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정한울 한국리서치 여론분석전문위원은 4.7 재보궐선거를 기점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를 철회한 민주당 이탈층이 20대 대선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합니다. 주로 2030, 경인지역 출신, 중도 성향을 보이는 민주당 이탈 계층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상대적으로 호감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정권심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집단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선거 과정 중 윤석열 후보에 대한 무속 및 배우자 등 논란이 일고 이재명 후보의 국정 역량이 부각되었으나, 대장동 이슈와 도덕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결국 이탈민주층의 지지 회복은 이루어 지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1. 180석 거대 여당이 2년 만에 심판 받다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2017년 대통령 선거,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세 차례 전국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며 ‘20년 집권론’이 비현실적인 목표가 아니라는 걸 보여 주었다. 문재인 정부 임기 중반까지만 해도 민주화 이후 10년 주기로 여야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던 패턴을 보였고, 차기 대선은 더불어민주당의 정권교체 이후 첫 5년 후 치러지는 선거였다. 특히 정부 여당이 높은 국정지지율과 정당 지지율에서의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해왔기에 최소한 집권연장은 무난한 과제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총선에서 180석이라는 개헌저지선을 훌쩍 넘어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은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서울, 부산에서 치러진 2021년 4.7 재보궐 선거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패배하였고, 2년이 지나지 않은 2022년 3월 9일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을 넘겨야 했다. 반대로 자당 소속의 대통령이 국민저항으로 탄핵을 받고, 문재인 정부 임기 중 그 흔한 정권심판론 대신 야당심판론에 고개를 떨구어야 했던 국민의힘은 예상을 깨고 불과 5년 만에 정권을 되찾았다.

 

180석 거대 여당은 2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정권심판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되었고, ‘탄핵의 강’을 건너지 못한 채 ‘발목잡기’, ‘이념과잉’, ‘막말정치’로 국민적 불신의 대상이 되었던 국민의힘이 여당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 글은 선거 전후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EAI 선거패널조사(KEPS 2022)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난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했지만 4.7 재보궐선거를 기점으로 지지를 철회한 “이탈민주층”의 등장이 더불어민주당 우위의 유권자 지지 연합을 해체하고 윤석열 후보의 승리를 이끌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이들이 불과 2년 만에 더불어민주당 지지를 철회하고 선거에서 윤 후보 지지로 돌아선 핵심적인 요인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2. 탄핵정치연합 해체의 주역, 이탈민주의 등장

 

유권자들의 급격한 정치적 지지 변동을 분석하는 유력한 방법 중 하나는 (핵심적인 정치적 태도 결정 요인인) 정당 태도의 변동이 발생한 집단을 중심으로 정치적 태도 변동 요인을 추적하는 것이다. 유권자들의 정당 지지 균열 변동이 집중된 정당을 중심으로 변동 발생 전후 해당 정당에 대한 지지를 유지하는 ‘잔류층(vote retention)’과 지지를 교체한 ‘이탈층(vote transfer)’으로 구분하여 비교해보면 기존의 유권자 정당 지지 연합이 해체되고 재편된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지지 이탈은 다시 무당파(혹은 유동층)로 이탈한 ‘탈동원 이탈(demobilization)’과 경쟁하는 다른 정당 지지로 이탈한 ‘전향 혹은 개종 이탈층(convers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Hawley and Sagarzazu 2012, Norpoth and Rusk. 2007).

 

지난 2017년 대선부터 2020년 총선까지는 촛불시위와 박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등장한 압도적인 더불어민주당 우위의 정치지형은 확실히 호남+비 TK 지역 연합, 60대 이상을 제외한 2050세대 연합, 보수층을 제외한 진보+중도층이 결합한 새로운 유권자 정치 연합에 기반했다(필자는 이를 편의상 ‘탄핵유권자정치연합’으로 부른다). 과거 다수의 콘크리트 보수층 연합에 기반한 보수정당 우위 구도가 해체되고 더불어민주당 우위의 ‘탄핵정치연합’이 등장한 데에는 무엇보다 40~50%에 달했던 (구) 새누리당 지지층의 분열이 정치연합 재편의 핵심 역할을 했다. 이 시기는 탄핵 과정에서도 새누리당과 그 후신인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에 대한 지지를 유지한 ‘잔류 보수’와 보수정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이탈보수’층이 비교를 보이는 시기로 탄핵정치연합 탄생과 공고화를 설명하는 핵심 지점이었다.[1]

 

[그림 1] 탄핵정치연합 형성기 및 해체기의 정당 지지율 변화(%)

(1) 탄핵정치연합 형성기(2016.2-2020.4)     (2) 총선 이후 해체기(2020.7-2022.3)

 

[그림 1-(1)]을 보면 탄핵정치연합이 형성되는 2016년 20대 총선까지 압도적 우위를 보이던 새누리당(보수정당) 지지율이 2017~2020년 사이 탄핵과 문재인 정부에서 치러진 지방선거 및 총선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20%~40%p까지 뒤졌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림 1-(2)]에서 2020년 총선 이후 정당 지지율을 변동을 보면 40%~50%를 오갔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30%대까지 하락했고, 반대로 10~25% 수준에 그쳤던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지지율이 2021년 4.7 재보궐선거 전후로 30%대를 넘어서 40%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복원되었다. 2021-2022년 제20대 대선 경쟁 과정을 거치며 더불어민주당 우위의 유권자 지형이 해체되고 양당 균형 구도로 재편이 완성되었다. 결국 탄핵정치연합 해체는 더불어민주당에 180석을 몰아준 40%를 상회하던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보궐선거과 대선 과정에서 여전히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잔류민주(Remaining Democrats)’와 ‘이탈민주(Swing Democrats)’로 균열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탄핵정치연합이 형성을 넘어 해체기로 접어들자 분석의 초점은 ‘이탈새누리’에서 ‘이탈민주’ 층으로 옮겨갔고, 이들을 이해하는 작업은 이번 대선에서 초경합 끝에 승리한 윤석열 후보의 당선 요인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3. EAI 대선 패널조사로 본 이탈민주의 표심

 

➀ 총선 당시 민주당 비례투표자, 열 명 중 세 명이 지지를 철회했다

[표 1]은 본 패널조사 결과를 통해 잔류민주와 이탈민주를 분류하기 위해 지난 제21대 총선 정당비례투표 결과와 본 대선패널조사 1차 조사(1월 12일-15일)에 포함된 현시점 지지지 정당을 교차한 결과다. 총선비례투표에서 당시 더불어시민당을 지지한 응답자는 분석 대상자(901명)의 39%였고, 당시 미래한국당에 두표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 분석 대상자의 26%인 234명이었다. 당시 더불어시민당에 투표한 응답자(350명) 중 1월 시점에 더불어민주당을 여전히 지지한다고 답한 ‘잔류민주’는 71%(249명)이며, 나머지 29%(101명, 15%가 무당파로 이탈한 탈동원 이탈민주, 나머지 14%가 전향 이탈-국민의힘으로 8%, 정의당으로 4%, 국민의당으로 2%, 기타정당으로 1%, 연두색)가 민주당 지지를 철회한 ‘이탈민주’로 분류된다. 총선 당시 여당 투표자의 열 명 중 세 명이 이탈민주층인 셈이다.[2]

 

반면 당시 미래통합당의 비례정당 투표자(234명)들은 82%(193명) 그 후신인 국민의힘 지지를 유지해 여당에 비해 높은 지지 유지율(vote retention)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1차 조사 시점 국민의힘 지지자 317명(전체 분석 대상자 901명의 35%) 중 지지 유지자 193명(61%)을 뺀 나머지 124명(39%)이 총선 이후에 새로 유입된 뉴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국민의힘 지지자의 열 명 중 네 명이 총선 이후에 유입된 뉴 보수층인 셈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1차 조사 시점 지지자 333명 중 75%(249명)가 총선 비례투표부터 지지를 유지해온 고정 지지층이고 총선 이후 새로 유입된 뉴 민주당 지지자는 25%(84명)에 불과하다. 이탈민주가 이탈보수를 넘어서고, 신규 지지층 유입 경쟁에서 국민의힘이 우세함에 따라 정당 지지율에서 여당 우위가 사라지고 양당 경쟁 구도가 형성된 것이다.

 

[표 1] 21대 총선에서의 비례투표 정당과 1차 조사 시점 지지 정당 교차표

 

➁ 이탈민주와 잔류민주는 누구인가? 2030/경인/중도보수층이 이탈 주도

그렇다면 총선 시기 180석을 밀어준 정부 여당 지지자 중 어느 집단에서 이탈 현상이 집중되었을까? 2020년 총선 당시 더불어시민당을 지지했던 지지자 350명을 세대별, 지역별, 이념성향별로 분류해보았다. 1차 조사 시점의 ‘이탈민주’와 ‘잔류민주’층의 세대, 거주지역, 이념 성향 구성비를 2020년도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지지자의 세대, 거주지역, 이념 성향 구성비를 기준으로 각각 비교해보면 어느 세대에서 이탈과 잔류가 집중되었는지 알 수 있다.

 

우선 세대별로 보면 총선 당시 더불어시민당 투표자 중 20대는 13%, 30대는 17%에 그친 반면, 40대 이상은 각각 20~25% 수준으로 이미 20대 총선부터 2030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3] 그러나 이탈민주층과 잔류민주층의 세대구성비를 보면 이탈민주층에서는 2030세대의 비중이 2020년 대비 구성 비중이(각각 24%) 크게 높아졌고, 반대로 잔류민주층의 경우 2030세대 비중은 2020년 기준에 미치지 못한 반면, 4050세대 및 60대 이상에서는 오히려 2020년도 지지자 구성비를 넘어섰다. 40대 이상 민주당 지지층에서 잔류성향이 강했고 2030세대에서 이탈성향이 강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표 2] 이탈민주층과 잔류민주층의 세대, 지역, 이념 성향 구성비

 

지역별로 보면 2020년 지지자의 구성비와 비교해보면 이탈민주층은 경인지역, 대구·경북 지역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고, 잔류민주층의 경우 호남거주자 비중이 2020년 비중을 넘어섰다. 서울/충청/부울경의 구성비는 2020년 대비 큰 차이가 없었다. 이념성향별 구성을 보면 이탈민주층은 중도층과 보수층에서 2020년 대비 비중이 크게 증가했고, 반대로 잔류민주층의 경우 과반인 52%가 진보층으로 2020년 대비하여 그 비중이 늘어났다. 2020총선에서 진보층과 함께 중도층의 다수, 그리고 보수층 일부가 더불어민주당 지지로 쏠린 반면, 대통령 선거에서는 중도층 다수와 보수층에서 크게 이탈이 발생하여 잔류민주층은 진보층 중심으로 재편되었음을 의미한다. 종합하면 2030, 경인 지역, 중도층 지지층에서의 이탈이 심각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➂ 윤석열 후보 승리의 주역: 안철수 지지자의 표심 이동, 이탈민주가 주도

잔류민주층과 이탈민주층의 표심 변화를 살펴보기에 앞서 전체 응답자들의 표심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패널조사의 특성을 살려 선거 전 1월에 실시한 1차 조사와 선거 직후 실시한 2차 조사에 모두 참여한 전체 1,104명의 대선 지지 후보 변동을 살펴보자. [그림 2]에서 1월 중순 1차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36%, ‘여가부 폐지,’ ‘사드 추가 배치’ 캠페인을 내세우며 지지율 회복에 성공한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35%로 오차범위 내 경합이었고, 안철수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12%였다. 선거 직후 실시한 2차 조사에서 단일화로 안철수 후보가 제외된 최종 투표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5%로 1차 조사 대비 9%p 상승하는 데 그친 반면, 윤석열 후보는 1차 조사 대비 13%p 상승한 48%로 역전했다.

[그림 2] 전체 응답자(1,104명)의 대선 지지후보 변동: 1-2차 조사

(1) 1차 조사(1월12-15일) 대선 지지(%)명

(2) 2차 조사(3월10-15일) 대선 투표 후보(%)명

 

1, 2차 조사간 지지율의 역전현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다. 정작 주목할 점은 잔류민주층과 이탈민주층은 불과 2년 전 총선과 5년 전 대선에서 한 목소리로 정부 여당과 문재인 후보를 압도적으로 지지했던 집단이라는 점이다.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함께 압도적으로 지지했던 집단일뿐 아니라 두 집단은 함께 문재인 후보를 압도적으로 지지했던 동질적인 집단이었다. [그림3]의 2017년 대선에서도 당시 문재인 후보를 지지했던 비율이 잔류민주층의 90%, 이탈민주층의 83%로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양집단의 투표선택은 크게 대비된다. [그림 4]에서 잔류민주층의 경우 1월 조사에서 86%가 이재명 후보를, 3%가 윤석열 후보를, 4%가 안철수 후보 지지 의사를 밝힌 반면, 실제 투표에서도 89%가 이재명 후보 지지해 1차 조사 대비 3%p 상승했다. 윤석열 후보의 경우도 안철수 후보 지지를 흡수하며 8%로 5%p 상승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대선후보인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 결집이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림 3] 잔류민주층과 이탈민주층의 2017년 대선에서의 문재인 후보 지지율(%)

 

[그림 5]의 이탈민주층의 경우 1차 조사와 2차 조사 간 지지율 변화가 흥미롭다. 1차 조사에서 이탈민주층은 26%가 안철수 후보를, 25%가 이재명 후보를, 22%가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밝히며 이탈민주층의 표심이 극단적으로 분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안철수 후보가 사퇴한 후 실제 투표에서는 이탈민주층에서 44%가 이재명 후보에게, 45%가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응답했다. 1차 조사 대비 이재명 후보는 25%에서 44%로 19%p 상승했지만, 윤석열 후보는 22%에서 45%로 23%p 상승하며 오차범위 내지만 이탈민주층 내에서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 지지율은 역전했다. 초박빙의 경합 구도에서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는 데에는 지난 대선과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선택했지만, 본 대선에서 지지를 철회한 이탈민주층의 표심 이동이 핵심적 역할을 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림 4] 잔류민주(249명)의 대선지지 변화(%) [그림 5] 이탈민주(101명)의 대선지지 변화(%)

 

4. 무엇이 이탈민주의 이탈을 불렀나?

 

➀ 문재인 정부에 대한 인식 차이: 잔류민주는 성공한 정부, 이탈민주층은 양가적 평가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에 대한 압도적 지지를 보여준 잔류민주층과 절반 이상의 지지 이탈을 보여준 이탈민주층의 가장 큰 차이는 역시 문재인 정부 평가에서 나타난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국정 평가를 0-100점으로 평가하라는 질문에 잔류민주층에서는 77점을 준 반면, 이탈민주층에서는 52점으로 미온적인 수준에 그쳤다([그림 6]). 0(전혀 동의 안 함)에서 10점(전적으로 동의)으로 코로나 방역, 종합부동산세 평가, 문재인 정권심판론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물어본 결과, 세부 평가 내용을 보면 차이는 보다 분명해진다. 잔류민주층은 ‘코로나 방역은 성공적’이라는 주장에 7.8점으로 강한 동의를 보여준 반면, ‘종합부동산세는 과중하다’거나 ‘이번 대선은 문재인 정권을 심판하는 선거’라는 부정적인 진술에는 각각 3.6점, 2.5점으로 강하게 부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탈민주층은 ‘방역기 성공적’이라는 주장에 대해 대체로 동의(5.8점)하지만 동시에 ‘종합부동산세가 과중하다’는 진술(5.7점)과 ‘문재인 정부 심판 선거’(5.4점)라는 주정에 대해서도 대체로 수긍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탈민주층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공과를 동시에 인정하는 양가적 태도(ambivalent attitudes)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잔류민주층과 대비된다.

 

[그림 6] 잔류민주층과 이탈민주층의 문재인 대통령 국정 평가 점수(0 매우 못함~100점 매우 잘함)

 

[그림 7] 잔류민주층과 이탈민주층의 선거 인식과 국정 세부 평가 점수(0 매우 비동의~10점 매우 동의)

 

➁ 양 후보에 대한 비호감: 이탈민주층의 양비론, 표를 분산시키다

양 진영 후보에 대한 정서적 태도에 있어 잔류민주층은 당파적 태도가 강하게 나타난다. 0-10점으로 측정한 후보/정당 호감도를 보면 잔류민주층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7.9점, 이재명 후보 7.5점, 더불어민주당 호감도 6.8점으로 매우 우호적인 반면, 윤석열 후보 1.8점, 국민의힘 1.7점, 이준석 대표 1.5점으로 매우 강한 비호감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이탈민주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문재인 대통령 호감도가 높고(5.3)과 이재명 후보(4.2), 더불어민주당(4.0)에 대한 호감도는 중간에 못 미치고 있다. 잔류민주층에 비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비호감도 작동했지만 이재명 후보에 대한 비호감 정서가 지지이탈에 한몫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동시에 야당 후보/정당/대표에 대한 비호감도 만만치 않다. 윤석열 후보 3.7점, 국민의힘 3.4점, 이준석 대표 3.2점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이탈민주층에서 문재인 대통령 호감도를 제외하면 나머지 후보/정당 호감도는 오차범위 내 차이로서 양쪽 모두에 대한 비호감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선 이후 이탈민주층에서 문재인 대통령, 이재명 후보, 민주당에 대한 냉담한 정서가 형성되어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잔류민주층에 크게 못 미치는 이유를 보여준다. 동시에 2월 한국일보 조사에서는 이탈민주층이 윤석열 지지로 결집하며 윤석열 우위 구도를 만들었지만 최종결과에서 박빙의 경합구도로 끝난 데에는 이들 중 상당수가 다시 이재명 후보 지지로 복귀함으로써 균형이 맞춰진 것으로 풀이된다(한국일보 2022/02/22).

 

[그림 8] 잔류민주와 이탈민주의 양 진영 리더 및 정당에 대한 정서적 호감도(0~10점)

 

➂ 네거티브 이슈의 영향력: 이탈민주는 부동산/대장동 vs 잔류민주는 김건희 씨 의혹/무속논란

그렇다면 이탈민주층의 양비론적 태도를 강화시킨 요인은 무엇일까? 양 후보간 선거 캠페인 경쟁을 좌우했던 네거티브 이슈의 영향을 통해 살펴보자. 본 패널조사에서 응답자의 후보 선택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불러주고 2개의 중복 응답을 받은 결과 잔류민주층은 ‘김건희 씨 허위경력 및 주가 조작 논란’을 꼽은 응답이 전체 응답 반응자 수 기준으로 55%, ‘윤석열 후보 무속논란’을 꼽은 응답이 34%로 집중된 반면, 정부 여당 및 이재명 후보에 타격을 준 ‘부동산 정책’, ‘대장동 특혜의혹’을 꼽은 응답은 12~15%에 불과했다. 반면 이탈민주층의 37%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를 꼽았고, ‘대장동 특혜의혹’을 꼽은 응답이 30%, ‘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를 꼽은 응답도 25%에 달했다. 잔류민주층의 최대 관심사였던 ‘김건희 씨 허위경력 및 주가 조작 논란’을 꼽은 응답은 절반 수준인 25%에 그쳤고, ‘무속논란’도 10% 수준에 머물렀다.

 

[그림 9] 잔류민주와 이탈민주의 후보 결정에 영향을 미친 이슈 (1+2순위 중복 응답, 응답자 수 기준%)

 

결국 정부 여당의 입장에서 이탈민주층의 이탈을 막고 정권심판론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탈민주층의 최대지지 철회 요인인 ‘부동산 이슈’와 ‘대장동 의혹’에 대한 적극적인 사과와 원인진단-대책 제시에 집중했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의 네거티브는 잔류민주층의 관심사에 집중되었고, 그나마 최대 불만 요인인 ‘김건희 씨 허위경력 문제 및 주가 조작 논란’ 대신 ‘무속논란’이나 소위 ‘줄리 공방’에 매몰되면서 잔류민주층도 이탈민주층에도 어필하지 못하는 캠페인 전략을 펼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표 3] 투표한 후보와 해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고 생각한 이유(%)

 

이번 조사 응답자 중 투표했다고 답한 1,050명 대상으로 투표 후보를 선정한 기준을 물어본 결과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다고 답한 494명 중 64%가 능력과 경력을 고려했다고 답해 국정 역량에 대한 차별성이 이재명 후보의 강점인 반면 네거티브 공방의 근원인 도덕성 문제에 대해서는 1%만 꼽아 네거티브 도덕성 이슈는 오히려 약점이라는 점은 분명했다. 그럼에도 선거 임박한 시기 네거티브 공방의 가열의 이탈민주층의 지지복원을 어렵게 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4]

 

5. 맺으며 : 탄핵 정치연합 해체 이후, 어떤 질서로 재편될 것인가

 

이상에서 지난 총선에서 정부 여당을 지지했지만 이후 지지를 철회한 이탈민주층의 투표행태를 중심으로 180석 거대 여당이 2년 만에 정권교체의 대상으로 전락한 원인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주로 2030세대, 경인 지역, 중도 성향을 가진 이탈민주층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상대적 호감은 유지하고 있으나 동시에 부동산 정책 실패로 인해 정권심판의 정서도 공존하고 있었다. 이재명 후보가 국정 역량에 대한 강점을 보였고 선거 과정에서 윤석열 후보에 대한 무속 논란 공방이나 줄리 논란 공세가 잔류민주층의 결집에 도움이 되었지만 이탈민주층의 지지 회복에는 도움이 되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대장동 이슈와 도덕성 문제 논란이 불거지자 국정 역량 이슈가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이재명 후보에게는 역효과를 낳았을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결국 1월 초 1차 조사에서 이탈민주층에서 이-윤 후보의 경합 구도가 확인되었고, 최종 결과에서 이러한 경합 구도를 극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지지율 우위를 만들어내는 데 실패했다.

 

이 글에서는 이탈민주층의 투표행태에서 나타난 핵심적인 특징을 정리하고 더불어민주당 패배의 원인이 될 법한 요인들을 가설 제기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당장 새 정부 국정운영과 차기 지방선거 및 총선이 어떠한 유권자 지형에서 치러지게 될지는 여전히 초미의 관심사다. 이 질문에 답을 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이탈민주층의 진로는 최대 변수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탈민주층이 다시 민주당 지지로 복원될 것인지, 아니면 새 집권 여당 지지층으로 흡수될 것인지, 아니면 이번 선거처럼 불안한 균형 상태를 유지할지 유동적인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후 국정 전망 및 탄핵정치연합 이후 새롭게 등장할 유권자 정치 연합 구도의 진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또다시 이탈민주층의 인식 변화와 정책적 선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번 대선에서 나타난 이탈민주층 분석을 일회성 연구로 마무리할 필요가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참고 문헌

김은지. 2022. “열심힌 투표한 당신 왜 찍고 왜 안 찍었나” <시사인> 제758호 (2022/03/24).

한국일보. 2022. “이재명 위기는 ‘이탈민주’에 있다...문정권에 실망해 윤석열로 결집” (2022/03/22)

한국일보. 2022. “이재명 도덕성 부족 70.4%, 윤석열 국정역량 부족 69.8%” (2022/01/01)

정한울. 2021. “ 4.7 재보궐선거 판세: 단일화 변수와 더불어민주당의 약점: 서울, 여론 조사에서 동률이면 실제 투표에선 야권이 우세하다.” <담담한 선거연구➀> (2021.3.16.)

______. 2020. “여야심판론의 관점에서 본 21대 총선과 보수 혁신의 딜레마.” . 1-20 (2020.5.8.).

정한울·강우창. 2017 . “콘크리트 보수층의 균열: 스윙보수층 등장의 원인과 결과.” 강원택(편)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6: 촛불집회, 탄핵 정국과 19대 대통령선거>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Hawley, George and Inaki Sagarzazu. 2012. “Where Did the Votes go? Reassessing American Party Realignment via Vote Transfers between Major Parties from 1860 to 2008.” Electoral Studies 31, 726-739.

Norpoth, Helmut, and Jerrold G. Rusk. 2007. "Electoral Myth and Reality: Realignments in American Politics." Electoral Studies 26, 2: 392-403.

 


 

[1] ‘이탈보수’와 ‘잔류보수’의 관점에서 지난 세 차례 전국 선거에서의 나타난 유권자 투표행태 변화를 설명한 글로는 (정한울 2020; 정한울·강우창 2017)을 참고하길 바란다.

[2] 본 패널조사에서는 총선 시기 지지 정당 질문이 포함되지 않아 총선 시기 비례정당을 당시의 지지 정당의 대리변수로 사용한다. 1차(1월11-14일)와 2차 조사(3월10일-15일)에 모두 응한 응답자 1,104명 중 당시 투표권이 없다고 답하거나 응답 거부 혹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답한 203명을 제외한 901명 의 응답을 분류했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 신년조사(21년12월), 대선여론조사(22년2월)에서 총선 시점 지지 정당과 현 시점 지지 정당을 교차한 응답에서는 총선 시점 민주당 지지자의 35~40%가 이탈민주로 분류되었다. 비례정당과 지지 정당 질문 워딩 차이일 수도 시점 상의 차이일 수도 있으나 선거 막바지 이재명 후보 지지율 결집효과를 고려할 때 이탈민주층의 일부가 이재명 후보 지지로 결집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본 보고서에서는 이탈민주 규모의 정밀한 추정보다 잔류민주층과의 비교에 초점을 맞춘다.

[3] 실제로 2030세대의 경우 2020년 총선 출구조사에서 나타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을 보면 60% 전후의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여 큰 이탈이 없었던 것으로 착각할 수 있으나 사후 발표된 세대별 투표율을 보면 2030세대의 경우 60대 이상 대비 투표율이 크게 낮아져 전향 투표는 크지 않았지만, 탈 동원 이탈이 적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젊은 세대의 전향투표는 4.7 재보궐 선거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정한울 2021).

[4] 국정역량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우위를 보였지만, 도덕성 평가에서는 팽팽하거나 오히려 이재명 후보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컸다는 여론은 대선 기간 내내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한국일보 2022/01/01; 김은지 2022).

 


 

저자: 정한울_한국리서치 여론분석 전문위원이자 리서치 디자이너. 고려대에서 정치외교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 외교안보센터 부소장, 사무국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선거와 세대정치, 국가정체성과 안보인식, CSR 분야 조사연구 등이다. 주요 논저(공저)로는 《20대 남자》, 《20대 여자》, 《불평등 시대의 시장과 민주주의》, 《박근혜 현상》 등이 있다.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6대 프로젝트

민주주의와 정치혁신

세부사업

미래혁신과 거버넌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