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월호
  동아시아연구원, 25대 아시아 싱크탱크 중 12위
동아시아연구원(EAI)은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의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hink Tanks and Civil Societies Program)에서 최근 발표한 "세계 싱크탱크 순위"(2010 Global Go-To Think Tanks Rankings)에서 25대 아시아 싱크탱크 중 12위로 선정되었습니다.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은 2006년부터 학자, 관료, 기자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세계 싱크탱크 순위를 발표해 왔습니다. 국내연구기관들 가운데에서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경제정책분야)이 동아시아연구원과 함께 25대 싱크탱크로 선정되었습니다.

  EAI 펠로우즈 프로그램 2010-11 선정 결과
EAI는 2010-11년 EAI 펠로우즈 프로그램(Fellows Program on Peace, 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East Asia)의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미국, 캐나다, 유럽 등 비아시아권의 유망한 아시아 전문가들이 이번 프로그램에 지원하였으며, 5개 참여 기관의 대표로 구성된 EAI 펠로우 선정위원회에서 지원자들의 연구제안서, 추천서, 업적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최종 5명의 펠로우를 선정하였습니다. 2010-11년 프로그램에 새롭게 선정된 EAI 펠로우는 Steve Chan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Aurel Croissant (Ruprecht-Karls-Universitaet, Heidelberg), Evelyn Goh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Yves Tiberghie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ndrew Yeo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입니다.

EAI Focus
 
Upcoming Events
제14회 Smart Talk : Mr. Tanaka Hitoshi
2011-02-25
 
EAI Publications
[EAI 안보넷 논평 제17호]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국 : 비대칭 연미·연중전략과 한반도 비핵평화체제의 모색

[EAI-CISS NASD 2010 Security Briefings Series No.1] 천안함 사건과 미국의 북한 핵문제 정책 : 분석과 전망, 그리고 한중 양국에의 함의

[EAI-CISS NASD 2010 Security Briefings Series No.2] 한중 양국의 대 북한 전략적 관점에서 바라본 천안함 사건과 한반도비핵화

[EAI-CISS NASD 2010 Security Briefings Series No.3]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결정요인 : 북한 핵실험과 천안함 사건에 대한 대응 비교



EAI News
2011 EPIK Young Leaders Conference 논문 공모
2011 EPIK Young Leaders Conference를 위한 논문을 공모합니다. EAI는 국내외 학부 및 대학원생들에게 오늘날 국제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본 컨퍼런스를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응모를 원하시는 분들은 이번 컨퍼런스 주제인 "지속 가능한 미래(Sustainable Future)"에 관한 논문을 영문으로 작성하여 3월 30일까지 이메일(epik2011@eai.or.kr)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2차에 걸친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된 분들에게는 8월 17일 컨퍼런스에서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며 최우수 논문 발표자 1명에게는 100 만원, 우수 논문 발표자 2명에게는 50만원이 각각 수여됩니다.
EAIㆍ경제추격연구소ㆍ매일경제신문 공동 '한국대표 경제ㆍ경영학자 패널조사'
EAI는 경제추격연구소,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실시한 '한국대표 경제ㆍ경영학자 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New Asia & Korea"를 주제로 지난 2010년 12월 14일~23일 진행된 이번 패널 조사 결과 10년 안에 금융위기가 재발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84.7%)이었습니다. 응답자들은 대응책으로 단기 투자자본에 대한 규제방안 마련, 외환보유액 확충, 그리고 통화스왑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신성장동력 확보 등 장기적인 정책 과제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문제인식과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하였습니다. 본 조사결과는 1월 6일 매일경제 신문을 통해 보도되었습니다.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국" EAI 안보넷 논평 발행
EAI 안보넷 논평 제17호,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국 : 비대칭 연미·연중전략과 한반도 비핵평화체제의 모색"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논평에서는 지난 1월 19일 미중정상 회담의 결과를 미중관계, 한반도 정세, 국제경제질서의 차원에서 분석하고, 한국이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중국을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비대칭적 연미연중(聯美聯中)' 전략을 구사해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아울러,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는 북한의 전쟁 공세에 대비한 확고한 억지력 구비, 미중관계를 염두에 둔 대북전략 추구, 그리고 '공진화(共進化)' 노력의 일환으로 북한이 핵선군체제 대신 선택할 수 있는 비핵평화체제의 구상 및 현실화 노력이 중요함을 제언하였습니다.
EAIㆍ상해 교통대ㆍ대만 정치대 Smart Talks 세미나
EAI 아시아안보연구센터는 1월 19일~21일 상해 교통대, 대만 정치대와 공동으로 "동북아 안보의 도전과 과제"(Northeast Asian Security Challenge)라는 주제로 Smart Talk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상해와 대만에서 각각 진행된 본 세미나에 전재성 소장(EAI 아시아안보연구센터), 이승주 교수(중앙대), 주재우 교수(경희대)가 참여하였으며,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에서의 역할,' '북한의 권력승계와 북중관계,' '양안협력사례를 통해서 본 남북협력 전망'이라는 세부주제에 대하여 심도 깊은 토론을 하였습니다.
다나카 히토시(Hitoshi Tanaka) 선임연구원 초청 Smart Talks 세미나
EAI는 일본 외무성 심의관으로 재직하던 2002년 당시 북한과의 비밀협상으로 북ㆍ일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던 다나카 히토시 선임연구원(Hitoshi Tanaka, 일본국제교류센터)을 초청하여 "동아시아의 기회와 위기"(East Asia - its opportunities and risks)를 주제로 2월 25일 제14회 Smart Talk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100-786 서울시 중구 을지로 4가 310-68 삼풍빌딩 909호   Tel 02-2277-1683   Fax 02-2277-1684/1697
Copyright 2009©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Email EAI  |  수신거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