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출발 2006] 경제학자 말ㆍ말ㆍ말… 

  • 2006-01-02

◆한국 대표 경제학자 100인 설문조사◆

◆ 김기찬 교수(가톨릭대 경영학과)

바이오 전자 자동차 등 대표기업을 육성해 국 가이미지를 높여 한국 제품에 밴드왜건(bandwagon) 효과를 이끌어가도록 해야 한다.

 

◆ 김상훈 교수(서울대 경영학과)

미래 선도산업과 상품 발굴도 중요하지만 반드시 인적자원 고급화와 병행돼야 한다. 창의성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국가와 기업이 적극 투자해야 한다.

 

◆ 김성수 한국기업경영종합연구원장(경희대 교수)

지난날 이 나라 경제성장의 주 인공이었던 노인을 푸대접하지 말아야 한다. 유능한 청소년이 이민가고, 노인이 이 민가고, 정치ㆍ경제는 실패의 연속이고, 국회는 싸움만 하고, 한국 경제를 제대로 보는 정치나 관료는 없고, 부패와 비리는 속출하고, 인간 가치는 땅에 떨어지고, 기업가는 힘이 없다.

 

◆ 김홍범 교수(경상대 경제학과)

한국 경제에는 여러 문제가 있는데, 그 가운데 중요한 하나가 금융 관련 정책기관간에 실질적인 협력과 견제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 최종무 교수(미국 템플대 경영학과)

신뢰성이나 (국민적)합의가 없는 어떤 국 가정책도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선 내각의 주요 장관이나 자문을 맡 고 있는 인물을 신뢰성을 갖춘 사람으로 교체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정치적 연 관성이나 지향점에 상관없이 능력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황순영 한국소비자정보 대표(경희대 교수)

"국민소득 2만달러"와 같은 것은 환 율 변경이나 달러약세 인플레이션 등으로 기준이 변하므로 좀더 견고한 기준이 필 요하다. 우리 국적을 가진 국민의 "실질 임금상승률" "실질 취업률"과 가격을 배제한 "실물부가가치생산성" 등이 국가가 관리하는 지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