변화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에서 한일 경제협력의 중요성/필요성에 대해 직접 질문한 것은 2019-2021년 3년 동안에 국한되어 있다.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한국 국민의 기본 태도는 80% 내외의 비율로 필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그림 1> 참조). 하지만, 필요하다는 높은 응답은 경제협력에 대해 차별화되어 있다기보다는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당위적 태도와 직결되어 있다. 2018년 이래로 꾸준하게 질문되고 한일관계가 한국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응답은 언제나 80% 정도의 중요하다는 응답이 나오고 있다(<그림 2> 참조).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한국 국민의 호의적 태도는 한일 경제협력의 구체적 필요성에 입각한 응답이라기보다는 한일관계 자체는 정책적으로 중요하다는 관점도 맞닿아있다. 동일한 시기에 일본에 대한 좋은 인상의 비율이 최대 30% 이내에 머무르고, 최소 50% 내외에서 최대 70%의 응답자가 일본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지니고 있다는 응답과 비교해 보면, 한일관계와 일본에 대한 조사 시점의 현안과 관계된 대일 인식과 별개로 한일 협력의 대의에 대한 광범위한 국민적 공감대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일협력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한국 국민의 당위적 태도는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이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에도 크게 변동이 없다는 점에서도 발견된다.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일본에 대한 인상 평가는 매우 큰 변동을 보이고 있으나,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 비율에는 큰 변동이 없다(<그림 2> 참조).   한일관계에서 협력 필요성에 대한 높은 당위적 인식이 전제되어 있는 가운데, 일본과의 관계 중요성을 경제적 요인으로 파악하는 비율은 적지 않다. 한일관계가 중요한 이유에 대한 질문에 대한 선택지를 크게 경제, 문화/지리, 가치/안보로 나누어 파악해보면, 경제적 요인(중요무역 상대국, 경제산업적 상호의존 관계)을 한일관계의 중요성의 이유로 제시하는 비율은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을 이유로 제시하는 비율과 유사하다(<그림 3> 참조). 한일관계가 중요한 원인으로 경제 관계를 고려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지속되어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일본에 대한 인상 평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일본에 대한 좋은 인상은 지난 10년 동안 언제나 좋지 않은 인상에 비해서 저조한 것은 사실이지만, 좋은 인상을 지닌 응답자들이 좋은 인상의 이유로 선택한 항목에서 경제 관련 항목(생활 수준이 높은 선진국, 일본 제품의 좋은 품질)은 문화 관련 항목(국민성, 대중문화, 전통문화)과 더불어 일본에 대한 긍정 인식의 양대축으로 자리잡고 있다(<그림 5> 참조).   하지만, 최근 2-3년 동안 한일관계가 중요한 이유로 경제 요인을 선택한 응답 비율과 일본에 대한 좋은 인상의 이유로 경제 요인을 선택한 응답 비율 모두 다소 축소되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최근 한일관계 중요성과 일본에 대한 긍정 인상의 요인으로 가치와 안보 요인(자유민주주의 가치 공유, 미국과의 안보 협력 등)에 대한 응답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그림 3>과 <그림 5> 참조). 당위적 한일 협력의 이유로 과거에 중요하게 인식되지 않았던 가치와 안보 요인의 응답 비율 증가는 현 정부 외교정책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 맥락에서 한일관계 중요성의 원인으로 경제를 제시하고 있는 응답 비율을 이념성향으로 분류하였을 때, 2023년에 보수 성향보다 진보 성향의 응답 비율이 높은 이유를 유추할 수 있다. 보수 성향 응답자들이 가치와 안보 요인에 대한 항목을 채택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경제 요인을 한일관계 중요성의 이유로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보수 성향 응답자들의 경우 다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에 현 정권의 외교안보 정책 기조와 높은 연동성을 지니는 가치와 안보에 대한 응답 선호가 낮은 진보 성향 응답자에게서 한일관계 중요성의 요인으로 경제가 꾸준하게 높게 유지되고 있다(<그림 4> 참조).   이념성향별로 다소 차별성이 발견되는 최근 추세는 경제협력이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도 발견된다. 경제, 문화/지리, 가치/안보의 요인을 선택할 수 있는 질문과는 별개로 경제협력이 필요한가라는 선택항의 질문에 대한 이념성향별 응답 변화에서 진보 성향의 경제협력에 대한 선호가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 조치 이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1> 참조)>. 물론 3/4 이상의 진보 성향의 응답자도 지속적으로 경제협력이 필요하다는 당위론에 대한 공감을 보여주고 있으나, 보수 성향 응답자와 그 편차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경제’에 대한 협력 전망의 인식 차이라고 보기 어렵다. 최근 정파적 인식이 커지고 있는 대일정책의 정치화 현상이 대중의 일본과의 협력에 대한 이념성향별로 차별화된 태도로 발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한일 경제협력의 당위론에 대한 이념성향별 편차는 윤석열 정부의 대일정책 평가 부분 등에 비해서는 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한일관계를 중요하게 바라보는 인식의 중요 토대로 일본과의 경제적 상호의존 및 무역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은 추세상 변동폭이 크지 않다. 일본이 좋건 싫건 한일관계는 중요하다는 당위적 관점에서 한일 양국 사이의 경제적 연결성은 한일 양국의 협력 필요성의 요인으로 지속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물론 후술하듯이 한국경제와 일본경제와의 관계 성격이나 한국경제에 일본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일본은 한국경제에 사활적이라는 인식은 적다. 다만, 경제적 요인을 한일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관점은 정책 당국에서 경제 분야에서의 한일 경제협력을 정책적으로 강조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배경이 된다. 그리고 정책 당국이 한일 경제협력을 중요 정책 내용으로 추진하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당위론적 협력 선호 인식은 정파적 인식의 침투 가능성이 보이지만 여전히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한일 경제협력의 중요성 인식 변화(전체, 이념성향별, 2019-2021)       <그림 2> 한일관계 중요성 인식과 일본에 대한 인상 평가(2018-2023)       <그림 3> 한일관계가 중요한 이유 (2018-2023)       <그림 4> 한일관계 중요 이유로 경제 요인을 제기한 비율 (이념성향별, 2018-2023)       <그림 5> 일본에 대한 좋은 인상 요인 (1순위, 2014-2023)     III. 한일 경제 관계의 성격 인식 변화   1. 한국경제에 대한 일본의 위상 인식   한일 경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적 인식은 일본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느끼는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지는 않다. 일본의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식은 한국의 경제성장과 중국과의 무역관계 확장 속에서 상대적으로 한국의 무역구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진 일본의 위상 하락과 맞물려 있다.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는 2016년 이래로 한국에게 경제관계가 중요한 국가가 어디인지에 대한 질문을 꾸준히 하여왔다. 복수응답으로 진행되는 이 문항에 대한 응답에서 80% 정도의 비율로 중국과 미국을 택하는 압도적 응답률이 꾸준히 발견된다. 반면에 일본에 대해서는 대략 35-50% 사이의 비율로 한국경제에 중요하다는 응답이 나온다(<그림 6> 참조). 물론 일본을 한국경제에 중요하다고 응답한 40% 내외의 응답 비율은 절대 낮은 수치라고 보기 어렵다.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고는 일본의 중요성은 다른 국가, 지역에 비해 높게 인식되고 있다.   한국 사회의 중국과 일본의 경제적 중요성 인식의 차이는 한국 무역구조의 현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그림 9>에서 볼 수 있듯, 1980년대까지 한국에서 일본은 수출과 수입 모두에서 핵심국가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중국은 한국의 핵심 무역상대국으로 자리잡아왔고, <그림 8>에서 보듯 2000년대 이후에 중국과의 무역량은 일본과의 무역량을 앞지르고 큰 폭의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 무역 구조와 산업생산네트워크에서 중국이 가지는 위상이 여론조사에서도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림 9>의 실제 무역관계 변화와 비교하자면, 일본이 한국경제에 중요하다는 40% 내외의 응답률은 낮다고 보기 어렵다. 무역량과는 별개로 일본과의 오랜 경제 관계의 역사에 대한 기억이 남아있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후술하듯 한일 양국 기업 사이에서 양국의 무역으로 잡히지 않는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심화된 상호의존 관계가 여론조사에 반영되어 있다고는 보기 어렵다.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에도 한국에게 경제적으로 일본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큰 차이없이 유지되고 있다. 물론 <그림 7>에서 볼 수 있듯, 이념성향에 따라서 일본의 경제적 중요성 인식은 분화되고 있다. 진보 성향 응답자들 사이에서 한국에게 일본이 경제적으로 중요하다는 응답률이 저조해지고, 보수 성향 응답자들의 응답률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격차가 일본의 경제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직결된다고 보긴 어렵다. 대일정책이 정치화되면서 정권의 대일정책 전반에 대한 찬반의 정파적 인식이 반영된 부분으로 해석된다.   한국과의 경제관계에서 중요한 국가에 대한 응답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일본에 대한 응답률 추이 변화가 아니고, 중국에 대한 응답률 추이 변화에 있다. 2010년대 중후반에 경제적으로 중요한 국가에 대한 응답 비율에서 중국은 미국보다 높았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경제적 중요성 평가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 변화는 이념성향과 상관없이 일관되게 발견된다(<그림 6>과 <그림 7> 참조). 미중경쟁 속에서 중국과의 깊은 경제적 상호의존의 취약성 야기 문제에 대한 걱정이 선행으로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최근 중국경제의 침체와 일본경제의 상대적 견고함이 지속된다면, 앞으로 일본의 경제적 중요성 인식은 더 증가할 가능성도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6> 한국과의 경제관계에서 중요한 국가(중국, 일본) (복수응답, 2016-2023)       <그림 7> 한국과 경제관계에 중요한 국가(중국, 일본) (이념성향별, 복수응답, 2016-2023)       <그림 8> 대중국 무역량과 대일본 무역량 추이 비교 (1970-2022)       <그림 9> 한국의 수출, 수입의 국가·지역별 비중 변화 추이 (1962-2018)     2. 한국경제와 일본경제의 대등성 인식   한일관계의 수평적 성격으로의 변화를 상징하는 지표는 <그림 10>과 <그림 11>에서 발견되는 1인당 국민소득의 변화 추이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20년 들어 유사 수준이 되었고, 구매력환산 1인당 국민소득은 IMF의 데이터 기준으로 2010년대 후반 이래로 한일 역전이 일어났다. 군사력과 소프트파워 함께 경제력 측면에서 한국이 일본을 따라잡았다는 인식은 일본 내에서도 인지되고 있고, 이에 대한 일본 내 반응의 다각적 성격도 발견된다(기미야 다다시 2022; 이명찬 2023).   <한일 상호인식 조사>에서 한일 양국의 대등성에 대한 질문은 2021년과 2022년에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2021년에는 45% 내외가 이미 한일 양국은 대응한 관계가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또 다른 45% 내외의 응답자는 대등으로 가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2022년 응답에서도 이 비율은 크게 변동은 없으며, 이미 대등과 대등으로 가고 있는 중이라는 응답률을 합치면 90% 내외로 유사하다. 또한, 대등성에 대한 응답에서 이념성향은 차별성을 보여주지 않는다.   대등성 인식은 수평적 한일관계로의 변화라는 한일관계 전반의 성격 변화와 연계되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크다. 최근 여러 일본경제와 한일관계에 대한 논평에서 일본과의 수평적 관계를 더 지속발전시키기 위해 한국에게 앞으로 필요한 과제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이창민 2022a; 김현철 2023). <그림 13>이 보여주든 지난 30여년간 한일 경제관계의 대등화는 한국의 성장뿐만 아니라 일본의 장기 침체를 핵심적 원인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2023년 시점에서 한국의 경제성장 전망은 일본 수준으로 저조해진 상황이다. 한국이 이 상황을 탈피하지 못한다면, 수평적 한일관계는 앞으로 지속발전하기 어렵다. 한국경제가 저성장으로 구조화된다면, 한일 사이의 대등성 인식도 다시 축소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글로서먼의 『피크 재팬』은 그 책의 내용과는 별개로 앞으로 쇠퇴하는 일본의 미래의 비유로 많이 회자되었다(글로서먼 2020). 하지만, 현 시점은 ‘피크 코리아’가 고민되는 상황이고, 한국이 ‘일본화’에 빠질 수도 있다. 최근 ‘일본화’는 중국의 장기침체 가능성으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데, 한국도 이에 대한 동일한 고민이 존재하고 있다. 일본이 30년간 버텨낸 ‘일본화’를 중국이 대응할 수 있는가의 질문은 고스란히 한국에게도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한국의 일본과는 다른 길의 모색이 없다면, 한일 대등관계 인식은 오래 지속되기 어려울 수도 있어 보인다.     <그림 10> 한일 1인당 GDP 추이 (1980-2022)       <그림 11> 한일 구매력환산 1인당 GDP 추이 (1980-2022)       <그림 12> 한일 대등 관계에 대한 인식 (전체, 이념성향별, 2021-2022)       <그림 13> 한일 실질GDP성장율 추이 (1991-2023, 2023년은 IMF 추정치)     3. 한일 산업네트워크 성격 인식   <한일 상호인식 조사>에서는 초기부터 한일 양국의 경제산업 관계가 상호보완적인지 경합적인지에 대한 질문이 오랫동안 지속되어왔다. 하지만 보완성과 경합성의 성격은 일반 대중이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내용이기도 하다. 이 항목에 대한 ‘모름’의 응답이 다른 문항에 비해서 높은 것도 질문의 대상이 되는 한일 양국 사이의 산업관계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보완성과 경합성에 대한 인식은 실제 현실에서의 한일 경제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경제관계가 경합적인지 보완적인지에 대한 응답은 한일관계가 갈등적인지 협력적인지에 대한 인식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을 여지도 크다. 그리고 이는 일본의 대한수출규제 이후의 2020년 여론조사에서 선명하게 경합성 인식이 커진 것을 설명할 수 있다(<그림 14> 참조).   또한 2020년 이후 이념성향별로 한일 경제산업 관계의 보완성과 경합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것도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2010년대 진보 성향 응답자들은 일본과의 산업적 보완성에 대한 보수 성향 응답자에 비해서 보다 적극적 인식을 보여주기도 하였으나, 2019년 수출규제 이후로는 한일 경제산업 관계를 경합성으로 이해하는 관점이 크게 강화되었다. 이 추세는 보수와 중도 성향의 응답자와 가장 크게 차별화되고 있다(<그림 15> 참조). 일본의 수출규제가 한국의 산업부분의 생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치였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정서적 반발이 한일 산업관계를 경합적으로 해석하는 응답으로 나왔으며, 그러한 응답이 진보 성향 응답자에서 보다 많이 나왔다.   한일 산업관계의 경합성과 보완성의 성격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발전 속에서 비가시화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대중에게 인지되기 쉽지 않은 대상이다. 1990년대 이후(특히 2000년대에 더욱 강화된) 중국의 경제성장은 글로벌 가치사슬의 적극화 속에서 이해될 수 있고, 이 글로벌 가치사슬에 한국과 일본의 기업들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관계를 구축해왔다. 이는 기존의 무역과 투자의 양자관계로 한국과 일본의 경제산업 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한계를 만들었다. 여러 섹터에서 한일 양국 기업들은 세계시장을 무대로 경쟁구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양국의 무역·생산 관계는 생산의 세계화 속에서 경합적 관계만으로 단순화해서 보기 어렵다. 글로벌 가치사슬의 발전 속에서 한일 양국의 무역·생산 관계는 양국 사이를 넘어서서 전세계적 차원에서 진전되었다(여인만 2019).   <그림 16>의 한일 무역 관계 변화 추이에서 주목할 부분은 2010년대 들어서 대일 수출, 수입이 축소되는 부분에 있다. 이는 한일 양국 사이의 산업관계가 소원해졌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한국의 적극적 소재부품산업 육성, 일본기업의 대한 투자, 한국 기업의 ASEAN 진출과 연계된 한일 산업네트워크의 한일 양자 무역으로부터의 이탈과 관련되어 있다(이창민 2022b). 중국의 성장과 결부되어 발전한 글로벌 공급망 구축은 한일 산업네트워크의 보완성을 비가시화시켰으나 그 중요성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이는 미중경쟁과 연계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모색의 현 시점에서 잘 드러나지 않으나 보완성이 강한 한일 산업네트워크의 장점을 잘 살릴 방법을 정책적으로 모색해야 함을 암시해주고 있다.   <그림 14> 한일 경제산업 관계의 보완성과 경합성 인식 (2014-2023)       <그림 15> 이념성향별로 보완성 응답률에서 경합성 응답률을 차감한 수치 (2014-2023)       <그림 16> 한국의 대일본 수출, 수입, 무역수지 추이 (1965-2022)     IV. 수출규제 해법 인식 변화와 경제안보화에 대한 태도   2019년 일본 정부의 대한 수출규제 조치는 한국 사회의 일본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초래하였고, 한일 양국 사이에서 높은 수준의 갈등이 전개되었다.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 조치는 경제산업성이 2019년 7월에 실시한 수출무역관리령 하부 성령 개정으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레지스트(감광재),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가지 품목의 대한국 수출 시 기존의 포괄수출허가(3년간 유효)를 개별수출허가로 전환하고, 8월에 실시한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으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는 조치를 실시한 것이다.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되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한 개별 심사가 필요하게 된다.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는 안보적 필요성을 표면적 논리로 하여, 한국 기업의 생산 활동에의 거래 비용을 증가시켜, 한국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 판결 후속조치의 정책 전화를 가져오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가 표면적 이유가 아닌 실제 역사인식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 정책 전환을 의도한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와 한국 사회는 매우 강경한 대응 자세를 보여주었다.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 조치 이후, <한일 상호인식 조사>에서 일본에 대한 인상을 비롯한 모든 이슈에서 일본에 대한 부정 응답이 크게 증가하였다.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의 부당성 인식이 한국 내에서 광범위하게 큰 가운데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대항 조치가 양국 갈등을 강화하더라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인식은 한국 사회 내에서 광범위했다. 수출규제 조치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던 2022년까지 3년간 질문된 수출규제조치에 대한 적극 대응이 양국 간 교역량을 감소시키더라도 이에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3년 내내 그리고 이념지향별 모든 그룹(진보, 중도, 보수) 내에서 휠씬 높았다(<그림 17> 참조). 한국 사회는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에 대한 강대강 대결 자세에 대한 확실한 정책 선호를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념성향에 따라 수출규제조치에 대한 대항 조치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선호 비율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진보 성향 응답자들에게서 보수 성향 응답자에 비해서 대항 조치 선호 비율이 높다. 대항조치에 소극적인 의견의 비율도 3년 내내 보수 성향 응답자에서 진보 성향 응답자에 비해 높다. 하지만, 이념성향 차이보다 3년 동안 적극 대항 조치에 대한 지지 의견 축소가 보다 선명하다. 수출규제 조치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관점이 증가하였고, 그와 연관되어 대항조치에 대한 찬성 비율이 시간이 지나면서 축소되었다. 2020년에 비해서 2021년에 그리고 2022년에 수출규제조치가 유발한 한일경제갈등에 대한 적극 대응에 대한 선호가 줄어들었다.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조치는 전세계적 경제안보화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미중경쟁 속에서 경제의 무기화가 글로벌 트랜드화하는 가운데,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조치는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의 베타테스트의 성격도 지닌다. 일본의 경제안보 정책은 미중 전략경쟁과 중첩된 경제의 안보화에 대한 대응 차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미국보다 선행해서 조치를 취하지는 않지만, 일본의 경제안보 정책은 중국을 염두해 둔 전략적 자율성과 전략적 불가결성의 확보를 초점에 두고 있다. 중국으로부터의 공급망 의존성을 줄이고, 첨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일본 경제안보 정책의 핵심적 내용이고, 그 과정에서 미국 등과 협력을 모색하는 선별적 국제협력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박성빈 2022; 이정환 2022).   <한일 상호인식 조사>의 작년과 올해 문항에는 미국과 일본의 중국에 대한 경제관계 제한 조치, 즉 경제안보 정책 차원의 대응에 대한 인식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그림 18>에서 보듯 한국 사회는 전반적으로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경제관계 제한 조치를 수용하는 것에 대한 찬성 의견이 크다. <그림 7>에서 발견되듯이 최근 한국 내에서 중국과의 경제관계 중요성에 대한 관점도 저조해진 것과 같은 맥락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결과는 현 정부의 미국 중심의 대중 견제 정책이 일정한 속도와 정도 조절이 이루어진다면 이념성향을 넘어서 상당한 한국사회 내에서 설득력을 얻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한국 사회의 중국과의 경제관계 제한에 대한 태도는 현 정부가 한일관계와 한미일관계에서 경제안보 협력을 강조하는 흐름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그림 18>의 2022년 결과와 2023년 결과의 비교에서 발견되는 것은, 중국에 대한 공세적 태도가 1년 만에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2023년 들어 미중경쟁의 속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미국, 일본 등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도 동시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단기적 국제정치 양상이 한국 내 여론조사에도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다만 경제안보 정책이 공급망 안정화 측면과 아울러 미래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기술경쟁력 확보와 유지라는 산업정책의 성격을 분명하게 지니고 있고, 기술경쟁력 확보 경쟁에서 한국이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가지는 관계 성격은 산업 분야마다 차별화될 수 있다. 대중인식 속에서 중국에 대한 경제제한 조치가 한국의 산업정책적 이익 부분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불투명성이 이에 대한 유보적 태도 증가로 연결되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앞으로도 미중 전략경쟁의 속도와 정도에 따라서 한국 사회의 중국과의 경제관계 그리고 일본과의 경제협력에 대한 태도도 가변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림 17> 수출규제조치에 대한 적극 대응에 대한 찬성과 반대 (2020-2022)       <그림 18>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경제관계 제한 조치에 대한 찬성과 반대 (2022-2023)     V.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일본의 인식   한국 사회의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은 정파적 분화 경향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한일 경제 관계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지니고 있다. <그림 20>에서 나타나듯 상대방이 자국에 중요한 이유로 경제 관련 항목은 매우 높은 비중으로 선택받는다(2순위까지의 선택 응답). 하지만, <그림 19>에서 보는 일본에게 한국이 중요한가에 대한 질문에서 일본 사회는 한국 사회보다 중요성 인식이 적은 편이다. 물론 2022년과 2023년 한일 관계 개선 속에서 일본의 한일 관계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했다. 하지만, 경제 관계가 한일 관계가 중요한 이유로 응답하는 비율은 2022년, 2023년에도 그 전과 유사하게 한국 사회 응답의 절반 정도에 머무른다. 자국에게 경제적을 중요한 국가를 복수응답하라는 질문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일본이 한국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저조하다(<그림 21> 참조). 2019-2022년 3년동안만 물어본 한일 경제협력은 필요한가에 대한 긍정 답변의 한일 차이도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그림 22> 참조).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한일 인식 차이는 다른 영역 – 주로 역사 및 영토 관련 분야 – 에서의 갈등이 없으며, 한일경제협력이 순조롭게 진행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물론 한일 경제협력과 관련된 경제산업정책 분야는 해당 정책 영역의 특성상 사회 의견이 정책의 추진 방향을 결정하는 강한 요인이라고 보기 어렵다. 다만, 한일 경제 관계 자체가 앞서 말했던 비가시화되기도 했지만, 일본 사회 입장에서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이 일본에게 적극적으로 중요하다는 인식이 크지 않다. 한국 사회에 강하게 지속되고 있는 한일 경제협력은 당위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과 달리 일본 사회에서 한일경제협력에서 일본의 이익이 즉각적으로 연상되지 않고 있음을 표상한다. 이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자면 한일경제협력은 한국의 정책 어젠다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그림 19> 상대방이 자국에게 중요하다는 응답에 대한 한일 비교 (2019-2023)       <그림 20> 상대방이 중요하다는 이유(복수응답)로 경제를 제시한 비율 (2021-2023)       <그림 21> 자국에게 경제관계가 중요한 국가로 상대방을 응답한 비율 (2018-2023)       <그림 22> 한일 경제협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 (2019-2022)     VI. 결론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해 한국 사회의 인식은 일본 관련 태도의 중심자리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한일관계 전반을 크게 규정하는 역사인식 갈등과 이와 연계된 정부 간 갈등의 진폭 속에서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은 일정하게 영향을 받아 응답 결과에 변동이 발생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응답은 당위론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성격이 더 크다. 물론 그 당위론에는 열정적 태도가 없다. 이는 한일 경제협력이 한일관계의 개선을 근본적으로 추동할 만큼의 영향력은 없다는 것을 암시하다. 하지만,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그 중요성에 대한 진지하고 적극적인 태도가 없는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은 이미 그 자체로 매우 높은 수준의 발전이 이루어져서 비가시화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최근 이념성향에 따라 따라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응답에서 차별성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 분야의 한일관계에 대한 이념성향별 답변 차이는 대일정책에 있어 국내적 정파성이 강해지면서 등장한 현상이다. 이 현상은 경제 분야에만 국한된다 보기 어렵다. 단, 대일정책의 정치화를 넘어서지 못한다면, 경제 분야로 대표되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의 구체적 각론에 대한 당위론적 사회 여론 인식 합의 기반은 갈수록 약화될 수도 있다. ■         참고 문헌   기미야 다다시. 2022. 『한일관계사: 한일 대립은 언제 끝날 것인가. 과연 관계 개선은 가능할까』.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김도형. 2015. “한일 경제관계 50년의 궤적.” 김도형·아베 마코토 편. 『한일관계사 1965-2015』. 역사공간.   김현철. 2023. 『일본이 온다: 일본의 부상, 한국 경제의 위기』. 쌤앤파커스.   남기정. 2021. “문재인 정부의 대일 외교와 한일 관계의 대전환: ‘장기 저강도 복합 경쟁’의 한일관계로.” 『동향과전망』 112: 87-122.   대통령실. 2023. “한일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문(2023.03.16.)”https://www.president.go.kr/president/speeches/qBjKQLZX (검색일: 2023.10.31)   _______. 2023. “한일 정상 공동기자회견문(2023.05.08.)”https://www.president.go.kr/president/speeches/fVLH4DuS (검색일: 2023.10.31)   박성빈. 2022.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 리스크 관리와 경제성장.” 허재철 등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브래드 글로서먼. 2020. 『피크 재팬, 마지막 정점을 찍은 일본: 팽창을 향한 야망과 예정된 결말』. 김영사.   여인만. 2019. “한일 경제분업관계의 역사와 대한 수출규제의 의미.” 『역사비평』 129: 170-201.   오쿠다 사토루. 2015. "한일 무역관계의 발전." 김도형·아베 마코토 편. 『한일관계사 1965-2015』. 역사공간.   이명찬. 2023. 『일본인들이 증언하는 한일역전』. 서울셀렉션.   이정환. 2022. “일본 경제안보정책 정책대립축의 이중구조: 외교안보적 수렴과 성장전략 방법론 논쟁의 잠복.” 『일본연구논총』 55: 91-119.   이창민. 2022a. 『지금 다시, 일본 정독: 국뽕과 친일, 혐오를 뺀 냉정한 일본 읽기』. 더숲.   ______. 2022b. “글로벌 무역구조와 한일 무역관계의 진화.” 이정환 편. 『세계정치 37: 글로벌 구조변동과 한일관계』. 사회평론.   奥田聡. 2021. “変わりつつある日韓経済関係-韓国側から見た貿易分析を中心に.” 安部誠 編. 『日韓経済関係の新たな展開』. アジア経済研究所.     ■ 이정환은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 담당 및 편집: 오준철_EAI 연구보조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coh@eai.or.kr  

이정환 2023-12-27조회 : 7682
논평이슈브리핑
[EAI 이슈브리핑] 관계 개선을 바라보는 한일 국민의 거리: 2023년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결과 분석

들어가며   2023년 한일관계는 완연한 해빙 무드이다. 지난 3월 한국 외교부의 강제동원 관련 해법 발표를 전기로 양국 정상은 사상 유례 없이 6개월 간 6회의 만남을 이어가고, 정부 간 교류도 급격히 늘어났다. 미국을 매개로 한일 양국은 외교, 국방, 상무(산업), 재무, 국가안보실 등 여러 채널에서 다양한 쟁점을 다루는 협의체들을 만들었다. 민간 교류 역시 관광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이전 상태로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지난 2012년부터 위안부 문제 해법을 놓고 난항을 겪었고 2018년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 이래 강제동원 문제로 대립하며 양국 정부가 ‘신뢰의 위기’에 빠졌던 시절을 생각하면 놀라운 변화이다. 과연 2023년은 양국이 ‘잃어버린 10년’을 뒤로 하고 신시대 개막의 전기를 마련하는 해가 된 것일까? 양국 국민들은 정부 간 변화 양상을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가? 관계 개선의 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관계가 개선된 만큼 상호 인상도 향상되었는가? 잃어버린 10년의 주범인 역사 문제는 해법을 찾아가고 있다고 인식하는가?   2013년 조사 이래 11년째를 맞은 올해 여론조사의 결과는 대단히 흥미롭고 중요한 해석의 여지와 정책적 함의를 가져다 주고 있다. 첫째, 양국 국민들은 양국관계가 개선되고 있다고 체감하고 있다. 여론조사 이래 긍정 평가는 최고치에, 부정 평가는 최저치에 달하고 있다. 둘째, 양국 간에 관계 개선을 향한 국민들의 시선의 차이가 드러났다. 일본의 경우, 한국에 대한 호감도 상승, 한일관계 중요도 상승, 한미일 안보협력 지지 증가, 강제동원 문제 해법 지지 등 주요 항목에서 일제히 긍정적 평가를 보여주었다. 반면 한국 여론을 보면, 관계 개선 무드가 일본에 대한 호감도, 한일관계 중요도, 한미일 안보협력 지지도, 강제동원 문제 해법 지지도의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셋째, 이러한 결과 차이는 양국 국민이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에 대한 평가의 차이로 나타났다. 일본 여론은 자국 정부 및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을 지지하는 반면, 한국 여론은 자국 및 일본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에 그다지 지지를 보내지 않은 까닭이다. 넷째, 역사 문제는 여전히 양국관계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양국 국민 모두 한일관계 발전의 최대 변수로 역사 문제를 꼽고 있는데, 한국은 일본의 역사인식(침략전쟁, 역사교과서, 강제노동, 위안부 등)을 문제 삼고 있는 반면, 일본은 한국의 반일 교육, 한국 정치인과 언론 매체의 일본에 대한 발언, 한국인의 과도한 반일 행동 등 역사 문제를 대하는 한국의 태도(반일적 태도)를 문제 삼고 있다. 이번 조사를 보면 한국은 일본의 역사 인식이 바뀌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반면, 일본은 한국의 반일적 태도가 교정되고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어쨌든 양국 간 역사 인식의 차이가 엄존하는 현실은 바뀌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조사 결과가 한일관계에 주는 정책적 함의는 명확하다. 양국은 한편으로 현재 적극 추진하고 있는 안보, 경제 부문 등 기능적 협력을 확대, 강화해 가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역사인식의 수렴을 향해 진전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기능적 협력과 역사 화해 두 바퀴가 함께 움직일 때 비로소 한일관계 수레가 본 궤도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   1. 한일관계 개선, 양국민 모두 체감했다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일 양국민 모두 한일관계의 개선을 체감하고 있다([그림 1]). 한일관계가 나쁘다는 평가는 2022년 64.6%에서 2023년 42%로 급격히 감소했다. 2019년 여름 경제 보복을 주고받으며 악화된 양국관계 평가(88.4%) 이후 3년 만에 반토막으로 줄었다. 반면 긍정 평가는 2022년 4.9%에서 올해 12.7%로 증가했다. 일본의 경우, 개선의 폭은 더욱 가파르다. 양국관계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2022년 39.8%에서 2023년 21.2%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긍정 평가는 같은 기간 13.7%에서 29%로 급증하였다.   [그림 1] 현재의 한일관계 한편, 한일관계의 미래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28.8%가 좋아질 것으로 보고, 현재와 같을 것이라는 의견은 48%이었다. 일본인의 경우 38.5%가 좋아질 것으로, 31.3%는 현재와 같을 것으로 보았다([그림 2]). 미래에도 개선의 추세가 지속될 것이며 현재보다 관계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2] 미래의 한일관계   2. 상대국에 대한 인상에서 나타나는 양국 간 인식 차   양국관계에 대한 긍정 평가는 상대국에 대한 긍정적 인상의 상승으로 이어졌는가? 한국인의 경우, 작년에 비해 일본에 대한 인상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좋은 인상은 2022년 30.6%에서 2023년 28.9%로 소폭 하락, 좋지 않은 인상은 52.8%에서 53.3%로 미세하게 상승했다.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우, 좋은 인상은 같은 기간 30.4%에서 37.4%로 상승, 좋지 않은 인상은 40.3%에서 32.8%로 하락하였다([그림 3]). 한국의 경우 관계 개선이 호감도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양자가 일치하고 있다.   [그림 3] 상대국에 대한 인상 이런 인식 차는 상대국 지도자(정상)에 대한 인상 평가에도 이어진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 대한 한국인의 인상 변화를 보면, 좋은 인상이 2022년 6.6%에서 2023년 8.5%로 소폭 증가하는 한편 나쁜 인상은 2022년 21.8%에서 2023년 36.1%로 14.3%포인트나 증가하였다. 반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일본인의 인상 변화는, 좋은 인상이 2022년 20.1%에서 2023년 32.1%로 12%포인트 증가하였고 나쁜 인상은 2022년 4.6%에서 2023년 4.1%로 소폭 감소하였다([그림 4]). 이는 한일 정상이 관계 개선 노력을 본격화함에 따라 “모르겠다” 내지 “관심이 없다” 등 유보적 판단을 내리던 양국 국민들이 보다 분명한 인상을 갖게 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때 한국에서는 부정적 인상이, 일본에서는 긍정적 인상이 각각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 4] 상대국 지도자에 대한 인상 11년 간 양국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상대국에 대한 인상은 여러 측면에서 상대국과의 관계에 대한 판단이나 전망과 연결된다. 한일 양국 사이 인상의 편차는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 한일 간 대립에 대응하는 방향, 제5장에서 후술할 한미일 군사안보 협력 지지도 등에서 나타난다. 현재 한일관계가 자국에게 중요한지 여부를 물었을 때, 한국 응답자의 74.1%와 일본 응답자의 61.8%가 “중요하다” 또는 “비교적 중요하다”라고 응답했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한국에서는 8.5%포인트 감소한 반면, 일본에서는 5.3%포인트 증가했다([그림 5]).   향후 한일 간 대립에 대응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한일 양국에서 “대립을 관리해서 문제가 확대되지 않도록 쌍방이 노력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각각 48.3%, 42.8%로 가장 많았다. 한일 간 존재하는 대립을 어떻게든 미래지향적으로 극복해야 한다는 응답은 한국에서 31.3%(전년 대비 17.9% 감소), 일본에서는 26.1%(전년 대비 2.4% 감소)에 그쳤다([그림 6]). 특히 한국측은 미래지향적 극복에 비판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림 5] 한일관계의 중요성 [그림 6] 한일 간 대립에 대응하는 방향   3. 상대국 인상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관계 개선에 대한 정부 정책과 태도   [그림 7]을 보면 한국인의 경우, 한국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를 좋게 평가하는 비율은 21.7%로서 전년도 21.2%와 차이가 없는 반면 나쁘게 평가하는 비율은 27.5%에서 32.3%로 소폭 증가하였다. 좋게 평가하는 수치는 전임 정부에 비해 약 10%포인트 정도 하락한 수준이다(2020년 30.8%, 2021년 30.2%). 한국 여론은 자국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 노력에 적극 지지를 보내지 않고 있다. 관계 개선의 핵심 이슈는 강제동원 문제의 해법인데, 한국 정부가 추진한 제3자 변제안에 대한 국민의 지지는 높지 않다. (28.4% vs. 34.1%) 마찬가지로 한국 여론은 일본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도 대단히 비판적이다([그림 8]). 긍정 평가는 15%, 부정 평가는 34.2%로서 일본인의 자국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 평가가 긍정 34.5%, 부정 16.2%인 데 비하면 상당히 낮다. 요컨대, 한국 여론은 한일 양국 정부의 태도에 불만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에 비하면 일본 국민들은 한국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를 높이 평가하며(34.8%), 부정 평가 역시 한국보다 낮다(19.3%). 일본 여론은 한일 양국 정부의 강제동원 문제 처리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반면, 한국 여론은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그림 7] 한국 정부의 한일관계 태도 평가 [그림 8] 일본 정부의 한일관계 태도 평가 한국인과 일본인의 상대국에 대한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일까? 이를 파악하기 위해 양국 국민들의 상호 호감도 변수에 대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Ordin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양국 국민들의 인식 변화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표 1]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표 1]은 한국인의 대일 호감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호감도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1)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 (2) 일본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 (3) 한일관계가 한국에게 중요하다고 느끼는 정도, (4) 한일 경제관계에 대한 인식, (5) 중국에 대한 인상, 그리고 (6) 연령이다.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한국 및 일본 정부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한일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한일 경제관계가 상호경쟁적이기보다는 보완적이라고 느낄수록, 중국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그리고 젊은 연령층일수록 일본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t값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한국인의 대일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두 변수는 ‘연령’ 및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고, 그 뒤를 ‘일본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과 ‘한국 정부의 노력’이 따른다. 셋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그림 9])의 경우, “IAEA 검증을 신뢰하고 일본 정부 조치는 합당하다”고 보는 집단을 기준집단(base)으로 보았을 때, 나머지 집단들(“IAEA 검증은 신뢰하나 일본 정부의 추가적 노력 필요”, “IAEA 검증 결과와 무관하게 방류 반대”, “IAEA 검증 결과를 불신하므로 방류 반대”, “모르겠다”)은 일본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북핵 위협에 대응한 한일 군사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이념의 경우,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포괄적인 모델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가지지 못한다.   [그림 9]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의견 이 같은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작년에 비해 양국관계 개선이 상당히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가지는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정체 상태인 이유는 ‘한일관계의 중요성’ 비율이 하락한 점(8.5%p),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과 ‘일본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에 대한 불만에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한국 정부가 아무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일본 정부가 그에 대한 호응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일 경우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호감도를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의 경우 기준집단을 토대로 한 분석이기에 그 해석이 용이하지는 않지만, 한국인의 대일본 호감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이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표 2]는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한국의 경우와 동일한 변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첫째,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호감도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 중 가장 중요한 변수는 ‘한일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고, 그 뒤를 ‘한일 경제관계에 대한 인식’과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이 따른다. 둘째, 흥미롭게도 일본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북핵 위협에 대응하는 한일 군사협력 필요성이나 지지정당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본인은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노력, 특히 윤석열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일본인들 사이에서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표 2]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4. 한미관계, 한일관계 개선의 주 동력   미국은 2022년 2월 공개한 <인도-태평양 전략(Indo-Pacific Strategy)>에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의 핵심 요소로서 한미일 삼각안보협력을 꼽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양국관계 회복을 명시하였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성사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고(손열 2018), 이후 문재인 정부와 아베 정부 간 강제동원 문제를 둘러싼 외교 마찰이 가중되는 상황에서도 여러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지난 3월 강제동원 해법이 발표되자마자 이례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성명을 내고 “오늘 한국과 일본의 발표는 미국의 가장 가까운 두 동맹 간 협력과 파트너십의 획기적인 새로운 장”이라고 환영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 국민들 또한 한일관계 개선의 주된 요인으로 한미관계 및 동맹 등 미국 변수를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한국 측 응답자에 한하여 한미동맹 발전을 위해 한일관계 개선이 필요한지 여부를 물었을 때, 응답자의 71.6%가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라고 응답했다([그림 10]). 이러한 결과는 북핵 등 대외 위협 요인에 대응하는 한미동맹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한국 내에서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대한 우호적 여론으로 이어져 진전을 추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그림 10] 한미동맹 발전을 위한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   5. 한일 안보협력에 대한 양국민의 견고한 지지   양국 국민들은 한미일 및 한일 안보협력에 견고한 지지를 보내고 있다.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 강화에 동의하는 응답 비율은 한국에서 60.6%, 일본에서 49.9%를 각각 기록했다([그림 11]). 일본 국민의 긍정 응답 비율은 한국 국민에 비해 적지만, 2022년 37.9% 대비 1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서 문항 조사를 시작한 2018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각 군사안보협력 강화에 동의한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물었을 때, 양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응답은 북한의 비핵화나 한반도의 안정을 위해 협력이 불가결하다는 것이었다([그림 12]). 한편 협력 강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주로 삼각 협력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눈에 띄는 것은, 일본 측에서는 2022년에는 “과거 한국의 행동으로 보아 한국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응답이 70.9%로 가장 높았으나, 2023년에는 같은 응답 비율이 39.3%로 크게 감소했다([그림 13]). 이는 협력 강화에 부정적인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속단할 수 없으나, 그간 군사안보협력의 걸림돌로 작용하던 상대국에 대한 불신이 일본 측에서는 상당 부분 해소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것이다.   [그림 11]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입장 [그림 12]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 [그림 13]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 이번 조사에서는 고조되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한일 안보 협력의 방향성을 함께 물었다. 한국 응답자의 82%, 일본 응답자의 71.4%가 정보 공유 또는 그 이상 수준의 안보 협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그림 14]). 이처럼 양국 국민들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삼각 협력에 더하여, 한일 양자 간 안보 협력에 대해서도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적 여론은 지난 3월 한일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운용 정상화를 선언하는 등 안보 협력 확대를 모색하는 양국의 움직임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   [그림 14] 북한에 대한 한일 안보 협력의 방향성   6.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호의적 경향   이번 조사에서는 양국의 경제관계에 대한 호의적 경향도 재확인되었다. 한일 경제관계에 대한 상반되는 의견 중 응답자의 견해와 가까운 것을 물었을 때, 상호 보완적이라는 의견에 가깝다고 응답한 비율은 한국 44.6%, 일본 38.5%로 나타났다. 상호 경쟁적이라는 의견에 가깝다는 응답 비율은 한국 38.1%, 일본 24%였다([그림 15]). 한국 측에서는 2022년 결과와 비교 시 상호 보완적이라는 의견이 상호 경쟁적이라는 의견에 앞서는 역전이 나타났고, 일본 측에서는 상호 경쟁적이라는 의견이 2021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이어졌다.   [그림 15] 한일 간 경제관계에 대한 의견 자국에게 경제관계가 특히 중요한 국가나 지역을 개수 상관 없이 선택했을 때, 한국 국민들은 일본을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일본 국민들은 한국을 미국, 중국, 인도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이 선택했다. 상대국을 선택한 응답자 비율은 양국 공히 2022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그림 16]).   [그림 16] 자국에게 경제관계가 중요한 국가나 지역   7. 결론   2023년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는 양국 여론이 2012년부터 역사 문제를 둘러싼 감정적 대립으로 상호 불신의 상태에 빠진 “잃어버린 10년”으로부터 탈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양국 정상 간 신뢰 회복으로 정부 간 관계는 빠르게 복원되었고, 여론은 이러한 추세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 배경에는 미국이 한일 관계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동해 온 점이 있고, 북한 핵-미사일 도발이 점증하고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이 증가한 점을 꼽을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북한과 중국의 안보 위협 증가는 한미동맹의 강화를 이끌었고, 미국이 간단없이 요청해 온 한미일 삼각협력의 강화를 위해서 한일관계의 개선이 필요했다. 일본의 경우도 이와 같은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의 여론은 양국 정부의 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에 유보적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일본 정부 및 국내 이해당사자들과의 양면 외교에 전력을 다하여 강제동원 문제와 관련된 해법(제3자 변제안)을 제시하였지만, 내각 지지도가 낮은 기시다 정권이 한국 정부의 노력에 전향적으로 호응하지 않고 있다. 관련 기업의 강제동원 피해자 보상을 위한 기금 출연이나 피해자에 대한 사과 표명이 이루어지지 않은 속에서 한국 여론은 한국 정부의 전향적 움직임에 충분한 지지를 보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일본측의 적극적인 화답이 나오지 않는다면 양 정부가 희망하는 만큼 신뢰가 회복되거나 미래지향적 협력의 물꼬가 트이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역사 문제를 풀지 않는 한 진정한 미래지향적 협력이 불가하다는 일부의 주장이 옳지 않듯이, 미래지향적 협력을 추진하면 역사 문제도 점차 해결될 것이란 전망 역시 옳지 않다. 양국 정부가 북한 핵미사일 대응, 경제안보, 초국가적 위협 등에 대한 협력을 경주하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고 국민은 이를 적극 지지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양국 정부는 역사 현안 해법에 진전을 거두도록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위안부 문제나 강제동원 문제의 경우, 피해자에 대한 현금 지원을 넘어서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에 대한 깊은 상처를 치유하는 과제에 양국이 힘을 합쳐야 한다. ■   참고 문헌   손열. 2018. “위안부 합의의 국제정치: 정체성-안보-경제 넥서스와 박근혜 정부의 대일외교.” 『국제정치논총』 58, 2: 145-177.     ■ 손 열_동아시아연구원 원장.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 김양규_동아시아연구원 수석연구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강사.   ■ 박한수_동아시아연구원 연구원.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손열 2023-10-12조회 : 13917
논평이슈브리핑
[EAI 여론브리핑] 2023년 EAI-겐론NPO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일본과 한일관계

제11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한국측 조사 일본측 조사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고등학생 제외) 표집틀 전국 읍면동 전국 50개 지점 표집 방법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 할당 후 무작위추출(2023년 7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 할당, 각 지점에서 20명씩 추출 표본크기 1,008명 1,000명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   조사 방법 면접원에 의한 대면면접조사 (PI) 조사원 방문, 배포조사 조사 일시 2023. 8. 25. ~ 2023. 9. 13. 2023. 9. 2. ~ 2023. 9. 24. 조사 기관 ㈜한국리서치 (대표이사 노익상) 여론과학협회 응답자 구성 [성별] 남성 49.8%, 여성 50.2% [학력] 중졸 이하 14.8%, 고졸 38.6%, 전문대 재학 이상 46.6% [연령] 18~19세 1.4%, 20대 14.9%, 30대 14.7%, 40대 18.0%, 50대 19.9%, 60대 이상 31.2% [성별] 남성 48.2%, 여성 51.2%, 무응답 0.6% [학력] 중졸 이하 5.1%, 고졸 46.2%, 전문대 재학 이상 46.9%, 기타 1.2%, 무응답 0.6% [연령] 18~19세 2.6%, 20대 11.7%, 30대 13.3%, 40대 17.5%, 50대 15.9%, 60대 이상 39.0%   [상대국 방문 경험] 귀하께서는 지금까지 상대국을 방문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상대국 방문 목적] 상대국에 방문하신 목적은 무엇입니까? [상대국 최근 방문] 상대국에 마지막 방문은 언제였습니까? [상대국 방문 후 인상 변화] 상대국에 대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인상이 상대국 방문 후 변화가 있으십니까? [상대국 지인 유무] 귀하께서는 상대국 친지 또는 지인이 있습니까? [상대국 방문 희망 여부] 귀하께서는 기회가 된다면 상대국을 방문하고 싶습니까? [상대국 방문 시 하고 싶은 것] 상대국을 방문해서 무엇을 하고 싶습니까? [상대국 관련 정보 습득 경로] 상대국이나 한일관계에 관한 정보를 주로 어떠한 경로로 얻으십니까? [한일관계 정보를 접하는 언론매체] 귀하께서 한일관계에 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시는 언론매체는 무엇입니까? [상대국에 대한 인상] 귀하께서는 상대국에 대해 어떠한 인상을 가지고 있습니까? [좋은 인상을 갖게 된 이유] 상대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좋지 않은 인상을 갖게 된 이유] 상대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상대적 친근감: 중국 vs. 미국] 귀하께서는 중국과 미국에 대해 어느 나라에 친근감을 느끼십니까? [상대적 친근감: 중국 vs. 상대국] 귀하께서는 중국과 상대국에 대해 어느 나라에 친근감을 느끼십니까? [상대국 정치와 사회의 운영방식] 현재 상대국 정치와 사회의 운영방식은 어떻게 되어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현재의 한일관계] 귀하께서는 현재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자국과 가장 중요한 관계를 지닌 국가/지역] 귀하께서는 자국의 장래를 생각할 때, 다음의 국가 중 자국과 가장 중요한 관계를 지닌 국가나 지역은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미래의 한일관계] 귀하께서는 한일관계의 미래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한일관계의 중요성] 현재 한일관계가 자국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한일관계의 중요성] 자국의 미래를 위해 한일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한일관계의 중요성] 한일관계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상대국 지도자에 대한 인상] 귀하께서는 상대국 지도자에 대해서 어떤 인상을 갖고 계십니까? [일본 정부의 한일관계 태도 평가] 귀하께서는 현재의 일본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한국 정부의 한일관계 태도 평가] 귀하께서는 현재의 한국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최근 1년 간 한일관계에서 개선된 분야] 최근 1년 간 한일관계에서 특히 어떤 분야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양국이 해야 하는 일] 한일관계의 발전을 위해 한국과 일본, 양국이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한일 간 대립에 대응하는 방향] 향후, 한일 간 대립에 어떻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상대국을 우호국이라고 생각하는지 여부] 귀하께서는 상대국이 자국의 우호국이라고 생각합니까? [새로운 공동선언의 필요성] 올해는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발표한 지 2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귀하는 미래를 향한 새로운 공동선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새로운 공동선언을 만드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 귀하께서는 새로운 “한일공동선언”을 만드는 경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한일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 귀하께서는 한일관계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한일관계와 역사문제] 귀하께서는 한국과 일본의 양국관계와 역사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역사문제 해결] 한국과 일본의 역사문제와 관련하여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영토 갈등과 한일관계] 독도를 둘러싼 영토 갈등이 한일관계에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강제동원 문제 해법에 대한 평가] 전시 강제동원 문제로 인한 한일 간 분쟁에 대해, 2023년 한국정부는 제3자 대위변제 안으로 해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군사적 위협이 된다고 느끼는 국가/지역] 귀하께서는 자국에게 군사적 위협이 된다고 느끼는 국가나 지역이 있습니까? [군사적 위협이 된다고 느끼는 국가/지역] 귀하께서 생각하시기에 자국에 군사적으로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는 국가나 지역은 어디입니까?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입장] 귀하께서는 한국, 미국, 일본 간 삼각 군사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입장]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입장]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 [북한에 대한 한일 안보 협력의 방향성]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한일의 안보 협력의 방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북일관계 개선이 한반도 및 동북아에 미치는 영향] 북일관계 개선은 한반도 안정 및 동북아 정세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0년 후의 한반도 정세] 귀하께서는 10년 후의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북핵 위협 지속 시 한국 핵보유 찬반] 귀하께서는 북한의 핵 위협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한국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북핵 위협 지속 시 일본 핵보유 찬반] 귀하께서는 북한의 핵 위협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일본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한일 간 경제관계에 대한 의견] 한국과 일본의 경제관계에 대해서 귀하의 의견은 A와 B 중 어느 쪽에 가깝다고 생각하십니까? [자국에게 경제관계가 중요한 국가/지역] 귀하께서는 자국에게 경제관계가 특히 중요한 국가나 지역이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중국과의 경제관계 제한에 대한 찬반] 미국과 일본에서는 중국 경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막기 위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첨단기술 등의 무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중국과의 경제관계를 제한하는 것에 대해 귀하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한 의견] 귀하께서는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일본의 미래에 대한 의견] 귀하께서는 일본의 미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상대국의 대중문화 소비 정도] 귀하께서는 상대국의 대중문화를 즐기십니까? [대중문화가 상대국 인상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대중문화가 상대국의 인상을 향상시킨다고 생각합니까? [상대국의 대중문화 중 관심 있는 분야] 상대국의 대중문화 중에서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습니까? [관계 악화가 상대국 대중문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한일관계가 악화될 때, 그 상황이 귀하의 상대국 대중문화 소비에 영향을 미칩니까? [한일관계에 대한 자국 언론 보도의 공정성 평가] 귀하께서는 자국의 신문이나 잡지, 방송은 한일관계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공평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인터넷 상의 부정적 의견이 자국민의 생각을 반영하는지 여부] 인터넷에서는 상대국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들이 상당수 게재되어 있습니다. 귀하께서는 이러한 의견들이 자국 국민의 생각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의견]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위한 일본 정부의 최근 움직임에 대해 주변국과 국제사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동아시아연구원 2023-10-12조회 : 10527
논평이슈브리핑
[EAI 이슈브리핑] ‘중국은 싫지만 한중관계는 중요’ 한국의 대중 정책 방향은?

Ⅰ. 부상하는 중국의 강압에 대한 우려와 경계   한국인들의 중국에 대한 부정 인식은 2023년 조사에서도 71.9%로 매우 높게 나왔다([그림 1]). 특히 ‘대체로 좋지 않다’보다 ‘좋지 않다’는 응답이 2022년(17.8%)과 비교하여 20.6%로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그림 2]). 그리고 부정 인식을 갖게 된 이유는 여전히 사드 보복 등 중국의 강압적 행동 때문이라는 응답이 비록 2022년(67.9%)과 비교하여 8.9%포인트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59%로 1위를 차지했다([그림 3]). 중국의 사드 보복이 이미 7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한국인들의 인식에 강하게 자리하고 있다. 그만큼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과도한 보복 조치는 한국인들의 반중 정서가 명확하게 표출되게 한 특별하고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그리고 중국이 한국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7.6%로 2022년(38.5%)보다 9.1%포인트 늘어났다. 반면에 중국이 군사적 위협이라는 응답은 8.7%로 가장 낮으며 2022년(12.3%)보다도 오히려 3.6%포인트 감소했다.   요컨대 한국인들은 부상한 중국을 아직은 직접적인 군사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지만 한국을 존중하지 않고 강압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중국에 대해 나쁜 인상을 지니고 있다. 여론조사를 긴 흐름으로 추적해 보면 중국의 부상이 본격화되고 강대국의 위상을 과시한 2000년대부터 이미 한국인들은 중국에 대해 점차 부정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이동률 2023). 2016년 사드 분쟁은 한국인이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강압 행동을 확인하고 기존의 부정 인식을 더욱 고조시킨 계기가 되었다.   한국인들의 중국에 대한 부정 정서는 세대와 이념의 차이를 넘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보수 성향(75.7%)의 국민은 물론이고 진보 성향(66.5%)의 국민도 중국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20대는 76%로 부정 정서가 가장 높고, 부정 정서가 가장 낮은 60세 이상 세대도 67.8%에 이르고 있다.[1] 요컨대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부정 인식은 중국의 부상이라는 구조적 변화에 대한 우려와 경계가 저변에 자리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개선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그림 1] 중국에 대한 인상(2019년~2023년)   [그림 2] 중국에 대한 인상   [그림 3] 중국에 좋지 않은 인상을 갖게 된 이유   Ⅱ. 한중관계, 개선되어야 하는 중요한 관계   한중관계는 나쁘다는 응답이 2022년(37.6%)보다 2023년(52.6%)에 15%포인트나 증가했다([그림 4]). 그런데 한중관계의 미래 전망에 대해서는 2022년(18.8%)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28.3%)이 오히려 9.5%포인트 늘어났다. 그리고 중국에 대한 인상은 매우 나쁘지만 중국과의 관계는 중요하다는 응답이 특이하게도 81.8%로 매우 높게 나왔다([그림 5]). 2019년(94%)에 비하면 감소했지만 한미관계가 중요하다는 응답(88.9%)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는 정도로 높다. 또한 한국 정부의 중요한 외교 관계로 한미관계(74.8%) 다음으로 한중관계(48.1%)를 꼽고 있다([그림 6]). 이는 2021년 대비 22%포인트나 증가하여 남북관계(40.8%), 한일관계(17.4%)보다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는 것이다.   즉 한국인들은 중국이 싫지만 그럼에도 한중관계는 중요하고 그런 만큼 개선되어야 한다고 비교적 냉철하게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의 협력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중국과의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남아 있다. 중국은 경제적으로 상호보완적(24.6%)이기 보다는 경쟁 관계(57.6%)에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럼에도 다른 한편 중국은 거대시장으로 경제적 기회가 클 것이라는 응답은 77.2%로 2022년(64.5%) 대비 오히려 12.7%포인트나 증가하였다([그림 7]).   둘째, 한중관계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증가한 이면에는 한국이 당면한 가장 큰 위협 요인에 대한 인식 변화와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2022년에는 주요국 간 무역, 첨단기술 경쟁과 마찰(60.8%), 미중 전략 경쟁과 갈등(54.8%),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44.4%) 순서였다. 그런데 2023년에는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56.3%)이 1순위로 올라왔으며 상대적으로 미중 전략 경쟁과 갈등은 36.3%로 18.5%포인트나 감소하였다([그림 8]). 북한에 대한 위협 인식의 고조로 인해 최우선 외교 과제로서 한미동맹 강화가 전년 대비 11.5%포인트 증가하였고 중국과의 협력 강화도 17.8%에서 22.3%로 4.5%포인트 정도 늘어났다([그림 9]).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면서 ‘중국 역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그림 4] 현재의 한중관계   [그림 5] 한중관계의 중요성   [그림 6] 정부에 가장 중요한 외교관계   [그림 7] 중국에 좋은 인상을 갖게 된 이유   [그림 8]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위협요인   [그림 9] 정부의 최우선 외교 과제   Ⅲ.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의 동학   중국이 군사적 위협이라는 인식은 낮다. 그럼에도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한미동맹을 통해 중국을 견제하는 데는 긍정적이다. 예컨대 한미동맹이 중국의 공격이나 압력으로부터 한국의 안전을 보장한다는 데 동의하는 응답은 69.3%에 달하고 있다([그림 10]). 심지어 진보 성향에서도 동의한다는 응답이 60.8%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주한미군의 역할에서 중국에 대한 대응이 47.3%로 한국의 국가방위(62.2%)와 동아시아지역 전체의 평화 유지(56.6%)에 이어서 세 번째로 많다. 특히 미중 갈등 시 한국이 중립을 선택해야 한다는 응답은 77.4%(2020), 56.6%(2022), 50.3%(2023)로 감소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미국을 지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19.4%(2020), 41.2%(2022), 45.2%(2023)로 증가하고 있다([그림 11]).   그런데 한미동맹을 통한 중국 견제에 한국이 참여하는 데는 사안에 따라 신중함을 요구하고 있다. 예컨대 대만해협에서의 군사적 충돌 시 한국이 동참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43.5%)보다는 반대(56.5%) 의견이 더 많다([그림 12]). 중국 신장 위구르 지역 인권탄압 문제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하는 공동노선에 참여하는 데는 찬성 응답이 52.4%로 반대 47.6%보다 약간 높아 신중함을 기대하고 있다. 반면에 반도체와 같은 첨단기술에서 중국을 강력하게 견제하는 정책에 동참하는 데는 반대(40%)보다는 찬성(60%)이 높게 나오고 있다.   요컨대 국민들은 비록 중국을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으로 보고 있지는 않지만 미중 세력 경쟁 상황에서는 미국을 지지하고 중국의 도전을 견제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도 대만 문제와 같은 안보적으로 민감한 사안에서는 과도하게 중국을 자극하여 한국의 안보 불안이 가중되거나 한중관계가 악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림 10] 한미동맹에 대한 의견   [그림 11] 미중 갈등 시 한국이 취해야 할 태도   [그림 12] 한미동맹과 한국의 역할에 대한 의견   Ⅳ. 대중 외교의 과제는 경제, 북핵, 상호인식 개선   중국은 싫지만 한국에게 중요한 국가이고 협력이 필요하다는 여론 조사 결과는 한국의 대중 외교가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에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러면서도 여론은 비교적 정확하게 대중 외교의 과제와 우선 순위를 제시하고 있다. 대중 외교의 우선 순위는 첫째 경제 제재에 대한 대응(28%), 둘째 중국과의 경제 및 첨단 기술 협력(23.1%), 셋째,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정책 공조(19.8%), 넷째 양국민의 상호 인식 개선(18.8%) 순서로 제시하고 있다([그림 13]). 즉 대중국 외교에서 여전히 경제협력과 북핵 문제가 중요하고 우선순위에 있음을 확인해주고 있다.   요컨대 한국인들의 중국에 대한 부정 정서는 중국의 가파른 부상과 미중 갈등 등 국제적 세력경쟁의 격화, 그리고 인접국으로서의 지정학적 민감성 등 구조적 요인에 의해 고조되고 있기 때문에 미래 세대로까지 이어지면서 고착화, 장기화될 우려가 크다. 그러나 다른 한편 높은 부정 정서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관계는 경제적, 지정학적 이유로 여전히 중요한 만큼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도 공유하고 있다.   즉 중국에 대한 높은 부정 정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익을 위해서는 중국과의 관계가 지금보다는 더 안정적이고 협력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현실론이 제시되고 있다. 한중 양국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인접국이라는 불가피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양국관계가 만성적 갈등의 악순환에 매몰되지 않도록 전향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양국은 직면한 심각한 구조적 도전을 직시하고 소모적인 감정 대립의 유혹에서 벗어나려는 각성이 요구된다. 인접한 한국과 중국이 갈등과 위기를 관리하면서 상생할 수 있는 해법을 도출하기 위한 다층적인 대화 채널이 시급히 작동될 필요가 있다. ■   [그림 13] 대중 외교에서 우선 고려해야 하는 이슈   참고 문헌   이동률. 2023. “한중의 상호 인식 변화와 한일관계의 함의.” EAI 워킹페이퍼 한일협력의 미래비전 시리즈 ⑪. 3-4. https://www.eai.or.kr/new/ko/pub/view.asp?intSeq=21822 (검색일: 2023년 9월 27일)     [1] 조사 결과에는 10대가 64.3%로 가장 낮게 나왔지만 조사 대상 10대는 18-19세로 한정되어 있고 응답 표본도 14개에 불과해서 제외했다.     ■ 이동률_동덕여자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아시아연구원 중국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중국 북경대학교 국제관계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대중국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한중미래발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의 대외관계, 중국 민족주의, 소수민족 문제 등이며 최근 연구로는 『1980년대 한중 외교협상 사례연구)』, 『지경학의 기원과 21세기 전환(공저)』,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현대편3)(공저)』, “한반도 비핵,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중국의 전략과 역할,” “1990년대 이후 중국 외교담론의 진화와 현재적 함의,” “시진핑 정부 ‘해양강국’ 구상의 지경제학적 접근과 지정학적 딜레마”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이동률 2023-09-27조회 : 12424
논평이슈브리핑
[EAI 이슈브리핑] 2023 한미동맹 국민인식 분석: 포괄적 동맹에 대한 기대와 우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하여 동아시아연구원은 중앙일보 및 한국리서치와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지난 수 년 간 수행해 온 한미관계 여론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주요 쟁점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한미관계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인식, 둘째는 한미동맹의 포괄동맹화(즉, 전통적 안보를 넘는 사안에서의 대미 협력, 그리고 한반도 안보를 넘는 지역적, 지구적 차원에서의 대미 협력)에 대한 국민의 인식, 셋째는 미국의 확장억지 제공과 핵무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국민들은 한미동맹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는 반면, 동맹의 도전요인들을 의식하면서 동맹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미동맹의 포괄동맹화와 지리적 범위 확대에 대해서는 총론으로는 찬성하나 각론에는 엇갈린 반응을 표시하고 있다. 동맹의 연루의 위험성, 특히 중국이 관련된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끝으로 국민들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하여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지를 신뢰하면서도 이것이 반드시 자체 핵무장의 필요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는 보지 않았다.     Ⅰ. 한미관계 인식   1. 한미동맹에 대한 강고한 지지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들은 한미동맹에 대해 강고한 지지를 보내고 있다. 지난 70년 간 한미동맹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묻는 문항에서 응답자의 압도적 다수가 한미동맹이 한국에 도움을 주었다는 진술에 동의하였다([그림 1]). 한미동맹이 한국의 안보에 기여했다는 데 93.8%가 긍정적 입장을 나타냈고, 경제 발전 및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기여에 대해서도 80퍼센트 후반의 응답자가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미국과의 군사동맹으로 안보에 절대적 도움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종의 ‘안보의 외부 효과’로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 확립에도 도움을 받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경제 성장에서 미국의 원조에 대한 평가, 고도성장기나 외환 위기 시 미국의 역할, 민주화 운동에 대한 미국의 역할 등에 비판적 시각이 존재함을 상기해 보면, 현재 동맹에 대한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는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림 1] 한미동맹의 기여에 대한 의견   한미동맹의 과거에 대한 긍정 평가는 현재와 미래로 이어지고 있다. 국민들은 현 정부에 가장 중요한 외교관계로 한미관계를 꼽고 있다([그림 2]). 국민의 74.8%는 한미관계를 꼽고 있는데 이 수치는 지난 2년간 10%포인트 정도 증가한 것이다. 또한 정부의 최우선 외교과제로 한미동맹의 강화를 첫 번째(40%)로 꼽고 있다([그림 3]). 이 역시 작년에 비해 11.5%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그림 2] 정부에 가장 중요한 외교관계 [그림 3] 정부의 최우선 외교 과제   2. 한미관계에 대한 미온적 평가   한미관계와 한미동맹의 중요성에 대한 높은 평가와 달리, 국민들은 한미관계의 현재 및 미래에 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유보적인 입장이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하였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관계가 어떠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을 때, “매우 좋다”라는 응답 비율은 5.3%였고 “약간 좋다”라는 응답비율은 45.4%였다. 반면 “보통이다”라는 응답도 42.3%를 기록했다. 한미관계의 미래 전망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을 것이다”라는 응답이 46.9%로, “좋아질 것이다”(10.1%)와 “약간 좋아질 것이다”(36.5%)라는 응답을 합한 비율(46.6%)을 근소하게 앞섰다. 현재 및 미래의 한미관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 비율이 10% 미만임을 감안하면 전반적인 여론은 긍정 평가에 가까우나, 역대 정부들이 예외 없이 “빛샐 틈 없는 한미동맹”을 강조하고 동맹 강화를 외교적 업적으로 내세워 온 점을 상기해 보면 국민의 체감 온도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정부가 관계 강화를 위해 앞으로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들은 미국과 한국 간에 이익의 간극을 좁히는 조정 사안을 다음과 같이 꼽고 있다.   첫 번째는 한미동맹이 초래할 수 있는 연루(entrapment)의 딜레마다. “한미동맹 때문에 한국은 한국의 국익과 관계없는 아시아 지역의 분쟁에 휩쓸릴 수 있다”라는 질문에 66.5%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동의 비율은 2018년 조사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그림 4]). 미국의 안보이익과 한국의 안보이익 간의 갭을 의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4] 한미동맹과 아시아 지역 분쟁 연루 가능성   둘째, 한미 경제관계가 점차 경쟁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인식도 증가하고 있다. 한미 간 경제관계에 대한 의견을 별도로 물었을 때, “한미 양국 경제는 상호보완적이다”라는 응답이 50.8%로 우세했으나 상호경쟁적이라는 인식도 31.7%에 달했다([그림 5]).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 반도체 지원법(CHIPS and Science Act) 등 역내 투자를 촉진하는 움직임이 한국 등 주변국에 끼칠 영향을 우려하는 관점이, 본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한미 경제 관계에 대한 인식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 한미 간 경제관계에 대한 의견   셋째, 미국이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있기 때문에 한미동맹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응답도 국민 3명 중 1명은 동의하고 있다([그림 6]). 미국 패권의 상대적 쇠퇴는 미국 우선주의와 일방주의 외교를 보여주는 이른바 ‘트럼프 현상’으로 나타났고 바이든 정부에도 계승되었다.   [그림 6] 미국 쇠퇴 및 한미동맹 중요성   국민들이 미국에 대한 좋지 않은 인상을 갖는 이유로 미국 우선주의와 국제사회 내 일방적인 태도 때문에”를 첫 번째로 꼽고(55.6%), “무역, 투자 등에서 불공정한 태도를 보이기 때문에”를 두 번째(55%)로 지목한 것도 패권 쇠퇴에 따른 국민의 우려를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그림 7]). 향후 미국 대선이 본격화되어 트럼프 현상이 재분출하는 경우, 혹은 트럼프의 재집권이 가시화되는 경우, 국민의 우려는 더욱 커질 것이다.   [그림 7] 미국에 대한 좋지 않은 인상의 이유   3. 동맹 강화와 외교 다변화   국민은 한국이 다면적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그림 8]).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한미동맹의 강화로 대응한다는 전통적인 문법보다는 보다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사고를 보여주고 있다. 국민은 북핵 위협(56.3%)과 더불어 주요국 간 무역-첨단기술 경쟁(55%), 기후변화와 환경문제(41%), 미중 전략경쟁과 갈등(36.3%) 등을 복수의 주요 위협 요인으로 꼽고 있는데, 한미동맹을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노력도 기울여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한중관계, 한일관계, 지역협력외교, 경제외교 등을 강화하는 외교정책의 다변화를 요청하고 있다([그림 2], [그림 3]). 특히 가장 중요한 외교관계로 한중관계를 꼽은 수치가 2021년 26%에서 올해 48.1%로 무려 22.1%포인트 증가한 것([그림 2])은 미국 못지 않게 중국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국민 인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동맹을 강화해야 하지만 동맹에 올인해서는 안된다는 시그널이다.   [그림 8]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위협     Ⅱ. 한미동맹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한미동맹에 대한 인식을 묻는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한미동맹이 앞으로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넘어 지역 및 세계 문제 해결에 역할을 하는 동맹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방향성에 대해, 81.8%에 이르는 압도적 다수가 지역 및 글로벌 동맹으로 발전할 것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는 것이다([그림 9]). 이는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이라는 한미동맹의 지향점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국민이 찬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림 9] 한미동맹의 미래상에 대한 의견   그런데 총론 차원에서 한미동맹의 역할, 지위가 지역 및 글로벌 동맹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찬성 입장이 각론 부분에서 한미동맹 범위 확대에 대한 지지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 또한 발견된다. [그림 10]은 한국인들이 지역 및 세계의 문제로 여겨지는 여러 현안들에 대한 한국의 기여 문제에 사안에 따라 매우 다른 태도를 보인다는 점을 드러낸다.   [그림 10] 한미동맹과 한국의 역할에 대한 의견   따라서 “지역 및 세계 문제 해결에 역할을 하는 동맹”이라고 하였을 때, 이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이러한 동맹 범위의 확대가 어떤 비용 지불을 수반하는 것인지에 대해 일반 국민들은 일관된 그림을 그리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한반도 중심의 한미 동맹을 지역 및 글로벌 동맹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찬반 의견의 이진변수로 재범주화한 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한미동맹의 역할과 범위 확대에 지지하는 사람들과 각 사안별 이슈에 대한 한국의 기여에 대한 응답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림 11] 한미동맹 범위 확대와 사안별 한국의 기여 확대 사이 관계   [그림 11]은 한미동맹의 범위 확대를 찬성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기준집단(base)으로 보았을 때, 범위 확대 찬성에서 반대로 값이 변하게 되면 각 사안별로 입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추세를 분석한 것이다. 첫째, 한미동맹의 범위와 관련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는 변수는 (1) 핵비확산, 기후변화, 감염병 등 범지구적 도전, (2) 반도체 같은 첨단기술 영역에서 중국 견제, (3) 중국 신장-위구르 지역의 인권탄압에 대한 대응, (4) 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유럽 문제에 대한 기여이다. 해당 이슈에서 한국의 역할 확대를 반대하면, 한미동맹 범위 확대에도 반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둘째, 대만해협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행할 때 한국이 동참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이 변수만 고려했을 때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모든 변수를 고려한 모델에서는 한미동맹 범위 확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같은 회귀분석 결과는 한미동맹 범위 확대로 인해 한국이 지불해야 하는 비용에 대해서 일반 여론이 사안별로 상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물론, 확대된 한미동맹이 역할을 수행해야 할 ‘글로벌 이슈’로 기후변화, 감염병, 첨단기술, 인권문제, 우크라이나 전쟁을 떠올린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입증이 되고, 실제로 이런 문제는 한반도를 넘어서는 지역 및 세계 차원의 문제가 맞는다. 그런데, 대만해협 위기 시 한국이 개입하는 문제에 대한 인식은 다른 변수들을 고려하게 되면 통계적 유의미성을 상실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대만 위기에 대한 개입 여부가 한미가 함께 조율할 문제가 아니라고 인지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해당 이슈에서만큼은 한미의 이익 구조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느끼기 때문일 수도 있다. 혹은, 단순히 국민들의 인식 지평에 대만해협 위기에 대한 개입이 지역/글로벌 이슈 중 하나로 포함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유독 대만문제에 대한 입장만 회귀분석 모델 설정 방식에 따라 한미동맹 범위 확대 입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한 가지 확실한 점은, 현재 한국인들이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는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방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후변화와 같은 범지구적 문제, 반도체 등 첨단기술 문제, 인권문제, 우크라이나 지원과 같은 동북아 이외 지역의 문제에 대한 공동대응 문제라는 점이다. 중국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오고, 경우에 따라 군사분쟁에 연루될 위험도 있는 민감한 문제인 대만해협에서의 위기는 한미동맹의 범위 문제를 생각할 때 고려 대상에서 제외된다. 한반도를 넘어서 지역 또는 글로벌 동맹으로 한미동맹의 범위를 확대할 때 그것이 가져올 득과 실에 대한 가치상충(value trade-off)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면서 한미동맹의 범위 확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 셈이다.     Ⅲ. 핵무장과 동맹: 미국 확장억지 신뢰성과 독자 핵무장 지지   이번 조사는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지에 대한 신뢰도와 2023년 4월 발표된 워싱턴 선언에 대한 평가를 묻는 문항도 포함되었다. 아래 [그림 12]와 [그림 13]에서 보듯 응답자의 압도적 다수는 한국이 북한의 핵 공격을 받을 시 미국이 핵 또는 재래식 전력으로 보복에 나설 것(응답자의 90.2%)이고, 워싱턴 선언으로 인해 한국의 안보 우려가 해소되었다는 점에 대해서도 응답자 과반이 동의(응답자의 57.7%)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림 12] 미국 확장억지 신뢰도   [그림 13] 워싱턴 선언 평가   그렇다면, 미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지에 대한 이러한 신뢰도가 한국이 자체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인식에도 영향을 주었을까? [그림 14]는 이번 조사에서 북한의 핵 위협이 지속될 때 한국이 핵무기를 보유해야 하는지에 대한 여론의 입장이 상당히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22년 조사에서 69.6%가 한국의 자체 핵무장을 찬성한 것에 비해, 올해 조사에서는 58.5%가 찬성을 하여 11.1%포인트나 감소하였다.   [그림 14] 북핵 위협 지속 시 한국 핵보유 찬반   이러한 인식 변화에 미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지의 신뢰도가 영향을 미쳤을 것임은 비교적 자명하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핵보유에 대한 입장과 미국 확장억지의 신뢰성에 대한 입장 사이의 관계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림 15] 미국 확장억지 신뢰성과 핵무장 지지 여론   [그림 15]는 한국의 핵무장을 찬성하는 사람들을 기준집단(base)으로 보았을 때, 찬성에서 반대로 값이 변하게 되면 미국 확장억지 신뢰성에 대한 입장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보여준다. 그 결과 첫째, (1) 북한이 한국에 대해 핵 공격을 감행할 때 미국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인식, (2) 워싱턴 선언으로 인해 안보 불안이 해소되었는지 여부는 모두 한국의 핵무장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이 북한으로부터 핵 공격을 받을 시 미국이 제대로 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을수록(핵보복 → 재래식 무기 보복 → 보복하지 않음), 핵무장에 반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셋째, 워싱턴 선언으로 한국의 안보 우려가 해소되지 않았다고 믿을수록, 한국의 핵무장에 반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미국의 확장억지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사람이 한국의 자체 핵무장을 반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은 역으로 말하면,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일수록 도리어 한국의 핵무장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동맹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지의 신뢰도에 문제가 생길 때 동맹국은 방기(abandonment)의 두려움을 느껴 자체 핵보유를 추진할 것이라는 억지(deterrence) 및 동맹 이론의 예상과 정반대의 성향을 한국인이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보다 엄밀한 통계적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대면 조사 방식으로 진행된 본 여론조사의 특성상 두 문항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한 가지 조심스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은 한국인들이 핵무장을 지지하는 논리의 이면에 미국 확장억지의 신뢰도보다 더 중요한 요인들이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한미동맹 범위 확대와 미국 확장억지 신뢰도 관련 문항에 대한 응답자의 답변에서 확인되는 한국 여론의 인식에서 두 가지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나 한국의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미동맹 강화의 방향과 일반 여론이 지지하는 형태의 동맹 정책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한미동맹의 범위와 역할에 대해 한국 여론이 광범위한 지지를 보이고 있고, 최근 양국 정부의 합의하에 추진되는 일련의 확장억지 강화 조치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여론은 대만해협 위기에서는 한국이 거리를 두기 원하고, 한국이 자체적으로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는 생각 또한 계속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생각하는 인도-태평양 전략 및 통합억지(integrated deterrence) 전략 맥락에서 추진되는 글로벌 동맹 네트워크 운영체계 구축에 대해, 한국인이 중국과의 전면적 군사분쟁 가능성이라는 리스크를 감수하면서까지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둘째,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지의 신뢰성 제고가 반드시 한국의 자체 핵무장 반대 여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을 신뢰하지만, 이와는 별도로 여전히 과반수의 응답자가 한국이 독자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성향을 드러낸다. 따라서 핵협의그룹(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 등 한미가 북한 핵 위협에 대항하는 더욱 강력한 대비태세를 마련한다고 해도 그것이 곧 핵무장 여론을 잠재우는 정책적 효과를 거두지는 못할 가능성이 높다. 세계 비확산 체제 안정성 강화를 위해 한국의 핵무기 개발 여론의 향방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찾으려면, 한국인들의 핵무장 찬성 입장을 견인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무엇일지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     ■ 손 열_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원장이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채플힐),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이다. 최근 저서로는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2021, 공편), 『2022 신정부 외교정책제언』(2021, 공편),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2021, 공편),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2021, 공편),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3, 6 (2019), 『한국의 중견국외교』(2017, 공편) 등이 있다.   ■ 김양규_동아시아연구원 수석연구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강사. 서울대학교에서 불어교육·외교학 학사와 외교학 석사 학위를, 플로리다인터내셔널대학교(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플로리다인터내셔널대 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겸임교수(Adjunct Professor)를, 컬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ersity) 살츠만전쟁평화연구소(Arnold A. Saltzman 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풀브라이트 해외학위 장학금(Fulbright Graduate Study Award)과 스미스 리차드슨 재단(Smith Richardson Foundation)의 “세계정치와 국가경영 펠로우십”(World Politics and Statecraft Fellowship)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강압외교(coercive diplomacy), 핵전략, 세력전이, 미중관계, 북핵문제, 그 리고 국제정치 및 안보이론이다. 최근 연구로는 “Infeasible Punishment and Non-Effective Threats: Political Feasibility of Nuclear Punishment and Policy Choices after Direct Nuclear Deterrence Failure”와 “At the Brink of Nuclear War: Feasibility of Retaliation and the U.S. Policy Decisions During the 1962 Cuban Missile Crisis”가 있다.   ■ 박한수_동아시아연구원 연구원.     ■ 담당 및 편집: 박한수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hspark@eai.or.kr  

손열 2023-09-26조회 : 1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