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표 경제학자 100인 설문조사◆

대부분 현직 대학교수들인 경제ㆍ경영학자들에게 지난해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 평가점수를 내달라고 부탁했다.

 

집계결과 2005년 경제정책에 대한 종합평가 점수는 "C+"로,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54.1점에 그쳤다.

 

지난해 정부가 펼쳤던 각종 경제정책을 11개 분야로 나눠 물어본 결과 3개만 B학점 대를 받았을 뿐, 나머지 8개는 모두 C학점대에 머물렀다.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통상정책이 "B"학점(66.5점)으로 가장 높았고, 거시금융 정책과 보건복지사회보장정책도 각각 "B-"를 받아 그나마 체면치레를 했다.

 

전문가 들은 지난해 성장잠재력 향상을 위한 정부정책에 대해선 "C-"를 매겨 가장 낮은 점 수를 줬다.

 

경제주체별 성적표에선 대기업이 "A-"(82.5점)로 지난해 경제활동을 가장 잘한 것 으로 평가됐다.

 

이어 금융회사가 "B"학점을 받았고, 중소벤처기업도 "B-"로 평가돼 민간기업들은 제대로 활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정치권으로 가면 상황이 달라진다.

 

집권여당(열린우리당)이 낙제점에 가까운 "D+"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고, 청와대와 총리실이 각각 "C-"로 평가됐다.

 

시민단체와 정부 경제부처도 각각 "C"와 "C+"학점에 그쳤다.