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는 2005년 실시한 "국가정체성"여론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단행본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를 발간합니다. 강원택 EAI 시민정치연구팀 강원택 위원장이 편집하고 총 9명의 필진이 참여하여 한국국민들 사이에 단일민족의 신화에서 벗어나 "대한민국 국가정체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습니다. 후원 : 중앙일보ㆍ현대

 
"우리는 아주 오랫동안 ‘단일민족의 신화’ 속에서 살아 왔다. 우리는 모두가 단군의 자손인 혈연공동체이며, 동일한 역사와 언어와 문화를 갖는 동질적 삶을 영위해 왔다고 배워왔다. 이제 그런 신화가 도전 받고 있다. 대한민국 사회는 더 이상 인종적으로 동질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에 장기간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크게 늘어났고, 외국인과 결혼하는 한국인들도 많아졌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그들 사이에 태어난 혼혈 한국인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외모도, 언어도 우리와 별다를 바 없지만 중국 국적을 갖고 또 자신을 중국인이라고 생각하는 조선족 교포들도 여기저기서 쉽게 만날 수 있다. 역으로 미식축구 선수 하인스 워드처럼 외모도, 언어도 우리와 다르지만 한국인으로 받아들이게 된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또한 북한에서 내려온 ‘새로운 한국인’도 많아지고 있다.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우리 사회의 정체성의 변화에 대한 답을 찾아보기 위한 시도이다. 그동안 우리가 너무나도 당연하게 여겨왔던 한국인의 정체성이 이러한 외부적 상황의 변화와 세월의 흐름 속에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 특성을 이 책에서는 찾아보고자 했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는데, 1부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 내부에서 나타나는 정체성의 변화를 추적해 보고자 했다. 그리고 2부는 과거를 바라보는 시각과,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민주화는 더 강한 민족주의를 낳는다_조선일보 2007년 1월 20일자. 이선민 논설위원 [서평] 

 

목차 

 

제 1 부 국가정체성과 한국 민주주의

 

제 1 장 한국인의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 : 대한민국 민족주의 | 강원택

제 2 장 집단 정체성, 사회 균열, 그리고 정치균열 | 김민전

제 3 장 계급정체성과 한국 유권자의 정치행태 | 정한울

제 4 장 민주적 시민성의 성장과 민족정체성 | 정한울ㆍ정원칠


제 2 부 국가정체성과 통합

 

제 5 장 해방정국과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과 민족과 국가정체성 | 김장수

제 6 장 한국인의 역대 정권 평가와 역사자긍심 | 이현우

제 7 장 한국인의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인식과 국가정체성 | 이내영

제 8 장 한국인의 탈물질주의 | 한준ㆍ이재열


 저자 (가나다 순)

 

강원택

현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 지리학과 졸업. 영국 런던정치경제대(LSE) 정치학 박사. 동아시아연구원(EAI) 시민정치패널 위원장.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연구이사 역임. 주요 논저로 [한국의 정치개혁과 민주주의],[한국의 선거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제 3후보에 대한 지지분석,” “Protest Voting and Abstention under Plurality Rule Elections: An Alternative Public Choice Approach” 등이 있다.


김민전

현 경희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 미국 아이오와대 정치학 박사. 국회사무처 법제예산실 정책조사관, 국회사무처 연수국 교수 역임. 주요 논저로 “역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대한 평가: 표의 등가성과 정당간 공정성을 중심으로,” “선거제도 변화의 전략적 의도와 결과: 역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김장수

현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선임연구원.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뉴욕주립대 정치학 박사. 아세아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고려대학교 BK21 동아시아교육연구단 연구전임강사역임. 주요 논저로 “비대칭적 활성화와 정당에 대한 상충적 태도,” “정당일체감에 따른 인식의 양극화: 기제와 완충요인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내영

현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동아시아연구원(EAI) 여론분석센터 소장.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위스콘신대(메디슨) 정치학 박사.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역임. 주요 논저로는 《동아시아의 민주화와 과거청산》(공저), 《노무현 2002 대선평가와 노무현 정부의 과제》(공저), 《변혁기의 세계질서와 한반도》(공편), “반미여론과 한미동맹,” “세대와 정치이념,” “Changing South Korean Public Opinion on the US” 등이 있다.


이현우

현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정치연구회 회장.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Chapel Hill) 정치학 박사. 경희사이버대 영미학과 교수 역임. 주요 논저로는 《미국 의회선거의 변화와 지속성》(공저), "Issues and Campaign Strategies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The Democratization of Mass Political Orientations in South Korea," “인터넷과 사회자본의 강화를 통한 선거참여: 미국 2000년 대선의 경우” 등이 있다.


이재열

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 미국 하버드대 사회학 박사. 한국사회학회 이사 역임. 주요 논저로는 "Visible Success and Invisible Failure in Post-Crisis Reform in the Republic of Korea: Interplay of Global Standards, Agents, and the Local Specificity," "위험사회와 정보화의 명암," 《한국사회의 연결망 연구》(공편) 등이 있다.

 

한준

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 미국 스탠포드대 사회학 박사. 한림대 조교수 역임. 주요 논저로는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공저), 《변화하는 사회환경 기업의 대응》, “조직에서의 사회연결망과 사회자본,” “시장간 연결망과 조직의 생태학” 등이 있다.

 

정원칠

현 동아시아연구원(EAI) 분권화센터 선임연구원. 중앙대 행정학과 졸업. 동 대학원 행정학 석사. 이슈투데이 언론출판팀장 역임. 주요 논저로는 《노무현 2002 대선평가와 노무현 정부의 과제》(공저), 《노무현 정부의 딜레마와 선택》등이 있다.

 

정한울

현 동아시아연구원(EAI) 여론분석센터 선임연구원. 고려대 서어서문학과 졸업. 고려대 정치외교학 박사과정. 주요 논저로는 “동맹의 변환과 한국인의 대미인식,” “부시2기 외교정책의 딜레마: 미국 및 세계여론의 제약요인,” “Fluctuating Anti-Americanism and ROK-US Alliance” 등이 있다.

 

연구조교

박샘이 전 동아시아연구원 연구원, 현 위스콘신주립대 박사과정 재학

박동욱 현 동아시아연구원 인턴, 토론토대 재무경영학과 재학.

신소연 전 동아시아연구원 연구원,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석사

윤상원 현 동아시아연구원 인턴, 뉴욕대 중동학 정치학과 재학.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단행본의 원고를 일부 공개합니다.

6대 프로젝트

세부사업

한국인의 정체성

Related Publications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단행본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손열ㆍ이정환 엮음 |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