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R 여론브리핑 2호]

1.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 다가오는 CSR 라운드 / 생색내기식 자선 활동보다 소비자에 대한 책임이 우선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무엇으로 평가하나 / 한국 국민들이 뽑은 사회적 책임기업 BEST/WORST 10

 

 


 

 

사회적 책임경영 해야 글로벌 기업 :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연세대 경영학과_장진호ㆍEAI여론분석센터_정한울

 

글로브스캔ㆍEAIㆍ매일경제ㆍ한국리서치가 참여한 33개국 여론조사에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각국 국민들의 인식이 주로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독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후진국 국민들은 대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이윤창출, 세금납부 및 일자리 창출과 같은 경제활동에서 찾는다. 반면 고도성장을 경험했거나 현재 성장 중인 개발도상국 국민들은 윤리경영을 강조한다. OECD에 가입한 선진국 국민들의 경우 윤리경영 만을 요구하기 보다는 이윤추구와 윤리경영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과거 국가주도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국가일수록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게끔 유도하는 방법으로 시장자율에 맡기기 보다는 국가제도 및 법적인 차원에서의 규제를 강조하는 입장이 매우 높았다.

 

33개국 국민 36,284명의 응답을 평균내보면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이윤창출, 납세, 고용창출과 같은 경제활동에서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29%,‘보다 높은 수준의 윤리 경영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33%였다.‘경제활동과 윤리경영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31%였다.

 

[그림1] 대기업의 역할

 

 

선진국의 국민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강조가 줄고 이윤추구와 윤리경영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이 강화되는 추세다. 1999년 조사결과와 비교해보면 미국은 윤리경영을 요구한 응답자가 35%에서 29%로 줄었고, 영국은 39%에서 27%로, 일본은 33%에서 15%로 줄어들었다. 반면 양 입장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은 복지를 강조하는 프랑스에서도 윤리경영과 함께 이윤창출 등의 경제활동에서의 기업의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이 10%p 상승(21%->31%)했다.

 

[그림2]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 변화 : 2001년-2006년 (%)

 

 

거대 인구와 고도성장으로 주목 받고 있는 중국과 인도 소위 친디아 국민들의 태도는 서로 상반된 경향을 보여준다. 중국의 경우 1999년 조사결과 비교해보면 기업의 역할을 이윤창출에서 찾는 응답이 44%에서 35%로 줄어든 반면 높은 윤리경영에 대한 요구가 31%에서 39%로 상승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정에서 나타난 기업의 맹목적인 이윤추구에 대한 중국인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인도의 경우 윤리경영에 대한 요구(28%) 보다 이윤창출(50%)활동에 대한 주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높은 경제성장률로 세계의 주목을 받는 인도 국민의 성장욕구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경제침체로부터 탈출했느냐 여부를 두고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은 대기업의 윤리적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기업윤리에 대한 강조가 2001년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무려 15%p(24%->39%)로 상승했다. 그러나‘기업 이윤추구활동’과 ‘윤리경영’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 역시 28%에서 37%로 늘어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 국민들이 기업 윤리에 대해 불신을 갖고 있으면서도 윤리경영을 강화하는 과정이 기업의 경제적 이윤창출활동과 완전히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는 우려 역시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몇 년간 경제침체를 경험한 한국에서 기업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감 대신 대기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의 경우 국민 대다수가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국가차원의 규제가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일본 64%, 한국63%, 중국62%). 시장의 자율적 규제를 강조하는 서구 국가에서 국가적 차원의 규제를 강조하는 입장들이 과반수를 넘지 못하는 것과는 매우 대조된다. 결국 한국 국민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윤리를 강조하는 도덕적인 잣대를 강조하면서도 경제적인 이익추구활동을 배척하기만 하는 태도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림3] 대기업 사회적 책임 위한 규제 “찬성”여론 (%)

 

 

 


 

 

다가오는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라운드, 체계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서울대 사회학과_이재열

 

다국적 컨설팅회사인 액센추어가 2001년 세계 22개국 880개 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 각국의 반기업 정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최고경영자의 70%가 ‘국민들 사이에 기업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다’고 응답하여, 2위의 영국이 68%, 그리고 일본 45%, 미국 23% 대만 18%와 비교해 세계에서 반기업 정서가 가장 높은 나라라고 발표했다.

 

과연 그럴까? 이번에 글로브스캔 ․ EAI ․ 매일경제 ․ 한국리서치가 전세계 33개국 36,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기업이 모두에게 좋은 사회를 만들고 있느냐’고 질문한 결과 한국인의 51%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5년 전 최고경영자의 인식과는 반대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구나 3년 전에 비하면 긍정적 응답의 비율은 12%나 증가한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1인당 국민소득이 우리보다 높은 나라의 국민들은 예외 없이 한국인보다 대기업 활동에 훨씬 부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점이다.

 

우리의 상식과 달리 기업 활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개발도상국인 인도네시아 (89%), 사우디아라비아 (80%), 나이지리아 (73%), 케냐 (67%), 인도 (59%), 중국 (59%), 브라질 (57%)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OECD에 속한 이태리 (27%), 스위스 (31%), 영국 (33%), 일본 (38%),미국 (38%), 캐나다 (41%) 등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림1] 일인당 국민소득과 대기업역할에 대한 긍정비율의 관계

 

 

33개국을 유형화해 본다면, 크게 세 국가군으로 나뉜다. 소득이 높은 OECD국가에서는 대부분 대기업의 역할에 대해 국민인식이 부정적이며,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동의 개발도상국 국민들이 대기업 역할에 매우 긍정적이다. 반면에 남미권 국민들은 대기업 역할에 매우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면, 극심한 불황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일본은 21%에서 38%로, 외환위기를 경험한 한국은 31%에서 51%로 긍정적인 평가가 늘어난 반면, 미국에서는 43%에서 38%로, 영국은 40%에서 33%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는 한국민의 반기업 정서가 세계 최고수준이라는 기업인의 인식이 매우 과장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국은 아시아권의 개발도상국 유형에서 벗어나 OECD형 기업환경으로 진화하는 도중에 있다. 그래서 한국의 경제성장이 지속되고 국민소득이 늘어날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훨씬 엄격한 여론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예상하게 해 준다. 즉 향후 한국 기업에도 사회책임경영(CSR)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할 것임을 예고해 주는 것이다.

 

한편, 서구의 국가들에서 사회책임경영은 정부의 개입 이전에 시민사회와 이해당사자들이 기업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를 철저하게 하는데서 시작한 것이라면, 개발도상국가들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가의 감시와 개입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한국의 경우에도 국가의 기업활동의 일탈에 대한 규제 요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2]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정부 규제에 대한 동의비율과 대기업역할에 대한 긍정비율

 

한국기업에 대한 평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이유가 사회에 기여하기 보다는 기업의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라는 인식이 가장 강하다는 점이다. 반면에 기업이 환경보호나 지역사회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데 대한 인식은 한국의 경우에 가장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막대한 수준의 부를 사회에 환원하고도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앞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이 강조될수록, 준조세 형태의 막대한 기부금을 ‘마지못해’ 내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는 대신 체계적으로 사회책임경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중대한 전환점에 와 있음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세계적 추세로 보아도 한국기업이 더 이상 사회적 책임을 외면할 수 없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지난 2001년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주도 아래 환경, 노동, 인권, 지역사회 기부 등의 CSR 활동을 지수화하는 국제 표준을 만들고 있으며, 2008년부터는 CSR 라운드가 예정돼 있다. 따라서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들의 참여 아래 금융기관들의 투자와 기업 간 거래에 중요한 지표로 쓰일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은 투자대상에서 제외되고 국제거래에서 불이익을 당할 전망이다▦.

 

<표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목적 별 동의 비율(%)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제재 하겠다

생색내기식 자선 활동보다 소비자에 대한 책임이 우선

 

연세대 사회학과_한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제 기업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이 되었다. 또한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경제적 활동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 것이 되었다. 최근 세계의 많은 시민들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시장외적인 제재가 아닌 시장에서의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인식을 높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전 세계 33개국 36,2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기업에 대해서 다양한 형태로 시장에서 제재를 가할 의사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우선 자본시장에서의 투자와 관련하여 “사회적 혹은 환경적 책임을 제대로 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 “투자를 하지 않거나 혹은 펀드 상품에 가입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매우 찬성하는 응답 비율이 미국이 47%로 가장 높고, 그 뒤로 한국(41%). 인도네시아(40%), 중국(39%), 영국(38%)의 순이다. 한편 약간 찬성까지 합친 비율은 인도네시아가 76%로 가장 높고, 이어서 한국(72), 중국(65%), 미국(65%), 영국(545%)의 순이고, 멕시코만 찬성하는 비율이 14%로 낮게 나타난다.

 

[그림1] CSR 못하는 기업 제재 : 투자 및 펀드 가입 거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 “제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겠다”는 불매 의사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불매의사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높게 나타났는데, 적극적 찬성 비율은 미국이 50%로 가장 높고, 그 뒤로 영국(42%), 중국(40%), 한국(38%), 인도네시아(35%), 멕시코(25.6%)의 순이다. 하지만 약간 찬성까지 포함한 찬성 비율은 중국(78%), 한국(77%), 인도네시아(76%), 미국(76%)이 비슷하게 매우 높게 나타나고, 그 뒤로 영국(72%)과 멕시코(57%)의 순이다.

 

[그림2] CSR 못하는 기업 제재 : 불매

 

자본시장이나 상품, 서비스 시장에서 뿐 아니라 노동시장에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제재의사는 높게 나타난다. 이런 기업에서 “일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비율은 미국이 50%로 가장 높고, 그 뒤로 영국(43%), 중국(33%), 한국(31%), 인도네시아(31%)의 순이며, 멕시코(20%)가 비교적 낮게 나왔다. 약한 동의까지 합친 비율 은 중국이 69%로 가장 높으며, 미국(68%), 인도네시아 (63%), 영국(62%), 한국(61%)의 순이고, 멕시코는 41%이다. 전반적으로 멕시코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나라들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시장에서의 제재 의사를 가진 사람들이 2/3에서 3/4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시장외적 제재의 형태로 보다 적극적인 형태인 “해당 기업에 대한 반대 캠페인”에 참여하겠다는 비율은 시장에서의 제재보다 낮게 나타난다. 이러한 시장 외적인 제재에 대해서 가장 적극적인 것은 시장제재에 대해 소극적인 멕시코로 30.2%가 적극 찬성 의사를, 약간 찬성까지 포함한 비율은 65%가 된다. 그 다음으로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적극 찬성 비율 21%와 21%, 그리고 약한 찬성을 포함한 비율 55%와 56%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며, 미국과 중국, 영국은 적극 찬성 비율이 12%, 12%, 11%이며, 약간 찬성까지 포함한 비율이 37%, 33%, 그리고 29%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시장과 연결시키는 경향은 기업이 “사회적 기여”를 하는 방법에 대한 사고에도 반영되어 나타난다. 사회적 기여의 최선의 방법에 대해 “안전하고 건강에 좋은 상품과 서비스 개발”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대부분의 나라들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중국(66%)이 가장 높은 반면, 한국(55%), 인도네시아(51%). 미국(50%), 그리고 영국(49%) 등이 절반이 조금 넘거나 비슷하게 나타났고, 멕시코의 경우에만 22%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기업 활동을 하는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지는 기업이라는 생각이 여러 나라에서 지배적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렇지 못한 기업들은 시장에서 불이익을 줌으로써 자신들의 소비자에 대한 더 나아가 주주와 직원들에 대한 책임을 다하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시장에서 기업이 소비자에 대해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보다 폭넓은 사회적 책임의 실현 방법으로 “자선단체에 대한 기부”를 기대하는 비율은 한국(16%), 미국(16%), 중국(14%), 영국(18%)로 대체로 비슷하게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도네시아와 멕시코가 각기 23%와 31%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3]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방안 : 안전하고 친건강 상품 및 서비스 개발(%)

 

6대 프로젝트

무역ㆍ기술ㆍ에너지 질서의 미래

세부사업

디지털 경제 시대와 한국의 경제외교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