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대로 이번 지방선거는 한나라당 압승, 열린우리당 참패로 끝이 났다. 모든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우세가 워낙 뚜렷했기 때문에 선거 전부터 선거 결과보다 오히려 이후 정국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해 더 관심을 보이는 기현상도 나타났다.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승자는 박근혜 대표일 것이다. 당을 선거 승리로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피습사건 후 보여준 차분하고 단호한 대응으로 인해 침착하고 용기 있는 지도자로서 이미지를 국민에게 강하게 각인시켰다.

 

여기에 피습에 대한 동정여론까지 더해져 박 대표는 정치적 입지가 더욱 단단해졌다. 탄핵사태 후 지리멸렬하던 당을 맡아 17대 총선에서 당을 구해냈고 그 뒤 잇단 보궐선거에서 승리 그리고 이번 지방선거까지 압승으로 이끎으로써 "박근혜 불패" 신화를 이어가게 되었다. 이번 선거 승리와 함께 한나라당 대권후보 자리를 두고 박 대표는 유리한 고지에서 이명박 시장과 더욱 뜨거운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

 

반면 열린우리당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이번 열린우리당 참패는 지지세를 불리기는커녕 "전통적인" 지지자들조차 당에 등을 돌린 데서 비롯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 상태로는 대선에서도 절대 안 된다는 위기감이 크고 반(反)한나라당 연대 결집의 필요성도 절실하겠지만 문제는 한 번 이탈한 지지층을 재규합할 방안이 마땅치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

 

이미 선거운동 기간에도 터져 나온 것처럼 민주당 등과 통합을 두고 당내 갈등이 격해질 가능성이 크고, 또 통합을 주도해 낼 수 있는 유력 대선 주자나 당내 리더십도 사실상 부재한 상태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외부인사 영입, 합당, 탈당 등 정계개편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난무하는 가운데 열린우리당은 한동안 심각한 내홍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이번 선거를 통해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이나 불만이 매우 크다는 사실이 확인된 이상 여권 내 대선 주자군에서는 노 대통령과 거리두기나 차별성을 부각시키려는 노력도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어떤 사안에 대해서는 노 대통령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도 제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 선거 참패의 충격이 워낙 큰 만큼 민심 이반이 확인된 노 대통령에 "얹혀 있는" 것이 다가올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친노그룹과 갈등으로 당은 출렁거릴 수밖에 없지만 시간이 갈수록그런 움직임은 불가피할 것이다. 더욱이 월드컵과 여름휴가 기간을 보내고 가을이 오면 세간의 관심도 차기 주자군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가게 될 것이고, 그런 만큼 노 대통령 국정 주도력은 향후 크게 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선거 결과를 두고 1년 반 앞으로 다가온 대선 결과를 예측하게 하는 전초전으로 바라보려는 이들도 적지 않은 것 같다. 또 한편에서는 이번 한나라당 압승을 우리 사회의 이념지형이 전반적으로 보수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상으로 이해하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이번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일인 것 같다. 2002년 실시된 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이 승리하였지만 불과 6개월 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처럼 지방선거에서와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의 판단 기준은 서로 다르다. 이번 지방선거 결과를 중앙정치와 관련해서 의미를 부여한다면, 미래를 위한 선택의 결과라고 하기보다는 과거에 대한 회고적 평가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번 지방선거에서 압승은 한나라당이 미덥고 좋아서도 아니고 국민의 이념 성향이 보수로 이동했기 때문도 아니다. 이번 선거는 노무현 정부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 불만이 너무도 컸기 때문에 그런 못마땅한 마음을 표를 드러낸 결과일 뿐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번 승리를 두고 한나라당이 "노무현 없는" 차기 대선에서도 쉽게 승리할 것으로 낙관하는 것은 대단히 섣부른 일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보여주듯이 유권자 표심은 무척 정직하다.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정당은 선거에서 그에 대한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너무도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누가 국민 뜻을 제대로 읽어낼 수 있을지, 2007년 12월을 향한 새로운 경쟁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강원택 EAI 시민정치패널 위원장 · 숭실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