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영끌’ ‘고금리’ 휩쓸린 세대, 尹에 레드카드 꺼내다

  • 2023-06-06
  • 고재석 기자 (신동아)

[Special Report | 세습 자본주의 세대, M과 Z의 정치학] 脫민주당 이어 脫국민의힘 30대 속사정

● 한국 대선 역사상 가장 기묘한 그림
● 복지에 전향적인 세대인데 우파일까?
● “진보적인데 尹에게 무게 실어준 세대”
● 집권 100일 안 돼 48.1→13% 이유
● 두 번째로 진보적인 세대의 연속 변심
● 보수화라 오독한 與의 때 이른 오만
● 尹 부동산정책 긍정평가 30대 13%
● 민생·경제, 정치의 핵심 축 만들 세대

MZ세대는 없다. M과 Z는 한 뭉텅이가 아니다. M은 밀레니얼(millennial)의 약자다. 한국에선 흔히 1980년대생을 가리킨다. Z는 ‘20세기에 태어난 마지막 세대’를 지칭한다. 그렇다 보니 Z세대는 범위가 좀 더 넓다. 1995년생부터 Z세대로 보기도 하는데, 왜 1995년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간편하게는 1990년 이후 출생한 이들을 일컫는다. 1980~83년생은 밀레니얼이지만 40대가 됐다. 이른 진급에 성공한 40대 부장이 “나도 MZ”라고 자처하는 근거다. Z세대의 일부도 30대에 진입했다. 여기서는 편의상 M을 30대, Z를 20대로 놓고 논한다.

정치에서는 MZ의 설명력이 빈약하다. M과 Z의 표심이 따로 움직인다. 30대는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우군이었다. KBS·MBC·SBS 방송 3사가 실시한 출구조사에 따르면 20대 대선 당시 30대(1983~92년생)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48.1%를 얻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은 46.3%였다. 20대 이하에서는 이 후보(47.8%)가 윤 후보(45.5%)를 앞섰다. 40·50대에서 윤 후보는 이 후보에 적잖은 격차로 졌다. 30대를 빼면 60대 이상에서만 윤 후보 지지세가 컸다. 산업화 이후 풍요 속에서 태어난 밀레니얼과 최빈국의 일원으로 청춘을 보낸 장·노년 세대가 한 묶음이 됐다. 한국 대선 역사상 가장 기묘한 그림이다.

결집력은 다르다. 60대 이상에서는 열 중 일곱(67.1%)이 윤 후보를 택했다. 윤 후보가 30대에서 얻은 지지율에 비해 19.0%포인트나 높다. 자연히 충성도 차이도 도드라진다. 60대 이상은 2020년 치러진 21대 총선에서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에 59.6%를 몰아줬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 연령별 지역구 투표 정당을 물은 결과다. 21대 총선은 ‘코로나 선거’로 불리며 민주당에 유리한 구도로 치러졌다. 보수가 몰락한 선거인데도 60대 이상의 지지세는 남달랐다. 이즈음 30대에서는 29.7%만 미래통합당을 찍었다.

86세대 진보, MZ 보수? 허구적 프레임!

비교 시점을 넓혀보자. 2012년 대선 당시 20대(지금의 30대)의 65.8%는 문재인 민주통합당(현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다. 박근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후보는 20대에서 33.7%를 얻었다. 같은 선거에서 50대(지금의 60대)와 60대 이상(지금의 70대 이상)은 박 후보에게 각각 62.5%와 72.3%를 안겼다. 말하자면 장·노년은 10년 터울이 무색하게 일관된 투표 행태를 보였다. 그사이 밀레니얼은 극적으로 변심했다. 정치는 지지기반을 넓히는 예술이다. 보수의 눈으로 보면 지난 대선은 상대의 영토를 빼앗아 나의 영토를 넓힌 선거다.

따라서 장·노년은 ‘콘크리트 국민의힘’, 30대는 ‘탈(脫)민주당’이라 표현할 수 있다. 윤석열 정권의 집권 기반은 서로 이질적인 두 집단의 연합에 있다. 일시적인 다수파 연합이다. 방점은 ‘일시적인’에 찍혀 있다. ‘콘크리트 국민의힘’은 보수 집권 지지 동기가 강했다. 문제는 ‘탈민주당’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이냐다. 보수 일각은 ‘콘크리트 국민의힘’과 ‘탈민주당’ 사이에 존재하던 허들이 낮아졌거나 사라졌다고 본다. 이렇게 생각하는 이들은 M과 Z를 한 뭉텅이로 인식한다. 여론조사 전문가로 통하는 국민의힘의 한 고위 당직자와 올해 초 사석에서 만날 일이 있었다. 이날 그가 꺼낸 말은 이렇다.

“20·30세대는 우파적 가치에 충실한 자유시장 경제에 친화적이다. 이들이 문재인 정부에 실망한 이유는 공정한 시장 질서를 (문 정부가) 확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는 586(50대·1980년대 학번·1960년대 출생)이 만든 기득권 노동시장만 유연하게 개혁해도 20·30이 (윤석열 정부에) 큰 지지를 보낼 것이라고 본다.”

한국 보수 주류의 세계관이 짙게 드리운 생각이다. 동시에, 마땅한 근거가 없는 인상 비평 성격의 담론이다. 이날 그에게 “20과 30의 생각도 엄청나게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은 해보지 않았느냐”고 물었다. 그는 “다르겠지”라고 할 뿐 질문에 걸맞은 답을 내놓지는 않았다. 이후 그가 언론에 기고한 글을 읽었다. 사석에서 꺼낸 말과 같은 논지를 폈다. 국민의힘이 세금을 아끼는 우파 경제학의 기본에 충실하면 20·30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는 거다. Z세대는 모르겠으나 밀레니얼이 “우파적 가치에 충실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데이터가 말하는 바는 그렇다.

EAI(동아시아연구원) 워킹페이퍼 ‘86세대와 세대 효과의 종언: 1992-2022 대선 분석’은 여러모로 흥미로운 자료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1980년대생에서 스스로 진보라 생각한 비중은 32.5%다. 1970년대생(34.1%)에 이어 2위다. 1960년대생은 같은 질문에 25.2%만 진보라고 답했다. 조사 대상자의 주관적 이념을 확인한 조사라는 점을 염두에 두자. 이를테면 1980년대생이 86세대보다 진보로서의 자의식이 도드라진다.

‘성장보다 복지 우선’에 동의하는 정도를 물은 또 다른 EAI 조사에서는 1980년대생의 52%가 ‘복지’를 택했다. 1970년대생(53%)에 이어 역시 전 세대에서 두 번째로 복지에 친화적이다. 1%포인트 차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복지에 가장 전향적인 세대라 말할 수도 있다. 1960년대생이 ‘복지’를 택한 비율은 39%에 그쳤다. 1950년대생(35%) 다음으로 낮다.(관련기사: ‘[여의도 머니볼②] 尹 찍은 유권자와 대통령 사이에 널따란 강이 생겼다’)

두 조사에는 성인이 되자마자 양극화와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보편적으로 경험한 세대의 감수성이 녹아 있다. 당연하지만 복지를 확대하려면 세금을 써야 한다. 기꺼이 공적 지출에 나설 의지가 있는 세대다. 복지를 주창해도 보수일 수는 있지만, 아무래도 진보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어색하다. “세금을 아끼는 우파 경제학”과는 양립하기 힘든 가치관이다. ‘86세대는 진보, MZ는 보수’라는 진단은 허구적 프레임에 가깝다. 일종의 정치 이데올로기다.

따라서 ‘탈민주당’은 “진보적인데 윤석열에게 무게를 실어준 세대”(‘세습 자본주의 세대’, 245쪽)라고 봐야 한다. 진보 세대를 진보 정권 바깥으로 움직인 동기는 정권 심판이다.

민주당 핵심 전략 자산의 이탈

이와 관련해 EAI는 ‘2022 제20대 대통령선거 패널 조사’를 통해 ‘이번 대선은 문재인 정권을 심판하는 선거’라는 주장에 어느 정도 동의하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 10점 척도로 조사했다. 0은 ‘전혀 동의 안 함’, 10은 ‘매우 동의함’이다. 6에서부터 10을 택한 비율을 합한 결과가 클수록 ‘문 정권 심판’에 동의한다는 뜻이다. 조사 결과 60대 이상이 52.4%로 ‘문 정권 심판’ 동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2위는 30대(40.6%)였다.

‘내일 대선이라면 절대 투표하지 않을 후보’를 묻는 질문에도 30대의 36.1%는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택했다. 이 역시 60대 이상(45.9%)에 이어 전 세대를 통틀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여러 데이터를 종합하면, 30대는 스스로 진보를 자처하고 복지 확대에 친화적이면서도 민주당 정권에는 강한 반감을 표했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